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733B1 - 전기콘택트 - Google Patents

전기콘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733B1
KR100244733B1 KR1019920009598A KR920009598A KR100244733B1 KR 100244733 B1 KR100244733 B1 KR 100244733B1 KR 1019920009598 A KR1019920009598 A KR 1019920009598A KR 920009598 A KR920009598 A KR 920009598A KR 100244733 B1 KR100244733 B1 KR 100244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pring
outer back
spring arms
sp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할트에게놀프
Original Assignee
에이.엠.피.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엠.피.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이.엠.피.인코포레이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the spring member surrounding the socke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플러그 접속용 전기 코넥터(11)는 1쌍의 콘택트 스프링 아암(25)과 그리고 이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의 외측상에 1쌍의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이 배치된 외부 백-업 스프링(13)을 포함한다. 이 콘택트(11)속에 삽입되는 태브 콘택트의 삽입력을 줄이기 위해, 2개의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이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25)들로부터 떨어져서 최소간격보다 더 펼쳐지도록 허용하는 간격유지수단(53)에 의해 예정된 간격으로 유지되어진다.

Description

전기 콘택트
제 1 도는 본발명에 따른 콘택트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1도 콘택트의 저면도.
제 3 도는 그의 상면도.
제 4 도는 그의 종면도.
제 5 도는 수용챔버들을 가지는 절연하우징에 있어, 수용챔버에 본발명에 따른 콘택트가 삽입된 것을 예시하는 부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기 콘택트 13 : 외부 백-업 스프링
21 : 콘택트 본체 25 : 콘택트 스프링 아암
39 : 외부 백-업 스프링본체 45 : 외부 백-업 스프링아암
53 : 간격유지수단
본발명은 플러그접속용 전기 콘택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트 본체로부터 적어도 1쌍의 콘택트 스프링 아암이 길게 뻗어서 이들 아암들이 서로 협동하여 태브 콘택트를 플러그형식으로 수용되도록 하며, 또한 적어도 1쌍의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이 길게 뻗어있는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를 가지며, 상기 각 스프링 아암은 관련된 콘택트 스프링 아암의 의측을 따라 길게 뻗어있는 전기 콘택트에 관한 것이다.
이런 형식의 전기 콘택트는 독일특허 명세서 3248078에 공지되어 있다.
이와같은 전기 콘택트들은 통상적으로 단일편의 시이트금속으로 각인(刻印)되며 또한 굽힘가공되어 플러그형 콘택트를 형성하게 된다. 콘택트 스프링 아암들은 따라서 동일재료로 이루어지며 콘택트의 나머지부분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이런 방도로 획득가능한 콘택트 스프링 아암의 스프링 힘은 충분하지 못하다. 이러한 원인은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이 외측으로부터 콘택트 스프링 아암에 대해 압착하는 외부 백-업 스프링에 의해 소정의 스프링 힘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콘택트 스프링 아암들사이에 삽입된 상보적인 콘택트가 태브 콘택트일때, 콘택트 스프링 아암의 접촉위치들은 콘택트 스프링 아암의 스프링 힘뿐만 아니라 콘택트 스프링 아암의 스프링 힘과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의 스프링 힘의 합계로 되는 접촉력으로서 태브 콘택트의 양 측면에 결합하게 된다. 외부 백-업 스프링 재료의 형식 및 두께가 콘택트의 재료 및 그의 두께에 따라 선택될 필요가 없다는 사실로 인해, 그와같은 외부 백-업 스프링은 외부 백-업 스프링을 가지지 않는 콘택트에 비해, 양사이에 삽입된 태브 콘택트상의 콘택트 스프링 아암들에 의해 발휘될 수 있는 접촉력은 상당한 증가치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와 태브사이에는 고접촉력 및 양호하고도 신뢰성있는 전기접속이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잇점을 얻기 위해서는 수용콘택트와 태브콘택트의 취합을 위해 상응하는 고취합력이 가해져야만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어려움은 다수의 콘택트를 가지는 다극 코넥터(mu1ti-pole connector)에서 특히 그러하다. 그와같은 다극 코넥터가 상응하는 수의 태브콘택트를 가지는 상보코넥터와 맞추어졌을때, 모든 콘택트 스프링아암의 스프링 힘과 모든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의 스프링 힘을 합한 값에 일치하는 취합력이 가해져야만 한다.
