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615B1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615B1
KR100244615B1 KR1019970704748A KR19970704748A KR100244615B1 KR 100244615 B1 KR100244615 B1 KR 100244615B1 KR 1019970704748 A KR1019970704748 A KR 1019970704748A KR 19970704748 A KR19970704748 A KR 19970704748A KR 100244615 B1 KR100244615 B1 KR 10024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waist
edge
longitudinal end
wr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1359A (ko
Inventor
유키오 헤키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19980701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61F13/4901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2013/4904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 A61F2013/4904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being stretchable non-elastic panels
    • A61F2013/4904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being stretchable non-elastic panels at the e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일회용 기저귀는 흡수부, 상기 흡수부의 하나의 종방향 말단 부분의 대향된 측면 가장자리들로부터 각각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귀부, 및 상기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부착된 2 개의 고착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측면 가장자리는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 및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을 가지며, 상기 각귀부은 응력 이완 구조물을 갖고, 이때 상기 귀부의 주변부에서 유도된 것보다 작은 인장 응력이 상기 주변부이의의 부분에서 유도되며, 상기 각각의 고착 수단은 측면 가장자리의 당김 구역에서 귀부에 부착되고, 이때 상기 고착 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의 성분 인장력이 원하는 분배비율로 흠수부의 허리 랩핑부와 다리 랩핑부에 분배되도록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의 적어도 일부와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의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일회용 기저귀
[기술분야]
본 발명은 흡수부, 이 흡수부의 한 종방향 말단 부분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귀부, 및 이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에 제공된 각각 두 고착 수단을 가지고, 흡수부에 가해진 인장력을 허리 주위와 다리 주위의 고착수단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배시켜 일희용 기저귀의 가장자리와 착용자의 허리 및 다리 사이의 공간을 통한 액체 배설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자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공지된 일회용 기저귀는 상면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사이에 흡수 코어를 삽입하여 형성한, 착용자의 가랑이를 덮기 위한 흡수부, 이 흡수부의 한 종 방향 말단 부분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여 착용자의 허리를 둘러싸는 한 쌍의 귀부, 및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제공된 두 고착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할 때, 일회용 기저귀를 통상의 방식으로 착용자에게 입힌 후, 고착 수단을 각각 고착 수단의 반대쪽에서 허리를 둘러싸는 흡수부의 일부에 부착시켜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에게 고정시킨다. 이렇게 착용자에게 입힐 때,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의 허리와 다리에 정합되어 일회용 기저귀와 착용자의 허리 및 다리 사이애 액체 배설물이 누출할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야 한다.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제공된 고착 수단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할 때, 흡수부에 가해진 인장력을 고착 수단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와 다리를 둘러싸는 흡수부 부분에 효과적으로 집중시키는 것이 어렵다. 즉,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의 허리에 정합된다면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공간이 형성되어 이 다리 주위의 공간을 통해 액체 배설물이 바깥쪽으로 누출되거나, 또는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의 다리에 정합된다면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의 허리 주위를 꼭 둘러싸지 못하여서 허리 주위의 공간을 통해 액체 배설물이 바깥쪽으로 누출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착용자의 허리와 다리에 대한 일회용 기저귀의 정합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개선방법이 제안되었다. 허리와 다리 둘 다에 대한 일회용 기저귀의 정합을 개선시키는 기법은 알레드(Aled)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80,030 호, 아르(Ah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26,499 호 및 슈라이너(Schreine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37,887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에서는 각각 허리를 둘러싸는 일회용 기저귀의 일부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귀부에 부착된 두 쌍의 고착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 기술의 일회용 기저귀는 두 쌍의 고착 수단을 다룰 때 귀찮은 작업을 해야 하며 이러한 선행 기술의 일회용 기저귀는 개선할 여지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제거한 기법들이 오리어리(0' Lear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11,702 호 및 우드(Wood)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57,067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에서는 두 귀부에 각각 부착되고 가해진 인장력을 허리와 다리를 둘러싸는 흡수부 부분에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는 두 고착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법은 두 고착 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을 허리와 다리 주위에 효과적으로 직접 분배하기 위한 두 고착 수단의 위치 및 두 고착 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을 허리와 다리 주위로 계획적으로 결정한 분배비로 분배하기 위한 두 고착 수단의 위치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없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고착 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을 허리를 둘러싸는 흡수부의 허리 랩핑부 및 다리를 둘러싸는 흡수부의 다리 랩핑부에 원하는 분배비로 분배시키도록 위치된 고착 수단이 제공된 흡수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탄성적인 다리 고착 부재가 각각 제공된, 다리를 둘러싸는 다리 랩핑부을 갖는 흡수부, 및 고착 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이 허리를 둘러싸는 흡수부의 허리 랩핑부 및 탄성적인 다리 고착 부재에 효과적으로 직접 집중될 수 있도록 위치된 고착 수단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탄성적인 허리 고착 부재가 제공된 허리 랩핑부을 갖는 흡수부, 및 탄성적인 다리 고착 부재와, 고착 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이 탄성적인 다리 고착 부재와 탄성적인 허리 고착 부재에 효과적으로 직접 집중될 수 있도록 위치된 고착 수단이 제공된 다리 랩핑부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으로,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가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 하였을 때 흡수 코어가 착용자의 가랑이에 일치할 수 있도록 상면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 사이에 삽입된 흡수 코어; 홉수부의 한 종방향 말단 부분의 반대쪽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한쌍의 귀부; 및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부착된 두 고착 수단을 포함한다. 이 일회용 기저귀에서, 각각의 귀부는 응력 이완 구조물을 가지며, 이 구조에서 귀부의 주변부에 유도된 인장응력보다 적은 인장응력이 주변부가 아닌 귀부의 일부에 유도되고, 각각의 고착 수단은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의 견인 구역(pulling section)에서 귀부에 부착되어, 적어도 응력 이완 구조물예 접하도록 하는 한 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경계선으로부터 귀부에 대응하는 흡수부의 한 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의 일부, 및 응력 이완 구조물에 접하도록 하는 흡수부의 측면 가장자리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경계선으로부터 흡수부의 종방향 중심 축에 수직인 흡수부의 횡방향 중심 축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의 일부가 오버랩(overlap)된다. 견인. 구역과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의 오버랩 정도 및 견인 구역과 제 2측면 가장가리 구역의 오버랩 정도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들 견인 정도는 서로 다르거나 또는 같을 수 있으며, 전자가 후자보다 크거나 후자가 전자보다 클수도 있다. 