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065B1 - 포장용 보조구 - Google Patents

포장용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065B1
KR100245065B1 KR1019960022097A KR19960022097A KR100245065B1 KR 100245065 B1 KR100245065 B1 KR 100245065B1 KR 1019960022097 A KR1019960022097 A KR 1019960022097A KR 19960022097 A KR19960022097 A KR 19960022097A KR 100245065 B1 KR100245065 B1 KR 10024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support frame
pouch
bag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2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148A (ko
Inventor
고헤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고헤이 야마모토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헤이 야마모토,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헤이 야마모토
Publication of KR97000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0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 Packag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포장물이 통과 가능한 관통공을 가지는 포장봉지 지지틀(2)과 지지틀(2)의 관통공의 한쪽의 개구를 거의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대(3), (4)로 이루어지며, 이 지지틀(2)에 저부를 위로 한 합성수지 필름제의 봉지(H)를 씌우고, 봉지(H)의 상방으로부터 피포장물(N)을 지지틀(2)내로 압입하여, 봉지(H)를 반전시키면서 피포장물(N)을 봉지(H)내로 삽입하고 포장하므로써, 표면이 매끄럽고 봉지에 밀착하기 쉬운 과일, 채소류등의 봉지로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하며, 능률적으로 포장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소형이며, 소규모의 시설에서도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는 포장용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용 보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포자용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포자용 보조구의 지주의 높이조절의 설명도이다.
제3도는 포장의 순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제4도으 포장용 보조구의 종단면도이다.
제6도는 포장의 순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사시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사시도이다.
제9도는 제8도의 포자용 보조구에의 포장용 봉지의 부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0도는 포장의 순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포장용 보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의 포장용 보조구의 평면도이다.
제13a도는 제12도의 X-X선 단면도, 제13b도는 제13a의 요부 확대도이다.
제14도는 포장용지 지지틀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제15a도는 지주의 계지구멍 부근을 도시하는 일부 정결 측면도,
제15be도는 제15a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제16도는 포장순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7도는 지주의 계지구멍 부근의 다른예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한 포장용 보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19도는 제18도의 포장용 보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한 포장용 보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관한 포자용 보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예에 관한 포장용 보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3도는 제22도에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평면도이다.
제24도는 지지틀의 확축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25도는 제22도에 도시하는 포자용 보조구의 사용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10도실시예에 관한 포장용 보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7도는 제26도에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평면도이다.
제28도는 제26도에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사용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29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관한 포장용 보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30도는 제29도에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베이스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제31도는 제29도에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제32도는 제29도의 D-D선 단면도이다.
제33도는 제29도에 도시하는 포자용 보조구의 사용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34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관한 포장용 보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35도는 제34도의 포장용 보조구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36도는 포장작업의 순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제37도는 지지를 부근의 일부 절결 종단면도이다.
제38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관한 포장용 보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30, 40, 60, 70, 75, 80, 85, 90, 100, 120 : 포장용 보조구
2, 11, 21, 32a-32d, 42, 43, 61, 62, 63, 71, 76, 81, 86, 91, 101 : 포장봉지 지지틀
3, 33, 44, 64, 77, 82, 92, 102 : 지주
4, 35, 46, 67, 83, 93 : 지지대
4a-4d : 다리 5 : 외통
5a : 슬릿 5b-5d : 게지용 절결
6 : 내통 6a : 계지편
12, 22 : 지지대 45, 65, 66 : 부지주
48, 109 : 하부외주면 49, 110 : 경사면
51, 112 : 볼록형상곡면 52, 113 : 하부내주면
57 : 훅 58 : 계지구멍
78 : 가이드부재 83a, 83b, 94, 95 : 베이스 프레임
86a : 링형 지지틀 86b : 절결
94a, 95a : 부착홈 94b, 95b : 중합 플레이트
94c, 95c : 지주 삽입구멍 103, 121 : 계량기
105 : 저올대 C : 축
H, H1, H1, H2 : 포장봉지 N, N1, N2, M : 피포장물
h : 지지틀의 높이
본 발명은 가지, 오이, 시금치등의 채소류, 화훼 등을 포장할 때에 사용하는 포장용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슈퍼마켓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채소류나 과일은 그 대부분이 적당한 갯수 혹은 일정 무게에 상당하는 분량을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필름제의 봉지에 넣어 포장되어 있다. 통상, 이 포장작업은 채소류나 과일을 생산자로부터 집하하고, 슈퍼마켓등에 납입할 때까지의 과정에서 행해진다.
포장의 형태는 예를들어 가지, 오이등은 3-5개 정도, 피마, 감자, 양파 등은 3-6개 정도, 사과, 감등은 3-4개 정도를 합성수지 필름제의 봉지에 넣어, 혹은 일정분량에 상당하는 분량의 채소류나 과일을 계량하여 합성수지 필름제의 포장 봉지에 넣어, 포장 봉지의 사어부를 접착 테이프로 붙이던지 또는 열융착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포장작업은 생산지의 농업협동조합 등의 시설에서 행해지고 있지만, 취급량이 많은 시설에서는 자동포장기에 의해 또는 취급량이 적은 시설에서는 수작업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스런데, 이 포장작업에 의해 행할 경우, 피포장물인 채소류나 과일의 종류에 따라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다르다. 예를들어 가지, 피망, 사과, 감등의 표면이 매끄러운 것인 경우는 이들을 몇 개씩 합성수지 필름제의 봉지에 넣을 때, 그 표면이 필름 내면에 밀착하여 잘 미끄러지지 않기 때문에, 봉지의 바닥까지 들어가기 어렵다. 또한 1개씩 순서대로 넣으려하면 필름면에 밀착은 완화되지만, 작업능률은 대폭 저하된다.
특히 가지의 경우는 그 전체형상과 탄력성에 의해 가지끼리 표면이 밀착되기 쉽기 때문에, 2개째 이후에 봉지를 넣을 때에, 가지의 표면이 필름표면에 밀착할 뿐만 아니라 먼저 넣은 가지 표면에도 밀착하여 그다음부터 넣으려는 가지는 앞으로도 뒤로도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 대책으로써 피포장물을 봉지에 넣을 때에, 피포장물의 표면이 봉지 내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깔대기형상의 보조구를 통하여 피포장물을 봉지에 넣는 것이 행해지고 있는데, 1봉지 마다 깔때기 형상의 보조구를 붙였다 떼었다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자동포장기를 사용하면, 이와같은 분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소규모의 시설에서는 각종 제약이 있고, 자동포장기를 간단하게 도입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자동포장기를 사용할 경우, 피포장물의 크기, 종류등이 변하면 즉각 대응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크기, 종류등이 다른 2종류 이상의 피포장물을 동시에 병행하여 포장할 수 없다.
또한, 시금치등의 채소류는 잎이나 줄기가 부드럽고, 앞끝쪽으로 넓어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이를 포장할 경우는 포장 용지에 삽입하기 어렵고, 포장작업의 능률이 나쁠뿐만 아니라 잎이나 줄기가 꺽어지거나 구부러져 피포자어물이 손상되어 버리기 때문에 상품가치를 잃어버리는 문제도 발생한다.
또, 일정량의 채소등을 포장할 경우, 우선 계량기를 사용하여 일정량에 상당하는 분량의 채소류나 과일을 계량하고, 다음에 이들을 합성수지 필름제의 포장봉지에 넣는데, 계량작업과 봉지에 넣는 작업을 별도로 행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다는 큰 결점이 있다.
그래서 본 벌명은 피포장물의 표면을 필름에 밀착시키지 않고 능룰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포장용 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하고, 크기 종류등의 다른 2종류 이상의 피포장물의 포장을 행할 경우에, 포장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용 보조구의 제공을 제2의 목적으로 하고, 또한 일전중량의 피포장물을 계량함과 동시에 피포장믈을 매우 효율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포장용 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을 제3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포장용 보조구는 피포장물이 통과 가능한 관통공을 가지며, 또한 상기 피포장물을 싸기 위한 포장봉지를 이 포장봉지의 저부가 상기 관통공의 한쪽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피착할 수 있는 외형으로 된 포장봉지 지지틀과,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한쪽의 개구부를 대략 사어향, 또는 수평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포장용 보조구에서는 포장봉지 지지틀의 한쪽의 개구부측에 저부를 위로 하여 포장봉지를 씌우고, 포장봉지의 위로부터 피포장물을 포장봉지 지지틀내의 관통공내에 압입하면, 포장 봉지의 저부가 포장봉지 지지틀내에 압입되고, 포장봉지는 반전하면서 피포장물을 싸고 피포장물과 동시에 포장봉지 지지틀내에 통과하며, 포장봉지내로의 피포장물의 삽입이 완료한다.
상기 포장봉지내로의 피포장물의 삽입과정에 있어서는 피포장믈 표면과 포장봉지 필름내면과는 접촉하지만, 양자간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고 피포장물 표면과 필름내면과는 접촉한 채로 동시에 이동하는 것만으로 피포장물을 포장봉지로 삽입할 수 있으므로, 표면이 매끄럽고 필름 내면에 밀착하기 쉬운 피포장물이라도 포장봉지내의 삽입은 원활하게 행해진다.
여기서, 포장봉지 지지틀은 피포장물을 삽입하기 전에는 포장 봉지를 씌운 상태에서 포장봉지를 지지하고, 피포장물의 삽입중에는 포장봉지를 반전시키면서 피포장물과 포장봉지를 지지틀의 아래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 지지틀의 칫수형상은 포장봉지의 칫수형상에 상응한 것으로 한다. 또, 포장봉지 지지틀의 높이를 포장작업에 적합한 높이로 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의 포장 봉지 지지틀은 바람직하게는 링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하고, 링형상의 포장용지 지지틀에 대해서는 지지틀을 지지하는 지지대는 지지틀을 거의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지주와 베이스재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지주를 신축가능하게 함으로써, 포자어봉지 지지틀에 대해서는 지지대는 지지틀을 적립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는 다이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틀의 관통공내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포장물을 막고, 또한 배출할 수 있도록 예를들면 다이를 상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천판에 지지틀 관통공의 다른쪽 개구부와 연통하는 개구를 설치하여 지지틀을 부착하고, 측벽에 일부를 개방하여 인출구로 하는 등 작업형태에 맞추어 다이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포자용 보조구는 피포장물이 통과 가능한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피포장물을 싸기 위한 포장물봉지를 이 포장봉지의 저부가 상기 관통공의 한쪽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피착할 수 있는 외형으로 된 제1 및 제2의 포장봉지 지지틀과, 상기 제1의 포장봉지 지지틀이 선단측에 부착된 주지주와 이주지주의 기단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1의 포장봉지 지지틀의 한쪽의 개구부를 대략 상향, 또한 수평상태로 위치시키는 지지대와, 상기 주지주 또는 베이스 부재에 기단측이 지지되며, 선단측에 상기 제2의 포장봉지 지지틀이 부착되며, 상기 제2의 포장봉지 지지틀의 한쪽의 개구부를 대략 상향, 또한 수평상태로 위치시키는 부지주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용 보조구는 제1 또는 제2의 포장봉지 지지틀의 한쪽의 개구부측에 저부를 위로 하여 포장봉지를 씌우고, 포장봉지의 상방으로부터 피포장물을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관통공내에 압입하면, 포장봉지의 저부가 상기 포장지지틀내로 삽입되어 포장봉지 본체는 반전하면서 피포장물을 싸고, 피포장물과 동시에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내를 통과하며, 포장봉지 내로의 피포장물을 삽입이 완료된다.
