KR100245444B1 - 편집장치를 갖춘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편집장치를 갖춘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444B1
KR100245444B1 KR1019970704411A KR19970704411A KR100245444B1 KR 100245444 B1 KR100245444 B1 KR 100245444B1 KR 1019970704411 A KR1019970704411 A KR 1019970704411A KR 19970704411 A KR19970704411 A KR 19970704411A KR 100245444 B1 KR100245444 B1 KR 100245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high efficiency
recording
output
multiple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키 오타카
신야 다나카
다카아스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H04N5/7826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 H04N5/7826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using more than one track for the recording of one television field or frame, i.e. segmented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04N9/806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with insertion of the PCM audio signals in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f the PCM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8Signal drop-out compensation
    • H04N9/888Signal drop-out compensation for signals recorded by pulse code mod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58/00Facsimile and static presentation processing
    • Y10S358/906Hand-held camera with recorder in a single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디지털 영상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가 개시된다.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은 디지털 영상수단을 고능률 부호화하고 기록수단(123, 124, 125)은 고능률 부호화된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기록을 위한 소정의 부호화처리를 실행하여 부호화처리후의 영상데이터를 기록매체(126)에 기록한다. 한편, 데이터를 재생하여 재생된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을 위한 소정의 재생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며, 재생데이터 처리후의 영상데이터를 출력한다. 지연수단(137a, 137b)은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된 영상데이터를 기록수단(123, 124, 125)의 처리에 걸리는 영상데이터의 지연시간과의 합계의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서 출력하고, 선택수단(141)은 지연수단(137a, 137b)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와 재생수단(127, 128, 129)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중의 어느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Description

편집장치를 갖춘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근년, 영상 기기의 고화질화 및 디지털화가 이루어지는 중에, 종래의 아날로그 기록을 대신하여 디지털기록을 사용한 기록재생장치가 실용화되어지고 있다. 그 대표적인 기기로서 디지털기록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디지털 VTR라고 함)가 실용화되고 있다. 디지털 VTR은 종래의 아날로그 VTR에 비하여 고화질이며, 또한, 더빙(dubbing)에 의한 열화가 거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디지털 VTR은 디지털화된 영상신호를 그대로 기록했을 때, 기록되는 데이터량이 매우 증가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형의 카세트 테이프에 장시간 기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영상신호의 데이터량을 효율적으로 삭감하는 고능률부호화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게 된다. 고능률 부호화를 사용한 디지털 VTR의 신호형식으로서, 예컨대 HD디지털 VCR협의회(High Definition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Conference)에 의하여 6.3mm 자기 테이프를 사용한 소비자용 디지털 VCR의 명세서를 갖는 디지털 VTR형식(이하 DV형식이라칭함)을 제안하고 있다. 이런 형식에 따르면, ITU권고의 ITU-R BT. 601에 규정하는 현행 TV 방식의 콤포넌트 신호의 디지털 부호화 규격에 준거하는 4 : 2 : 2 콤포넌트 신호를 고능률 부호화에 의하여 약 1/6.7로 압축하여, 1/4 인치폭의 소형 카세트 테이프에 장기간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종래의 아날로그 기록 VTR(이하, 아날로그 VTR라칭함)을 디지털 VTR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을 생각했을 때, 디지털 VTR은 아날로그 VTR과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VTR등의 기록재생장치를 위한 편집장치는, 자기 테이프등의 기록매체에 영상신호를 기록한 후, 이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런 재생된 데이터를 영상신호로 변환시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테이프 처리 시스템(processing system)(이하, 테이프 처리계라고 칭함)과, 입력된 영상신호를 그대로 영상신호로서 출력하는 일렉트릭. 일렉트릭 처리 시스템(이하, EE처리계라 칭함)의 2개의 처리계를 가진다. 이러한 2개의 처리계는 VTR의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재생 동안, 테이프 처리계는 정상적으로 선택되며, 자기테이프에서 재생된 데이터는 처리되어, 영상신호로 변환된 후, 영상 신호는 모니터 TV에 출력된다. 기록 동안, 사용자가 모니터 TV에 의하여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터의 영상신호를 동시에 모니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EE처리계가 선택된다. 더욱이, 이미 기록된 자기테이프에 다른 영상이나 음성을 삽입하는 삽입 편집시에는 이런 2개의 모드가 조합되어서 사용된다. 즉, 삽입 기록되어 있는 기간 동안 EE처리계가 선택되고, 그 이외의 기간 동안은 테이프 처리계가 선택되는 데, 그 이유는 이미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터의 영상신호를 모니터 TV로 출력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 EE처리계와 테이프 처리계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편집장치를 갖춘 종래기술의 디지털 VTR은 일반적으로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입력된 영상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이하, A/D변환기라고 칭함)에 의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후, 디지털 신호는 고능률부호화기에 의하여 소정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영상데이터로 압축된다. 압축된 영상데이터는 오류 정정 부호화하여 처리되고, 오류정정처리용의 패리티를 부가하고 나서, 자기테이프로 기록을 위하여 변조처리가 행해지며, 처리된 영상데이터는 자기테이프에 기록된다.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영상데이터를 재생할 경우, 재생된 영상데이터는 복조처리 및 오류정정 복호화처리를 통해 고능률 복호화기에 입력된다. 고능률복호화기에서, 압축된 영상데이터가 본래의 영상데이터로 신장된 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이하, D/A변환기라고 칭함)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상의 종래기술의 디지털 VTR에 있어서, 자기테이프에서 재생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계는 테이프 처리계이다. 더욱이, EE처리계를 구현하기 위하여는 디지털 VTR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처리의 도중에서 자기테이프의 재생처리계를 통하여 출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A/D변환기에 의하여 변환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기억장치를 사용하여 소정의 프레임수만큼 지연시켜서 D/A변환기에 입력함으로서, EE처리계가 구현된다. EE처리계에 있어서는 A/D변환기에 의한 A/D변환 후에 기억장치를 사용하여 영상데이터를 지연시킨다. 이것은 편집시에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영상데이터와 모니터 TV로 출력된 영상 데이터의 관계를 시간적으로 일치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디지털VTR에 있어서는 EE처리계의 영상데이터와, 테이프 처리계의 영상데이터의 타이밍 맞춤(이하, 타이밍 맞춤이라칭함)을 위해 EE처리계의 영상데이터를 지연시키는 데에 필요한 기억장치의 메모리 용량이 매우 크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4 : 2 : 2 콤포넌트 신호를 1프레임만 지연시키기 위하여서는 약 5.5M비트의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상기의 DV 형식을 사용했을 때, 고능률 부호화 처리 및 고능률 복호화 처리에 있어서 프레임 단위의 행렬전환(rearrangement) 처리를 행하고, 오류정정부호화 및 오류정정 복호화처리시에도 프레임내의 행렬전환처리를 행하고 있으므로, 기록계 및 재생계에서 전체 4프레임의 지연이 발생한다. 따라서, A/D변환기에 의한 A/D변환에 의하여 얻어진 EE처리계의 영상데이터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4프레임 = 22M 비트의 기억용량을 가지는 기억장치를 필요로 한다.