각각의 고착 수단은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에 대한 각도로 귀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쩨 양태에서,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홉수 코어가 착용자의 가랑이에 꼭 맞도록 하기 위해 상면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 사이에 흡수 코어를 게재시켜(sandwiching) 형성되고, 각각 제 1 및 제 2 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와 인접한 제 1 허리 랩핑부 및 제 2 허리 랩핑부, 및 흡수부의 횡방향 중심축 주위의 제 1 허리 랩핑부와 제 2 허리 랩핑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랑이 랩핑부를 갖는 흡수부; 각각 흡수부의 가랑이 랩핑부의 반대쪽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탄성 다리 고착 수단; 흡수부의 제 1 허리 랩펑부의 반대쪽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귀부; 및 각각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에 부착된 2개의 고착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서, 각각의 귀부는 응력 이완 구조물을 갖는데, 이 구조에서는 귀부의 주변부에서 유도된 인장 응력보다 더 작은 인장 응력이 유도되고, 주변부를 제외한 이 구조의 일부, 즉 응력 이완 구조물에 접하도록 제 1 종방향 말단 가장자리 상의 한 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경계선으로부터 제 1 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의 측면상에서 연장되는 제 1 허리 랩핑부는 고착 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의 성분이 직접 작용하는 허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이고, 허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에 상응하는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의 일부가 제 1측면 가장가리부이고, 응력 이완 구조물에 접하도록 제 1 허리 랩핑부의 측면에서 탄성 다리 고착 수단의 한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경계선으로부터 가랑이부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 1 허리 랩핑부의 일부는 고착 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의 성분이 직접 작용하는 다리 랩펑 성분력 분배 영역이고, 다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에 상응하는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의 일부가 제 2 측면 가장자리부이고, 각 고착 수단은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의 견인 구역에서 귀부에 부착되어 제 1 측면 가장자리와 제 2 측면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오버랩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양태에서,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흡수 코어가 착용자의 가랑이에 꼭 맞도록 하기 위해 상면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 사이에 흡수 코어를 게재시켜 형성되고, 각각 제 1 및 제뺨�가장자리와 인접한 제 1 허리 랩핑부 및 제 2 허리 랩핑부, 및 흡수부의 횡방향 중심축 주위의 제 1 허리 랩핑부와 제 2 허리 랩핑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랑이 랩핑부를 갖는 흡수부; 제 1 허리 랩핑부의 제 1 종방향 말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탄성 허리 고착 수단; 흡수부의 제 1 허리 랩핑부의 반대쪽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귀부; 및 각각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에 부착된 2개의 고착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서, 각각의 귀부는 응력 이완 구조물을 갖는데, 이 구조에서는 귀부의 주변부에서 유도된 인장 응력보다 더 작은 인장 응력이 유도되고, 주변부를 제외한 이 구조의 일부, 즉 응력 이완 구조물에 접하도록 귀부의 한 측면상에서 탄성 허리 고착 수단의 한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경계선으로부터 제 1 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의 측면상에서 연장되는 제 1 허리 랩핑부의 일부는 고착 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의 성분이 직접 작용하는 허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이고, 허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에 상응하는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의 일부가 제 1 측면 가장자리부이고, 응력 이완 구조물에 접하도록 귀부의 하부 말단이 가랑이 랩핑부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에 연결된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경계선으로부터 가랑이 랩핑부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 1 허리 랩핑부의 일부는 고착 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의 성분이 직접 작용하는 다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이고, 다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에 상응하는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의 일부가 제 2 측면 가장자리부이고, 각 고착수단은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의 견인 구역에서 귀부에 부착되어 제 1 측면 가장자리와 제 2 측면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오버랩된다. 주변부에서 유도되는 인장 응력보다 더 작은 인장 응력이 유도되는, 귀부의 주변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생성된 귀부의 응력 이완 구조물은 여기에 가해진 인장력을 고착 수단을 통해 흡수하고, 귀부의 주변부는 인장력을 흡수부에 직접 전달하여, 고착 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이 흡수부의 허리 랩핑부와 다리 랩핑부에 효과적이고 직접적으로 가해질 수 있게 된다. 흡수부와 귀부의 응력 이완 구조물과 위치적 관계를 갖도록 한정된 제 1 측면 가장자리부와 제 2 측면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오버랩되는 견인 구역내의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에 고착 수단을 부착시켜 고착 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이 제1 허리 랩핑부의 측면상의 흡수부의 제 1 종방향 말단 가장자리 또는 일회용 기저귀의 횡방향 중심축의 측면상의 귀부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확실히 가해지게 한다. 고착 수단이 제 1 측면 가장자리부 또는 제 2 측면 가장자리 부에 의해 귀부에 부착된 견인 구역의 오버랩 정도를 조절함으로서 제 1 허리 랩핑부의 측면상의 흡수부의 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의 일부 또는 일회용 기저귀의 횡방향 중심축의 측면상의 귀부의 가장자리의 일부 상에서 작용하는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 1측면 가장자리부와 견인 구역의 오버랩 정도가 제 2 측면 가장자리부와 견인 구역의 오버랩 정도보다 클 경우 고착 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의 대부분은 제 1 허리 랩 펑부에 가해지고, 제 1 측면 가장자리부와 견인 구역의 오버랩 정도가 제 2 가장자리부와 견인 구역의 오버랩 정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고착 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의 대부분은 일회용 기저귀의 횡방향 중심축의 측면상의 귀부의 말단 가장자리 부의 일부에 가해진다.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에 대한 고착 수단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인장력의 분배를 조절할 수 있다. 고착 수단이 빗각으로 상향 경사진 경우, 고착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의 대부분은 일회용 기저귀의 다리 랩핑부에 분배된다. 고착수단이 빗각으로 하향 경사진 경우, 고착 수단에 가해진 인장력의 대부분은 제 1허리 랩핑부에 분배된다. 탄성 허리 고착 수단의 말단에 연결된 제 1 측면 가장자리부와 탄성 다리 고착 수단의 말단에 연결된 제 2 측면 가장자리부를 결정하면 고착 수단이 탄성 허리고착 수단 및 탄성 다리 고착 수단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분포를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하기 명세서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귀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 포함되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응력이완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 포함되는 제 2 실시예에서의 응력이완 구조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 포함되는 제 3 실시예에서의 응력이완 구조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 포함되는 제 4 실시예에서의 응력이완 구조물이다.
도 8은 응력 이완 구조물 성형 장치의 설명을 보조하는 전형적인 측면도이다.
도9는 응력 이완 구조물 성형 장치의 성형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응력 이완 구조물 성형 장치에 의해 형성된 응력 이완 구조물의 부분 투시도이다.
도 11은 반쯤 연신된 상태인 도 10에서 도시된 성형된 중간 필름의 부분 투시도이다.
도 12는 완전히 연신된 상태인 도 10에서 도시된 성형된 중간 필름의 부분 투시도이다.
도 13은 허리 랩펑부 및 다리 랩핑부에 대한 고착 기구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실질적으로 등일한 분포를 도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14는 일회용 기저귀의 허리 랩핑부 및 다리 랩핑부 각각에 대한 고착 기구에 가해기는 인장력의 주성분 및 부성분의 분포를 도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15는 일회용 기저귀의 허리 랩핑부 및 다리 랩핑부 각각에 대한 고착 기구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주성분 및 부성분의 분포를 도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16은 제 1 측면 가장자리부(a) 및 제 2 측면 가장자리부(b)의 설명을 보조하는 부분 전개도이다.