본발명의 목적은 필요한 취합력을 상당히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외부 백-업 스프링으로서 높은 접촉력을 유지할 수 있는, 외부 백-업 스프링을 갖춘 전기 콘택트를 제작하는데 있다.
초기에 지적한 형식의 전기 콘택트에 대해, 이 목적은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의 자유단들이 간격유지수단에 의해 서로 최소의 간격으로 유지되고 콘택트 스프링 아암들은 태브 콘택트의 두께보다 작은 예정된 간격으로 서로 떨어진 다음에야만 각기 관련된 외부 백-업 스프링과 맞닿게 되고, 그리고 이 간격 유지수단은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으로부터 상기 최소간격보다 더 멀리 펼쳐질 수 있게 된다는 것으로서 충족된다.
본발명의 대표적인 구현예에 있어, 백-업 스프링 아암들은 그들의 폭방향으로 각기 관련된 콘택트 스프링 아암의 양 측면상에 돌출하는 폭확장부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들사이의 각 확장부 영역에는 간격 유지용 돌출부가 콘택트 스프링 아암들과 접촉하지 않는 깊이까지 돌출하고 있다.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의 탄성운동 방향으로의 간격유지용 돌출부의 폭은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이 간격유지수단에 의해 이격되어지는 소정의 최소거리에 상응한다. 가급적, 간격유지용 돌출부들은 콘택트의 측벽으로부터 절결된 간격유지용 러그 및/ 또는 외부 백-업 스프링의 형태로 제공되며 또한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의 돌출확장부들 사이의 영역으로 구부러진다.
본발명에 따른 콘택트의 기타 개선점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나 있다. 그럼 본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을 첨부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리셉터클 콘택트형태로 구성되고 또한 외부 백-업 스프링(13)을 갖춘 플러그 접속식 콘택트(11)를 보여준다. 외부 백-업 스프링(13)에 의해 감추어진 콘택트(11)의 이들 부분들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콘택트(11)는 공지된 방식의 도체 압착부(17)와 절연압착부(19)를 가지는 와이어 결합부분(15)을 포함한다. 도체 압착부(17)는 와이어의 노출전기도체에 압착되어진다. 절연압착부(19)는와이어의 잔여절연자젯에 압착되어진다.
콘택트(11)는 상기 와이어 결합부분(15)에 이어지는 콘택트 본체(21)를 갖는데, 도시한 구헌예에서는 장방형 횡단면의 폐쇄된 상자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1쌍의 콘택트 스프링 아암은 콘택트 본체(21)의 취합측 종단(23)으로부터 돌출한다. 2개의 콘택트 스프링 아암(25) 각각은 콘택트본체(21)의 양 측벽(27,29) 각각의 내부구성부를 이룬다.
도면에 도시한 콘택트(11)는 단일평면형 스프링 콘택트이다. 그러나, 이중평면형 스프링 콘택트의 형태도 가능한데, 이때는 2개의 콘택트 아암 각각이 콘택트 본체(21)의 2 측벽 각각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2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은 이들이 콘택트의 선분에 서로 접촉될때까지 모아지는 형태로 서로 앞으로 연장되어 있다. 취합면상에 위치한 콘택트(31)의 측부상에는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의 자유단들은 갈라져서 깔때기형 삽입구(33)가 형성된다. 이 삽입구(33)는 평면형 콘택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이평면형 콘택트는 종종 태브콘택트로서 인용되기도 한다.
콘택트(11)가 단일편의 시이트금속으로부터 각인, 성형되기 때문에, 그의 상자형 콘택트 본체(21)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이음매(35)를 가진다. 제1도에 도시한 구현예에 있어, 이 접촉이음매는 콘택트 본체(21)의 상부역에 위치하며, 이것은 차후 상부부분(37)으로 칭해진다.
