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049B1 - 이대식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이대식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049B1
KR100245049B1 KR1019960064804A KR19960064804A KR100245049B1 KR 100245049 B1 KR100245049 B1 KR 100245049B1 KR 1019960064804 A KR1019960064804 A KR 1019960064804A KR 19960064804 A KR19960064804 A KR 19960064804A KR 100245049 B1 KR100245049 B1 KR 100245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block
wound
idler
sid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016A (ko
Inventor
다께시 히구찌
히로유끼 니시모리
Original Assignee
세구찌 류이찌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구찌 류이찌,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구찌 류이찌
Publication of KR97004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96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with noise re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이대(履帶)가 스프로켓에 대하여 다각형상으로 감길 때 발생하는 연속적인 타격음을 저감한다.
스프로켓측 브래킷(15)의 상부 보강판(19)상에 이대받이블록(34)을 설치하고, 이 이대받이블록(34)을 구성하는 스키드블록(36)의 이대슬라이드접촉면(36B)에 이대(29)의 각 링크(30)를 슬라이드접촉시킴으로써, 이대(29)가 스프로켓(25)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감기도록 안내한다. 이로써, 이대(29)가 스프로켓(25)에 다각형상으로 감길 때의 상하동을 억제할 수 있고, 이대(29)의 부시(32)와 스프로켓(25)이 맞물림으로써 발생하는 연속타격음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대식(履帶式) 주행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쇼벨, 유압크레인 등의 장궤식(裝軌式) 차량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이대식(履帶式)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쇼벨, 유압크레인 등의 건설기계는 통상, 거친 땅, 늪지 등의 건설현장등을 주행하기 위해 이대식 주행장치가 장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대식 주행장치는 일반적으로 센터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사이드 프레임을 가지고, 이 사이드프레임의 전후방향의 한쪽이 스프로켓측 브래킷이 되는 동시에 다른쪽이 아이들러측 브래킷이 된 트랙프레임과, 트랙프레임의 스프로켓측 브래킷에 설치된 스프로켓 및 아이들러측 브래킷에 설치된 아이들러와, 스프로켓과 아이들러와의 사이에 감겨진 이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로켓이 회전구동 됨으로써 이 스프로켓과 맞물리는 이대가 스프로켓, 아이들러 및 각 롤러 사이에서 주위 회전하여 하부 주행체가 주행한다.
그런데, 이대식 주행장치를 구비한 하부 주행체의 주행시에는 이대가 스프로켓과 이이들러 사이에서 주위 회전할 때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소음은 간헐 타격음과 연속 타격음으로 대별할 수 있다. 여기서, 간헐 타격음은 이대가 주위 회전할 때 상롤러와 스프로켓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파상(波狀) 진동이 원인이 되어 이대가 스프로켓과 아이들러를 간헐적으로 때림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속 타격음은 이대를 구성하는 여러개의 링크가 다각형을 그리듯 스프로켓에 감길 때 이대와 스프로켓이 연속적으로 맞물림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다.
여기서,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55(1980-127678호 공보, 실개소 63(1988)-182981호 공보, 실개평 6(1994)-6182호 공보 등에는 상롤러와 스프로켓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전륜체(轉輪體)를 설치한 이대식 주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이대식 주행장치에 의하면 전륜체에 의해 이대의 하측을 지지함으로써 상롤러와 스프로켓과의 사이에서 이대가 파상진동의 발생을 억지하여, 이 파상진동에 따른 간헐 타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이대식 주행장치에서는 이대의 파상진동에 따른 간헐 타격음은 저감되지만 이대를 구성하는 각 링크가 스프로켓에 대하여 다각형상으로 감김으로써 발생하는 연속 타격음을 적정하게 저감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스프로켓에 이대가 감길 때에 연속 타격음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하여 제11도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제11도에 있어서, 1은 스프로켓, 2는 스프로켓(1)과 아이들러(도시생략)과의 사이에 감겨진 이대를 나타내고, 이 이대(2)는 복수의 링크(3)를 핀(4)을 통해서 순차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함으로써 구성되고, 핀(4)의 외주측에는 부시(5)가 감합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로켓(1)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대(2)의 부시(5)가 스프로켓(1)에 맞물림으로써, 링크(3)가 시점 T1∼T5 사이에 서서히 스프로켓(1)에 감겨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스프로켓(1)에 대해 링크(3)가 다각형상을 그리도록 감김으로써 부시(5)는 만곡선 B로 나타낸 바와 같은 궤도를 그리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시점 T2 및 T4 에서의 부시(5)의 중심을 잇는 직선은 스프로켓(1)의 피치원(圓)(P)에 대하여 접선(C)이 된다. 이에 대해 시점 T1, T3, T5 에서의 부시(5)의 중심을 잇는 직선 C'는 당해 직선 C보다 거리 D 만큼 아래쪽으로 변위된 위치에 있다. 그 결과, 시점 T3 에 있어서 부시(5)가 스프로켓(1)에 맞물릴때에 이 부시(5)는 시점 T2 부터 T3 사이에 변위량 D 만큼 상하 이동하여 스프로켓(1)과 심하게 충돌한다. 이리하여, 링크(3)가 스프로켓(1)에 감길 때에 이 현상이 반복됨으로써 연속 타격음이 발생된다고 생각된다.