상기 피포장물의 삽입과정에서는 피포장물 표면과 포장봉지 필름내면과는 접촉하지만 양자간이 상대적으로 이동할 필요는 없고, 피포장물표면과 포장봉지 필름 내면과는 접촉한 채로 이동하는 것만으로 피포장물을 포장봉지로 삽입할 수 있으므로, 포장봉지 필름 내면에 밀착하기 쉬운 피포장물이라도 포장봉지내로의 삽입은 원활히 행해진다.
이 경우 제1의 포장봉지 지지틀과 제2의 포장봉지 지지틀과의 크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예를들어 크기, 종류등이 다른 2종류 이상의 피포장물의 포장작업을 병행할 수 있다.
또한 주지주에 부지주를 착탈 자유롭게 계지하기 위한 계지부를 설치해도 된다. 주지주에 설치한 계지부에 부지주를 자유롭게 계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제2의 포장봉지 지지틀 및 부지주는 분리해둘 수 있다.
또한 주지주를 측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계지부를 다수 설치해도 된다. 주지주의 축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계지부를 다수 설치함으로써, 제2의 포장봉지 지지틀의 부착위치를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즉 피포장물의 길이에 맞추어 설치면으로부터 포장봉지 지지틀까지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또, 포장용 보조구의 설치장소, 작업자의 신장등 각종 작업조건에 따라, 포장봉지 지지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무리하지 않는 자세로 포장작업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은 그 하부외주면이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축방향과 평행한 면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하부외주면의 상방으로 연속하는 상부외주면이 상기 축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고, 그 상부내주면은 상기 경사면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매끄러운 볼록형 곡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매끄러운 볼록 형곡면이란 변곡점이 없는 연속된 곡면을 의미한다. 또한 지지틀의 축방향이란 지지틀의 관통공의 대략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의 방향을 말한다.
이처럼 포장봉지 지지틀의 하부외주면을 포장지지틀의 축방향과 평행한 면으로 하고, 하부외주면에 연속되는 상부외주면을 포장봉지 지지틀의 축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하고있기 때문에, 포장봉지 지지틀의 외주면 전체의 개략적인 형상은 위를 향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된다. 이 때문에 포장작업 개시시 포장봉지 지지틀에 포장봉지를 씌울 때, 저부를 위로 하여 포장봉지를 씌우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포장작업에 포장용지 필름면은 먼저 포장봉지 지지틀의 하부외주면과 이에 연속되는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승하고, 이어 포장봉지 지지틀의 상부 가장자리 부근에서 하방으로 반전된 후, 포장봉지 지지틀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해 매끄러운 볼록형 곡면을 따라 미끄로지면서 하강하는 이동경로를 취한다.
포장작업을 개시할 시, 포장봉지 지지틀에 씌워진 포장봉지 필름면은 하방으로 드리워져 포장봉지 지지틀의 축과 거의 평행한 상태로 되어 있지만, 포장봉지 지지틀의 하부외주면도 축방향과 평행이기 때문에, 포장봉지의 필름면은 포장봉지 지지틀의 하부외주면과 거의 평행한 상태로 드리워져 있다. 이 때문에 포장작업이 개시되고 포장봉지 필름면이 상승할 경우도 필름면의 이동은 하부외주면을 따라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포장봉지 지지틀의 하부외주면에 연속하는 경사면은 포장봉지 지지틀의 축상방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포장봉지의 필름면이 이 경사면을 따라 상승함으로써, 필름면은 포장봉지 지지틀의 상부 가장자리 부근에서의 반전이 행해지는데 적합한 각도로 기울어 진다.
즉 포장봉지 필름면을 포장봉지 지지틀의 축과 평행, 즉 수직으로 상승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곧장 아래로 반전시키려 하면, 포장봉지 필름면을 180도 회전시키면 180도에서 경사면의 경사도를 뺀 나머지 각도분만큼 회전되므로 필름면의 반전은 용이하다. 즉 포장봉지 필름면은 경사면을 따라 상승함으로써 반전을 위한 준비자세가 정돈되기 때문에, 포장봉지 지지틀의 상부 가장자리 부근의 필름면의 반전은 매우 원활하게 행해진다.
다음에 포장봉지의 필름면이 포장봉지 지지틀의 상부 가장자리 부근에서 반전될 경우, 필름면이 포장봉지 지지틀의 상기 경사면 및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매끄럽게 만곡된 볼록형 곡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필름면의 반전부분과 포장봉지 지지틀의 상부 가장자리와의 사이에는 적당한 틈새가 생긴다. 이 때문에 필름면과 포장용지 지지틀과의 밀착이 방지되며, 필름면의 반전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볼록형 곡면은 매끄럽게 만곡된 변곡점이 없는 연속한 곡면이기 때문에, 그 후의 하강경로에서의 필름면의 미끄러짐도 매우 양호하다.
또한, 상기 볼록형 곡면의 하부 가장자리 부터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 하단부까지의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내주면은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내경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움푹 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볼록형 곡면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포장봉지 지지틀의 하단까지의 하부내주면을 외주면으로 확장시키기 때문에, 포장봉지 지지틀 내주의 하부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공동부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피포장물이 삽입된 포장봉지가 볼록형 곡면의 하부 가장자리의 위치보다 아래로 하강하면, 포장봉지에 대한 구속이 없어지며, 포장봉지의 하강은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포장용지 지지틀의 상기 경사면의 경사도를 포장용지 지지틀의 축에 대해 30에서 40도로 하고, 경사면과 하부외주면과의 경계의 위치 및 볼록형 곡면의 하부 가장자리의 위치를 포장봉지 지지틀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의 높이의 1/2보다 위의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봉지의 필름면을 수직상승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그대로 곧장 아래로 반전시키려 하면, 피름면을 180도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되지만, 포장봉지 지지틀의 경사면의 경사각도를 포장봉지 지지틀의 축에 대해 30도에서 45도로 하면, 나머지 150-135도의 회전으로 되기 때문에, 필름면의 반전은 매우 원할하게 행해진다.
즉, 포장봉지 지지틀의 경사면의 경사각도를 포장봉지 지지틀의 축에 대해 30도에서 45도로 하면, 포장봉지의 필름면의 활동 및 반전의 상태가 가장 양호하다. 또한 상기 경사각도가 30도 미만인 경우는 상술한 경사면으로써의 작용이 약하기 때문에 포장봉지의 필름면의 반전이 부드럽게 행해지지않고, 45도 이상인 경우는 상기 경사면과 필름면과의 마찰저항이 커지고 필름면의 활동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는다.
한편, 상기 경사면과 하부외주면과의 경계 및 상기 볼록형 곡면의 하부 가장자리를 포장용지 지지틀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의 높이의 1/2보다 위의 위치에 설치한 형상으로 하므로써, 포장봉지 지지틀의 하부외주면 및 공동부의 상하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고, 포장봉지를 소정 방향으로 인도하는 작용이 양호하게 되므로, 포장봉지의 반전 및 활동이 원활하고도 안정되게 행해진다. 또한, 포장봉지 지지틀이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형상 혹은 통상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장봉지 지지틀을 원형의 링형상으로 한 경우는 피포장물은 포장봉지의 중심부에 집합한 상태로 삽입되며,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균등하게 포장되기 때문에, 피포장물의 방향에 상관없이 포장작업을 행할 수 있다.
한편, 포장봉지 지지틀을 타원형상의 링형상으로 한 경우는 피포장물이 포장봉지내의 중심부에 모이지 않고 옆으로 나란히 평평한 상태로 포장되기 때문에 포장봉지내의 피포장물이 보이기 쉽고, 진열시의 미관이 뛰어나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 이처럼, 포장봉지 지지틀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형상으로 하므로써, 피포장물의 포장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포장물의 종류, 형태에 따른 적절한 포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포장봉지 지지틀의 형상이 원형 링 형상, 타원형 링형상 중 어느경우라도 포장봉지내로의 피포장물의 삽입은 원활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용 보조구에서는 포장봉지 지지틀과 지주와의 사이에 포장봉지의 경사를 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포장물을 삽입한 포장봉지가 포장용 지지틀을 통과한 후, 그대로 곧장 아래로 하강하지 않고 비스듬하게 된 경우라도 포장용지는 가이드부재에 당접하여 경사가 저지되며 곧장 아랫방향으로 가이드되기 때문에, 통과는 원활하게 행해지며, 피포장물의 삽입상태가 악화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은 그 관통공의 크기를 변화할 수 있는 신축이 자유로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장봉지 지지틀을 신축가능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피포장물이 통과하는 관통공의 직경을 확축하고, 피포장물의 크기에 따른 적절한 크기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포장봉지 지지틀을 신축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써는 상기와 같이 개구부의 크기를 바꿀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여러 가지의 구조를 생각할 수 있지만, 시판되고 있는 재료로써는 예를 들어, 가스나 증기 등의 도관으로써 사용되고 있는 가요성금속관(flexible metallic conduit)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같은 구조를 강화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은 일부가 절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결은 화훼류등 뿌리에 비해 상부가 비교적 큰 것을 포장할 때에 사용하는 것으로, 포장작업 도중에 피포장물을 포장봉지와 함께 절결방향으로 놓으므로써 피포장물이 예를들어 꽃종류였을 때 그 꽃부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포장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절결은 예를들어, 포장봉지 지지틀의 형상이 정면을 향해 횡방향으로 긴 자원형인 경우, 측면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절결의 길이는 포장봉지 지지틀의 내주측의 전체원주의 1/8-1/4가 바람직하다. 절결길이가 원주의 1/8미만이면, 놓는 공간으로써의 기능이 떨어지고, 또한 1/4를 넘으면 포장용봉지의 반전에 지장이 생기는 겨우가 있다.
또한 지지대는 제1의 베이스 프레임과 제2의 베이스 프레임과의 감합조합에 따라 형성되며, 지주는 조합된 상태의 상기 제1 및 제2의 베이스 프레임의 중첩된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한 구멍부에 그 기단측이 삽입되므로써 상기 지지대에 지지된다.