외부 백-업 스프링(13)은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를 가지며, 또한 이스프링은 콘택트 본체(21)의 와이어결속 측단부로부터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의 깔때기형 삽입구(33)의 자유단보다 길게 연장된다.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는 장방형으로 폐쇄된 상자형의 상자부분(41)을 가지며, 이 상자부분은 콘택트 본체(21)상에 안착되어 이를 애워싼다.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 각각은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양 측벽(43)으로부터 자유롭게 절단된다. 상자부분(41)으로부터 나온 2개의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은 제1수렴 각도로 서로 모아진다. 그의 자유단(49) 부근에 있는 굽힘선(47)으로부터 시작하여, 2개의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은 더 큰 수렴각도로 서로 모아진다.
제1도의 상부에 도시한,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상부부분(51)으로부터, 간격유지용 러그(53)는 자유롭게 절단되며 그의 자유단은 상부부분(51)에 대해 직각으로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내부로 구부러진다. 제4도에서 명료하게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은 상기 간격유지용 러그(53)의 만곡부분의 종방향으로 콘택트 스프링 아암(25)보다 더 큰 폭을 가져서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의 폭이 연장부(55)의 형태로 양 측부상에서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의 종단부보다 더 연장되어지게 되어 있다.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들사이에 돌출하는 간격유지용 러그(53)의 깊이는 가능한 간격유지용 러그(53)가 하방으로 연장되지 않고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에 까지 도달하도록 하는 방도로 선택된다.
제4도에서 명료하게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간격유지용 러그(53)는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상부부분(51)으로부터 연장하고 있음은 물론, 이 간격유지용 러그(53)는 2개의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의 하부 돌출연장부(55)들 사이에 있는 하부부분(57)으로부터도 길게 연장되어있다.
이 간격유지용 러그(53)들은 외부 백-업 스프링(13)의 연장부의 종방향으로 위치하여 이들이 만곡선(47)의 영역에 있는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들 사이에 놓이도록 한다.
제2도 및 3도에서 명료하게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의 자유단은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의 접촉선(31)의 수준에 위치하지만, 상기 간격유지용 러그(53)에 의해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으로부터 이격유지된다.
태브콘택트(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음)가 양측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사이에 삽입되어질때, 2 콘택트 스프링 아암(25)들을 서로 벌어지게 되며, 일차적으로 2개의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의 스프링 힘에 의해 반발한다. 이들 콘택트 스프링 아암(25)들간의 태브 콘택트의 계속되는 삽입중,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은 결국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25)의 자유단에 접하게 된다. 이들의 더 진전된 삽입시, 콘택트 스프링 아암(25) 뿐만 아니라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은 서로 떨어져서 펼쳐진다. 최종적인 삽입중, 콘택트 스프링 아암(25)및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의 총 스프링 힘은 그와같이 펼쳐지는 것에 반발한다. 이때로부터 시작하여, 이들 그 스프링 힘의 총합에 상응하는 접촉력이 리셉터클 콘택트(11)와 테브콘택트사이에 발생하게 된다.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의 펼침방향으로의 간격유지용 러그(53)의 폭은 접촉선(31)에 있는 2 콘택트 스프링 아암(25)들간의 펼침간격이 태브 콘택트의 두께보다 약간 작도록 선택된다. 이런 치수에 의해 얻어진 효과는 삽입동작의 대부분에 걸쳐,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의 비교적 작은 스프링 힘만으로도 효과적이며, 콘택트 스프링 아암(25) 및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의 총 스프링 힘이 삽입동작의 말기에서만 단지 효과를 발위하게 된다.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측벽(43)의 취합측단으로부터 돌출한 것은 연장된 부분(59)들로서 그들의 자유단의 집중으로 보조깔때기부(61)가 형성되도록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취합측단으로 구부러진다. 이 깔때기부(61)는 테브 콘택트가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의 깔때기형 삽입공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절결자유개구(63)의 취합측단으로부터 언장되면서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45)의 절결자유단에 접하여 형성된 것은 고정용 란스(65)로서 이것은 외향경사져서 돌출하고 또한 이것의 자유단은 와이어 결합부분(15)쪽으로 향하여 있다. 이들 란스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연재료로 된 코넥터 하우징(71)안의 콘택트 수용실(69)의 대응위치에 형성된 고정용 숄더(67)와 상호작용한다.