이에 대해, 이대를 구성하는 링크가 다각형상으로 스프로켓에 감김으로써 발생하는 연속 타격음을 저감하기 위해 예를 들면 실개평 4(1992)-100973호 공보. 실개소 50(1975)-133635호 공보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들 각 공보에는 상롤러와 스프로켓과 사이에 위치하여 이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이대받이블록을 설치한 이대식 주행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실개평 4(1992)-100973호에 의한 이대받이블록은 상롤러와 스프로켓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트랙프레임상에 설치한 트랙프레임보스와, 이 트랙프레임보스상에 세워 설치한 지지금구(金具)와, 이 지지금구의 축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륜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전륜체를 유지하기 위한 이대받이블록의 부품 개수가 많아지고, 이대식 주행장치 전체의 제조 코스트가 증대되어 버리는 외에 전륜체가 마모되었을 때 이 전류체의 교환을 하기 위한 작업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실개소 50(1975)-133635호 공보에 의한 이대받이블록은 트랙프레임 위에 세워 설치된 지지재(支持材)와, 이 지지재에 고착되어 스프로켓측으로 시장하는 장대(長大)한 받이판과, 이 받이판상에 완충재를 통해서 장착된 장대한 활판(滑板)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부품 개수가 많아지고, 또한 형상이 대형화되어 버리므로 이대식 주행장치 전체의 제조 코스트가 증대되어 버리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대받이블록을 구성하는 활판이 스프로켓과 이대와의 맞물림부의 위치로부터 비교적 이간된 위치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이대가 스프로켓에 감길 때 당해 스프로켓에 맞물려서 발생하는 연속 타격음을 충분히 저감시키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상기 실개소 50(1975)-133635호 공보와 같이 이대받이블록을 구성하는 활판을 스프로켓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배설한 경우에, 이대와 스프로켓이 맞물릴 때의 연속 타격음이 커지는 이유에 대하여, 제12도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제12도에 있어서, 6은 스프로켓, 7은 상롤러, 8은 이대를 각각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스프로켓(6)과 상롤러(7)와의 사이에서 이대받이블록의 배설위치를 변화시킨 경우에, 이대(8)와 스프로켓(6)과의 맞물리는 위치가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스프로켓(6)의 회전중심 E로부터 거리 F1만큼 이간된 배설위치 G1에 이대받이블록을 배설한 경우에는 이대(8)와 스프로켓(6)과는 맞물리는 위치 H1, H1'에서 맞물리지만, 이때의 맞물리는 위치 H1은 스프로켓(6)과 상롤러(7)을 잇는 접선 J로부터 변위량 K1만큼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또한 회전중심 E로부터 거리 F2 만큼 이간된 배설위치 G2에 이대받이블록을 설치한 경우에는, 이대(8)와 스프로켓(6)과는 맞물리는 위치 H2, H2'에서 맞물리고, 이때의 맞물리는 위치 H2는 상기 접선 J보다 변위량 K2 만큼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또한, 회전중심 E로부터 거리 F3만큼 이간된 배설위치 G3에 이대받이블록을 설치한 경우에는 이대(8)와 스프로켓(6)과는 맞물리는 위치 H3, H3'에서 맞물리고, 이때의 맞물리는 위치 H3 는 상기 접선 J 보다 변위량 K3 만큼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이와 같이, 접선 J에 대한 이대(8)와 스프로켓(6)과의 맞물리는 위치 H의 변위량 K은 이대받이블록의 배설위치 G가 스프로켓(6)으로부터 이간될수록 커진다. 그리고, 변위량 K이 커질수록 스프로켓(6)이 이대(8)와 맞물려서 이 이대(8)를 위쪽으로 차 올리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증대되는 결과로 이대(8)와 스프로켓(6)이 맞물렸을 때의 연속 타격음이 증대된다.
따라서, 이대받이블록을 되도록 스프로켓에 근접된 위치에 배설함으로써 이대(8)가 스프로켓(6)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감기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이대받이블록은 비교적 스포로켓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이대가 스프로켓에 맞물릴 때에 생기는 연속 타격음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대가 스프로켓에 대하여 다각형상으로 감김으로써 발생하는 연속 타격음을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가 있고, 또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도록 한 이대식 주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대식 주행장치가 적용된 하부 중행체를 나타내는 외관도.