지지대를 다수의 베이스 프레임을 감합조합시켜 구성하고, 포장용 보조구를 분해가능하게 하므로써, 포장용 보조구를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에 포장용 보조구를 콤팩트하게 정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의 베이스에 프레임을 감합 조합시켜, 양자의 중첩된 부분에 형성된 구멍부에 지주를 삽입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포장용 보조구를 조립할 수 있다. 이 지주 삽입용 구멍부로써는 지주의 하단이 삽입가능한 것으로 수평단면은 지주의 단면형상에 합치시킨 원형상이나 다각형형상이 생각되어지지만, 흔들림이나 포장작업시 포장봉지 지지틀의 회전방지라는 관점에서 볼 때 다각형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의 재질로는 작업시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 중량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베이스 프레임은 포장작업시에 피포장물의 중량에 의해 넘어지지 않고 포장봉지 지지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고 단면이 장방형인 2개의 프레임 부재의 기단부 교차시킨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프레임 부재의 기단부에 부착홈을 형성하고, 이 부착홈 부분을 치합하여 교차상태로 조립한다.
또, 제1 및 제2의 베이스 프레임을 동일 형상으로 하면, 베이스 프레임의 제조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또, 상기의 제1 및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포장용 보조구는 피포장물이 통과가능한 관통공을 가지며, 또한 상기 피포장물을 싸기 위한 포장봉지를 이 포장봉지의 저부가 상기의 한쪽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피착할 수 있는 외형으로 된 포장봉지 지지틀과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이 선단측에 부착된 지주와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한쪽의 개구부가 대략 상향, 또한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주의 기단측이 저울대에 부착되며,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에 피착된 포장봉지에 올려진 피포장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용 보조구에서는 포장봉지 지지틀의 한쪽의 개구부측에 저부를 위로 하여 포장봉지를 씌우고, 포장봉지 위로부터 피포장물을 포장봉지 지지틀의 관통공내로 압입하면 포장물의 저북 포장봉지 지지틀내로 압입되어, 포장봉지는 반전하면서 피포장물을 싸고, 피포장물과 함께 포장지지틀내를 통과하고, 포장봉지내로의 피포장물의 삽입이 완료된다.
또한, 지지틀의 부하된 무게를 계량하는 계량기를 구비하므로써 상기 포장봉지내로의 피포장물의 삽입공정, 피포장물의 계량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38도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포장용 보조구의 지주의 높이 조절의 설명도, 제3도는 포장순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의 포장용 보조구(1)는 링형상의 포장봉지 지지틀(2)과 지주(3) 및 다이(54)로 구성된다. 지주(3) 및 다이(4)는 지지틀(2)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성한다.
지지틀(2)는 스테인레스강의 환형봉을 링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피포장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의 한쪽의 개구부가 상향, 또한 수평상태로 위치되어 지주(3)에 의해 지지틀(2)이 지지된다. 지지틀(2)의 크기는 제3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포장봉지(H)를 이 포장봉지(H)의 저부가 관통공의 한쪽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제3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어씌울 수 있는 크기이다. 이 지지틀(2)은 환형봉으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봉지(H)가 반전 이동할 시에 그 접촉부를 원활하게 접동시킬 수 있다.
지주(3)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외통(5)과 내통(6)으로 구성되며, 내통(6)의 상단에 지지틀(2)이 부착되어 있다. 내통(6)은 외통(5)에 대해 상하이동 가능하고, 내통(6)에 설치한 계지편(6a)을 외통(5)의 슬릿(5a)을 따라 상하시키고 외통(5)의 계지용 절결(5b, 5c, 5d)중 하나에 계지시키므로써 지주(3)의 높이, 즉 지지틀(2)의 높이를 피포물의 길이에 따라 조절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이(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조구(1)를 사용할 때, 편중된 하중이 걸린 때라도 보조구 전체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4개의 다리(4a-4d)중 지지틀(2)측의 다리(4a, 4b)를 반대측의 다리(4d)보다도 길게 한다.
상기의 포장용 보조구(1)를 사용하여 가지(N)을 포장할 때는 보조구(1)를 적당한 작업대의 위에 얹고, 먼저 봉지(H)를 제3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저부를 위로 하여 지지를(2)에 씌운다. 다음에 몇 개의 가지(N)를 손에 들고 동시에 봉기(H)의 저부에 놓고, 이어서 가지(H)를 지지를(2)내의 봉지(H)마다 압입한다(제3b도). 이에따라, 봉지(H)는 가지(N)에 눌러 저부가 지지틀의 하방으로 압입되어 봉지(H)는 반전하면서 가지(N)를 싸고, 가지(N)와 동시에 지지를(2)을 통과하며, 작업대위로 낙하하여 봉지(H)내로이 가지(N)의 삽입이 종료된다.
이와같이, 저부를 위로한 봉지(H)를 지지를(2)에 씌우고 봉지(H)의 상방으로부터 가지(N)를 지지를(2)내를 향해 압입하고, 봉지(H)를 반전시키면서 가지(N) 봉지(H)내에 삽입함로써, 제3a도로부터 제3c도의 단계에서 가지(N)와 봉지(H)는 접촉하지만 접촉한 채로 동시에 이동하므로, 표면이 매끄럽고 봉지(H)에 밀착하기 쉬운 가지(N)라도 봉지(H)에 밀착하기 쉬운 가지(N)라도 봉지(H)로의 삽입은 원활하게 되며, 능률적으로 포장할 수 있다.
이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가지를 넣은 봉지(H)의 상부를 접착테이프로 묶거나 혹은 열융착하여 포장을 완료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봉지(H)에는 지지를(2)에 씌우기 전의 상태에서 안측에 소정의 인쇄가 행해져 있고 반전후는 인쇄면이 표면이 되므로, 포장이 완료한 상태에서는 인쇄도 겉측으로 되고 이 상태로 출하 가능하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사시도, 제5도는 4의 포장용 보조구의 종단면도, 제6도는 포장의 순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의 포장 보조구(10)는 관통공을 가지는 원통형의 포장봉지 지지를(11)과 상자형의 지지대(12)로 이루어진다.
지지를(11)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의 틀이고, 지지를(11)의 관통공의 한쪽의 개구부가 상향, 또한 수평으로 위치하여 지지대(12)의 상판(12a)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를(11)은 포장봉지(H)의 저부가 관통공의 한쪽의 개구부(상기측개구부)에 대향하도록 하여 포장봉기(H)를 씌울 수 있는 크기이며, 상단부는 봉지(H)가 반전이동할 때에 원활하게 섭동할 수 있도록, 위로 넓어지는 경사부(11a)를 형성함과 동시에 가장자리부에 모따기부(11a)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모따기부(11a)대신 가장자리부에 링형상으로 성형된 스테인레스강으로 만든 환형봉등을 부착할 수도 있다.
지지대(12)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의 대이고, 상반(12a)에 개구(12b)를 설치하여 지지틀(11)를 부착하고, 측벽의 일면은 개방하여 포장물의 인출구(12c)로 한 것이다. 지지대(12)의 내부에는 개구(12B)로부터 인출구(12C)로 향하는 경사면(12d)을 설치하여 지지틀(11)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포장물을 꺼내기 쉽도록 하고 있다.
상기의 포장용 보조구(10)를 사용하여 가지(N)를 포장하기 위해서는 보조구(10)를 적당한 작업상태에 얹고, 우선 봉지(H)를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저부를 위로 하여 지지틀에 덮어씌운다. 몇 개가 가지(N)를 손에 들고 동시에 봉지(H)에 저부에 놓고(제6a도, 이어서 가지(H)마다 압입한다(제6b도). 이에따라 봉지(H)는 가지(N)에 눌려 저부가 지지틀(131)내에 하부에 압입되며, 봉지(H)는 반전하면서 자기(N)를 포장하고 자지(N)와 함께 지지틀(11)내를 통과하며, 봉지(H)내로의 가지(N)의 삽입이 완료된다(제6c도).
지지틀(11)내를 통과한 자기를 넣은 봉지(H)는 지지대(12)내로 낙하한다(제6d도). 지지대(12)의 내부에는 인출구(12C)를 향하는 경사면(12d)이 설치되어 있고, 낙하한 봉지(H)는 인출구(12c)에 가까운 곳으로 이동하므로 인출구(12c)로 손을 넣으므로써, 봉지(H)를 꺼내는 것은 용이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제1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6a도부터 제6c 도의 간계에서 가지(N)와 봉지(H)는 접촉하지만, 접촉한 채로 동시에 이동하므로, 표면이 매끄럽고 봉지(H)에 밀차거하기 쉬운 가지(N)라도 봉지(H)로의 삽입은 원활하게 행해지며, 능률적으로 포장할 수 있다.
가지를 넣은 봉지(H)를 꺼낸후에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상부를 접착테이프로 속박하거나 혹은 열융착하여 포장을 완료한다. 봉지(H)에는 지지틀(11)에 덮어씌우기 전의 상태에서 안측에 소정의 인쇄가 행해져있고 반전후에는 인쇄면이 표면측이 되므로, 포장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인쇄물도 표면측으로 되고 이 상태에서는 출하 가능하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포장용 보조구(20)는 원통형의 포장봉지 지지를(21)과 상자형의 지지대(22)로 이루어 진다.
지지를(21)은 제2실시예에서의 지지를(11)과 같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틀이고, 지지대(22)의 상판(22a)의 상판(22a)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대(22)는 상자형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대이고 상판(22a)에 개구를 형성하여 지지를(21)을 부착하며, 측벽의 일면을 개방하여 포장물의 인출구(22a)로 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지지대(22)는 제2실시예에서의 지지대(12)보다도 높이를 높게 하여 내부용적을 크게 하고, 지지를(21)을 통과한 포장물이 낙하하기 쉽고, 또한 인출구(22a)로부터 포장물을 꺼내기 쉽게 하고 있다.
상기 포장용 보조구(20)에 의한 포장순서는 제2실시예의 보조구(10)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상자형의 지지대(22)의 높이가 높고, 또한 내부에 장해물이 없으므로, 지지를(21)을 통과한 포장물이 지지대(22)의 저부에 걸리지 않고 포장물은 확실하게 지지대(22)의 내부에 낙하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포장용 보조구로의 포장봉지의 부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0도는 포장의 순서를 도시하는 설명이다.