이 고정용 란스(65)는 가급적 길이가 짧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대략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의 길이의 10∼20%이내이다.
코넥터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실안에 있는 전기 콘택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란스는 콘택트 본체(21)의 영역, 이를테면 와이어 결합부분(15)의 부근의 콘택트의 종방향종심으로 전체 또는 일부의 콘택트의 와이어 결합측면종단에 마련된다. 코넥터의 콘택트들의 와이어 결합부분으로부터 길게 뻗는 전기 와이어들은 작동종 휭방향 힘을 받는다. 이들 힘은 결과적으로 관련 콘택트로 하여금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 피봇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이 피봇운동의 피봇축선은 고정용 란스영역에 위치되어있다. 이 고정용 란스가 콘택트의 와이어 결합측단의 종방향 중앙 또는 그 부근에 종래의 방도대로 배치되었을때, 결합된 와이어상에 작용하는 횡방향 힘은 취합측상의 콘택트의 종방향 단부에 대응하는 고 피봇운동을 유도한다. 이들 강력한 피봇운동은 리셉터클 콘택트와 태브콘택트사이에 접속에 관해 불필요한 기계적 부하를 일으킨다.
이 문제점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취합측단상에 고정용 란스(65)를 구성함으로써 극복된다. 압착결합된 와이어에 가해진 횡방향힘의 결과로서 피봇 운동의 화전축선이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 및 콘택트(11)의 취합측단에 위치한다는 사실로 인해, 콘택트 스프링 아암(25)들과 그들 사이에 삽입된 태브 사이의 접촉부는 피봇운동에 의해 비영향권에 남아 있는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기계적 부하는 크게 피할 수 있다. 더우기, 콘택트 스프링 아암(25)들과 그들 사이에 삽입된 태브 사이에는 보다 큰 공차유격을 가질 수 있다. 이 콘택트 스프링 아암(25)과 이들 사이에 삽입된 태브 사이의 접촉부가 특정 응용부상에 따라 좌우되는 비전류강도를 전도하도록 설계되어져야만 한다는 사실로 인해, 콘택트 스프링 아암(25)과 태브는 콘택트 위치를 가로질러 전류강도를 보낼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운동중에 최소폭만큼 서로 오버랩되어야만 한다. 고정용 란스가 본발명에 따라 위치하여졌을때, 결합된 와이어상에 횡방향 힘이 작용할때 다만 미소한 피봇운동이 일어날 수 있고, 콘택트 스프링 아암(25)과 태브사이의 접촉력 형성겹침부가 와이어 결합부(15)상에 작용하는 피봇힘으로 인해 중요한 의미로서 변화하기 때문에 그 위험은 낮다. 이는 콘택트 스프링 아암(25)과 태브사이의 공차유격을 고정용 란스가 콘택트의 와이어 결합단의 중앙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하있을때 발생하는 바의 강력한 피봇운동의 경우보다 더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도 내지 3도로부터 명료하게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상, 하부부분(51 및 57)의 종연부(73)에는 취합측단의 영역에 있는 외향 볼록 팽출부(75)가 마련된다. 이 볼록 팽출부는 상부부분(51) 또는 하부부분(57)의 평면으로 고정용 란스(65)를 투영하였을때 보는 바와같이, 팽출부의 외형과 인접한 고정용 란스(65)사이의 간격이 코넥터 하우징의 1콘택트(11) 또는 다른 콘택트에 결합되는 가장 얇은 와이어의 두께보다 작은 팽출부로서 제공된다. 이것은 고정용 란스(65)에서 와이어의 엉킴을 방지한다. 이 엉킴은 본 고정용 란스(65)보다 상당히 길고 또한 팽출부(75)의 형태로 와이어의 엉킴 돌출부를 갖는 종래의 고정란스를 가지는 콘택트에서는 심각한 문제점이다. 그와같은 엉킴은 자주 일어나는 것으로서, 특히 하네스의 생산 및 콘택트의 와이어에의 결합이 자동기계에 의해 만들어질때, 관련 콘택트에 결합되는 라인중에 케이블 하네스를 제작 취급하는데 소음을 발생시킨다.