제2도는 제1도중의 스프로켓측 브래킷, 이대받이블록 등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중의 스프로켓측 브래킷, 이대받이블록 등의 구동장치를 2점쇄선으로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제4도는 제3도중의 화살표 Ⅳ-Ⅳ 방향에서 본 평면도.
제5도는 제1도중의 스프로켓측 브래킷, 구동장치, 이대받이블록 등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
제6도는 제5도중의 화살표 Ⅵ-Ⅵ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중의 이대받이블록 등을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확대도.
제8도는 제7도중의 링크가 스프로켓에 감기는 상태를 경시적(經時的)으로 나타낸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제8도와 같은 설명도.
제10도는 비교예로서 스키드블록의 스프로켓측 끝부가 진입방향과 직교하는 직선의 위치로 한 경우에 생기는 이대의 부상(浮上)현상을 나타낸 설명도.
제1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대식 주행장치에 있어서 링크가 스프로켓에 감기는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제1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대식 장치에 있어서, 이대받이블록의 배설위치와 이대가 스프로켓에 맞물리는 위치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트랙프레임 13 : 센터프레임
14 : 사이드프레임 15 : 스프로켓 브래킷
18 : 장착판 19 : 상부 보강판
22 : 구동장치 25 : 스프로켓
26 : 아이들러 29 : 이대
30 : 링크 34 : 이대받이블록
35 : 베이스블록 36 : 스키드블록
36B : 이대슬라이드접촉면 36C : 스프로켓측 끝부
37 : 장착볼트(체결부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센터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사이드프레임을 가지고, 이 사이드프레임의 전후방향의 한쪽이 스프로켓측 브래킷으로 되고, 다른쪽이 아이들러측 브래킷이 된 트랙프레임과, 상기 트랙프레임의 스프로켓측 브라켓에 배설된 스프로켓 및 아이들러측의 브래킷에 배설된 아이들러와 상기 스프로켓과 아이들러와의 사이에 감겨진 이대로 이루어진 이대식 주행장치에 적용된다.
그리고, 청구항 1의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스프로켓측 브래킷의 상측면에는 상기 스프로켓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이대가 슬라이드접촉하는 이대슬라이드 접촉면을 가진 블록체로 이루어진 이대받이블록을 설치하는데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프로켓과 아이들러와의 사이에서 주위 회전 구동되는 이대는, 스프로켓측 브래킷의 상면에 배설된 이대받이블록의 이대슬라이드 접촉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스프로켓에 감긴다. 이때, 이대받이블록이 이대를 스프로켓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감기도록 안내함으로써 이대가 스프로켓에 다각형 상으로 감길 때의 상하동을 억제할 수가 있고, 이대와 스프로켓이 맞물릴 때 발생하는 연속 타격음을 감소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스프로켓측 브래킷은, 상기 스프로켓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장착하는 장착판과, 이 장착판을 보강하기 위해 장착판의 주위를 둘러싸고 설치한 보강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이대받이블록은 상기 보강판의 상면에 고착시켜 설치한 구성으로 한데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대받이블록을 스프로켓의 일측면에 배설할 수 있고, 스프로켓에 감기기 직전까지 이대를 이대받이블록의 이대슬라이드 접촉면에 슬라이드 접촉시켜 접선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이대받이블록은 상기 스프로켓측 브래킷에 고착된 베이스블록과, 이 베이스블록에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이대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스키드블록으로 구성하고, 이 스키드블록은 상면이 상기 이대슬라이드 접촉면으로서 형성된 단일 강체(剛體)에 의하여 형성한데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대받이블록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마모된 스키드블록을 교환할 때의 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더욱이, 스키드블록을 단일 강체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이대받이블록을 소형화 할 수 있고, 이 이대받이블록을 스프로켓에 가까운 위치에 배설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이대받이블록의 이대슬라이드 접촉면은 상기 이대가 상기 스프로켓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감기도록 당해 접선에 대하여 평행으로 형성한데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프로켓에 감기는 이대를 이대받이블록의 이대슬라이드 접촉면에 슬라이드 접촉시킬 수 있고, 이대를 스프로켓에 대하여 항상 접선 방향으로 감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이대가 상기 스프로켓에 감길 때의 진입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상기 스프로켓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직선과, 상기 이대받이블록의 스프로켓측 끝부와의 이간치수를 상기 이대를 구성하는 링크 사이의 피치치수에 대하여 