예컨대, 디지털 VTR의 회로규모를 삭감하기 위하여 EE처리계의 지연용의 메모리를 삭제한 경우, 편집시에 모니터 TV의 출력 영상신호와, 실제로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는 영상데이터와의 시간적 대응 관계가 어긋남이 생긴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편집중에 모니터 TV에서 확인한 편집점과 자기테이프상의 편집점이 시간적으로 상이하여, 사용자가 편집점을 잘못 인식할 가능성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고능률 부호화를 사용한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상기 타이밍 맞춤을 위해 EE처리계의 영상데이터를 지연시키는 데에 필요한 기억장치의 메모리 용량을 대폭으로 삭감할 수가 있는 디지털신호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고능률 부호화를 사용한 디지털신호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상기 삽입 편집시에 있어서 테이프 처리계의 영상데이터와 EE처리계의 영상데이터간의 시간차를 단축할 수가 있는 디지털신호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편집장치를 갖춘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영상신호를 편집하는 편집장치를 갖추고, 고능률 부호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데에 이용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와 같은 디지털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실시형태의 편집장치를 갖춘 디지털 VTR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실시형태의 편집장치를 갖춘 디지털 VTR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3의 실시형태의 편집장치를 갖춘 디지털 VTR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4의 실시형태의 편집장치를 갖춘 디지털 VTR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5 도는 제 1 도의 제1의 실시형태의 데이터 VTR의 작동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제 6 도는 제 3 도의 제3실시형태의 디지털 VTR의 작동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제 7 도는 제1 내지 제4의 실시형태의 디지털 VTR의 자기 테이프상에 기록된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르면, 디지털신호 기록재생장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고능률 부호화하여, 고능률부호화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고능률 부호화수단(109),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고능률부호화된 영상데이터에 기록을 위한 소정의 부호화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부호화 처리후의 영상데이터를 기록매체(126)에 기록하는 기록수단(123, 124, 125), 상기 기록매체(126)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재생된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을 위한 소정의 재생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재생데이터 처리후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재생수단(127, 128, 129),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123, 124, 125)의 처리에 걸리는 영상데이터의 지연시간과, 상기 재생수단(127, 128, 129)의 처리에 걸리는 영상 데이터의 지연시간과의 합계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지연수단(137a, 137b), 상기 지연수단(137a, 137b)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와, 상기 재생수단(127, 128, 129)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와의 어느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선택수단(141)과, 상기 선택수단(141)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고능률 복호화하고 고능률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고능률 복호화하고 고능률 복호화수단(144)을 구비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교하여, 상기 타이밍 맞춤을 위하여 EE처리계의 영상데이터를 지연시키는 데에 필요한 기억장치의 메모리 용량을 대폭으로 삭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르면,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고능률 부호화하여, 고능률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고능률 부호화수단(109),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고능률 부호화된 영상데이터에 기록을 위한 소정의 부호화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부호화처리후의 영상데이터를 기록매체(126)에 기록하는 기록수단(123, 124, 125), 상기 기록매체(126)에 기록된 영상데이터를 재생하여, 재생된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을 위한 소정의 재생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재생데이터 처리후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재생수단(127, 128, 129),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와, 상기 재생수단(127, 128, 129)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중의 어느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출력되는 선택수단(141)과, 상기 선택수단(141)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고능률 복호화하여, 고능률복호화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고능률복호화수단(144)을 구비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교하면, 상기 삽입 편집시에 테이프 처리계의 영상데이터와, EE처리계의 영상데이터와의 시간차를 단축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실시형태의 편집장치를 갖춘 디지털 VTR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1 도에서는, 아날로그 휘도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100), 색차 신호(B-Y)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101), 색차 신호(R-Y)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102)가 도시된다. 또한, 입력단자(110)는 채널(1)의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이며, 입력단자(111)는 채널(2)의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이다. 또한, 출력단자(151)는 아날로그 휘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이며, 출력단자(152)는 색차 신호(B-Y)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이고, 출력단자(153)는 색차신호(R-Y)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이다. 또한, 출력단자(157)는 채널(1)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이며, 출력단자(158)는 채널(2)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이다. 여기서, 출력단자(151, 152, 153)는 외부장치인 모니터 TV(161)에 접속되며, 출력단자(157, 158)는 외부 장치인 모니터용 스피커(162)에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VTR은,