팽출부(75)는 또 다른 기능을 갖는다. 이 팽출부는 콘택트 수용실(69)안에 있는 외부 백-업 스프링(13)을 갖춘 콘택트(11)의 정확한 안내를 유도한다. 이 팽출부(75)는 또한 각인작업종 그의 치수에 대해 아주 잘 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백-업 스프링(13)을 갖춘 콘택트(11)는 콘택트 수용실(69)내에 아주 잘 위치할 수 있게 된다.
팽출부(75)는 결국 외부 백-업 스프링(13)을 갖춘 콘택트(11)가 콘택트(11)의 접촉역에 잘 지지되도록 한다. 콘택트 수용실(69)에 있는 외부 백-업 스프링(13)을 갖춘 콘택트(11)의 텀블링운동의 경우에는, 예컨대, 콘택트에 결합된 와이어에 작용하는 횡방향 힘으로 인해 접촉역은 휴지상태로 남게 된다. 콘택트(11)의 기타부분, 상세하게는 와이어 결합부분(15)은 텀블링에 대해 자유롭다. 따라서, 스페이스(91)가 팽출부(75)와 함께 상호협동하는 부분의 외측에서 콘택트 수용실(69)에 무관하게 남아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외부 백-업 스프링(13)을 갖춘 콘택트(11)의 도입을 용이하게 한다.
외부 백-업 스프링(13)은 콘택트(11)상에 대해 스냅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고정용 란스(77 및 79)는 상, 하부부분(51 및 57)에 마련되고, 고정용 스톱(81)은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상부부분(51)에 마련된다. 이 고정용 란스(77,79) 및 스톱(81)은 상부부분(51) 및 하부부분(57)으로부터 각각 타격당해서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내부로 구부러진다.
고정용 스톱(81)이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내부로 수직연장하는 한편, 고정용 란스(77 및 79)는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내부로 경사져서 돌기하고, 고정용 란스(77,79)의 자유단은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취합측단을 향하여져 있다.
제1도에 도시한 구현예에 있어, 고정용 란스(77,79)는 상부부분(51) 및 하부부분(57)으로부터 자유롭게 절결되어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상자부분(41)속으로 구부러진다. 제2도 내지 5도는 고정용 란스(77,79)에 대해 변형된 구현예를 보여준다. 이 구현예에 있어, 고정용 란스(77 및 79)는 각기 상부부분(51) 및 하부부분(57)의 대응부분이 전단되어 상자부분(41)의 내부로 밀어 넣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고정용 스톱(81)는 동일 방도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행가능한 점으로는 외부 백-업 스프링의 대응부분을 비전단방식으로 내향하여 밀어 넣음으로써, 다시 말하면, 내향한 압력에 의해 리세스를 형성함으로써 고정용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도 포함된다.
고정용 돌기부(77 및 79)에 필요한 탄성작용은 각각의 고정돌기부를 에워싸는 외부 백-업 스프링의 부품에 대한 단성에 의해 이 구헌예에서 실행가능하다.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가 콘택트(11)상에 스냅결합되어졌을때, 고정용 스톱(81)은 콘택트 본체(21)의 취합단에 있는 횡연부 맞은편에 위치하며, 상기 횡연부는 취합측상의 종단부(23)에 의해 구성된다. 고정용 란스(77 및 79)의 자유단은 각각 와이어 결합측상의 횡연부(82)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이 횡연부는 콘택트 본체(21)의 상부부분(37) 및 하부부분(83)의 와이어 결합측단의 절결부에 의해 형성된다.