0.25∼1배의 범위로 설정한데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대받이블록을 스프로켓에 아주 접근된 위치에 설치하고, 이대를 스프로켓에 대해 접선방향에서 감겨지도록 안내할 수 있고, 이대가 스프로켓에 다각형상으로 감길 때 발생하는 상하동을 이대받이블록에 의해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의 발명은 센터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사이드프레임을 가지고, 이 사이드프레임의 전후방향의 한쪽이 스프로켓측 브래킷으로 되고, 다른쪽이 아이들러측 브래킷으로 된 트랙프레임과, 상기 트랙프레임의 스프로켓측 브래킷에 설치된 스프로켓 및 아이들러측 브래킷에 설치된 아이들러와, 상기 스프로켓과 아이들러와의 사이에 감겨진 이대로 이루어진 이대식 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켓 측 브래킷의 상면에는 상기 스프로켓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이대받이블록을 설치하고, 이 이대받이블록은 상기 이대를 구성하는 링크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을 받는 동시에, 이 링크를 원활하게 이대슬라이드 접촉면을 가진 블록체에 의해 구성한데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대를 구성하는 링크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을 이대받이블록의 이대슬라이드 접촉면에 의해 받을 수 있고, 이 링크를 스프로켓에 향해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이로써, 이대가 스프로켓에 다각형상으로 감겨질 때의 상하동을 억제할 수 있고, 이대와 스프로켓이 맞물릴 때 발생하는 연속 타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제1도 내지 제10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1은 유압쇼벨의 하부 주행체, 12는 이 하부중행체(11)를 구성하는 트랙프레임을 각각 나타내고, 이 트랙프레임(12)은 센터프레임(13)과, 이 센터프레임(13)의 좌우 양측에 배설되고, 전, 후방향으로 신장된 1쌍의 사이드프레임(14)(한쪽만 도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프레임(14)의 전후방향의 일측에는 스프로켓측 브래킷(15)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아이들러측 브래킷(16)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로켓측 브래킷(15)은 제2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프레임(14)의 일측 끝측에 고정된 접속용 끝판(17)에 용접 등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로켓측 브래킷(15)은 후술하는 주행모터(23)를 장착하기 위한 대경공(大徑孔)(18A)을 가지며, 이대경공(18A)의 주위에 복수의 나사구멍(18B)이 형성된 두꺼운 장착판(18)과, 이 장착판(18)의 상측 외주를 덮는 상부 보강판(19)과, 하측 외주를 덮는 하부 보강판(20)과, 장착판(18)의 측면에 고착된 반원호형의 후부보강판(21)으로 구성되어 있다.
22는 스프로켓측 브래킷(15)에 장착된 구동장치를 나타내고, 이 구동장치(2 2)는 주행모터(23)와, 이 주행모터(23)의 회전을 감소시키는 감속기(24)와, 이 감속기(24)의 출력측에 장착된 스프로켓(25)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행모터(23)의 출력을 감속기(24)로 감속하여 스프로켓(25)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후술하는 아이들러(26)와의 사이에 감겨진 이대(29)가 주위 구동한다.
26은 아이들러측 브래킷(16)에 장착된 아이들러이며, 이 아이들러(26)는 사이드프레임(14)내에 설치된 이대 당김조정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스프로켓(20)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항상 부세되어 스프로켓(20)과의 사이에 감겨진 이대(29)에 적당한 팽팽함을 부여하고 있다.
27, 27은 사이드프레임(14)의 상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상롤러이며, 이 각 상롤러(27)는 이대(29)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면서 이 이대(29)가 사이드프레임(14)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28, 28, … … 는 사이드프레임(1 4)의 하면측에 줄지어 설치된 복수의 하측 롤러이며, 이 각 하측 롤러(28)는 스프로켓(25) 및 아이들러(26)와 함께 이대(29)상에서 사이드프레임(14)을 지지하는 것이다.
29는 스프레켓(25), 아이들러(26), 각 상롤러(27) 및 각 하측 롤러(28)에 감겨진 이대를 표시한다. 이 이대(29)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링크(30)를 핀(31)에 의해 순차로 연결함으로써 무단형(無端형)으로 형성되고, 핀( 31)의 외주측에는 스프로켓(25)에 맞물리는 원통형 부시(32)를 끼우고, 또한 각 링크(30)에 각각 판형 슈(33)를 고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34는 스프로켓(25)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스프로켓측 브래킷(15)의 상면에 설치된 이대받이블록을 나타내고, 이 이대받이블록(34)은 후술하는 베이스블록(35), 스키드블록(36)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35는 스프로켓측 브래킷(15)을 구성하는 상부 보강판(19)의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된 베이스블록이며, 이 베이스블록(35)은 직방체형으로 형성된 강제(鋼製)블록체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은 3개의 관통공(35A)이 뚫여 있다.