(a) 휘도신호, 색차신호(B-Y) 및 색차신호(R-Y)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각각 디지털 영상데이터(또는 디지털 영상신호)로 A/D변환하는 A/D변환기(103, 104, 105), (b) A/D변환 후에 필드 단위로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프레임 단위의 영상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영상데이터의 행렬 전환를 행하기 위한 메모리(106), (c) 메모리(106)의 작동을 제어신호(108)에 의하여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107), (d) 메모리(106)에서 프레임 단위에서 판독한 영상데이터를 프레임내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등의 고능율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압축하여 출력하는 고능률부호화기(109), (e)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 데이터(또는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112, 113), (f) A/D변환된 음성데이터에 대하여 프레임 단위의 인터리브(interleave)등의 처리를 행하여, A/D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의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기록처리기(114), (g) 스위치(141)의 전환점인 편집 개시점 EP의 프레임 및 편집 종료점의 프레임을 지정하는 지시 데이터등을 입력하여, 그 지시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부(115)로 출력하기 위한 키보우드(400), (h) 디지털 VTR의 작동 전체를 제어하여, 편집 개시점 EP의 프레임 및 편집 종료점의 프레임을 지정하는 지시 데이터에 응답하여 타임 코드 데이터를 포함한 서브코드 데이터(116)를 발생시켜, 데이터 다중화기(117)로 출력함과 동시에, 데이터 분리기(135)에서 출력되고, 편집개시점 EP의 프레임 및 편입종료점의 프레임을 지정하는 타임 코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서브코드 데이터(136)에 응답하여, 각각 스위치(141)를 a쪽에서 b쪽으로 전환하거나, 스위치(141)를 b쪽에서 a쪽으로 전환하도록 스위치(141)의 제어신호(142)를 출력하는 시스템 제어기(115), (i) 압축된 영상 데이터, 인터리브된 음성 데이터 및 서브코드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다중화 데이터(118)를 디지털 비디오 버스(이하, DV버스라고 칭함)을 통하여 메모리(119) 및 프레임 메모리(137a)로 출력하는 데이터 다중화기(117), (j) 다중화 데이터(118)에 대하여 프레임 단위로서 행렬 전환을 행하고, 오류 정정 부호화처리를 행하기 위한 메모리(119), (k) 메모리(119)의 작동을 제어신호(121)에 의하여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120), (l) 메모리(119)를 사용하여 다중화데이터(118)에 오류 정정 패리티를 부가하여, 오류 정정 패리티가 부가된 다중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류 정정 부호화기(122), (m) 오류 정정 부호화기 (122)에서 출력된 다중화 데이터에 대하여 예컨대 24/25 변환방식 및 인터리브된 NRZI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기록 부호화 처리를 행하여 다중화 데이터를 변조시켜, 변조후의 기록신호를 출력하는 기록부호화기(123)와, (n) 기록신호를 증폭하여, 증폭후의 기록신호를 기록 자기헤드(125)로 출력시켜 기록 신호를 자기 테이프(126)에 기록하는 기록 증폭기(124)를 구비한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VTR는, (o) 재생 자기헤드(127)에 의하여 재생된 기록신호(이하, 재생 신호라고 함)를 증폭하여, 증록된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재생증폭기(128), (p) 재생증폭기(128)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에 대하여, 등화 처리, 데이터 검출처리 및 복조처리를 행하여, 처리후의 재생된 다중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재생 데이터 처리기(129), (q) 메모리(131)를 사용하여 오류 정정 패리티에 기준하여 재생된 다중화 데이터에 대하여 오류 정정 복호화 처리를 행하여, 오류 정정 복호화 처리후의 다중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류 정정 복호화기(130), (r) 재생된 다중화 데이터에 대하여 프레임 단위의 행렬 전환을 행하여 오류 정정 복호화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메모리(131), (s) 메모리(131)의 작동을 제어신호(133)에 의하여 제어하여, 처리후의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를 스위치(141)의 a쪽으로 출력하는 메모리 제어부(132), (t) 서로가 종속 접속되며, 각각 데이터 다중화기(117)에서 DV버스를 통하여 출력된 다중화 데이터(118)를 1프레임만큼 지연시켜, 합계 2 프레임만큼 지연된 EE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를 스위치(141)의 b쪽으로 출력하는 프레임 메모리(137a, 137b), (u) 디지털 VTR에 있어서, 입력단자(100, 101, 102)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동기하여 발생되는 프레임 기준신호인 프레임 펄스 FP에 응답하여, 프레임 메모리(137a)의 기록 작동을 제어하는 기록 리세트 펄스 WR와, 프레임 메모리(137a)의 판독 작동을 제어하는 판독 리세트 펄스(RR)를 발생시켜, 발생된 펄스(WR및 RR)를 프레임 메모리(137a)로 출력하여 프레임 메모리(137a)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프레임 메모리(137b)의 기록 작동을 제어하는 기록 리세트 펄스(WR)와, 프레임 메모리(137b)의 판독작동을 제어하는 판독 리세트 펄스(RR)를 발생시켜, 발생된 펄스(WR 및 RR)를 프레임 메모리(137b)로 출력하여 프레임 메모리(137b)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138), (v) 메모리(131)에서 출력되는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에서 서보코드 데이터(136)를 분리하여, 서브 코드 데이터(136)를 시스템 제어부(115)로 출력하는 데이터 분리기(135), (w)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와, EE처리계의 다중화데이터(140)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141), (x) 스위치(141)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에서 압축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시분할 분리하여, 각각 고능률 복호화기(144) 및 음성재생처리기(154)로 출력하는 데이터 분리기(143), (y)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신장시켜, 신장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145)로 출력하는 고능률 복호화기(144), (z) 고능률 복호화기(144)에서 출력되는 고능률 복호화된 블록 단위의 영상데이터를 필드 단위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시키도록 행렬 전환하여 출력하는 메모리(145), (aa) 메모리(145)의 작동을 제어신호(147)에 의하여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146), (ab) 메모리(145)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 색차신호(B-Y) 및 색차신호(R-Y)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또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각각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D/A 변환하는 D/A 변환기(148, 149, 150), (ac) 데이터 분리기(143)에 의해 분리되어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처리를 행하여, 음성 데이터를 채널(1) 및 (2)의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재생처리기(154)와, (ad) 음성재생처리기(154)에 의해 처리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또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제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155, 156)를 구비한다.
이하, 제 1 도를 참조로 본 실시형태의 구성 및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입력단자(100)를 통하여 입력된 휘도 신호 및, 입력단자(101, 102)를 통하여 입력된 2개의 색차 신호는 A/D 변환기(103, 104, 105)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A/D 변환되어, A/D 변환후의 3개의 디지털 영상데이터가 메모리(106)에 입력된다. 메모리(106)에서 입력된 필드 단위의 영상데이터는 다중화되어서 프레임이 구성되고, 영상 데이터는 고능률 부호화처리를 위하여 블록 단위로 메모리(106)에서 고능률 부호화기(109)에 판독된다,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VTR은 고능률 부호화 방법으로서 프레임내 DCT(Discrete Cosine Transform)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메모리(106)에서 8화소×8라인으로 되는 DCT 블록 단위에서 영상데이터가 판독된다. 메모리(106)에서 판독된 DCT 블록 단위의 영상데이터는 고능률 부호화기(109)에 의하여 고능률 부호화처리가 실시된 후, 고능률 부호화 처리후의 영상데이터는 데이터 다중화기(117)로 출력된다. 고능률 부호화처리는 5 매크로(macro) 블록 단위로서 행해지고, 여기서 1 매크로 블록은 휘도 신호의 4개의 DCT 블록과 색차 신호의 2개의 DCT 블록으로 이루어진 6개의 DCT 블록으로 구성된다. 또한, 고능률 부호화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압축 단위를 구성하는 5개의 매크로 블록은 화면상의 서로 분리된 위치에서 수집된다. 따라서, 메모리(106)에서 매크로 블록의 영상데이터를 판독할 시에, 화면상의 서로 분리된 위치에 있는 매크로 블록은 순차 판독된다. 이와 같이, 고능률 부호화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능률 부호화 처리 전에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서플링(shuffling) 처리를 행하고, 압축 단위의 5 매크로 블록을 이용하는 부호화 방법에 대하여서는 예컨대 미국특허 제5,175,631호에서 개시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참조를 위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이상의 프레임화처리 및 서플링 처리를 위하여, 1 프레임의 영상데이터를 한번 메모리(106)에 저장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약 1프레임의 지연이 발생한다.