도 17은 고착 수단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분포를 도시하기 위한 부분 전개도 이다.
도 18은 제 1 측면 가장자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설명을 보조하는 부분 전개도이다.
도 19는 제 1 측면 가장자리부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설명을 보조하는 부분 전개도이다.
도 20은 제 1 측면 가장자리부(a) 및 제 2 측면 가장자리부(b)에 동일하게 오버랩되는 견인 구역에서의 귀부에 결합된 고착 수단을 나타내는 부분 전개도이다.
도 21은 그의 종방향 축이 제 1 경계선 및 제 2 경계선사이의 각을 이등분하 견인 구인 구역에서의 귀부에 결합된 고착 수단을 나타내는 부분 전개도이다.
도 22는 제 2 측면 가장자리부(b)에 오버랩되는 부분 및 제 1 측면 가장자리부(a)에 오버랩되는 주 부분을 갖는 견인 구역에서의 귀부에 결합된 고착 수단을 나타내는 부분 전개도이다.
도 23은 제 2 측면 가장자리부(b)에 오버랩되는 주 부분 및 제 1 측면 가장자리부(a)에 오버랩되는 부 부분을 갖는 견인 구역에서의 귀부에 결합된 고착 수단을 나타내는 부분 전개도이다.
도 24는 응력 이완 구조물과 제 1 측면 가장자리부(a) 및 제 2 측면 가장자리부(b)사이의 관계의 설명을 보조하는 부분 전개도이다.
도 25는 응력 이완 구조물과 제 1 측면 가장자리부(a) 및 제 2 측면 가장자리부(b)사이의 관계의 설명을 보조하는 부분 전개도이다.
도 26은 귀부 및 귀부상의 제 1 측면 가장자리부(a) 및 제 2 측면 가장자리부(b)의 변형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27은 도 20에 도시된 고착 수단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비스듬하게 상향 연장되는 고착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양태의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28은 도 23에서 도시된 고착 수단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비스듬하게 상향 연장되는 고착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양태의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29는 도 20에 도시된 고착 수단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비스듬하게 하향 연장되는 고착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양태의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30은 도 23에 도시된 고착 수단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비스듬하게 하향 연장되는 고착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양태의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31은 제 2 측면 가장자리부를 한정하는 방법의 설명을 보조하는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32는 제 1 측면 가장자리부를 한정하는 방법의 설명을 보조하는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33은 귀부에 비스듬하게 부착된 변형된 고착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34는 귀부에서 비스듬하게 부착된 번형된 고착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전개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하기 설명에서, 위치, 방향 등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은 위치, 방향 등을 나타낸다. 도 1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양태에서 일회용 기저귀는 제 1 허리 랩핑부(2a), 가랑이 랩핑부(2b) 및 제 2 허리 랩핑부(2c)을 갖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모래시계형, T-형, 비대칭형 등으로 형성된 흡수부, 흡수부(3)의 반대 측면 부분에 각각 형성된 측면 플랩(4), 플랩(4)에 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해 플랩(4)에서 종방향으로 신장된 탄성 다리 고착 부재(5), 흡수부(3)의 허리 랩핑부(2a)의 상부 단면의 반대쪽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귀부(ear)(6) 및 각각 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에 각각부착된 두개의 고착 기구(7)를 포함한다. 도 1의 선 A-A상에 따라 취해진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 2에 대해 설명하면, 흡수부(3)는 액체 투과성 상면 시이트(8)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이트(10) 사이에 흡수 코어(9)를 끼워 넣어 형성된다. 상면 시이트(8) 및 배면 시이트(10)는 흡수 코어(9)에 비해 보다 길고 폭이 넓다. 가랑이 랩핑부(2b)에 상응하고 흡수 코어(9)의 각각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 너머로 외측으로 신장하는 상면 시이트(8)및 배면 시이트(10)의 적어도 일부는 측면 플랩(4)을 형성하고, 탄성 다리 고착 부재(5)는 측면 플랩(4)에서 종방향으로 신장하여 측면 플랩에 신축성을 제공한다. 흡수 코어(9)는 피부에 무자극성이고, 뇨를 포함하는 액체 배설물을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흡수 코어(9)는 분쇄 목재 펄프, 통상적으로 찬 면 펄프로 형성된다. 흡수 코어(9)는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적합한 형상 및 구소로 형성될수 있다. 흡수 코어(9)의 전체 흡수성은 디자인에 따른 적재량과 원하는 용도에 일치해야 한다. 흡수 코어(9)의 크기 및 흡수력은 착용자의 연령에 따라 좌우된다. 배면 시이트(10)는 일회용 기저귀(1)와 접촉하게 되는 침대 시이트 또는 언더웨어 등의 물품이 흡수 코어(9)에 의해 흡수되고 보유된 배설물에 의해 적셔지는 것을 방지한다. 배면 시이트(10)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열가소성 중합체 필름, 또는 필름-피복된 부직물 등의 복합 재료의 필름이다. 바람직하게, 배면 시이트(10)는 직물과 유사하도록 엠보싱 처리된 열가소성 필름이다. 상면 시이트(8)는 다공성 발포체 시이트, 망상 발포체 시이트,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목재 섬유 또는 면 섬유 등의 천연 방직 재료,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의 합성 방직 재료, 또는 천연 방직 재료(천연 방직 재료들) 및 합성 방직 재료(또는 합성 방직 재료들)의 블렌드 등의 블렌딩된 방직 재료의 직물 또는 부직물이다. 바람직하게, 상면 시이트(8)는 소수성 물질로 형성되어 흡수 코어(9)에 의해 흡수된 액체를 착용자의 피부로 부터 분리시킨다. 실질적으로 사다리형인 귀부(6)는 열 밀봉 또는 접착체 결합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직사각형 흡수부(3)의 제 1 허리 랩핑부(2a)의 반대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된다. 귀부(6)는, 귀부(6)의 형상을 갖는 러그(1ug)에서 외측으로 상면시이트(8) 및 배면 시이트(10)의 각각의 상부 측면 부분을 돌출시키고, 상면 시이트(8) 및 배면 시이트(10)의 돌출된 러그를 함꼐 직접 결합시킴으로써 흡수부(3)과 함께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수부(3) 및 귀부(6)는 상면 시이트(8) 및 배면 시이트(10) 사이에 시이트를 끼워 넣음으로써 형성된 적층화된 시이트를 원하는 치수로 절단하여 완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귀부(6)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 및 합성 섬유의 부직물(11),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열가소성 필름(13), 및 공지된 방법에 의해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4) 및 (15)에 의해 부직물(11) 및 열가소성 필름(13) 사이에 끼워 넣어진 다공성 필름(12)을 적층시켜 형성된다. 