본 실시예는 다수의 지지를을 수직평면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주에 부착, 지지틀의 회전을 이용하여 포장봉지를 자동적으로 지지틀에 덮어씌우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포장용 보조구(30)는 4개의 L자형의 아암(31a-31d)과 링형상의 포장봉지 지지를(31a-31d), 문형상의(33)와 다이(35) 및 송풍기(36)로 구성된다. 아암(31a-31d)은 합성수지제 파이프를 L자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각각의 선단부에 링형상의 지지를(32a-32d)을 부착하고, 선단부는 십자형으로 서로 교차시켜, 접속구(34)를 통하여 지주(33)의 상부의 교량부에서 도시하지 않은 래치트기구에 의해 화살표(R)방향만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를(32a-32d)은 스테인레스강의 환형봉을 링형상으로 형성한 것이고, 아암(31a-31d)의 선단이 상향된 때에 지지를(32a-32d)의 관통공의 한쪽의 개구부가 상향되고, 또한 거의 수평상태로 되도록, 또한 제8도의 부분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아암(31a-31d)에 대한 32a-32d의 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아암(31a-31d)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를(32a-32d)의 크기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포장봉지(H)를 제10도의 (e)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덮어씌울 수 있는 크기이다. 지주(33)는 합성수지의 파이프를 문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상부의 교량부에서 아암(31a-31d)의 기단부를 접속구(34)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하부는 아이(35)에 고정되어 있다.
다이(35)는 보조구(30)를 사용할 때 보조구 전체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같이 다수의 포장봉지(H)를 겹쳐 부착할 수 있도록 평판의 다이로 하고 있다.
송풍기(36)는 다이(35)상에 중첩된 포장봉지(H)를 1매씩 부풀리기 위한 송풍기이고, 다이(35)의 일단측에 부착하여, 공기 배출구를 다이(35)상으로 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의 포장용 보조구(30)를 사용하여 가지(N)를 포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30-50매 정도의 봉지(H)를 잘 정리하여 중첩시키고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봉지(H)의 개구측을 송풍기(36)를 향해 다이(35)상에 얹고, 봉지내의 개구측에 장출단부(Hb)를 형성하고, 다시 동 장출단부(Hb)에 2개소 정도의 구멍(Ha)을 미리 설치하고 있고, U자형의 잠금쇠(37)를 삽입하여 중첩된 봉지(H)를 다이(35)상에 적재한다.
다음에 제10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어떤 지지를 예를들어 지지를(32a)이 다이(35)상의 봉지(H)와 송풍기(36)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송풍기(36)의 스위치를 온으로 하면, 송풍기(36)로부터 뿜어내는 공기에 의해 겹쳐진 봉지(H)의 최상단의 봉지(H1)가 제10b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부푼다. 이 상태에서 아암(31a-31d)을 제10c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회전시키면, 팽창된 봉지(H1)에 지지를(32a)이 들어가고, 또한 제10d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회전이 진행되면 지지를(32a)이 봉지(H1)의 저부에 닿아 지지를(32a)이 봉지(H1)를 비스듬하게 상바으로 인장하므로, 장출단부(Hb) 의 구멍(Ha)부분이 파손되어 장출단부(Hb)가 잠금쇠(37)로부터 분리되어 봉지(H1)는 지지를(32a)에 덮어씌워진 상태에서 지지를(32a)과 동시에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이 상태에서 제10e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몇 개의 가지(N)를 지지틀(32a)에 압입하면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봉지(H1)는 가지(N)에 눌려 저부가 지지틀(32a)의 하방으로 압입되어 제10f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봉지 본체는 반전하면서 가지(N)를 포장하고, 가지(N)와 함께 지지틀(32a)을 통과하며, 봉지(H1)내에 가지(N)의 삽입이 종료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아암(31a-31d)을 회전시켜, 순차적인 지지틀(32a-32d)에 의해 봉지(H)에 가지의 삽입을 행하고 또한 이를 반복하므로써, 봉지(H)로의 가지의 삽입작업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의 보조구(30)에서는 송풍기(36)로 부터의 공기에 의해 베이스(35)상에 겹쳐진 봉지(H)를 위로부터 순차적으로 부풀게 하고, 아암(31a-31d)을 회전시키므로써, 지지틀(32a-32d)에 자동적으로 봉지(H)를 씌울 수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아암(31a-31d)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치를 지주(33)에 설치하고, 지주(33)와 베이스(35) 및 송풍기(36)에 이르는 배선을 설치함으로써, 송풍기(36)의 스위치의 온·오프를 아암(31a-31d)의 회전과 연동시켜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포장용 보조구는 전체적으로 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소형이고 소규모의 시설에서도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으며, 작업대의 위에 얹어 포장작업을 행하는데 최적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가지의 포장에 대한 예이지만 같은 방법으로 다른 채소류나 과일, 화훼 등의 포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틀이나 지지대의 칫수형상은 피포장물의 종류나 개수 및 포장용 봉지의 크기등에 따라 임의로 설계할 수 있다.
제11도 및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제11도는 포장용 조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2도는 동 평면도, 제13a도는 제12도의 X-X선 단면도, 제3b도는 동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포자용 보조구(40)는 제11도,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하여 원형링형상으로 형성한 제1 및 제2의 포장봉지 지지틀(42), (43) 주지주(44), 부지주(45) 및 다이(46)로 구성된다. 제1의 포장봉지 짖틀(42)은 주지주(44)의 선단부에 부착되며, 이 주지주(44)에 의해 제1의 지지틀(42)의 관통공의 한쪽(상방)의 개구부가 상향, 또한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지지틀(42)의 하부외주면(48)을 제1의 지지틀(42)의 관통공의 대략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축(C)과 형행한 면으로 함과 동시에, 하부외주면(48)의 상방에는 상부 가장자리(50)로부터 하방으로 매끄럽게 만곡하는 볼록형 곡면(51)을 설치한다. 또한 블록형 곡면(51)의 하부 가장자리(51A)로부터 지지틀(42)의 하단(42a)까지의 하부내주면(52)을 지지틀(42)의 내경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하고 있으므로 지지틀(42)내주의 하부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공동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제13b도에 명료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경사면(49)의 하부 가장자리(49a)를 지지틀(42)의 높이(h)의 약1/2의 위치로 하고, 그 경사각도(θ)를 축(C)에 대해 33도로 하고, 볼록형 곡면(51)의 하부 가장자리(51a)를 지지틀(42)의 높이(h)의 1/2보다 조금 위의 위치로 한다.
또한 제2의 지지틀(43)이 외관형상도 제1의 지지틀(42)과 거의 같으므로, 제1의 지지틀(42)과 같은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제1의 지지틀(42)의 경우와 같은 보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같이, 지지틀(42)의 외주면에는 축(C)방향과 평행한 하부외주면(48)과 축(C)상방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49)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틀(42)의 외주면전체의 개략적인 형상은 위를 향해 가늘어지는 형 이다. 이 때문에 포장작업 개시에 있어, 지지틀(42)에 포장봉지(H)를 적재할 때, 저부를 위로 하여 포장봉지(H)를 덮어씌우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실제의 포장작업에서 지지틀(42)에 씌운 포장봉지(H)의 필림면(Hf)의 이동경로는 제13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경로(55)를 거친다. 먼저 지지틀(42)의 하부외주면(48)과 이에 연속하는 경사면(49)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승하고, 다음에 경사면(49)의 상부 가장자리(50)부근에서 하방으로 반전된 후, 상부 가장자리(50)로부터 하방을 향해 매끄럽게 만곡된 볼록형 곡면(51)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하강한다.
포장작업의 개시전, 지지틀(42)에 적재한 포장봉지(H)의 필름면(Hf)은 하방으로 드리워져 축(C)과 거의 수평인 상태로 되어 있지만, 하부외주면(48)도 축(C)방향과 평행하기 때문에, 필름면(Hf)은 하부외주면(48)과 거의 평행한 상태로 아래로 드리워져 있다. 이 때문에 포장작업이 개시되어, 필름면(Hf)이 상승할 경우도 필름면(Hf)의 이동은 하부외주면(48)을 따라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하부외주면(48)에 연속하는 경사면(49)은 축(C)상방을 향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필름면(Hf)이 이 경사면(49)을 따라 상승하므로써, 필름면(Hf)은 상부 가장자리(50)부근에서 반전이 행해지는데 최적의 각도로 경사진다.
즉 필름면(Hf)을 축(C)과 평행으로 상승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하방으로 반전시키려 하면, 필름면(Hf)을 1회에 180도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되지만, 우선 필름면(Hf)을 경사각도33도의 경사면(49)을 따라 상승시켜, 그 후 반전시키면 180도에서 33도를 뺀 나머지 147도의 회전으로 되므로, 필름면(HF)의 반전은 용이하다. 즉 필름면(HF)은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므로써, 반전을 위한 준비자세로 정돈되기 때문에, 상부 가장자리(50)부근에서의 반전은 매우 원활하게 행해진다.
다음에 필름면(HF)이 상부 가장자리(50)부근에서 반전된 경우, 필름면(HF)이 경사면(49)을 거쳐 상부 가장자리(50)로부터 하방을 향해 매끄럽게 만곡된 볼록형 곡면(51)을 따라 이동하므로써, 필름면(HF)의 반전부분과 상부 가장자리(50)와의 사이에는 적당한 정도의 틈새(56)가 생긴다. 이 때문에 필름면(HF)과 지지틀(42)과의 밀착이 미연에 방지되며, 필름면(HF)의 반전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볼록형 곡면(51)은 매끄럽게 만곡된 변곡점이 없는 연속된 곡면이기 때문에 그 후의 하강경로의 필름면(HF)의 미끄러짐도 매우 양호하다.
또한, 볼록형 곡면(51)의 하부 가장자리(51a)로부터 지지틀(42)의 하단부(42a)까지의 하부내주면(52)을 지지틀(42)의 내경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틀(42)내주면의 하부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공동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포장물이 삽입된 포장봉지(H)가 볼록형 곡면(51)의 하부 가장자리(51a)의 위치보다 아래로 하강하면, 포장봉지(H)에 대한 구속이 없어지고, 포장봉지(H)의 하강의 매우 원활하게 행해진다.
제13b도에 명료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경사면(49)의 하부 가장자리(49a)의 위치를 지지틀(2)의 높이(h)의 1/2의 위치보다 위로하고, 그 경사도(θ)를 축(C)에 대해 33도로 한 경우 포장봉지(H)의 필름의 미끄짐이 가장 양호하였다. 또한 볼록형 곡면(51)의 하부 가장자리(51a)의 위치를 지지틀(42)의 높이(h)의 1/2보다 조금 위의 위치로 한 경우 피포장물의 가지(N)를 삽입한 포장봉지(H)를 통과가 매우 원활하며 또한 안정적으로 행해졌다. 이상의 작용, 효과는 지지틀(43)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1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49)의 위치 및 볼록형 곡면(51)의 하선(51a)의 위치를 지지틀(42)의 높이(h)의 1/2보다 더 위의 위치로 해도 된다. 이와같은 형상으로 하므로써, 하부외주면(48) 및 공동부(53)의 상하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기 때문에, 포장봉지의 반전, 통과가 더욱 안정되어 원활하게 행해진다.