한편, 입력단자(110, 111)에서 입력된 2채널의 음성신호는 각각 A/D 변환기(112, 113)에 의해 디지털 음성 데이터(또는 디지털 음성신호)로 A/D 변환된 후, A/D 변환후의 디지털 음성데이터는 음성기록처리기(114)에 입력된다. 연속하여, 음성기록 처리후의 음성데이터는 데이터 다중화기(117)로 출력된다. 재생 시에 정정 불능한 오류가 발생했을 때에 오류 수정 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음성 기록처리기(114)에서 2채널의 음성데이터에 대하여 독립으로 프레임 단위의 인터리브 처리가 행해진다. 음성데이터가 영상데이터보다 1프레임당의 데이터 량이 적기 때문에, 인터리브 처리는 음성기록처리기(114)에 내장된 (도시되지 않은)메모리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게다가, 키보우드(400)는, 스위치(141)의 전환점인 편집 개시점 EP의 프레임 및 편집 종료점의 프레임을 지정하는 지시 데이터 등을 입력하여, 그 지시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부(115)로 출력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시스템 제어부(115)는 디지털 VTR의 작동 전체를 제어하여, 편집 개시점 EP의 프레임 및 편집 종료점의 프레임을 지정하는 지시 데이터에 응답하여 타임 코드 데이터를 포함한 서브코드 데이터(116)를 생성시켜, 데이터 다중화기(117)로 출력함과 동시에, 편집 개시점 EP의 프레임 및 편집 종료점의 프레임을 지정하는 타임 코드 데이터를 포함한 서브코드 데이터(136)에 응답하여 각각 스위치(141)를 a쪽에서 b쪽으로 전환하거나, 스위치(141)를 b쪽에서 a쪽으로 전환하도록 스위치(141)의 제어신호(142)를 출력시킨다.
데이터 다중화기(117)는 고능률 부호화기(109)에서 출력된 압축상태의 영상데이터, 음성기록처리기(114)에서 출력된 음성데이터와, 서브코드 데이터(116)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다중화 데이터(118)로 변환하고 나서, DV 버스를 통하여 다중화 데이터를 메모리(119) 및 프레임 메모리(137a)로 출력시킨다. DV 버스상의 다중화 데이터(118)에 관한 전술된 신호에 부가하여 다른 각종 제어 신호도 시분할 다중화된다. 그러나, 이런 제어 신호는 본 발명에 관계가 없으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메모리(119)에서는, 우선 메모리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하여 압축상태의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행렬전환이 행해진다. 행렬 전환은 고능률 부호화를 위해 행렬 전환되어 압축상태의 영상데이터를 본래의 데이터의 행렬로 되돌리는 영상 데이터 복원 처리이며, 고속 재생 시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런 행렬 전환에 의하여 1프레임의 지연이 발생한다. 다음에, 오류 정정 부호화기(122)에서, 행렬 전환된 압축 상태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에 외부 패리티(Outer Parity) 및 내부 패리티(Inner Parity)가 차례로 부가된다. 또한, 서브코드 데이터에는 내부 패리티만이 부가된다.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된 다중화 데이터는 기록 부호화기(123)에 입력된다. 전술한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에 있어서 압축 상태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데이터에 대해서는 공통의 내부 패리티를 사용한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다. 기타의 부호화처리에 있어서의 패리티의 부가에 관해서는 상이한 방식을 사용한다.
게다가, 기록 부호화기(123)는 오류 정정 부호화기(122)에서 입력되는 다중화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 부호화 처리를 행하여, 예컨대, 24/25 변환방식 및 인터리브된 NRZI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다중화 데이터를 변조시켜, 변조후의 기록신호를 기록증폭기(124)로 출력시킨다. 그 다음, 기록 증폭기(124)는 기록부호화기(123)에서 입력되는 기록신호를 증폭시켜, 증폭후의 기록신호를 기록 자기헤드(125)로 출력하여 헬리컬 주사 방식으로 자기테이프(126)에 기록한다.
이어서, 자기테이프(126)상에 기록된 다중화 데이터의 기록신호인 재생신호의 재생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생 자기헤드(127)에서 재생된 재생신호는 재생증폭기(128)를 통하여 재생데이터 처리기(129)에 입력된다. 재생데이터 처리기(129)는 데이터가 재생신호에서 0 또는 1인지를 검출한다. 더욱이, 변조된 변조신호에 대하여 복조처리를 행하고, 복조 처리후의 다중화 데이터를 오류 정정 복호화기(130)로 출력한다. 오류 정정 복호화기(130)는 상기 입력된 다중화 데이터의 정정 가능한 오류를 내부 패리티와 외부 패리티를 기준으로 해서 정정한다. 오류 정정 복호화 처리된 압축상태의 영상데이터, 음성데이터 및 서브코드 데이터는 메모리(131)에 기록된다. 메모리 제어부(132)의 제어에 의하여 압축상태의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기록시에 행해진 행렬전환과 반대의 행렬전환처리가 행해지며, 처리후의 영상데이터, 음성데이터 및 서브코드 데이터는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로서 스위치(141)의 a쪽 및 데이터 분리기(135)로 출력된다.
데이터 분리기(135)는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에서 서브코드 데이터만을 분리하여 시스템 제어부(115)로 출력한다. 즉,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에 포함되는 서브코드 데이터는 항시 시스템 제어부(115)에 입력된다.
또한, EE처리계의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기록측의 데이터 다중화기(117)에서 출력된 다중화 데이터(118)는 DV버스를 통하여 프레임 메모리(137a)에 입력된다. 프레임 메모리(137a, 137b)는 상호 종속 접속되고, EE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18)의 프레임 타이밍과,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 사이의 프레임 타이밍을 맞추도록 프레임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메모리 제어부(138)는 디지털 VTR에서 입력단자(100, 101, 102)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동기하여 발생되는 프레임 기준 신호인 프레임 펄스 FP에 응답하여, 프레임 메모리(137a)의 기록 작동을 제어하는 기록 리세트 펄스 WR와, 프레임 메모리(137a)의 판독 작동을 제어하는 판독 리세트 펄스 RR를 발생시켜, 발생된 펄스WR 및 RR을 프레임 메모리(137a)로 출력하여 프레임 메모리(137a)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프레임 메모리(137b)의 기록 작동을 제어하는 기록 리세트 펄스 WR와, 프레임 메모리(137b)의 판독작동을 제어하는 판독 리세트 펄스 RR를 발생시켜, 펄스WR 및 RR을 프레임 메모리(137b)로 출력하여 프레임 메모리(137b)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각각의 프레임 메모리(137a, 137b)는 데이터 다중화기(117)에서 DV버스를 통하여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118)를 1프레임만큼 지연시켜, 합계 2 프레임만큼 지연된 EE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를 스위치(141)의 b측으로 출력한다. 즉, 상기와 같이, 기록계의 오류 정정 부호화처리, 기록계의 기록부호화처리, 재생계의 재생데이터처리와 재생계의 오류복호화처리로 인하여 합계 2 프레임의 지연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EE 처리계의 DV 버스를 통하여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118)는 프레임 메모리(137a,137b)에 의하여 약 2 프레임만큼 지연된 후에, EE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로서 스위치(141)의 b측으로 출력된다.