각각의 귀부(6)가 상면 시이트(8)의 신장부 및 배면 시이트(10)의 신장부로 형성될 경우, 부직물(11) 및 열가소성 필름(13)은 각각 상면 시이트(8)의 신장부 및 배면 시이트(10)의 신장부에 상응한다. 부직물(11) 및 열가소성 필름(13) 사이에 끼워진 다공성 필름(12)은 귀부(6)에 견고함을 제공하고, 이로써 착용자에 일회용 기저귀(1)를 적용할 경우 귀부(6)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해 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부(6)는 귀부(6)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의 응력 이완 구조물(20)을 주변부를 제외한 내부 부분에 각각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력 이완 구조물(20)은 귀부(6)와 형상이 유사하고 보다 작은 사다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응력 이완 구조물(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틈(gap)(20a)을 갖는 실질적인 사다리형,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틈(20b)을 갖는 실질적인 사다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응력 이완 (20)은 사다리형 이외의 삼각형, 직사각형, 식(蝕)의 일부 형상 또는 환의 일부 형상등의 임의의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단 응력 이완 구조물(20)은 응력을 이완시키는 작용을 가져야 한다. 귀부(6)의 응력 이완 구조물(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귀부(6)를 형성하는 적층된 시이트에 형성된 다수의 종방향 슬릿(slit)(21)의 집합체일 수 있다. 응력 이완 구조물(20)은 단일 슬릿(21a)일 수 있고, 단 단일 슬릿(21a)은 귀부(6)에 가해진 인장력이 흡수부(3)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부(6)는 탄성 구조물일수 있고, 응력 이완 구조물(20)로서 내부 사다리형 탄성부를 사용하기 위해 응력 이완 구조물(20)에 상응하는 내부 사다리형 탄성부를 제외한 탄성 구조물의 주변부에 비연신성 필름 또는 비연신성 스트랜드(30)의 스트립이 부착될 수 있다. 인장력이 귀부(6)에 가해질 경우, 응력 이완 구조물(20)에 포함된 인장 응력은 응력 이완 구조물(20)을 둘러싼 귀부(6)의 주변부에 포함된 인장 응력에 비해작다. 인장 응력은 인장 하증을 초래하는 물질에 의해 생성된 저항력이다. 따라서, "작은 인장 응력을 갖는 구조물" 은 비교적 작은 인장력에 의해 쉽게 연신될 수있는 구조물이다. "응력 이완 구조물" 이란 용어에 의해 표현된 구조물은 귀부(6)에 형성된 빈 자리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응력 이완 구조물(20)로서 작용한다. 바람직하게, 응력 이완 구조물(20)은 하기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력 이완 구조물(20)에 상응하는 이의 내표면 영역에서 다수의릿지(ridge)(22a)에 의해 제공된 플레이트(22), 및 응력 이완 구조물(20)에 상응하는 이의 내표면 영역에서 다수의 릿지(23a)에 의해 제공된 플레이트(23) 사이에서 귀부(6)를 형성하는 시이트(21)를 압축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 홈(groove)(25a)은 플레이트(23)의 다수의 릿지(23a)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플레이트(22)의 다수의 릿지(22a)는 연속적이고 차단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레이트(22) 및 (23) 사이에 시이트(21)를 압축함으로써 형성된 응력 이완 구조물(20)은 다수의 비변형 구역(25), 다수의 영구변형된 구역(26), 및 비변형 구역(25)과 영구변형된 구역(26) 사이의 전이 구역(27)을 갖는다. 릿지(28)는 영구 변형된 구역(26)에 형성된다. 비번형 구역(25)은 플레이트(23)의 좁은 홈(25a)에 의해 한정되고, 플레이트(22)의 릿지(22a)의 상응하는 부분, 및 영구변형된 구역(26)은 플레이트(22)와 (23)의 각각의 릿지(22a) 및 (23a)에 의해 한정된다. 귀부(6)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E)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신장될때, 비번형 구역(25)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정도 가소성적으로 신장되고, 비번형 구역(25)이 추가로 신장됨으로써, 영구적으로 번형된 구역(26)의 럿지(28)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지 않으며, 귀부(6)는 더 신장될 수 없다. 상기 특징을 갖는 시이트(21)가 적층 시이트일때, 상기 시이트(21)의 하나이상의 성분층은 폴리에틸렌 필름, 저밀도 선형 폴리에털렌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같은 신장가능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작은 인장력에 의해 신장될 수 있는 응력 이완 구조물(20)는 귀부(6)를 형성하는 시이트(21)중에서 형성된다. 응력 이완 구조물(20)를 둘러싸는 시이트(21)의 주변부가 비처리되기 때문에, 시이트(21)가 인장되거나, 주번부가 응력이완 구조물(20)보다 더 신장될때 시이트(21)의 주번부는 인장력에 다라 굽어지지 않는다. 인장될때, 응력 이완 구조물(20)는 인장력을 흡수하기 위해 인장력에 따라 굽어지고, 귀부(6)의 주변부를 수축하지 않는다. 귀부(6)를 형성하는 시이트(21)는 신장가능한 물질로 어느정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어느정도 신장가능한 물질이 형성될때, 응력 이완 구조물(20)는 상기 언급된 방법에 의해 시이트(21)에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응력 이완 구조물(20)는 귀부(6)의 주번부를 신장하는데 필요한 인장력보다 더 작은 인장력에 의해 신장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력(D)이 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에 수직인 방향으로 고착 기구(7)에 인가될 때, 귀부(6)의 응력 이완 구조물(20)가 작용하여 인강력(D)을 허리 랩핑부에 작용하는 성분 인장력(Dl)과 다리 랩핑부상에서 작용하는 성분 인장력(D2)으로 분리한다. 즉, 응력 이완 구조물(20)를 신장하는데 필요한 인강력보다 귀부(6)의 주변부에 인가되어 주변부를 신장시키기 때문에 고착기구(7)에 인가된 대부분의 인장력(D)는 성분 인장력(D1) 및 (D2)로 분리되고, 성분 인장력(D1) 및 (D2)는 각각 흡수부(3)의 영역(X) 및 (Z)상에 바로 작용한다.
인장력(D)의 일부가 응력 이완 구조물(20)상에서 작용하더라도, 응력 이완 구조물(20)는 비교적 작은 인장력에 의해 신장될 수 있고, 응력 이완 구조물(20)를 둘러싸는 주변부가 실질적으로. 신장될 수 없기 때문에 응력 이완 구조물(20)는 도 12에도시한 바와 같이 극도의 상태로 신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신장가능한 응력 이완 구조물(20)는 그의 상부에서 작용하는 인장력을 흡수하고, 결과적으로, 임의의 인장력은 흡수부(3)의 영역(Y)에 바로 전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고착 기구(7)에 인가된 인장력(D)는 허리 및 다리를 둘러싸는 흡수부(3)를 고정하기 위해 흡수부(3)의 허리 랩핑부상에 작용하는 성분 인장력(D1) 및 흡수부(3)의 다리 랩핑부상에 작용하는 성븐 인장력(D2)로 분리된다.