36은 베이스블록(35)에 고정된 스키드블록이며, 이 스키드블록(36)은 사다리꼴로 형성된 강체 블록체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에는 베이스블록(35)의 각 관통공(35A)과 같은 피치로 3개의 나사구멍(36A)이 나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블록(35)의 각 관통공(35A)에 삽통된 체결부재로서의 장착볼트(37)을 스키드블록(36)의 각 나사구멍(36A)에 틀어 끼움으로써 베이스블록(35)에 스키드블록(36)이 체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스키드블록(36)의 상면에는 이대(29)를 구성하는 각 링크(30)의 하면이 슬라이드 접촉함으로써, 각 링크(30)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을 받는 이대슬라이드 접촉면(36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이대슬라이드 접촉면(36B)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대(29)가 스프로켓(25)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감겨질 때 스프로켓( 25)의 피치원 P 에 대한 접선 L 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키드블록(36)의 전후방향의 양끝부는 곡면형상으로 모따기되고, 이대(29)의 각 링크(30)가 스키드블록(36)에 슬라이드 접촉할 때에 각 링크(30) 사이의 이음새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리하여, 이대(29)를 구성하는 각 링크(30)의 하면이 스키드를록(36)의 이대슬라이드 접촉면(36B)에 항상 슬라이드접촉함으로써, 이대(29)를 스프로켓(25)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감아 들이는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고, 이대(29)가 스크로켓( 25)에 맞물릴 때 발생하는 연속 타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대(29)가 상기 접선 L 에 따라 스프로켓 (25)에 감길 때의 진입방향의 연장선을 M, 이 진입방향의 연장성 M 과 직교하고, 스프로켓(25)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N, 이 직선 N 과 스키드블록(36)중 스프로켓(25)측에 위치하는 끝부(스크로켓측 끝부)(36C)와의 이간치수를 Q, 이대(29)를 구성하는 각 링크(30)간의 피치치수를 R 이라 하면, 상기 이간치수 Q 는 각 링크(30)간의 피치치수 R 의 0.5배(Q= .05R)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입방향의 연장선 M 은 이대(29)의 각 링크(30)가 스프로켓(25)에 감겨지기 직전까지는 스프로켓(25)의 피치원 P 에 대한 접선 L 에 일치되어 있다.
이로써, 이대(29)가 스프로켓(25)에 감겨지기 직전까지 이 이대(29)의 하면을 스키드블록(36)의 이대슬라이드 접촉면(36B)에 슬라이드 접촉시킬 수가 있고 스프로켓(25)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감기도록 이대(29)를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것으로, 이대(29)는 스프로켓(25), 아이들러(26), 상측 롤러(27) 및 하측 롤러(28)에 감겨지고, 아이들러(26)와 사이드 프레임(14)과의 사이에 설치된 이대 당김조정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적당한 팽팽함이 부여된다. 이 상태에서 스프로켓(25)을 회전 구동하면, 이 스프로켓(25)이 이대(29)를 구성하는 각 부시(32)에 순차 맞물리므로써 이대(29)가 주위 회전 구동되고, 하부중행체(11)가 주행(후진)한다.
이때, 스프로켓측 브래캣(15)의 상부 보강판(19)상에 설치된 스키드블록(36)은 이대슬라이드 접촉면(36B)을 각 링크(30)의 하면에 항상 슬라이드접촉시킴으로써 각 링크(30)의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받는다. 이로써,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링크(30)가 시점 T1∼T5의 사이에 서서히 스프로켓(25)에 감길 때, 부시( 32)는 화살표 S로 표시한 바와 같은 원활한 궤도를, 그리고 각 부시(32)의 중심을 잇는 선이 스프로켓(25)의 피치 원 P 에 대하여 접선 L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리하여, 스키드블록(36)이 이대(29)의 각 링크(30)를 스프로켓(25)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감아 들이도록 안내함으로써, 이대(29)가 스프로켓(25)에 다각형상으로 감길 때의 상하동을 억제할 수 있고, 이대(29)의 각 부시(32)가 스프로켓 (25)에 맞물림으로써 발생하는 연속 타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대받이블록(34)을 스프로켓측 브래킷(15)의 상부 보강판(19)상에 고착한 베이스블록(35)과, 이 베이스블록(35)에 장착볼트(37)에 의해 체결된 단일 블록체로 이루어진 스키드블록(36)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예를 들면 종래 기술과 같은 전륜체를 사용할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을 대폭적으로 간소화할 수가 있다.