스위치(141)는 시스템 제어부(115)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142)의 제어에 의하여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와, EE 처리계의 다중화데이터(14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다중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데이터 분리기(143)로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데이터 분리기(143)는 선택된 다중화 데이터에서 압축상태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시분할 분리하여, 각각 고능률 복호화기(144) 및 음성재생처리기(154)로 출력한다.
고능률 복호화기(144)는 입력된 압축상태의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고능률 부호화기(109)의 압축처리와는 역의 신장처리를 실행하여, 처리후의 영상데이터를 메모리 제어부(146)의 제어에 의하여 DCT 블록의 단위에서 메모리(145)에 기록하는 한편, 메모리(145)에 기록된 영상데이터는 필드 단위로서 판독된다. 이때에, 영상데이터의 기록 시에는 기록시 와는 역의 행렬 전환처리가 매크로 블록 단위에서 행해진다. 메모리(145)에서 출력된 휘도 신호와 2개의 색차 신호(B-Y) 및 (R-Y)은 각각 D/A변환기(148, 149, 150)에 의하여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D/A 변환되어서, 출력단자(151, 152, 153)로 각각 출력된다. 또한, 음성재생처리기(154)는 데이터 분리기(143)에 의하여 분리된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2 채널 독립으로 기록시와는 역으로 인터리브 처리를 실행하여, 처리 후에 2 채널의 음성데이터는 D/A변환기(155, 156)에 의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D/A변환되어서, 출력단자(157, 158)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VTR의 작동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으나, 이하에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와 EE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 사이의 전환처리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지털 VTR은 기록, 재생, 편집 등의 각종의 모드를 가지고 있다. 우선, 기록시에 있어서, 자기테이프(126)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제각기 모니터 TV(161) 및 모니터 스피커(162)에 의해 모니터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스위치(141)를 b쪽으로 전환함으로서, EE 처리계의 데이터(140)가 선택된다. 또한, 재생 시에 있어서, 자기테이프(126)에서 재생된 데이터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각각 모니터 TV(161) 및 모니터 스피커(162)로 출력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스위치(141)를 a쪽으로 전환함으로써, 테이프 처리계의 데이터(134)가 선택된다.
제 5 도는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VTR에 있어서의 삽입 편집시의 스위치(141)에서 EE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와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 사이의 전환작동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제 5 도에 있어서, (R1, R2, …)는 입력단자(100, 101, 102)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신호의 데이터의 프레임을 나타내고, (P1, P2,…)는 미리 자기테이프(126)에 기록된 데이터의 프레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프레임(P6)은 삽입편집개시점이며, 프레임(R6)이후의 데이터는 프레임(P5) 뒤에 삽입된다. 여기서, EE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18)는 프레임 메모리(137a, 137b)에 의하여 합계 2 프레임 만큼 지연된 후, 지연된 다중화 데이터(140)는 프레임 메모리(137b)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스위치(141)를 편집 개시점 EP에서 a쪽으로부터 b쪽으로 전환시킴으로서, 편집 개시점 EP에서의 프레임 R6의 개시 타이밍에서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로부터 프레임 메모리(137a, 137b)에 의하여 합계 2 프레임만큼 지연된 EE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로 데이터 전환이 실행된다. 이런 작동에 의해, 프레임(P5)까지의 데이터를 재생하고 있는 기간 동안,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는 각각 모니터 TV(161) 및 스피커(162)를 통해 출력된다. 그 다음, 프레임(R6)이후의 데이터를 삽입기록하고 있는 기간 동안, EE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의 영상신호 및 음성 신호는 각각 모니터 TV(161) 및 스피커(162)를 통해 출력된다. 이 경우, 자기 테이프(126)상의 데이터의 영상신호의 실제 편집점과, 재생계의 처리를 통해 스위치(141)에 의해 전환되어, 모니터 TV(161)에 표시되는 영상신호의 편집점은 완전히 시각적으로 서로 일치한다.
제 5 도에 나타낸 삽입 편집 작동을 프레임 단위로서 정확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제어부(115)에 의하여 프레임 단위의 정도로서 정확히 스위치(141)의 전환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시스템 제어부(115)는 자기테이프(126)에서 재생된 서브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타임 코드 데이터에 기준하여 편집 개시점 EP를 검출한다. 이하에, 서브코드 데이터와 그 처리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7 도는 본 실시형태의 헬리컬 스캔 방식의 디지털 VTR에 있어서 자기테이프(126)의 트랙 형식(525/60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런 트랙 형식은 HD 디지털 VCR 협의회에 의한 가정용 디지털 VTR 규격의 트랙 형식에 준거하고 있다.
제 7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프레임은 10개의 트랙 TR1, TR2, …, TR10으로 이루어지며, 각 트랙 TR1 내지 TR10은 삽입정보 데이터 영역(200), 음성데이터영역(201), 영상데이터 영역(202) 및 서브코드 데이터 영역(203)을 포함하며, 각 영역 사이에는 가드(guard) 영역(211, 212, 213, 214)이 제공된다.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데이터용의 서브코드 데이터는 자기테이프(126)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선형(linear) 트랙에 기록되는 것이 아니라,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와 동일한 트랙 TR1, TR2, …, TR10에 기록된다. 따라서, 자기테이프(126)에서 재생된 서브 코드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와 유사한 방식으로 재생데이터처리 및 오류정정처리가 행해지고 나서, 재생된 서브 코드 데이터는 데이터 분리기(135)에 의해 분리되어, 시스템 제어부(115)에 보내진다. 시스템 제어기(115)는 특히 서브코드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설정하므로, 기록용의 서브 코드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는 없고, 항상 자기테이프(126)에서 재생된 서브코드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나서, 자기테이프(126)에서 재생된 서브코드 데이터내에 포함되는 타임코드 데이터에 준거하여, 편집 개시점 EP에서 다중화 데이터를 전환하도록 스위치(141)를 제어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가 정상적으로 선택되고, 자기테이프(126)상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 동안에 출력된다. 그러나, 특수한 경우로서, 디지털 VTR을 (도시되지 않은) 외부장치에서 원격 제어할 경우, 재생중에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가 아니라 EE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를 출력하도록 지시가 보내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때에, 상기 외부장치에서의 지시 데이터는 시스템 제어부(115)에 입력되며, 이것에 응답하여, 시스템 제어부(115)는 스위치(141)를 b쪽으로 전환하여, EE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를 선택한다. 이때에, 모니터 TV(161) 및 모니터 스피커(162)에는 EE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나, 재생된 서브코드 데이터가 항시 상기 시스템 제어부(115)로 보내지므로, 시스템 제어부(155)는 재생된 다중화 데이터(134)의 타임코드 정보를 인식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능률 부호화된 다중화 데이터의 상태에서 EE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와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환을 행한다. 그래서, 이들 양자의 대응하는 프레임을 맞추는데 필요한 기억장치의 기억용량을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대폭으로 삭감할 수가 있다. 예컨대, 상기의 가정용 디지털 VTR 규격에 의하면, 4 : 2 : 2 콤포넌트 신호는 고능률부호화기(109)에 의하여 약 1/6.7로 압축되기 때문에, 1 프레임을 지연시키는 데에 필요한 메모리량은 약 0.83M 비트로 삭감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 TV(161)의 출력 영상신호로서 EE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의 영상 신호가 선택될 시에도, 재생된 서브코드 데이터는 처리되어, 시스템 제어부(115)로 전송된다. 그래서, 자기테이프(126)에서 재생되는 타임 코드 등의 서브코드 데이터 정보를 인식할 수가 있다. 또한, 압축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다중화된 데이터 버스 상태에서 EE처리계의 경로가 구성된다. 그래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에 대한 각각의 EE처리계의 경로를 가질 필요가 없어, 회로구성이 매우 간단하다.