고착 기구(7)(여기서, 고착 기구(7)는 귀부(6)의 빗각 측면 가장자리(6a)에 부착된다)에 인가된 인장력(D)의 분할은 성분 인장력(Dl) 및 (D2)로 견인 구역(R)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견인 구역(R)이 도 13에 도시한 바와같이 응력 이완 구조물(20)의 측면 가장자리의 중간에 실질적으로 상응할때, 화살표의 방향으로 고착 기구(7)에 인가된 인장력(D)는 허리 둘레로 작용하는 성분 인장력(D1) 및 다리 둘례로 작용하는 인장력(D2)로 분리되고, 성분 인장력(Dl) 및(D2)는 실길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견인 구역(R)이 도 13에 도시된 견인 구역(R)의 위치 아래에 도 14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때, 화살표의 방향으로 고착 기구(7)에 인가된 인강력(D)는 성분 인장력(D1) 및 (D2)로 분리되고, 허리 둘레로 작용하는 성분 인장력(D1)는 비교적 작고, 다리 둘레로 작용하는 성분 인장력(D2)는 비교적 크다. 견인 구역(R)이 도 13에 도시된 견인 구역(R)의 위치 상부에 도 15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때, 화살표의 방향으로 고착 기구(7)에 인가된 인장력(D)는 성분 인장력(D1) 및 (D2)로 분리되고, 허리 둘레로 작용하는 성분 인장력(D1)는 비교적 크고, 다리 둘레로 작용하는 성분 인장력(D2)는 비교적 작다.
견인 구역(R)의 위치 및 흡수부(3)의 바라는 부분에 확실히 고착 기구(7)에 인가된 인장력을 분포하기 위해 동일부와 다른 부분 사이의 위치관계는 하기에 기술될 것cl다. 빗각 측면 가장자리(6a)상에 고착 기구(7)를 위한 견인 구역(R)의 위치는 도 16에 도시된 구조물에 의해 결정된다. 견인 구역(R)의 위치는 일회용 기저귀(1)의 바라는 허리 랩핑부 및 바라는 다리 랩핑부에 고착 기구(7)에 인가된 인장력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분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도 16에 있어서, 라인 L-L' 은 일회용 기저귀(1)(흡수부(3))의 종방향 중심축을 지시하고, 라인 H-H'는 종방향 중심축 L-L'에 수직인 일회용 기저귀(1)(흡수부(3))의 횡방향 중심축을 지시한다. P로 지시된 것은 종방향 중심축 L-L' 및 제 1 허리 랩핑부(2a)의 상부 가장가리(1a)의 교차점이고, Q는 횡방향 중심축 H-H'의 측면상에 귀부(6)의 하부 가장가리(6b) 및 측면 플랩(4)의 교차점이고, L1은 상부 가장자리(1a)의 측면상에 응력 이완 구조물(20)상의 지점에 접하도록 교차점(P)로부터 연장하는 제 1경계선이고, L2는 횡방향 중심축 H-H'의 측면상에 응력 이완 구조물(20)상의 지점에 접하도록 교차점(Q)로부터 연장하는 제 2 경계선이고, A는 제 1 경계선(L1) 및 측면 가장가리(6a)의 교차점이고, B는 제 2 경계선(L2) 및 측면 가장자리(6a)의 교차점이다.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은 교차점(A)으로부터 상부 가장자리(1a)의 측면상에서 연장하고,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은 교차점(B)로부터 힁방향 중심축 H-H'의 측면상에서 연장한다.
고착 기구(7)에 의해 측면 가장자리(6a)에 인가된 인장력(D)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부(6)에 분포된다. 도 17에서, 고착 기구(7)에 인가된 인장력의 작용점(M)은 고착 기구(7)가 측면 가장자리(6a)에 부착되고, 이러한 실례에서 교차점(A)과 일치하는 견인 구역(R)이다. 고착 기구(7)에 인가된 인장력의 일부가 작용점(M)에서 측면 가장자리(6a)상에서 작용할때, 인장력의 일부는 대표적 성분력 F1, F2, F3 및 F4로 분해된다. 성분력(F1)은 상부 가장자리(1a)쪽으로 향하고, 교차점(P)쪽으로 직접적으로 향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성분력(F1)은 교차점(P)상에서 바로 작용하지 않는다. 성분력(F2)의 방향은 제 1 경계선(L1)에 정렬되고, 따라서 성분력(F2)은 교차점(P)상에서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성분력(F3)은 응력 이완 구조물(20)쪽으로 향하고, 응력 이완 구조물(20)를 신장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응력 이완 구조물(20)은 이에 가해진 힘을 흡수하므로, 성분력(F3)은 도 13에 도시된 흡수부(3)의 영역(Y)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성분력(F4)은 교차점(Q)을 향하며 교차점(Q)에서 흡수부(3)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고착 기구(7)가 측면 가장자리(6a)에 부착되어 있는 견인 구역(R)에서의 작용점(M)이 교차점(A), 즉 제 1 측면 가장자리부(a)의 외부점(M')에 대하여 힁단 중심축(H-H')의 측면에 있는 경우(도 16), 교차점(P)을 향하는 지점(M')으로부터 나오는 성분력(F2)이 응력 이완 구조물(20)에 의해 흡수되며 비효과적이다. 따라서, 측면 가장가리(6a) 위의 고착 기구(7)에 가해진 인장력의 작용점(M)이 지점(M')인경우에는 성분력이 교차점(P)에 직접 작용하지 않는다. 지점(M)이 도 17에 도시된 교차점(A)에 대하여 상부 가장자리(1a)의 측면에 있는 지점(M' ')으로 이동하는 경우, 즉 작용점(M)이 제 1 측면 가장자리부에 있는 경우에는 일부 성분력이 교차점(P)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상기한 설명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경게선(L1)이 교차점(P)에 있는 고착 기구(7)에 가해진 인장력중 성분력의 직접적인 작용을 가능하게하는 작용점(M) 위치와 교차점에 있는 성분력의 직접적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점(M) 위치 사이에 놓여있는 경계선이다. 고착 기구(7)에 가해진 인장력이 귀부(6)에 작용하는 곳인 작용점(M)이 제 1 측면 가장자리구역(a)에 있는 경우, 작용점(M)에 가해진 인장력의 적어도 일부가 교차점(P)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교차점(Q)과 관련하여 견인된 제 2 경계선(L2)은 교차점(Q)에 있는 고착 기구(7)에 가해진 인강력중 성분력의 직접적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점(M) 위치들 사이에 있는 경계선이다. 고착 기구(7)에 가해진 인장력이 귀부(6)에 작용하는 곳인 작용점(M)이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에 있는 경우, 작용점(M)에 가해진 인장력의 적어도 일부가 교차점(Q)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고착 기구(7) 가 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에 부착되어 있는 곳인 견인 구역(R)이 제 1 경계선(L1)에 의해 정의된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의 일부와 제 2 경계선(L2)에 의해 정의된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의 일부를 중첩시키는 경우, 고착 기구(7)에 가해진 인장력의
일부는 흡수부(3)에 있는 목적점(P, Q)에 직접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 교차점(P)이 일회용 기저귀(1)의 종방향 중심축(L-L')에 있으므로, 각각의 인장력 일부가 교차점(P)에 직접적으로 가해질 수 있는 경우, 일회용 기저귀(1)의 허리 중첩부는 2개의 귀부(6)에 인장력을 가하므로써 허리 둘레에 확고하게 고착될 수 있다.