본 실시예의 포장용 보조구(40)에서 포장봉지 지지틀(42),(43)을 원형링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피포장물인 가지(N)는 포장봉지(H)의 중심부에 모인 상태에서 삽입되며, 어느쪽 방향에서 보아도 균등하게 포장되기 때문에, 가지(N)의 방향을 신경쓰지 않고 포장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제15a도는 지주(44)의 계지부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측면도, 동(b)도는 (a)의 A-A선 단면도이다. 제1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2의 지지틀(43)은 부지주(45)의 하단부에 설치한 훅(57)을 주지주(44)에 설치한 계지공(58)에 계합시킴으로써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때, 다수의 계지공(58)의 하나를 선택하고, 훅(57)은 계지공(58)에 대해 탈착이 자유롭기 때문에, 지지틀(42)만을 사용하고 제2의 지지틀(43)을 사용하지 않을 때, 혹은 수납할 때는 훅(57)을 계지공(58)으로부터 빼서 부지주(45)를 분리 해 둘 수도 있다.
또한 포장용 보조구(40)에서는 제1 및 제2의 지지틀(42),(43)의 크기를 상이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제16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크기가 다른 포장용봉지(H1),(H2)를 각각 덮어씌워 둠으로써, 예를들어 크기가 다른가지(N1),(N2)의 포장작업을 평행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제16도에 의거하여, 포장용 보조구(40)를 사용한 포장작업의 순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6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지(H1), (H2)를 저부를 위로 하여, 각각 제1 및 제2의 지지틀(42),(43)에 씌운다. 이어, 몇개의 가지(N1),(N2)를 손에 들고 봉지(H1),(H2)의 저부에 놓고, 이어서 가지(N1), (N2)를 지지틀(42),(43)안에 봉지(H1),(H2)마다 압입한다(제16b도). 이에따라 봉지(H1),(H2)는 가지(N1),(N2)에 눌려 저부가 지지틀(42),(43)의 하방에 압입되고, 봉지(H1),(H2)는 반전하면서 가지(N1),(N2)와 함께 지지틀(42),(43)을 통과하고, 다이(46)부근에 낙하하여, 봉지(H1),(H2)내로의 가지(N1),(N2)의 삽입이 완료한다(제16c도).
이처럼, 저부를 위로 한 봉지(H1),(H2)를 지지틀(42),(43)에 씌우고, 봉지(H1),(H2)의 상방으로부터 가지(N1),(N2)를 지지틀(42),(43)내로 향해 압입하고, 봉지(H1),(H2)를 반전시키면서, 가지(N1),(N2)를 봉지(H1),(H2)내에 삽입하므로써, 제16a도, 제16c도의 단계에서 가지(N1),(N2)와 봉지(H1),(H2)는 접촉하지만, 접촉한 채로 동시에 이동하기 때문에, 표면이 매끄럽고 봉지(H1),(H2)에 밀착하기 쉬운 가지(N1),(N2)라도 봉지(H1),(H2)로의 삽입은 원활하게 행해지며, 능률적으로 포장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지지틀(42),(43)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어느 한쪽의 지지틀만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포장용 보조구(40)에서는 크기가 다른 2종류의 포장봉지(N1),(N2)에 크기가 다른 가지(N1),(N2)를 삽입하기 위해, 크기가 다른 2개의 지지틀(42),(43)을 설치하고 있지만, 크기가 같은 2이상의 지지틀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틀(42)만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포장용 보조구(40)에서는 크기가 상이한 2개의 지지틀(42),(43)을 설치하기 때문에, 사이즈가 다른 2종류의 가지(N1),(N2)의 포장작업을 병행하여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히 크기나 종류등이 다른 피포장물을 포장하는 경우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2개의 지지틀(42),(43)을 거의 대향시켜 설치했기 때문에, 주지주(44)에 걸리는 중량이 배분이 균등하게 되고, 포장작업시의 포장용 보조구(40)의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계지공(58)에 대해서느 상기 한 조이외에도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좌우대칭인 위치에 다수개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주지주(44)에 4개의 계지공(58)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2의 지지틀(43)의 높이를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포장물의 크기, 종류 등에 맞추어 지지틀(43)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지만, 제1 및 제2의 지지틀(42),(43)에 있어서의 각각의 포장작업을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혹은 포장작업이 용이하도록 제2의 지지틀(43)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다음에, 제18도, 제19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8도는 포장용보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9도는 동평면도이다.
포장용 보조구(60)는 제18도,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원형 링형상을 한 3개의 지지틀(61),(62),(63)과 주지주(64), 부지주(65)(66) 및 다이(67)로 구성되어 있다. 제1의 포장봉지 지지틀인 지지틀(61)은 주지주(64)에 의해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2의 포장봉지 지지틀인 지지틀(62), (66)을 지지하는 부지주(65), (66)의 주지주(64)에 대한 계지수단 등은 상기 포장용 보조구(40)와 같다. 포장용 보조구(60)는 크기가 다른 3개의 지지틀(61),(62),(63)을 가지고 있으므로, 크기나 종류등이 다른 3종류의 피포장물의 포장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지지틀(2, 11, 21, 32a, 32b, 42, 43, 61, 62, 63)의 형상을 원형 링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가지(N)는 포장봉지(H)의 중심부에 모인 상태에서 삽입되며,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균등하게 포장된다.
이 때문에, 가지(N)의 방향을 신경쓰지 않고 포장작업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지지틀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예를들어 타원형 링형상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지지틀의 형상을 타원형 링 형상으로 한 경우, 피포장물은 봉지내에서 중심에 모이지 않고 옆으로 나란히 편평한 상태에서 포장되기 때문에, 피포장물이 보이기 쉽고, 진열시의 미관도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다. 이 때문에, 타원형 링 형상의 지지틀은 시금치와 같은 연약한 야채등을 포장할 경우에도 적합하다. 또한 지지틀의 형상이 원형 링 형상, 타원형 링 형상중 어느경우라도, 포장물내의 피포장물의 삽입은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70)에서는 포장봉지 지지틀(71)의 형상을 타원형 링 형상으로 하고 있다. 지지틀(71)을 타원형 링 형상으로 함으로써, 피포장물이 포장봉지내의 중심부에 모이지 않고 옆으로 나란히 편평한 상태로 포장되기 때문에, 포장내의 피포장봉지물이 보기 쉽고 진열시에 미관에도 뛰어나다. 이 때문에, 포장용 보조구(71)는 시금치와 같은 연약한 야채류를 포장할 경우에 적합하다. 포장용 보조구(71)에 있어서도, 포장봉지내로의 피포장물의 삽입은 상기와 같고,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1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75)에서는 포장봉지 지지틀(76)과 지주(77)와의 사이에 포장봉지의 경사를 저지하는 가이드부재(78)를 설치하고 있다. 피포장물을 삽입한 포장봉지가 지지틀(76)을 통과한 후, 그대로 곧장 아래로 하강하지 않고 비스듬하게 된 경우라도 포장봉지는 가이드부재(78)에 당접하여 경사가 저지되는 방향으로 인도되기 때문에, 통과는 원활하게 행해지며, 피포장물의 삽입상태가 악화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각 포장용 보조구에서 지주에 대한 지지틀의 부착위치를 변경 가능한 구조, 혹은 지주의 길이를 신축가능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설치면으로부터 지지틀까지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피포장물의 길이에 맞추어 지지틀의 위치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포장용 보조구의 설치장소, 작업자의 신장등의 각종작업조건에 따른 지지틀의 높이조정도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무리없는 자세로 포장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인 포장용 보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3도는 제22도에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포장용 보조구(80)는 링 형상의 지지틀(81), 이 지지틀(81)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주(82) 및 지주(82)의 하단이 삽입되어 지주(82)가 부착되며, 이 지주(82)를 지지하는 지지대(83)로 구성되고, 지지틀(81)은 그 단부에 고정구(84)가 설치되며, 이 고정구(84)에 지주(82)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지지틀(81)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신축가능한 가요성관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가요성관은 박판을 특수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것을 넝쿨처럼 감은 상태로 조합한 것으로, 신축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제24a도는 가요성관이 가장 수축된 상태를, 또 제24b도는 가장 신장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틀(81)은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24a도와 제24b도의 범위에서 신축가능하다.
지주(82)는 상단을 고정구(84)의 개구에 삽입함으로써, 지지틀(81)에 고정되어 있지만, 그 높이는 피포장물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다만, 포장종료시에 포장봉지의 하단이 설치면에 접촉하지 않는 정도의 높이로 하는 것이 피포장물을 손상시키지 않는 점에서는 바람직하고, 예를들어 가지의 경우30㎝-50㎝가 적당하다.
지지대(83)는 포장작업시에 지지틀(81)에 편중된 하중이 걸린 경우라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장방향의 제1 및 제2의 베이스 프레임, 83a, 83b의 교차부에 지주(82)를 부착하고 있다.
이어서 제25도를 참조하여 상기 보조구를 사용한 포장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보조구를 적당한 작업대 상에 얹고, 먼저 포장봉지(H)를 제25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저부를 위로 하여 지지틀(71)에 씌운다. 다음에 몇 개의 가지(N)를 손에 들고 봉지(H)의 저부에 놓고, 이어서 가지(H)를 지지틀(81)내에 봉지(H)마다 압입한다(제25b도).
이에의해 봉지(H)는 가지(N)에 눌려 저부가 지지틀(81)의 하방으로 압입되고, 봉지(H)는 반전하면서 가지(N)를 포장하고, 가지(N)와 함께 지지틀(81)을 통과하여, 작업대 상에 낙하하여 봉지(H)내로 가지(N)가 삽입된다(제25c도).
이처럼, 저부를 위로 한 봉지(H)를 지지틀(81)에 씌우고, 봉지(H)의 상방으로부터 가지(N)를 지지틀(81)내를 향해 압입하고, 봉지(H)를 반전시키면서 가지(N)를 봉지(H)내에 삽입할 수 있다. 그 때, 제25a도부터 제25c도의 단계에서 가지(N)와 봉지(H)는 접촉하지만, 가지(N)와 봉지(H)와의 상대적인 이동은 없고, 접촉한 채로 동시에 이동하기 때문에, 표면이 매끄럽고 봉지(H)에 밀착하기 쉬운 가지(N)라도 봉지(H)로의 삽입은 원활하게 행해져 능률적으로 포장할 수 있다.
이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가지를 넣은 봉지의 상부를 접착 테이프로 속박하거나 혹은 열융착하여 포장을 완료한다. 봉지(H)에는 지지틀(81)에 씌우기 전의 상태에서 내측에 소정의 인쇄가 되어 있고, 반전후는 인쇄면이 표면측이 되므로, 포장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인쇄도 표면측으로 되고, 이 상태로 출하가 가능하다.