[실시예 2]
제 2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실시형태의 편집장치를 갖춘 디지털 VTR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2 도의 제2의 실시형태의 디지털 VTR이 제 1 도의 제1의 실시형태와 상이하는 점은 이하와 같다.
(a) 프레임 메모리(137a, 137b) 및 메모리 제어부(138)를 설치하지 않고, 데이터 다중화기(117)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118)를 직접적으로 스위치(141)의 b측에 입력한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의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삽입 편집 시에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의 프레임과 EE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의 대응하는 프레임의 타이밍 맞춤을 행할 수가 없다. 그러나, 압축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가 다중화된 데이터 버스의 상태에서 EE 처리계의 경로가 구성되기 때문에,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에 대하여 개별의 EE 처리계의 경로를 가질 필요가 없어, 회로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더욱이, 종래 기술의 디지털 VTR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 편집시의 지연시간은 4 프레임에 대응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연 시간은 2 프레임으로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교하여 상기 삽입 편집시에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와 EE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 사이의 시간차를 단축할 수가 있다.
[실시예 3]
제 3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3의 실시형태의 편집장치를 갖춘 디지털 VTR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3 도의 제3의 실시형태의 디지털 VTR이 제 1 도의 제1의 실시형태와 상이하는 것은 이하의 점들이다.
(a) 고능률 부호화기(109)와 유사한 고능률부호화 방법에 의하여 압축된 영상데이터, 음성기록처리부(114)의 처리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인터리브된 음성 데이터 및, 서브코드 데이터가 데이터 다중화기(117)와 유사한 방법으로 시분할 다중화된 소정의 전송 형식을 가지는 다중화 데이터(또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는 디지털 인터패이스 단자인 입력단자(300)를 통하여 입력되고, (b) 입력단자(300)를 통하여 입력된 전송형식을 가지는 다중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지털 VTR의 신호 처리계의 소정의 형식을 가지는 다중화 데이터(302)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인터패이스가 제공되며, (c) 시스템 제어부(304)에서의 제어신호(305)에 의하여 제어되며, 데이터 다중화기(117)에서 출력되어, a쪽으로 입력되는 다중화 데이터(118)와, 디지털 인터패이스(301)에서 출력되어, b쪽으로 입력되는 다중화 데이터(302)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하연, 선택된 하나의 다중화 데이터를 DV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메모리(119) 및 프레임 메모리(137a)로 출력하는 스위치(303)가 제공되고, (d) 시스템 제어부(304)는, 시스템 제어부(115)의 작동 제어에 부가하여, 키보우드(400)를 사용하여 입력되는 스위치(303)의 전환지시 데이터에 준거하여 제어신호(305)를 스위치(303)로 출력하여 전환 제어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의 실시형태의 디지털 VTR에 있어서, 소정의 전송형식을 가지는 다중화 데이터(또는 디지털 데이터신호)는 상기 DV 버스의 형식으로 다른 외부장치로부터 디지털 인터패이스(301)를 통하여 디지털 VTR에 입력된다.
이와 같은 DV 버스 형식의 다중화 데이터의 상태로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의 유리한 효과는 이하와 같다.
(I) 이미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전송 데이터율을 삭감할 수 있다.
(II) 압축 신장의 반복에 의한 왜율(distortion)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III) 압축된 영상데이터와 인터리브된 음성데이터가 다중화되므로, 하나의 전송 케이블에 의해 영상신호와 음성신호의 양쪽 데이터를 전송할 수가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입력단자(300)를 통하여 입력된 다중화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는 디지털 인터패이스(301)에 입력된다. 디지털 인터패이스(301)는 소정의 전송형식을 가지는 입력된 다중화 데이터를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VTR의 신호처리계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스위치(303)의 b쪽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디지털 인터패이스(301)에서 출력되는 DV버스 형식의 다중화 데이터(302)는 DV버스 형식의 다중화 데이터(118)와 같은 형식의 다중화 데이터이다.
스위치(303)는, 자기테이프(126)에 기록하는 다중화 데이터로서, 아날로그 영상신호 및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얻어진 DV 버스 형식의 다중화 데이터(118)와, 디지털 인터패이스(301)를 통하여 입력단자(300) 또는 디지털 인터패이스 단자로부터 입력된 다중화 데이터(302)중 어느 하나의 다중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시스템 제어부(304)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어 신호(305)를 이용하여 전환 제어된다. 시스템 제어부(304)는 디지털 VTR의 프론트 패널에 설치된 키보우드(400)를 사용하여 입력되는 스위치(303)의 전환지시 데이터에 응답하여, 스위치(303)를 a쪽 또는 b쪽으로 전환한다. 스위치(303)가 a쪽으로 전환되었을 때는, 데이터 다중화기(117)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118)가 선택되어, 메모리(119) 및 프레임 메모리(137a)로 출력된다. 한편, 스위치(303)가 b쪽으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디지털 인터패이스(301)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302)가 선택되어, 메모리(119) 및 프레임 메모리(137a)로 출력된다. 스위치(303)에 의해 선택된 다중화 데이터에 관한 처리는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 6 도는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VTR의 삽입 편집시의 스위치(141)에서 EE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와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 사이의 전환작동의 상세한 것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여기서 스위치(303)는 b쪽으로 전환된다.