각각의 고착 기구(7)에 가해지는 인장력 일부가 교차점(Q)에 직접적으로 가해질 수있는 경우에는, 흡수부(3)의 다리 랩핑부가 다리 둘레에 확고하게 고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양태의 일회용 기저귀(1)에서, 제 1 경계선(L1)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부(3)의 상부 가장자리(1a)의 좌향 연장부의 교차점(P) 및 좌측 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의 교차점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경계선(L1)은 도 19에 도시된 흡수부의 종방향 중심축(L-L')에 평행한 응력 이완 구조물(20)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선과 흡수부(3)의 상부 말단 가장자리(1a)의 교차점(P)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각 경우에서, 제 1 경계선(L1)은 응력이완 구조물(20)에 있는 상부 지점에 접하는 교차점(P)으로부터 연장되어서 우측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에 있는 교차점(A)을 결정한다.
허리 둘레에서 흡수부(3)의 허리 랩핑부를 고착시키기 위한 성분 인장력(D1) 및 다리 둘레에서 흡수부(3)의 다리 랩핑부를 고착시키기 위한 성분 인장력(D2)의 각각의 크기는 고착 기구(7)가 측면 가장자리(6a)에 고착되어 있으며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을 중첩시키는 견인 구역(R) 부분의 크기 대 견인 구역(R)의 크기의 비, 및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을 중첩시키는 견인 구역(R) 부분의 크기 대 견인 구역(R)의 크기의 비를 조절하므로써 결정된다.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을 중첩시키는 견인 구역(R) 부분이 커질수록 교차점(P)에 작용하는 성분 인장력(D1)대 고착 기구(7)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비가 커진다. 제 1 경계선(L1), 귀부(6)의 상부 가장자리 및 교차점(A)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은 허리 랩핑부 고착 성분력 분배 영역(42)이고, 허리 랩핑부 고착 성분력 분배 영역(42)과 결합된 측면 가장자리(6a)는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이다. 고착 기구(7)가 측면 가장자리(6a)에 고착되어 있는 곳인 견인구역(R)이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과 중첩되는 한, 고착 기구(7)에 가해진 인장력의 성분 인장력은 교차점(P)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을 중첩시키는 견인 구역(R) 부분이 커질수록, 허리 랩핑부 고착 성분력 분배 영역(42)에 분포되는 성분 인장력(D1)이 커진다.
반면에,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과 중첩하는 견인 구역(R) 부분이 커질수록 교차점(Q)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성분 인장력(D2)이 커진다. 제 2 경계선(L2), 귀부(6)의 하부 측면 가장자리(6b) 및 교차점(B)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은 다리 랩핑부 고착 성분력 분배 영역(43)이머, 다리 랩핑부 고착 성분력 분배 영역(43)에 결합된 측면 가장자리(6a) 부분이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이다. 견인 구역(R) 부분이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를 중첩하는 한, 고착 기구(7)에 가해진 인장력의 성분력이 교차점(Q)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를 중첩시키는 견인 구역(R) 부분이 커질수록 다리 랩핑부 고착 성분력 분배 영역(43)에 분포되는 성분 인장력(D2)이 커진다.
고착 기구(7)가 귀부에 부착되어 있는 견인 구역(R)이 교차점(A, B)을 포함하고 교차점(A, B)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 구역(R)의 이등분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경우,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를 중첩시키는 견인 구역(R) 부분과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을 중첩시키는 견인 구역(R) 부분이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허리 랩핑부 고착 성분력 분배 영역(42)과 다리 랩핑부 고착 성분력 분배 영역(42)에 기여하는 성분 인장력(D1, D2)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며, 따라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인장력이 교차점(P, Q) 각각에 가해진다. 고착기구(7)가 제 1 경계선(Ll)과 제 2 경계선(L2) 사이의 각을 이등분하고 있는 종방향 축을 갖는 귀부(6)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인장력은 또한 성분력 분배 영역(42)에 동일하계 분배될 수 있다.
허려 랩핑부 고착 성분력 분배 영역(42)에 분배된 성분 인장력 (D1)과 다리랩펑부 고착 성분력 분배 영역(43)에 분배된 성분 인장력 (D2) 사이의 비율은 고착기구(7)가 측면 가장자리(6a)에 고착되어 있으며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을 중첩시키는 견인 구역(R) 부분의 크기 대 견인 구역(R)의 크기의 비, 및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을 중첩시키는 견인 구역(R) 부분의 크기 대 견인 구역(R)의 크기의 비를 조절하므로써 결정된다. 도 22에서 보여지듯이, 견인 구역(R)이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와 완전히 오버랩되고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와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경우, 고착 기구(7)에 가해진 대부분의 인장력은 허리 랩핑부 구착 성분력 분배영역(42)에 분배된다. 도 23에서 보여지듯이, 견인 구역(R)이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와 완전히 오버랩되고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와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경우, 고착 기구 (7)에 가해진 대부분의 인장력은 다리 랩핑부 고착 성분력 분배 영역(43)에 분배된다. 견인 구역(R)이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 및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과 각각 상이한 오버랩 비율로 오버랩되는 경우, 견인구역(R)이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 및 제 2 측가장자리 구역(b) 중 어느 하나에 반드시 포함될 필요는 없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양태에서, 일회용 기저귀(1)의 귀부(6)의 응력 이완 구조물(20)의 위치 상에서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와 제 2측가장자리 구역(b) 사이에 상호 의존 관계를 나타낸다. 도 24에 따르면, 응력 이완 구조물(20)은 도 16에 나타나는 응력 이완 구조물(20)의 모양과는 상이한 직사각형을 닮은 모양을 갖는다. 세 번째 실시양태에서, 응력 이완 구조물(20)에 접하도록 교차점(P)로부터 연장하는 제 1 경계선(L1) 및 응력 이완 구조물(20)에 접하도록 교차점(Q)로부터 연장하는 제 2 경계선(L2)는 귀부(6)내에서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선(L1) 및 (L2)는 교차점(A) 및 (B) 각각에서 측면 가장자리(6a)와 교차한다.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는 교차점(A)로부터 흡수부(3)의 상부 가장자리 (1a)의 측면상에서 연장하고,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는 교차점(B)로부터 흡수부(3)의 힁방향 중앙축(H-H')의 측면상에서 연장하고, 허리 랩핑부 구착 성분력 분배영역(42) 및 다리 랩핑부 고착 성분력 분배 영역(43) 중 어느 하나와도 결합되지 않는 중립부 (33)이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과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 사이에 형성된다. 고착 기구 (7)이 측면 가장자리(6a)에 부착되는 견인 구역(R)이 중립부(33)을 가로질러 연장하고 측면 가장자리 구역(a) 및 (b)와 부분적으로 오버랩되어 허리 랩핑부 및 다리 랩핑부상의 고착 기구(7)에 직접 가해지는 인장력의 구성력을 집중시킨다; 즉, 고착 기구(7)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구성력은 견인 구역(R)이 측면 가장자리 구역(a) 및 (b)와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도록 견인 구역(R)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원하는 부분들에 직접 집중될 수 있다.