고정용 란스(77 및 79)의 자유단과 협동하는 와이어 결합측의 횡연부(82)는 콘택트 본체(21)의 상부부분(37) 및 하부부분(83)의 와이어 결합측단에 의해 형성가능하다. 고정용 란스(77,79)와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상부부분(51) 및 하부부분(57)사이의 각도는 비응력상태에서 고정용 란스(77,79)의 자유단이 와이어 결합측상의 횡방향 연부(82)의 수준에 위치되는 각도로 선택된다. 고정용 란스(77 및 79)의 자유단들은 각각 와이어 결합측상의 횡연부(82)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이 횡연부는 콘택트 본체(21)의 상부부분(37) 및 하부부분(83)의 와이어 결합측단에 있는 절결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란스(77 및 79)의 자유단과 협동하는 와이어 결합측 횡연부(82)는 콘택트 본체(21)의 상부부분(37)과 하부부분(83)의 와이어 결합측단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고정용 란스(77,79)와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상부부분(51) 및 하부부분(57)간의 각도는 비응력상태에서 고정용 란스(77,79)의 자유단이 와이어 결합측상의 횡연부의 수준에 위치하는 각도로 선택된다.
콘택트(11)에 장착시키기 위해, 외부 백-업 스프링은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의 취합측 자유단으로부터 콘택트(11)상에 미끄러진다. 이렇게 하는데 있어, 고정용 란스(77)가 콘택트 본체(21)의 취합측 종단부(23)를 타격할때, 그 의자유단이 와이어 결합측상의 횡연부(82)를 가로질러 통과할때까지 그리고 고정용 란스(77 및 79)가 비응력상태로 귀환되도록 될때까지, 이들 란스는 탄성형태로 벗어나서 콘택트 본체(21)의 상부부분(37) 및 하부부분(83)를 가로질러 미끄러진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 고정용 스톱(81)은 와이어 결합부분(15)을 향한 방향으로 외부 백-업 스프링(13)의 더이상의 미끄럼운동이 억제되는 방도로 콘택트 본체(21)의 상부부분(37)의 취합측 종단부(23)와 협동한다. 콘택트(11)의 취합측단을 향한 방향으로의 외부 백-업 스프링(13)의 후향 미끄럼운동은 고정용 란스(77,79)와 횡연부(82)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억제된다. 외부 백-업 스프링(13)은 콘택트 본체(21)상에 스냅결합된 위치에 있게 되어 그곳에서 고정된다.
콘택트상의 관련 고정용 리세스속으로 외부 백-업 스프링상에 배치된 고정용 란스가 이동하거나, 또는 콘택트의 웨브부분부근에 외부 백-업 스프링의 고정용 란스를 굽히는 그런 동작은 본발명에 따른 콘택트 및 외부 백-업 스프링의 설계로 인해 더이상 필요없다. 고정과정에 기여하는 콘택트(11)와 외부 백-업 스프링(13)의 모든 동작은 콘택트(11) 및 외부 백-업 스프링(13)이 평면 각인형 블랭크상에서 이들 블랭크가 콘택트(11)와 외부 백-업 스프링(13)의 형상내로 구부러지기전에 서로 분리되어 있는 한 실행가능하다.
외부 백-업 스프링(13)은 상자 형상의 각인형 시이트금속부품을 굽힘으로써 얻어진다. 그와같은 굽힘증에 형성된 접합 결합부(87)는 용접에 의해 폐쇄된다. 가급적이면 이를 위해 레이저 스폿용접이 이용된다. 2개의 용접스폿부(89)는 제2도 및 4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발명에 따른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가 전체길이에 걸쳐 콘택트 스프링 아암(25)을 둘러싸는 형식의 스프링 본체구조에 의해, 아암의 손상에 대해 양호한 보호책이 동시에 제공되어진다.