제 6 도에서, (DR1, DR2, …)는 입력단자(300)를 통하여 입력된 다중화 데이터의 프레임을 나타내고, (P1, P2, …)는 미리 자기테이프(126)에 기록된 데이터의 프레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프레임(P6)이 삽입편집 개시점이며, 프레임(P5)의 데이터 뒤에는 프레임 DR6 이후의 데이터가 삽입된다. 여기서, EE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302)는 프레임 메모리(137a, 137b)에 의하여 합계 2 프레임만큼 지연된 후, 지연된 다중화 데이터(140)가 삽입된다.
따라서, 스위치(141)를 편집 개시점 EP에서 a쪽으로부터 b쪽으로 전환함으로서 편집 개시점 EP에서의 프레임(DR6)의 개시 타이밍에서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로부터 프레임 메모리(137a, 137b)에 의하여 합계 2 프레임만큼 지연된 EE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로 전환된다. 이런 작동에 의하여, 프레임 P5까지의 데이터를 재생하고 있는 기간 동안,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는 각각 모니터 TV(161) 및 스피커(162)를 통해 출력된다. 연속하여, 프레임 DR6 이후의 데이터를 삽입기록하고 있는 기간 동안, EE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는 각각 모니터 TV(161) 및 스피커(162)를 통해 출력된다. 이 경우, 자기테이프(126)상의 데이터 영상신호의 실제 편집점과, 재생계의 처리를 통해 스위치(141)로 전환되어, 모니터 TV(161)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의 편집점은 완전하게 시간적으로 서로 일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의 실시형태의 효과에 더하여, 디지털 인터패이스(301)를 통하여 디지털 인터패이스 단자인 입력 단자(300)로부터 압축 상태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다중화 데이터(302)는 스위치(303)를 b쪽으로 전환함으로써 EE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로서 사용될 수가 있다.
[실시예 4]
제 4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4의 실시형태의 편집장치를 갖춘 디지털 VTR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4 도의 제4의 실시형태의 디지털 VTR은 제 3 도의 제3의 실시형태와 상이하는 것은 이하의 점들이다.
(a) 프레임 메모리(137a, 137b) 및 메모리 제어부(138)를 설치하지 않고, 스위치(303)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스위치(141)의 b축에 입력한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서 제3의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삽입 편집 시에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의 프레임과 EE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의 대응하는 프레임의 타이밍 맞춤을 행할 수가 없다. 그러나, 압축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다중화되는 데이터 버스의 상태에서 EE처리계의 경로가 구성된다. 그래서, 영상 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에 대한 별도의 EE처리계의 경로를 가질 필요가 없어, 회로구성이 매우 간단하다. 더욱이, 종래 기술의 디지털 VTR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 편집시의 지연시간은 4 프레임이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연 시간은 2 프레임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 편집 시에 테이프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34)와 EE 처리계의 다중화 데이터(140) 사이의 시간차를 단축할 수가 있다.
[변형예]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자기테이프(126)에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 다중화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디지털 VTR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하지 않고,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및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매체에 상기 다중화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적용할 수가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기록재생하고, 편집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지 않고, 영상신호만을 처리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능률 부호화 방법으로서 DCT를 사용한 프레임내 압축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하지 않고, 예컨대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등의 복수 프레임을 사용한 고능률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르면, 디지털 신호 기록 재생장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고능률 부호화하여, 고능률부호화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고능률 부호화수단(109),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고능률부호화된 영상데이터에 기록을 위한 소정의 부호화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부호화 처리후의 영상데이터를 기록매체(126)에 기록하는 기록수단(123, 124, 125), 상기 기록매체(126)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재생된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을 위한 소정의 재생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재생데이터 처리후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재생수단(127, 128, 129),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123, 124, 125)의 처리에 걸리는 영상데이터의 지연시간과, 상기 재생수단(127, 128, 129)의 처리에 걸리는 영상 데이터의 지연시간과의 합계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지연수단(137a, 137b), 상기 지연수단(137a, 137b)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와, 상기 재생수단(127, 128, 129)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와 어느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선택수단(141)과, 상기 선택수단(141)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고능률 복호화하고 고능률복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고능률 복호화수단(144)을 구비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교하여, 상기 타이밍 맞춤을 위하여 EE처리계의 영상 데이터를 지연시키는 데에 필요한 기억장치의 메모리 용량을 대폭으로 삭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르면,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고능률 부호화하여, 고능률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고능률 부호화수단(109),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고능률 부호화된 영상데이터에 기록을 위한 소정의 부호화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부호화처리후의 영상데이터를 기록매체(126)에 기록하는 기록수단(123, 124, 125), 상기 기록매체(126)에 기록된 영상데이터를 재생하여, 재생된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을 위한 소정의 재생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재생데이터 처리후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재생수단(127, 128, 129),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와, 상기 재생수단(127, 128, 129)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중의 어느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선택수단(141)과, 상기 선택수단(141)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고능률 복호화하여, 고능률 복호화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고능률복호화수단(144)을 구비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교하면, 상기 삽입 편집시에 테이프 처리계의 영상데이터와 EE처리계의 영상데이터와의 시간차를 단축할 수가 있다.