도 25에서 보여지는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양태의 일회용 기저귀(1)에서, 제 1 경계선(L1)은 응력 이완 구조물(20)에 접하도록 교차점(P)로부터 연장되고 교차점(A)에서 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를 교차하고, 제 2 경계선(L2)는 응력 이완 구조물(20)에 접하도록 교차점(Q)로부터 연장되고 교차점(B)에서 측면 가장자리 (6a)의 신장부와 교차한다. 교차점(B)는 귀부(6)로부터 떨어진 가상점이므로, 측면 가장자리(6a)상에서 실제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은 제 2 측면 가장자리구역(b)의 일부이다. 고착 기구(7)은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 및 실제 제 2측면 가장자리 구역(b')과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견인 구역(R)의 측면 가장자리 (6a)에 부착된다. 따라서, 측면 가장자리 구역(a) 및 (b)는 선 (L1) 및 (L2)가 측면 가장자리 (6a)와 교차하지 않더라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경계선 (L1)(제 2 경계선L2))이 측면 가장자리(6a)와 교차하는 점" 이라는 표현은 "제 1 경계선 (L1)(제 2 경계선(L2))이 측면 가장자리(6a)의 신장부와 교차한다" 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실시양태의 일회용 기저귀(1)은 도 26에서 보여지듯이 각각이 원호의 모양으로 굽는 저부 곡선부(S)를 갖는 저부 가장자리(6b)를 갖는 귀부(6)를 구비한다. 제 2 경계선(L2)는 저부 가장자리(6b) 및 응력 이완 구조물(20)의 저부 곡선부(S)에 접하고 교차점(B)에서 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와 교차한다. 그러므로, 제 2 경계선(L2)를 따라 작용하는, 교차점(B)에서 귀부(6)에 가해진 인장력의 성분 인장력은 흡수부(3)로 이동될 수 있다. 응력 이완 구조물(20)에 접하기 위해 흡수부(3)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귀부(6) 및 측면 플랩(4)의 저부 가장자리(6b)의 교차점으로부터 연장된 선(34)는 교차점 (B')에서 측면 가장자리(6a)와 교차한다. 교차점(B')에서 귀부(6)에 가해지고 선(34)를 따라 이동된 인장력의 성분 인장력의 이동이 선(34) 및 저부 가장자리(6b)의 교차점에서 차단된다. 이 실시양태에서,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은 교차점(A)으로부터 상향 연장하고,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은 교차점(B)으로부터 하향 연장한다.
고착 기구(7)이 측면 가장자리(6a)에 부착된 견인 구역(R)은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 (a) 및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이 서로 오버랩되는 교차점(A)와 (B) 사이에 하나 이상의 구역(c)과 오버랩되어야 한다.
도 27 및 도 30은 고착 기구의 연장 방향만으로 도 1에서 보여지는 일회용기저귀와는 상이한,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내지 아흡 번째 실시양대의 일회용 기저귀의 단편의 전개도이다. 도 27 및 도 28의 각각의 일회용 기저귀(1)에서, 고착기구(7)는 부등식 [0< _ <45° ]를 만족시키는 경각 _ 으로 연장하기 위해 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에 부착된다. 도 29 및 도 30의 각각의 일회용 기저귀(1)에서, 고착 기구 (7)은 부등식 [0< _ <45。]를 만족시키는 경각 _ 으로 연장하기 위해 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에 부착된다.
인장력(D)가 도 27에서 보여지듯이 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에 부착된 고착 기구(7)에 고착 기구(7)의 연장 방향으로 인가되는 경우, 흡수부(3)의 허리 랩핑부에 분배된 성분인장력(D1)은 흡수부(3)의 다리 랩핑부에 분배된 성분인장력(D2)보다 더 작다. 고착 기구(7)은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 및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 둘 다와 오버랩되는 견인 구역(R)에서 측면 가장자리(6a)에 부착되므로, 인장력 (D)는 허리 랩핑부 및 다리 랩핑부 둘 다에 분배된다.
도 28의 일회용 기저귀(1)에서,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견인 구역(R) 부분은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견인 구역(R) 부분보다 크다. 따라서, 다리 랩핑 부분에 분포된 성분 인장력(D2)은 도 27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다리 랩굉 부분에 적용된 성분 인장력(D2)보다 크다.
인장력(D)이 도 29에 도시된 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에 부착된 고착 기구(7)에 고착 기구(7)의 연장 방향으로 적용되면, 흡수부(3)의 허리 랩핑 부분에 분포된 성분 인장력(D1)은 흡수부(3)의 다리 랩핑 부분에 분포된 성분 인장력(D2) 보다 크다. 견인 구역(R)이 제 1 측면 가장자리 부분(a)과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을 모두 덮기 때문에, 성분 인장력(D2)은 성분 인장력(D1)보다는 적더라도,다리 랩핑 부분에 분포될 수 있다.
도 30의 일회용 기저귀(1)에서,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견인 구역(R) 부분은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견인 구역(R)보다 크다. 따라서, 허리 랩핑 부분에 분포된 성분 인장력(D1)은 도 29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허리 랩핑 부분에 적용된 성분 인장력(D2)보다 크다.