또, 보다 많은 량의 가지(N)를 삽입할 경우나 큰 것을 포장할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큰 포장봉지를 준비하고, 지지틀(81)을 제22도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확장하므로써, 피포장물과 지지틀(81)내면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피포장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포장할 수 있게 된다.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관한 포장용 보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7도는 제26도에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평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의 제9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의 포장용 보조구(85)에서 포장용 지지틀(86)의 본체를 금속제의 장원형상의 링 본체(86a)에 의해 형성하고, 그 측부에 절결(86b)을 설치하고 있다. 86c는 수지제의 단부커버로 구형상을 취함으로써, 작업시에 포장봉지 및 피포장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결(86b)의 길이를 지지틀(86)전체 내주의 길이의1/5로 하고 있다. 이에따라, 포장작업시에 있어서 빼내는 공간으로써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또한 포장용 봉지의 반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제28도에 도시하는 설명도에 의거하여, 이 포장용 보조구(85)를 사용한 포장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제28도에서 F는 뿌리에 비해 상부가 크게 펼쳐진 꽃을 예로 하고 있다.
제25도에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보조구(85)를 적당한 작업대위에 얹고, 봉지(H)를 제28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저부를 위로 하여 지지틀(86)에 씌운다. 다음에 몇송이의 꽃(F)을 손에 들고 봉지(H)의 저부에 놓고, 꽃(F)을 지지틀(86)내에 봉지(H)마다 줄기부분까지 압입한다(제28b도). 이에 의해 봉지(H)는 꽃(F)에 눌려 저부가 지지틀(86)의 하측으로 압입되며, 봉지(H)는 반전하면서 꽃(F)을 포장한다. 이 상태에서 꽃(F)을 봉지(H)마다 절결(86b)방향(화살표B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꽃(F)의 윗부분을 좁은 지지틀(86)내주면으로 접촉시키지 않고 포장할 수 있다(제28c도).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장원형의 지지틀(86)에 대해 설명했지만, 원형 등 다른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절결의 형성위치도 측면부에 한정되지 않고, 정면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제29도 내지 제3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29도는 포장용 보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0도는 제29도에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지지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31도는 제29도에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의 분해사시도, 제32도는 제29도의 D-D선 단면도, 제33도는 제29도의 포장용 보조구의 사용방법의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의 포장용 보조구(90)는 링 형상의 포장봉지 지지틀(91), 이 지지틀(91)을 상단측에서 지지하는 지주(92) 및 지주(92)의 하단측을 지지하는 지지대(93)로 구성된다.
지지틀(91)은 합성수지를 원형으로 형성하거나 링(91a)과 링(91a)의 일단에 고착된 하방을 개구한 원통형의 고정구(91b)로 이루어 진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링(91a)는 포장봉지를 씌우고, 이 상태에서 피포장물을 링(91a)상부로부터 통과시키므로써, 링(91a)의 상면, 즉 포장작업시에 포장용 봉지가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면은 원활한 섭동을 확보하기 위해 매끄러운 곡선상태로 되어 있다.
지주(92)는 상단이 고정구(91b)의 개구에 삽입되어 지지틀(91)에 고정됨으로써, 그 높이는 피포장물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가지의 경우는 30㎝-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93)는 포장작업시에 지지틀(91)에 편중된 하중이 걸린 경우라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장방형의 제1 및 제2의 베이스프레임(94),(95)의 기단부측을 교차시켜 양 기단부측을 감합하여 형성되며, 지지대(93)의 교차부 근방에 지주(92)를 부착하고 있다.
제1 및 제2의 베이스 프레임(94),(95)은 완전히 동일한 형상으로 비교적 중량이 있는 목재로 형성되며, 그 기단부에는 부착홈(94a), (95a)을 형성하고 있다. 이 부착홈(94a), (95a)은 베이스 프레임(94),(95)의 축선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또한 베이스 프레임(94),(95)의 두께의 1/2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제3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부착홈(94a),(95a)부분을 치합하면 베이스 프레임(94),(95)의 상하면이 완전하게 일치하고, 또한 예각으로 교차한 상태에서 조립되게 된다.
94b, 95b는 삼각형의 한쪽의 베이스 프레임(94),(95)에 고착된 중합 플레이트이고 그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지주삽입공(94c), (95c)이 형성되어 있다.
중합 플레이트(94b), (95b)는 그 일면이 베이스 프레임(94), (95)의 상면 혹은 하면과 동일면상에 있고, 또한 베이스 프레임(94), (95)의 두께의 1/2로 하고 있다.
따라서, 조립한 상태에서는 제32도에 명료하게 도시하는 바와같이, 중합 플레이트(94b), (95b)의 한쪽이 다른쪽의 베이스 프레임(94),(95)의 측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되고, 또한 지주 삽입공(94c), (95c)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으로 된다. 이 중합 플레이트(94b),(95b)는 수지제인 경우 베이스 프레임(94),(95)와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제조 코스트상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베이스 플레임(94),(95)의 부착홈(94a), (95a)부분을 상호 감합하여 베이스(93)를 조립하고, 지주삽입구멍(94c), (95c)내에 지주(92)의 하단을 삽입하여 베이스(93)에 지주(92)를 직립설치하고, 또한 지주(92)의 상단부를 지지틀(91)의 고정구(91b)에 삽입하여, 제29도에 도시하는 보조구(90)의 상태로 하여 사용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봉지 지지틀(91), 지주(92) 및 베이스(93)를 각각 분해조립식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작업현장으로의 운반에 편리하고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수납 해 둘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의 베이스 프레임(94),(95)이 동일 형상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므로써, 제조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2개의 베이스 프레임(94),(95)에 양자(94),(95)를 조립할 상태에서 상하 중첩되어 지주삽입을 위해 관통된 관통공을 형성하는 구멍(94c), (95c)을 구비하므로써, 베이스 프레임(94),(95)의 조립이 확실하게 되고, 조립식이면서 안정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제33도를 참조하여 상기 보조구(90)를 사용한 포장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보조구(90)를 적당한 작업대위에 얹고, 먼저 봉지(H)를 제33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저부를 위로 하여 지지틀(91)에 씌운다. 다음에 다수개의 가지(N)를 손에 들고 동시에 봉지(H)의 저부에 놓고, 이어서 가지(H)를 지지틀(91)내에 압입한다.(제33b도).
이에따라 봉지(H)는 가지에 눌려 저부가 지지틀(91)의 하방으로 압입되고, 봉지(H)는 반전하면서 가지(N)를 포장하고, 가지(N)와 함께 지지틀(91)을 통과하여, 작업대상에 낙하하여 봉지(H)내로 가지(N)가 삽입된다.(제33c도).
이와같이, 저부를 위로 한 봉지(H)를 지지틀(91)에 씌우고, 봉지(H)의 상방으로부터 가지(N)를 지지틀(91)내를 향해 압입하고, 봉지(H)를 반전시키면서 가지(N)를 봉지(H)내에 삽입하므로써, 제91a도부터 제91c도의 단계에서 가지(N)와 봉지(H)와는 접촉하지만 가지(N)와 봉지(H)와의 상대적인 이동은 없고, 접촉한 채로 동시에 이동하므로, 표면이 매끄럽고 봉지(H)에 밀착되기 쉬운 가지(N)라도 봉지(H)로의 삽입은 원활하게 행해지며 능률적으로 포장할 수 있다.
이 후, 통상의 방법에 의해 가지를 넣은 봉지(H)의 상부를 접착 테이프로 속박하거나 혹은 열융착하여 포장을 완료한다. 봉지(H)에는 지지틀(91)에 씌우기 전의 상태에서 안측에 소정의 인쇄가 실시되어 있고, 반전후는 인쇄면이 표면측이 되므로, 포장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인쇄도 표면측으로 되고, 이 상태로 출하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지지틀(91)의 형상을 원형 링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피포장물인 가지(N)는 봉지(H)내의 중심부에 모인 상태로 삽입되며, 어느 방향으로 보아도 균등하게 포장되기 때문에, 가지(N)의 방향을 신경쓰지 않고 포장작업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지지틀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예를들어 타원형 링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지지틀의 형상을 타원형 링 형상으로 한 경우, 피포장물은 포장봉지내에서 중심에 모이지 않고 옆으로 나란히 늘어선 평편한 상태로 포장되기 때문에, 피포장물이 보이기 쉽고, 진열시의 미관이 뛰어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포장봉지 지지틀의 형상이 원형 링 형상, 타원형 링 형상중 어느 경우라도 포장봉지내로의 피포장물의 삽입은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제34도에서 제37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34도는 포장용 보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5도는 포장용 보조구에 포장봉지와 피포장물을 삽입한 상태에서 피포장물을 계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제36도는 포장봉지 작업의 순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37도는 포장봉지 지지틀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것처럼 포장용 보조구(100)는 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하여 피포장물(M)이 포장봉지(H)와 함께 통과가능한 링 형상의 포장봉지 지지틀(101)을 거의 수평으로 지지하는 지주(102)와 지주(102)가 부착된 계량기(103)와 이 계량기(103)의 밑에 있는 지지대(104)로 이루어지고, 지주(102)의 하단부를 계량기(103)의 저울대(105)에 고정함으로써, 지주(102)를 계량기(103)로부터 직립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3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지틀(101)에 씌운 포장봉지(H)와 그 안에 삽입되어 있는 피포장물(M)의 무게를 계량기(103)의 지침(107)으로 알 수 있다. 즉, 포장용 보조구(100)에 의해 일정중량의 피포장물(M)의 계량작업과 그것을 포장봉지(H)에 삽입하는 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포장작업의 효율이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104)는 지주(102)를 지지하는 계량기(103)를 구비하고, 보조구(100)를 안정화 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포장용 보조구(100)를 사용한 포장작업순서를 제36a도-제36c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36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포장용 보조구(100)의 지지틀(101)에 저부를 위로 하여 봉지(H)를 씌운다. 그리고 봉지(H)의 상방으로 부터 피포장물(M)을 지지틀(101)내에 압입하여 피포장물(M)로부터 손을 떼면 제36도(b)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상태로 안정된다. 그래서 계량기(103)의 지침(107)을 보고 피포장물(M)의 중량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피포장물(M)의 양을 가감하여 소정중량으로 맞춤으로써 계량작업을 행한다.
계량작업이 종료한 때, 피포장물(M)을 다시 지지틀(101)내에 압입하므로써, 봉지(H)의 저부를 지지틀(101)의 하방으로 압입해 가면, 봉지(H)는 반전하면서 피포장물(M)을 싸고 피포장물(M)과 함께 지지틀(101)내를 통과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제36c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봉지(H)내에 피포장물(M)이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틀(101)의 하방으로 낙하하고, 피포장물(M)의 포장이 완료된다.