이로서, 부품개수의 삭감에 의한 코스트 저감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장기간에 걸친 사용으로 인하여 스키드블록(36)이 마모된 경우에, 이 스키드블록(36)을 교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단일블록체로 이루어진 스키드블록(36)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전륜체 등을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이대받이블록(34) 전체를 소형화 할 수 있다. 그래서, 스키드블록(36)을 스프로켓(25)에 아주 가까운 위치에 배설하고, 스프로켓(2 5)에 감기기 직전까지 이대(29)의 각 링크(30)를 스키드블록(36)의 이드슬라이드 접촉면(36B)에 슬라이드 접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이대(29)가 스프로켓(25)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선방향으로 감기고, 이대(29)의 각 부시(32)가 스프로켓(25)에 맞물림으로써 발생하는 연속 타격음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9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이 변형예에서는 스키드블록 (36')의 스프로켓측 끝부(36C')와 상기 직선 N 과의 이간치수 Q를, 이대(29)를 구성하는 각 링크(30)간의 피치치수 R 의 1배(Q=P)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변형예에 있어서도 이대(29)가 주위 회전구동할 때에 스키드불록(36')은 이대슬라이드 접촉면(36B')을 각 링크(30)의 하면에 항상 슬라이드 접촉시켜서 이대(29)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이로써,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링크(30)가 시점 T1∼T5의 사이에 서서히 스프로켓(25)에 감겨질 때, 부시 (32)는 화살표 S로 표시한 바와 같은 매끄러운 궤도를 그리며, 각 부시(32)의 중심을 잇는 선이 스프로켓(25)의 치치원 P에 대하여 접선 L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리하여, 이대받이블록(34)이 이대(29)를 스프로켓(25)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감도록 안내함으로써 이대(29)가 스프로켓(25)에 다각형상으로 감길 때의 상하동을 억제할 수 있고, 이대(29)의 각 부시(32)가 스프로켓(25)에 맞물림으로써 연속 타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비교예로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대슬이드 접촉면(41A)의 전후방향의 길이치수를 크게 한 스키드블록(41)을 사용함으로써, 이 스키드블록 (41)의 스프로켓측 끝부(41B)와 상기 직선 N 과의 이간치수 Q 를 0(Q = 0)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이대(29)가 스프로켓(25)에 감겨진 후에 부상(浮上)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하, 이 부상현상에 대하여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0도에 있어서, 스키드블록(41)은 스프로켓측 끝부(41B)와 상기 직선 N 과의 이간치수 Q 가 0(Q = 0)이 되는 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여기서, 링크(30)는 스키드블록(41)의 이대슬라이드접촉면(41A)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시점 T1∼T5의 사이에 서서히 스프로켓(25)에 감기지만, 시점 T4에 있어서 링크(30)의 하면이 스키드블록(41)의 스프로켓측 끝부(41B)에 점 접촉하고, 이 스프로켓측 끝부(41B)를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이 생긴다. 그래서, 이어지는 시점 T5에 있어서는 부시(32)가 스프로켓(25)의 치면(齒面)으로부터 부상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 결과, 링크(30)가 스프로켓(25)에 감겨질 때에 부시(32)는 만곡선 S' 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은 궤도를 그리게 된다. 이리하여, 이대(29)가 스프로켓(25)에 감길 때에, 부시(32)가 상하동하면서 스프로켓(25)에 맞물려서 연속 타격음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링크(30)의 하면측이 스키드블록(41)의 스프로켓측 끝부(41B)에 점 접촉함으로써 스키드블록(41)의 마모를 촉진시키는 문제도 생긴다.
그래서, 스키드블록(36)의 전후방향의 배설위치를 변화시키고, 이 스키드블록(36)의 스프로켓측 끝부(36C)와 상기 직선 N 과의이간치수 Q를 조정하였다. 이것에 의하면, 이간치수 Q는 이대(29)를 구성하는 각 링크(30)간의 피치치수 R의 0.25배(Q = 0.25R)로 설정한 경우에는 스프로켓(25)의 치면으로부터의 부시(32)의 부상현상이 실용상 문제가 되지 않는 정도까지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스키드블록(36)의 스프로켓(36C)과, 이대(29)가 스프로켓( 25)에 감길 때의 진입방향과 직교하는 직선 N 과의 이간치수 Q를, 이대(29)를 구성하는 각 링크(30)의 피치치수 R 의 0.25∼1배(Q = 0.25R∼1.0R)의 범위내로 설정하면 이대(29)가 스프로켓(25)에 감겨질 때에 스프로켓(25)과 부시(32)가 맞물림으로써 연속 타격음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대(29)가 스프로켓(25)에 감겨진 후에 부상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로켓 브래킷(15)의 상부 보강판(19)상에 이대받이블록(34)을 설치하고, 이 이대받이블록(34)를 구성하는 스키드블록(36)에 설치한 이대슬라이드접촉면(36B)을 이대(29)를 구성하는 각 링크(30)의 하면에 항상 슬라이드접촉됨으로써, 이대(29)를 스프로켓(25)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감아 들일 수 있다. 이로써, 이대(29)가 다각형상으로 스프로켓(25)에 감길 때의 상하동을 억제할 수가 있고, 스프로켓(25)과 이대(29)의 부시(32)가 맞물림으로써 발생하는 연속 타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대받이블록(34)을 스프로켓측 브래킷(15)의 상부 보강판(19)상에 고착된 베이스블록(35)과, 이 베이스블록(35)에 장착볼트(37)를 통해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스키드블록(36)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예를 들면 전륜체 등에 의해 이대를 안내하는 구성에 비해 이대받이블록(34)의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다.