예컨대, 보조깔때기부(61)의 뿌리부분에 형성된 라운딩형 코너 및 모서리는 외부 백-업 스프링(13)을 갖춘 콘택트(11)가 코넥터 하우징(71)의 콘택트 수용실(69)에 대해 쉽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와이어 결합측단이 그의 4개의 종측에서 콘택트 본체(21)보다 더 길게 돌기한다는 사실로 인해, 콘택트 또는 외부 백-업 스프링의 모서리 또는 숄더 보다 늦게 폐쇄된 상테에서만 결합하는 2차 고정수단이 코넥터(71)에 형성되어서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39)의 4개의 각 종측의 와이어 결합측상에 보조적인 방도로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적어도 한쌍의 콘택트 스프링 아암이 길게 뻗어서 이 아암들이 태브 콘택트를 플러그형식으로 수용하게끔 서로 협동하는 콘택트 본체를 포함 하고, 그리고 적어도 한쌍의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이 길게 뻗어서 이들 아암 각각이 관련된 콘택트 스프링 아암의 외측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외부 백-업 스프링 본체를 포함하는 외부 백-업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플러그 접속용 전기 콘택트에 있어서,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의 자유단이 태브 콘택트의 두께보다 작은 서로간의 예정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펼쳐진 후에만 콘택트 스프링 아암이 관련된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과 접촉하도록 하는 간격유지수단에 의해 서로 최소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택트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들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최소간격보다 더 펼쳐지도록 허용하는 간격유지수단에 의해 상기 백-업 스프링 아암들이 상기 예정된 간격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택트.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간격유지수단의 부근에서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이 콘택트 스프링 아암보다 더 큰 폭을 가지며 또한 적어도 1종측은 콘택트 스프링 아암 이상으로 돌출하는 폭확장부를 가지며, 간격유지수단은 양측의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간의 상기 돌출확장부의 영역에서 콘택트 스프링 아암과 접촉하지 않는 깊이로 돌기하는 간격유지용 돌출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간격유지용 돌출부는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의 탄성운동의 방향으로 상기 최소간격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택트.
  4.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 각각이 양 단부에 콘택트 스프링 아암에 대해 돌출하는 폭확장부를 가지며, 그리고 간격유지용 돌출부는 양측의 외부 백-업 스프링 아암사이의 각 확장부의 영역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택트.
  5. 제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각각의 간격유지용 돌출부가 콘택트로부터 그리고/또는 외부 백-업 스프링으로부터 오부 백-업 스프링 아암의 관련된 돌출확장부사이로 구부러진 간격유지용 러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택트.
KR1019920009598A 1991-06-03 1992-06-03 전기콘택트 KR100244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G9106773.1 1991-06-03
DE9106773U DE9106773U1 (de) 1991-06-03 1991-06-03 Elektrischer Steckkontak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4733B1 true KR100244733B1 (ko) 2000-02-15

Family

ID=686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598A KR100244733B1 (ko) 1991-06-03 1992-06-03 전기콘택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46390A (ko)
EP (1) EP0517139B1 (ko)
KR (1) KR100244733B1 (ko)
BR (1) BR9202111A (ko)
DE (2) DE9106773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25136D0 (en) * 1992-12-01 1993-01-20 Amp Gmbh Electrical socket terminal
GB9225885D0 (en) * 1992-12-11 1993-02-03 Amp Gmbh Vibration proof electrical receptacle
DE4321549C2 (de) * 1993-06-29 2000-03-30 Framatome Connectors Int Flachkontaktsteckhülse
GB9315160D0 (en) * 1993-07-22 1993-09-08 Amp Gmbh Electrical terminal for use with short circuit spring contacts
GB9406934D0 (en) * 1994-04-07 1994-06-01 Amp Gmbh Electrial terminal back-up spring with anti-chattering support members
GB9411809D0 (en) * 1994-06-13 1994-08-03 Amp Gmbh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DE19517353C1 (de) * 1995-05-11 1996-04-04 Siemens Ag Kontaktfeder
DE19535148A1 (de) * 1995-09-21 1997-03-27 Whitaker Corp Teil eines elektrischen Kontaktes und elektrischer Kontakt
US6062918A (en) * 1996-07-01 2000-05-1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receptacle contact assembly
JP3518178B2 (ja) * 1996-07-25 2004-04-12 住友電装株式会社 雌側端子金具
JP3509401B2 (ja) * 1996-07-25 2004-03-22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3159073B2 (ja) * 1996-08-08 2001-04-23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