상기의 포장작업의 과정에서 피포장물(M)의 표면과 봉지(H)의 필름내면과는 접촉하지만, 양자간의 상대적인 이동은 필요없고, 피포장물(M)의 표면과 봉지(H)의 필름내면과는 접촉한 체로 동시에 이동하기 때문에, 피포장물(M)의 표면이 매끄럽고 필름 내면에 밀착하기 쉬운 경우, 혹은 피포장물(M)이 부드럽고 구부러지기 쉬운 경우라도 포장작업은 용이하며 또는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포자용 보조구(100)의 지지대(104)는 그 평면형상을 삼각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면에 대한 흔들림이 없어 안정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피포장물(M)의 계량, 포장작업중에 지주(102), 지지틀(101)이 흔들거리거나 넘어지지 않고 또한 계량기(103)만으로 지주(102)등을 충분히 안정시켜 지지할 수 있는 경우는 다이(104)를 계량부(103)에 부착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포장용 보조구(100)의 지지틀(101)의 형상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제3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지틀(101)의 형상에 대해서는 그 외주를 축(C)과 평행한 하부외주면)109)과 이에 연속하는 축(C)상방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110)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내주면상에는 상부 가장자리(111)로부터 하방으로 매끄럽게 만곡된 볼록형 곡면(112)을 설치하고 또한 볼록형 곡면(112)의 하부 가장자리(112a)로부터 지지틀(101)의 하단부(101a)까지의 하부내주면(113)을 지지틀(101)의 내경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하고, 지지틀(101)내면하부에는 공동부(114)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지지틀(101)의 외주에 하부가 외주면(109)과 경사면(110)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틀(101)의 외주면 개략 형상은 상부가 가늘고 하부가 두꺼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포장작업 개시시 지지틀(101)에 봉지(H)를 씌운 때, 봉지(H)의 저부를 위로 하여 지지틀(101)에 씌우는 작업이 용이하다.
지지틀(101)에 봉지를 씌우면 봉지(H)의 필름은 하방으로 드리워져 축(C)과 거의 수평상태 즉 하부외주면(109)과 거의 평행으로 드리원진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봉지(H0에 피포장물(M0을 압입함으로써 봉지(H)의 필름면이 상승할 때, 필름면은 하부외주면(109)을 따라 원활하게 상승해간다.
다음에, 하부외주면(109)에 연속하는 경사면(110)은 축(C)상방을 향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봉지(H)의 필름면이 경사면(110)을 따라 상승하므로써 필름면은 상부 가장자리(111)부근의 반전이 행해지기에 적합한 각도로 기울어진다.
즉, 봉지(H)의 필름면을 축(C)과 평향으로 상승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하방으로 반전시키려 하면, 필름면을 한번에 180도 반전시키지 않으면 안되지만, 우선 필름면을 경사각도 30에서 45도의 경사면(110)을 따라 상승시킨 후 반전시키면, 180도에서 30에서 45도를 뺀 나머지인 150에서 135도의 회전으로 되므로, 필름면의 반전은 용이하다. 즉 봉지(H)의 필름면은 경사면(110)을 따라 상승하므로써, 반전을 위한 준비자세가 정돈되기 때문에, 상부 가장자리(111)부근의 반전은 매우 원활하게 행해진다.
다음에 봉지(H)의 필름면이 상부 가장자리(111)부근에서 반전되는 과정에서 필름면이 경사면(110)을 거쳐 상승함으로써, 필름면의 반전부분과 상부 가장자리(111)와의 사이에는 적당한 틈새(116)가 생긴다. 이 때분에 필름면과 지지틀(101)과의 밀착이 미연에 방지되어 반전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볼록형 곡면(112)은 매끄럽게 반전된 변곡점이 없는 연속된 곡면이기 때문에, 그 후의 하강경로에서의 필름이 미끄러짐도 매우 양호하다.
또한 볼록형 곡면(112)의 하부 가장자리(112a)로부터 지지틀(101)의 하단부(101a)까지의 하부내주면(113)을 외주방향으로 확장시키기 때문에, 지지틀(101)내주의 하부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공동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포장물(M)이 삽입된 포장봉지(H)가 볼록형 곡면(112)의 하부 가장자리(112a)의 위치보다 아래로 하강하면 포장봉지(H)에 대한 구속이 없어지고, 피포장물(M)을 삽입한 포장봉지(H)의 하강은 매우 원활하게 행해진다.
이와같이 실제의 포장작업에서는 지지틀(101)에 씌운 봉지(H)의 필름면이 제37도의 부분확대도에 되시하는 경로(118)를 따라 미끄러져 이동함으로써, 포장작업은 매우 원활하게 행해진다.
여기에서 경사면(110)의 경사각도(θ)를 축(C)에 대해 30에서 45도의 범위, 특히 33도로 한 경우 , 봉지(H)의 필름면의 활동 및 반전의 상태가 가장 양호했다. 또한, 경사각도(θ)가 30도 미만인 경우는 경사면(110)으로써의 작용이 약하기 때문에 봉지(h)의 필름면의 반전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고, 45도 이상인 경우는 경사면(110)과 필름면과의 마찰저항이 커지고 필름면의 활동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제37동의 부분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경사면(110과 하부외주면(109)과의 경계(110a)를 지지틀(101)의 하단부(101a)로부터 상부 가장자리(111)까지의 높이(h)의 약1/2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경사면(110)과 하부외주면(109)에 대한 봉지(H)의 필름면의 마찰저항 이 거의 동등하게 되기 때문에, 필름며상의 활동이 미끄러짐이 행해진다.
또한 볼록형 곡면(112)의 하부 가장자리(112a)의 위치를 지지틀(101) 하단부(101a)로부터 상부 가장자리(111)까지의 높이(h)의 1/2보다 위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필름면의 반전을 운활하게 하는 볼록형 곡면(112)의 본래의 작용을 잃어버리지 않고, 봉지(H)에 대한 구속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피포장물(M)을 삽입한 봉지(H)의 통과가 매우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포장용 보조구(100)의 지지틀(101) 및 지주(102)의 재질, 크기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피포장물의 종류에 대응한 재질 크기로 한는 것보다 계량·포장작업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계량기(103)의 종류, 형상 등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피포장물의 종류, 계량·포장작업의 조건 등에 따라 적절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38도에 도시하는 포장용 보조구(120)에서는 디지털 표시의 계량기(121)를 채용하는 계량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제13도의 실시예로써 포장용 보조구(120)에서는 지지대(123)의 평면형상을 원형으로 함으로써, 설치면에 대산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콤팩트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포장용 보조구(120)의 사용방법, 주요부의 작용, 효과 등은 상기 포장용 보조구(100)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포장용 보조구(100), (120)에서는 포장봉지 지지틀(101)의 형상을 원형링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피포장물(M)은 봉지(H)내의 중심부에 모인 상태로 삽입되며, 어느방향에서 보아도 균등하게 포장된다. 이 때문에, 피포장물(M)의 방향을 싱경쓰지 않고 포장작업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포장봉지 지지틀(101)은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예를들어, 그 형상을 타원형 링 형상으로 한 경우, 피포장믈은 포장봉지에서 중심에 모이지 않고 옆으로 나란히 편평한 상태로 포장되기 때문에, 피포장물을 보이기 쉽고, 진열시의 미관도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다.
이 때문에, 타원형 링 형상의 포장봉지지틀은 시금치와 같이 연약한 야채등을 포장하는 경우가 좋다. 또한, 포장봉지 지지틀의 형상이 원형 링 형상, 타원형 링 형상의 어느 경우라도, 포장봉지내로의 피포장물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본 발명의 포장용 보조구에서는 피포장물이 통과가능한 관통공을 가지는 포장봉지 지지틀의 한쪽의 개구부를 상향, 또한 거의 수평상태로 하여 지지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이 지지틀에 저부를 위로 한 합성수지 필름제의 봉지를 씌우고, 봉지의 상방으로부터 피포장물을 지지틀에 압입하고, 봉지를 반전시키면서 피포장물을 봉지내에 삽입하므로써, 표면이 매끄럽게 밀착하기 쉬운 채소류라도, 봉지로의 삽입은 원활하게 행해지며, 능률적으로 포장할 수 있다. 이 보조구는 전체구조를 간편하고, 소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소규모의 시설에서도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고, 수작업에 의한 포장작업의 능률이 향상된다.
이 경우는 지지틀을 지지한느 지지대를 지주와 베이스 부재로 구성하고, 지주를 신축가능하게 하므로써, 지지틀의 높이를 포장작업에 적합한 높이로 할 수 있다.
(2) 또, 제1의 포장봉지 지지틀을 지지하는 지주와 제2의 포장봉지 지지틀을 지지하는 부지주를 가지는 포장봉지용 보조구에서는 다수의 포장봉지 지지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2개 이상의 포장작업, 예를들어 크기, 종류등이 다른 2개 이상의 피포장물의 포장작업을 평행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작업효율이 대폭 향상된다.
또 거의 수평으로 지지한 포장봉지 지지틀에 미리 저부를 위로 한 합성수지 필름제의 봉지를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에 씌워 두고, 상방으로부터 피포장물을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내로 압입하여, 봉지를 반전시키면서 피포장물을 삽입하여 포장하기 때문에, 표면이 매끄럽고, 봉지의 필름 내면에 밀착하기 쉬운 피포장물이어도 봉지내로의 삽입은 원활하게 행해지며, 효율적으로 포장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부지주를 탈착 자유롭게 지지하기 위한 계지부를 주지주에 다수개 설치함으로써, 제2의 포장봉지 지지틀의 높이를 작업자가 포장작업을 행하는데 높이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포장용 보조구에서 포장봉지 지지틀의 외주에 축과 평행한 하부외주면과 이에 연소하는 경사면을 설치하고, 내주면에 볼록형 곡면을 설치하고 그 하방으로부터 공동부를 형성하므로써, 포장봉지 지지틀에 포장봉지를 씌우는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포장작업중의 포장봉지의 반전이 매우 원활하게 행해지며, 또한 포장봉지 지지틀과 포장봉지와의 미끄러짐이 양호하게 되고, 포장작업의 효과가 대폭 향상된다.
또한, 포장봉지 지지틀을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 형상 또는 통형상으로함으로써 포장상태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피포장물의 종류, 형태, 성질등의 따른 적절한 포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틀과 지주와의 사이에 가드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피포장물을 삽입한 포장봉지가 지지틀 통과후에 경사지지 않고 곧장 하방으로 인도되기 때문에, 통과는 원활하게 행해지며, 포장상태도 양호하게 된다.