Claims (9)

  1. 디지털 영상 신호를 고능률 부호화하여, 고능률부호화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고능률 부호화수단(109),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고능률부호화된 영상데이터에 기록을 위한 소정의 부호화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부호화 처리후의 영상데이터를 기록매체(126)에 기록하는 기록수단(123, 124, 125), 상기 기록매체(126)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재생된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을 위한 소정의 재생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재생데이터 처리후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재생수단(127, 128, 129),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123, 124, 125)의 처리에 걸리는 영상데이터의 지연시간과, 상기 재생수단(127, 128, 129)의 처리에 걸리는 영상 데이터의 지연시간과의 합계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지연수단(137a, 137b), 상기 지연수단(137a, 137b)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와, 상기 재생수단(127, 128, 129)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와의 어느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선택수단(141)과, 상기 선택수단(141)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고능률 복호화하고 고능률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고능률 복호화수단(1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다중화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중화 수단(117)과, 상기 선택수단(141)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시분할 분리하여, 분리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분리수단(143)을 더 포함하는 데, 상기 기록수단(123, 124, 125)은 상기 다중화 수단(117)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에 기록을 위한 소정의 부호화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부호화 처리후의 다중화 데이터를 기록매체(126)에 기록하고, 상기 재생수단(127, 128, 129)은 상기 기록매체(126)에 기록된 다중화 데이터를 재생하고, 재생된 다중화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을 위한 소정의 재생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재생 데이터 처리후의 다중화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지연수단(137a, 137b)은 상기 다중화 수단(117)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123, 124, 125)의 처리에 걸리는 다중화 데이터의 지연시간과, 상기 재생수단(127, 128, 129)의 처리에 걸리는 다중화 데이터의 지연시간의 전체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지연된 다중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선택수단(141)은 상기 지연수단(137a, 137b)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와, 상기 재생수단(127, 128, 129)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어느 하나의 다중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고능률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 인터패이스(301)와, 상기 디지털 인터패이스(301)에서 출력되는 고능률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고능률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2개의 영상 데이터중의 어느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기록수단(123, 124, 125) 및 상기 지연수단(137a, 137b)으로 출력하는 다른 선택수단(30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고능률 부호화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가 시분할 다중화된 다중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다중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 인터패이스(301)와, 상기 디지털 인터패이스(301)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와, 상기 다중화수단(117)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어느 하나의 다중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123, 124, 125)과 상기 지연수단(137a, 137b)으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른 선택수단(30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5. 제 1, 2, 3 또는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137a, 137b)은 상호 종속 접속되어, 각각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1 프레임 만큼 지연하는 2개의 프레임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6. 디지털 영상신호를 고능률 부호화하여, 고능률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고능률 부호화수단(109),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고능률 부호화된 영상데이터에 기록을 위한 소정의 부호화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부호화처리후의 영상데이터를 기록매체(126)에 기록하는 기록수단(123, 124, 125), 상기 기록매체(126)에 기록된 영상데이터를 재생하여, 재생된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을 위한 소정의 재생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재생데이터 처리후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재생수단(127, 128, 129),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와, 상기 재생수단(127, 128, 129)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중의 어느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선택수단(141)과, 상기 선택수단(141)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고능률 복호화하여, 고능률 복호화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고능률복호화수단(1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다중화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중화 수단(117)과, 상기 선택수단(141)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시분할 분리하여, 분리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분리수단(143)을 더 포함하는 데, 상기 기록수단(123, 124, 125)은 상기 다중화 수단(117)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에 기록을 위한 소정의 부호화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부호화 처리후의 다중화 데이터를 기록매체(126)에 기록하고, 상기 재생수단(127, 128, 129)은 상기 기록매체(126)에 기록된 다중화 데이터를 재생하고, 재생된 다중화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을 위한 소정의 재생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재생 데이터 처리후의 다중화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선택수단(141)은 상기 데이터 다중화 수단(117)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와, 상기 재생수단(127, 128, 129)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어느 하나의 다중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고능률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 인터패이스(301)와, 상기 디지털 인터패이스(301)에서 출력되는 고능률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고능률 부호화수단(109)에서 출력되는 고능률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2개의 영상 데이터중의 어느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기록수단(123, 124, 125) 및 상기 선택 수단(141)으로 출력하는 다른 선택수단(30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고능률 부호화된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가 시분할 다중화된 다중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다중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 인터패이스(301)와, 상기 디지털 인터패이스(301)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와, 상기 다중화 수단(117)에서 출력되는 다중화 데이터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어느 하나의 다중화 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123, 124, 125)과 상기 선택 수단(141)으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른 선택수단(30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KR1019970704411A 1995-10-27 1996-10-24 편집장치를 갖춘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KR100245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80375 1995-10-27
JP28037595 1995-10-27
PCT/JP1996/003094 WO1997016019A1 (fr) 1995-10-27 1996-10-24 Dispositif d'enregistrement/de lecture de signaux numeriques, avec un edite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5444B1 true KR100245444B1 (ko) 2000-02-15

Family

ID=1762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411A KR100245444B1 (ko) 1995-10-27 1996-10-24 편집장치를 갖춘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44198A (ko)
EP (1) EP0801497A4 (ko)
JP (1) JP3138480B2 (ko)
KR (1) KR100245444B1 (ko)
CN (1) CN1177470C (ko)
WO (1) WO19970160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5417A (ja) * 1997-03-31 1998-10-13 Sony Corp ディジタル情報信号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6353461B1 (en) * 1997-06-13 2002-03-05 Panavision, Inc. Multiple camera video assist control system
EP0949615A4 (en) * 1997-10-28 2006-08-23 Sony Corp DATA RECORDING DEVICE AND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CUTTING DEVICE AND DATA CUTTING METHOD
JP5487771B2 (ja) * 2009-07-23 2014-05-0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制御方法及び編集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7286A (ja) * 1988-03-08 1989-09-11 Sony Corp 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0834A (en) * 1988-03-30 1993-04-06 Nec Home Electronics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btaining separate clock signals from brightness and color components of a video signal
JPH0792885B2 (ja) * 1988-05-16 1995-10-09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KR930002042Y1 (ko) * 1990-10-11 1993-04-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스틸 촬영이 가능한 캠코더
DE69131156T2 (de) * 1990-11-08 1999-10-14 Canon Kk Bildverarbeitungssystem
JP3161479B2 (ja) * 1992-02-13 2001-04-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の記録装置
EP0592136B1 (en) * 1992-10-09 1999-12-08 Sony Corporation Producing and recording images
JP3380962B2 (ja) * 1992-10-29 2003-02-24 ソニー株式会社 電子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画像表示方法
DE69421309T2 (de) * 1993-03-19 2000-04-13 Canon Kk Digitale Videokamera und Aufzeichnungsvorrichtung
JP2944851B2 (ja) * 1993-06-03 1999-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39947Y1 (ko) * 1993-07-31 1999-05-01 김광호 캠코더의 문자신호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7286A (ja) * 1988-03-08 1989-09-11 Sony Corp 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01497A4 (en) 2002-04-17
CN1177470C (zh) 2004-11-24
CN1174644A (zh) 1998-02-25
EP0801497A1 (en) 1997-10-15
WO1997016019A1 (fr) 1997-05-01
JP3138480B2 (ja) 2001-02-26
US6044198A (en) 2000-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6992B1 (ko) 트릭플레이이미지제어기능을갖는디지털비디오카세트레코더
US5946446A (en)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variable-speed playback data using a specific area on each track of a recording medium
US5587806A (en) Apparatus for separately recording input coded video signal and important data generated therefrom
JP3508138B2 (ja) 信号処理装置
JP3277713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装置、記録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
US6950603B1 (en)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digital signal processing method,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digital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and digital video-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960016490B1 (ko) 디지탈신호 기록재생장치 및 디지탈신호 기록재생방법
EP0989758B1 (en)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JP2937664B2 (ja) ディジタルvtrのエラー訂正方法及び装置
KR100245444B1 (ko) 편집장치를 갖춘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EP1024671B1 (en)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EP0772366B1 (en) A digit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852114B2 (ja) 圧縮画像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JPH0520794A (ja) デイ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KR940005206B1 (ko) 디지탈 브리티알의 가변속 재생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JP3085643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
JPH06342565A (ja) 磁気テープ及びディジタル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6343157A (ja) 画像信号の録画装置
JP2000156052A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再生装置、ならびに、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H06311478A (ja) 信号記録装置と信号再生装置
JPH0946628A (ja) ビデオ信号記録装置
JPH079551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