DE19835020C2 (de) * 1998-08-03 2001-02-08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Buchsenkontakt
CA2351283A1 (en) 2001-06-22 2002-12-2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tab-receiving insulated spring sleeve and a dual contact pairs of spaced apart contact members and tails
JP4007279B2 (ja) * 2003-08-07 2007-11-14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DE102005051724B4 (de) * 2005-10-27 2007-10-25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Elektrischer Kontakt
US7976353B2 (en) * 2006-09-29 2011-07-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wo-piece electrical terminal
DE102007044412A1 (de) 2007-09-18 2009-03-19 Lear Corp., Southfield Elektrische Verbinderbaugruppe
US8662935B2 (en) * 2009-10-26 2014-03-04 Molex Incorporated Miniature receptacle terminals
DE102012017949A1 (de) * 2011-09-28 2013-03-2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nschlusspassstück
EP2642598B1 (en) * 2012-03-19 2017-09-13 Yazaki Europe Ltd Electric terminal
US9548553B2 (en) 2013-03-15 2017-01-17 Lear Corporation Terminal with front end protection
US9142902B2 (en) 2013-08-01 2015-09-22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US9190756B2 (en) 2013-08-01 2015-11-1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US9711926B2 (en) 2013-11-19 2017-07-18 Lear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n interface for an electrical terminal
EP3096409B1 (en) * 2015-05-22 2020-02-19 Yazaki Europe Ltd A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s
TWI734244B (zh) * 2019-11-04 2021-07-21 大陸商東莞訊滔電子有限公司 電性端子以及電連接器
CN113363748B (zh) * 2020-03-05 2023-12-0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连接器以及插座端子
JP7073429B2 (ja) * 2020-03-18 2022-05-2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及び、端子付き電線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236405U1 (de) * 1982-12-24 1984-10-04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Doppelflachfederkontakt mit Überfeder
JPS59138185U (ja) * 1983-03-04 1984-09-14 ホシデン株式会社 ジヤツク
DE3510865A1 (de) * 1985-03-26 1986-10-02 Grote & Hartmann Kastenfeder
JPS61237375A (ja) * 1985-04-11 1986-10-22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レセプタクル端子
FR2621180B1 (fr) * 1987-09-28 1990-01-12 Francelco Sa Borne de contact electrique de type c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202111A (pt) 1993-02-02
DE9106773U1 (de) 1991-07-18
EP0517139B1 (en) 1997-08-13
DE69221539T2 (de) 1998-01-29
US5246390A (en) 1993-09-21
DE69221539D1 (de) 1997-09-18
EP0517139A2 (en) 1992-12-09
EP0517139A3 (en) 199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733B1 (ko) 전기콘택트
EP0517077B1 (en) Electrical contact
EP0517076B1 (en) Electrical contact
EP0678936B1 (en) Miniature anti-fretting receptacle terminal
EP0600419B1 (en) Electrical socket terminal
US5951336A (en) Terminal fitting
EP0877390B1 (en) Female electrical terminal
EP1174948B1 (en) A shielding terminal and a mounting method therefore
US6439935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EP0727842A2 (en) One-piece receptable terminal
EP0688065A2 (en)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EP0700124A2 (en) Electrical contact having improved locking lances
US5624289A (en) High current receptacle terminal
US7014515B2 (en) Female terminal for a flat male terminal
JP2644548B2 (ja) 電気コネクタ
EP0089747B1 (en) Electric socket terminal
JPH0613119A (ja) ソケット型電気端子
JPH07272784A (ja) リ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
EP0959531B1 (en) Single piece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JP3273967B2 (ja) リセプタクル型コンタクト
JP3307877B2 (ja) 電気コンタクト
JPH08315888A (ja) 電気端子
JPH0613118A (ja) リセプタクル型コンタクト
EP0600420B1 (en) Electrical socket terminal
JP2002231360A (ja) 雌型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