또한, 포장봉지 지지틀의 관통공의 직경을 확대 축소가능하게 하므로써, 피포장물의 크기나 수납량에 따라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포장용 지지틀의 일부를 절결하므로써, 포장작업 도중에 포장봉지마다 절결방향으로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꽃 등의 피포장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포장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용 보조구에서 지지대를 감합에 의해 조립되는 다수의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구성하므로써, 작업장소로의 운반이 용이하고,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의 보관이 편리하게 된다.
이 경우에 다수의 베이스 프레임을 동일 형상으로 하므로써, 제조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또한, 2개의 베이스 프레임 그대로 양자를 조합한 상태에서 상하 중합하고, 지주삽입용으로 연통한 관통공을 형성하는 구멍을 구비함으로써, 2개의 베이스 프레임의 조립이 확실하게 되며, 조립식이면서, 안정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3)또한, 포장봉지 지지틀에 부담된 무게를 계량하는 계량기를 구비한 포장용 보조구에서는 피포장물의 계량 및 봉지내로의 삽입을 동시에 행하므로 포장작업 전체의 효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이 포장봉지 보조구에서 미리 저부를 위로 한 합성수지 필름제의 봉지를 씌워 두고, 상방으로부터 피포장물을 상기 지지틀내로 압입하며, 봉지를 반전시키면서 피포장물을 봉지내로 삽입하므로써, 봉지와 피포장물과의 상대적인 이동없이 포장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이 매끄럽고, 필름 내면에 밀착하기 쉬운 피포장물, 부드럽고 접히기 쉬운 피포장물이라도 봉지내로의 삽입은 원활하게 행해지며, 효율적으로 포장작업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9)

  1. 피포장물이 통과 가능한 관통공을 가르며, 또한 상기 피포장물을 싸기 위한 포장봉지를 이 포장봉지의 저부가 상기 관통공의 한쪽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피착할 수 있는 외형으로 된 포장봉지 지지틀과,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한쪽의 개구부를 대략 상향, 또한 수평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이 선단측에 부착된 지주와 이 지주의 기단측을 지지하는 베이스재를 구비하며, 상기 지주는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통의 상단에는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이 부착되고, 상기 내통은 외통에 대하여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내통에 설치한 계지편을 외통의 슬릿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고 외통의 계지용 절결 중 하나에 계지시키므로써 상기 지주가 신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2. 피포장물이 통과 가능한 관통구멍을 가지며, 또한 상기 피포장물을 싸기 위한 포장봉지를 이 포장봉지의 저부가 상기 관통공의 한쪽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피착 할 수 있는 외형으로 된 제1 및 제2의 포장봉지 지지틀과, 상기 제1의 포장봉지 지지틀이 선단측에 부착된 주지주와 이 주지주의 기단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1의 포장봉지 지지틀의 한쪽의 개구부를 대략 상향, 또한 수평상태로 위치하는 베이스재와, 상기 주지주 또는 베이스재에 기단측이 지지되며, 선단측에 상기 제2의 포장봉지 지지틀이 부착되며, 상기 제2의 포장봉지 지지틀의 한쪽의 개구부를 대략 상향, 또한 수평상태로 위치하는 부지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포장봉지 지지틀과 제2의 포장봉지 지지틀과는 그 크기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지부에는 상기 부지주의 기단측을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상기 주지주의 축방향 또는 주방향으로 위치를 바꾸고, 상기 주지부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은 그 하부외주면이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축방향과 평행한 면으로 됨과 동시에, 전하부 외주면의 상방으로 연속하는 상부외주면이 상기 축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고, 그 상부내주면은 상기 경사면의 상부 가장자리로 부터 하방으로 향하는 매끄러운 볼록형 곡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곡면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 하단부까지의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내주면은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내경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움푹 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축방향에 대한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도는 30-40도로 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면과 상기 하부외주면과의 경계위치 및 상기 볼록형 곡면의 하부 가장자리의 위치는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하단부로 부터 상단부까지의 높이의 약 1/2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9.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봉지지지틀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형상, 혹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통형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10.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과 상기 지주와의 사이에는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이 피착된 포장봉지가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축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가드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11.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은 그 관통공의 크기를 변화할 수 있는 신축이 자유로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제의 가요성관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1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은 일부가 절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은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전체 내주길이의 1/8-1/4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1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재는 제1의 베이스 프레임과 제2의 베이스 프레임과의 감합 조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지주는 조립된 상태의 상기 제1 및 제2의 베이스 프레임의 중첩된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부에 그 기단측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베이스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베이스 프레임은 동일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17. 피포장물이 통과가능한 관통공을 가지며, 또한 상기 피포장물을 싸기 위한 포장봉지의 저부가 상기 관통공의 한쪽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피착할 수 있는 외형으로 된 포장봉지 지지틀과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이 선단측에 부착된 지주와,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한쪽의 개구가 대략 상향, 또한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주의 기단측이 저울대에 부착되며,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에 피착된 포장봉지에 삽입된 피포장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조구.
  18. 피포장물이 통과 가능한 관통공과 관통공의 상단부가 위로 넓어지는 경사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피포장물을 싸기 위한 포장봉지를 이 포장봉지의 저부가 상기 관통공의 한쪽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피착할 수 있는 외형으로 된 원통형의 포장봉지 지지틀과,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의 한쪽의 개구부를 대략 상향, 또한 수평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포장봉지 지지틀을 지지하는 상자형의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의 상판에는 상기 지지틀이 부착되도록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의 측벽의 일면을 개방하여 포장물의 인출구로 한 포장용 보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는 상기 개구로 부터 상기 인출구로 향하는 경사면을 설치한 포장용 보조구.
KR1019960022097A 1995-06-20 1996-06-18 포장용 보조구 KR100245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78060 1995-06-20
JP7178060A JP2928746B2 (ja) 1995-06-20 1995-06-20 包装用補助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48A KR970001148A (ko) 1997-01-21
KR100245065B1 true KR100245065B1 (ko) 2000-03-02

Family

ID=160419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830A KR100222064B1 (ko) 1995-06-20 1995-10-28 포장용 보조기구
KR1019960022097A KR100245065B1 (ko) 1995-06-20 1996-06-18 포장용 보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830A KR100222064B1 (ko) 1995-06-20 1995-10-28 포장용 보조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749905A1 (ko)
JP (1) JP2928746B2 (ko)
KR (2) KR100222064B1 (ko)
CN (1) CN1077860C (ko)
CA (1) CA2179451A1 (ko)
TW (1) TW349070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864A (ko) 2017-02-27 2018-09-05 주식회사 밴드골드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20190032796A (ko) * 2017-09-20 2019-03-28 문경숙 포도송이 작업대
KR20190040775A (ko)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밴드골드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20190112518A (ko) 2018-03-26 2019-10-07 주식회사 밴드골드 주사기용 주삿바늘 안전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6284B1 (fr) * 1997-04-29 1999-01-22 Asmode Bernard Station de manipulation de produits frais comme des salades, console integrant une telle station et machine de fabrication
JP2007230572A (ja) * 2006-02-28 2007-09-13 Akiyoshi Onaka 野菜包装方法および野菜包装装置
CN110143313B (zh) * 2018-02-13 2022-03-04 三文科技(大连)有限公司 一种纸袋开口状态保持方法及套袋盒
CN111512826A (zh) * 2020-06-01 2020-08-11 孙彩娜 一种具有除虫功能的广东菜心分离包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295A (en) * 1924-11-12 1925-04-02 John Connery Improved holders for sacks, bags, and like flexible material containers
US2939259A (en) * 1958-05-06 1960-06-07 Us Rubber Co Wrapping device
US4562983A (en) * 1980-07-23 1986-01-07 Klefbeck Robert J Bag holders
US4572251A (en) * 1983-12-20 1986-02-25 Agrownautics, Inc. Pneumatic bagger ring
EP0187803A1 (en) * 1984-07-12 1986-07-23 Amf Incorporated Pouch maker
US4708307A (en) * 1986-12-12 1987-11-24 Rosaire Daigle Stand for holding leaf bags
FR2640943A1 (en) * 1988-12-26 1990-06-29 Moreau Michel Holding device for the mouth of a flexible tubular sheath, particularly of a plastic bag
DE9307650U1 (de) * 1993-05-19 1994-09-29 Hammer Lit Gmbh Ständer für Wäschesäcke o.dg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864A (ko) 2017-02-27 2018-09-05 주식회사 밴드골드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20190032796A (ko) * 2017-09-20 2019-03-28 문경숙 포도송이 작업대
KR101969587B1 (ko) * 2017-09-20 2019-04-16 문경숙 포도송이 작업대
KR20190040775A (ko)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밴드골드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20190112518A (ko) 2018-03-26 2019-10-07 주식회사 밴드골드 주사기용 주삿바늘 안전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49905A1 (en) 1996-12-27
CN1138545A (zh) 1996-12-25
TW349070B (en) 1999-01-01
KR970001148A (ko) 1997-01-21
JP2928746B2 (ja) 1999-08-03
KR100222064B1 (ko) 1999-10-01
CN1077860C (zh) 2002-01-16
KR970001155A (ko) 1997-01-21
CA2179451A1 (en) 1996-12-21
JPH092436A (ja) 1997-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0314A (en) Device for packaging elongated articles
US6129209A (en) Floral multi-compartment sleeve
US5746317A (en) Evacuative Christmas tree container
KR100245065B1 (ko) 포장용 보조구
US7487878B2 (en) Apparatus for elevating objects stored in a container
US3540184A (en) Packaging method
JPH072497B2 (ja) 包装方法および装置
KR100220436B1 (ko) 포장용 보조장치
US6571984B1 (en) Storage and loading system for bags
US5542731A (en) Carrier for stacked plates
WO2013144635A2 (en) A container and method of packaging goods
US40020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goods
JPH11348944A (ja) 折り畳み袋群、その折り畳み方法、その折り畳み袋群の包装方法、重ね袋群の折り畳み装置及びその折り畳み袋群の折り畳み包装装置
US6334536B1 (en) Hanging ornament storage container
US500188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loral displays, mini-gifts and pouch type packaging
KR100820409B1 (ko) 꽃꽂이용 지지기구
EP1640270A1 (fr) Poste de travail, destiné à la préparation d'emballages de compositions florales et/ou végétales
CA2990103A1 (en) Multi-piece device for moving and storing potted plants and other objects having a base
JP4464286B2 (ja) 包装機
JP2004237987A (ja) 包装体
US4993770A (en) Carrying device for athletic weights
KR200491570Y1 (ko) 포장용 캐리어
JP2502330Y2 (ja) 紐製包装持ち運び具
JPS5850750Y2 (ja) 水平保持可能な袋
JP3080574B2 (ja) 包装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