이로서, 이대받이블록(34)의 부품개수를 삭감할 수 있어서, 이대식 주행장치 전체의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대받이블록(34)이 마모된 경우에 단일 블록체로 이루어진 스키드블록(36)만을 교환함으로써 이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키드블록(36)의 스프로켓측 끝부(36C)와, 이대(29)가 스프로켓(25)에 감겨질 때의 진입방향으로 직교하고 스프로켓(25)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직선 N 과의 이간치수 Q를 이대(29)를 구성하는 각 링크(30)간의 피치치수 R 의 0.25∼1배의 범위내로 설정함으로써, 스키드블록(36)을 스프로켓(25)에 아주 가까운 위치에 배설할 수 있다. 이로써, 스프로켓(25)에 감겨지기 직전까지 이대(29)의 각 링크(30)를 스키드블록(36)의 이대슬라이드접촉면(36B)에 슬라이드접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이대(29)의 각 부시(32)가 스프로켓(25)에 맞물릴 때의 연속 타격음을 한층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이대(29)가 스프로켓(25)에 감겨진 후의 부상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압쇼벨의 하부 주행체에 사용한 이대식 주행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압크레인등의 다른 장궤식(裝軌式) 차량의 하부 주행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스프로켓측 브래킷 상면에 이대가 슬라이드접촉하는 이대슬라이드접촉면을 가진 블록체로 이루어진 이대받이블록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주위 회전구동하는 이대가 이대받이블록의 이대슬라이드접촉면에 슬라이드접촉하면서 스프로켓에 감겨질 때, 이 이대를 스프로켓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감아 들이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로써, 이대가 스프로켓에 다각형상으로 감길 때의 상하동을 억제할 수 있고, 이대와 스프로켓이 맞물릴 때에 발생하는 연속 타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대받이블록을 이대슬라이드접촉면을 가진 블록체로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윤전체를 사용할 경우에 비해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대식 주행장치 전체의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는 외에 이대받이블록의 장착 시나 교환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스프로켓측 브래킷을 스프로켓의 구동장치를 장착하는 장착판과, 이 장착판을 보강하는 보강판으로 구성하고, 이 보강판의 상면에 이대받이블록을 고착하여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이대받이블록을 스프로켓 일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스프로켓에 감겨지기 직전까지 이대를 이대받이블록의 이대슬라이드접촉면에 슬라이드접촉시켜서 접선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이대가 스프로켓에 감겨질 때에 발생하는 연속 타격음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이대받이블록을 스프로켓측 브래킷에 고착된 베이스블록과, 이 베이스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단일 강체로 이루어진 스키드블록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예를 들면, 전륜체 등을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이대받이블록 전체를 소형화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대받이블록을 스프로켓에 아주 가까운 위치에 배설할 수 있고, 이대를 스프로켓에 감겨지기 직전까지 스키드블록에 의해 접선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마모된 스키드블록을 교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이대받이블록의 이대슬라이드접촉면을 이대가 스프로켓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감겨지도록 당해 접선에 대해 평행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이대받이블록의 이대슬라이드접촉면에 슬라이드접촉하면서 스프로켓에 감겨지는 이대를 스프로켓에 대해 항상 접선방향으로 감아 들이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이대받이블록의 스프로켓측 끝부와 이대가 스프로켓에 감겨질 때의 진입방향에 직교하여 스프로켓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직선과의 이간치수를, 이대를 구성하는 각 링크의 피치치수의 0.25∼1배의 범위내에 설정하였으므로 이대받이블록을 스프로켓에 아주 근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스프로켓에 감겨지기 직전까지 이대를 스프로켓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감겨지도록 안내할 수 있고, 이대가 스프로켓에 감길 때의 타격음을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이대가 스프로켓에 감겨진 후의 부상현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스프로켓측 브래킷의 상면에 스프로켓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이대받이블록을 설치하고, 이 이대받이블록의 이대슬라이드접촉면에 의해 이대를 구성하는 링크의 상하방향의 움직이을 받는 동시에 이 링크를 스프로켓에 향해서 원활하게 안내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각 링크가 스프로켓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감겨지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이대가 스프로켓에 다각형상으로 감겨질 때의 상하동을 억제할 수 있고, 이대와 스프로켓이 맞물릴 때 발생하는 연속 타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센터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사이드프레임을 가지고, 이 사이드프레임의 전후방향의 일측이 스프로켓측 브래킷이 되고, 타측이 아이들러측 브래킷으로 된 트랙프레임과, 상기 트랙프레임의 스프로켓측 브래킷에 설치된 스프로켓 및 아이들러측 브래킷에 설치된 아이들러와, 상기 스프로켓과 아이들러와의 사이에 감겨진 이대로 이루어진 이대식 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켓측 브래킷의 상면에는 상기 스프로켓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이대가 슬라이드접촉하는 이대슬라이드접촉면을 가진 블록체로 이루어진 이대받이블록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대식 주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켓측 브래킷은 상기 스프로켓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장착하는 장착판과, 이 장착판을 보강하기 위해 장착판의 주위를 둘러싸서 설치한 보강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이대받이블록은 상기 보강판의 상면에 고착하여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대식 주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대받이블록은 상기 스프로켓측 브래킷에 고착된 베이스블록과, 이 베이스블록에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대에 슬라이드접촉하는 스키드블록으로 구성하고, 이 스키드블록은 상면이 상기 이대슬라이드접촉면으로서 형성된 단일 강체에 의해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대식 주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대받이블록의 이대슬라이드접촉면은 상기 이대가 상기 스프로켓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감기도록 당해 접선에 대해 평행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대식 주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대가 상기 스프로켓에 감길 때의 진입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상기 스프로켓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직선과, 상기 이대받이블록의 스프로켓측 끝부와의 이간치수를, 상기 이대를 구성하는 링크의 피치치수에 대하여 0.25∼1배의 범위내로 설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대식 주행장치.
  6. 센터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사이드프레임을 가지고, 이 사이드프레임의 전후 방향의 일측이 스프로켓측 브래킷이 되고, 타측이 아이들러측 브래킷으로 된 트랙프레임과, 상기 트랙프레임의 스프로켓측 브래킷에 설치된 스프로켓 및 아이들러측 브래킷에 설치된 아이들러와, 상기 스프로켓과 아이들러와의 사이에 감겨진 이대로 이루어진 이대식 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켓측 브래킷의 상면에는 상기 스프로켓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이대받이블럭을 설치하고, 이 이대받이블럭은 상기 이대를 구성하는 링크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을 받는 동시에 이 링크를 원활하게 안내하는 이대슬라이드접촉면을 가진 블록체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대식 주행장치.
KR1019960064804A 1995-12-27 1996-12-12 이대식 주행장치 KR100245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449495 1995-12-27
JP354494 1995-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016A KR970042016A (ko) 1997-07-24
KR100245049B1 true KR100245049B1 (ko) 2000-03-02

Family

ID=1843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804A KR100245049B1 (ko) 1995-12-27 1996-12-12 이대식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0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016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6084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duce vibrations on a tracked work machine
US20060028066A1 (en) Tracked travel device
JP3718016B2 (ja) 履帯式走行装置
JP2002362441A (ja) 装軌式作業車両の走行装置
KR100245049B1 (ko) 이대식 주행장치
EP1167168A3 (de) Führung für eine Endloskette eines Raupenfahrwerkes
US20040079004A1 (en) Crawler traveling device
US6435628B1 (en) Guiding arrangement for a track type work machine
JP2001310789A (ja) 鞍乗型車両における動力伝達チェーンのガイド装置
JP2007290659A (ja) トラックローラガード
JP2003201084A (ja) 乗客コンベア
CN100494035C (zh) 输送装置
JPS6039343Y2 (ja) 装軌車両の足まわり装置
JPH04133878A (ja) 装軌車両のゴム履帯
JPH10167130A (ja) 履帯式走行装置
JPH03235768A (ja) ゴム履帯の芯金
JP3616596B2 (ja) 弾性クローラ
KR100325551B1 (ko) 무심금 궤도
JP3198245B2 (ja) 脱輪防止ゴムクロ−ラ及びその芯金
JP3507231B2 (ja) 履帯式走行装置
JPH10250650A (ja) 履帯式作業車両及びそのゴム履帯
JPH0761378A (ja) 装軌式車両の下部走行体
JP4444434B2 (ja) クローラ式走行体の上部ローラ支持構造
JPH03235766A (ja) ゴム履帯のラグパターン
JPH07117735A (ja) 作業車輌の走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