도 31 및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0 및 제 11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를 나타낸다. 도 31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1)는, 제 2 측면 가장자리 구역(b)을 한정하기 위한 도 31에서의 제 2 경계선(L2)이 중간 탄성 다리 고착 부재(5)의 상부 말단(36)으로부터 연장되어 응력 이완 구조물(20)과 접선을 이루고 교차점(B)에서의 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와 교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16에 도시된 기저귀의 구조와 유사하다. 따라서, 교차점(B)에서 귀부(6)에 적용된 인장력의 일부가 중간 탄성 다리 고착 부재(5)의 상부 말단(36)상에 직접 작용한다. 제 2 경계선(L2)은 내부 탄성 다리 고착 부재(5)의 상부 말단(37) 또는 외부 탄성 다리 고착 부재(5)의 상부 말단(38)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1)는 제 1 측면 가장자리 구역(a)을 한정하기 위한 도 32의 제 1경계선(L1)이 중간 탄성 허리 고착 부재(35)의 말단(39)으로부터 연장되어 응력 이완 구조물(20)과 접선을 이루고 교차점 부분(A)에서 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과 교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교차점(A)에서 귀부(6)에 적용된 인장력의 일부는 중간 탄성 허리 고착 부재(35)의 말단(39)에 직접 작용한다. 제 1 경계선(L1)은 상부 탄성 허리 고착 부재(35)의 말단 (40) 또는 낮은 탄성 허리 고착 부재(35)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귀부(6)의 측면 가장자리(6a)에 사선으로 부착된 고착 기구(7)는 일회용 기저귀를 포장할 때 도 33에 도시된 파선에 의해 지시된대로 그의 중심에서 절첩되어 넘겨질 수 있고 일회용 기저귀가 사용을 위해 펼쳐질 때 측면 가장자리(6a)로 부터 돌출될 수 있다. 고착 기구(7)는 포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34에 파선에 의해 지시된대로 절첩되어 넘겨질 수 있다. 따라서 중앙에서 절첩되어 넘겨질때, 고착 기구(7)의 어떤 부분도 귀부(6)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34에 도시된 포크 모양의 고착 기구(7)는 여기에 적용된 인장력이 허리 랩핑 부분 및 다리 래핑 부분에 확실히 신뢰할 만큼 분포할 수 있다. 응력 이완 구조물(20)이 탄성이기 때문에, 응력 이완 구조물(20)이 좌골 등의 모양에 용이하게 합치할수 있으며, 이는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이 일정한 정도의 특수성을 갖는 바람직한 형태로 기술되었지만, 많은 번화 및 번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의 범주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원에 구체적으로 기술된 바와 다르게 실행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8)

  1.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의 가랑이 영역에 위치되도록 흡수 코어를 상면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 사이에 게재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제 1종방향 말단 가장자리 및 제 2종방향 말단 가장자리를 갖는 흡수부; 제 1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의 측면상의 흡수부의 한쪽 종방향 말단부의 마주하는 양측면 가장자리부터 대형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각각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귀부(ear part); 및 귀부의 양측면 말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2개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각각의 귀부가 이의 주변부 보다 주변부 이외의 부분에서 작은 인장 응력이 유도되는 응력 이완 구조물을 갖고, 각각의 고착 수단이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의 견인 구역(pulling section)에서 귀부와 부착되고,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의 제 1측면 가장자리 구역의 적어도 일부의 오버랩(overlap)되며, 측면 가장자라의 교차점으로 부터 흡수부의 제 1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의 측면상에서 연장되며, 제 1경계선이 제 1종방향 말단가장자리의 측면상에서 응력 이완 구조물상의 한 점에서 경계선이 제 1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의 측면상에서 응력 이완 구조물상의 한 점에 접하도록 제 1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의 한 점으로부터 연장되며, 제 2측면 가장자리 구역 부분이 흡수부의 종방향 중심축에 대해 수직인 흡수부의 횡방향 중심축의 측면상에서 측면 가장자리의 교차점으로부터 연장되며, 제 2경계선이 귀부의 저부 말단이 횡방향 중심축의 측면상에서 응력 이완 구조물상의 한 점에 접하도록 흡수부에 결합되는 흡수부의 측면 가장자리상의 한 점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경계선이 연장되는 제 1 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상의 한 점이 제 1 종방향 말단 가장자리 및 흡수부의 종방향 중심축에 평행한 선의 교차점에 상응하는 일회용 기저귀.
  3. 제 1항에 있어서,
    귀부의 주변부가 신장불가능하고 응력 이완구조물인 신장가능한 일회용 기저귀.
  4.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귀부가 신장불가능한 물질로 형성되고, 응력 인완 구조물이 신장불가능한 물질을 인장시 신장성이 되도록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응력 이완 구조물이 귀부 주변부의 수축을 유발하지 않는 일회용 기저귀.
  5.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의 가랑이 영역에 위치되도록 흡수 코어를 상면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 사이에 게재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제 1종방향 말단 가장자리, 제 2종 방향 말단 가장자리, 제 1종 방향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 1 허리 랩핑부, 제 2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 2허리 팹핑부, 및 제 1및 제 2허리 랩핑부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가랑이 랩핑부를 갖는 흡수부; 흡수부의 제 1허리 랩핑부의 마주하는 양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각각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귀부; 및 귀부의 양측면 말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2개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각각의 귀부가 이의 주변부 보다 주변부 이외의 부분에서 작은 인장 응력이 유도되는 응력 이완 구조물을 갖고, 제 1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의 측면상의 응력 이완 구조물상의 한 점에서 잡하도록 제 1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상의 한 점으로부터 연장 된 제 1경계선으로부터 제 1종 방향 말단 가장자리의 측면상에 연장된 제 1허리 랩핑부의 일부가 고착 수단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성분 인장력이 직접 작용하는 허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이고, 허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에 상응하는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 구역이 제 1측면 가장자리 구역이고, 귀부의 저부 말단이 가랑이 랩핑부 측면상의 응력 이완 구조물상의 한 점에서 접하도록 흡수부에 결합된 흡수부의 측면 가장자리상의 한 점으로부터 연장된 제 2경계선으로부터 가랑이 랩핑부의 측면상에 연장된 제 1허리 부분의 일부가 고착 수단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성분 인장력이 직접 작용하는 다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이고, 다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에 상응하는 구부의 측면 가장자리의 견인 구역에서 귀부에 부착되고, 제 1측면 가장자리 구역의 적어도 일부와 제 2측면 가장자리 구역의 일부가 오버랩되는 일회용 기저귀.
  6.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의 가랑이 영역에 위치되도록 흡수 코어를 상면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 사이에 게재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제 1종 방향 말단 가장자리, 제 2종 방향 밀단 가장자리, 제 1종 방향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 1허리 랩핑부, 제 2종 방향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 2허리 랩핑부, 및 제 1 및 제 2허리 랩핑부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가랑이 랩핑부를 갖는 흡수부; 흡수부의 가랑이 랩피부의 마주하는 양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한쌍의 탄성 다리 고착 수단; 흡수부의 제 1허리 랩핑부의 마주하는 양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각각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귀부; 및 귀부의 양측면 말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2개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각각의 귀부가 이의 주변부 보다 주변부 이외의 부분에서 작은 인장 응력이 유도되는 응력 이완 구조물을 갖고, 제 1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의 측면상의 응력 이완 구조물상의 한 점에서 접하도록 제 1종 방향 가장자리상의한 점으로부터 연장 된 제 1경계선으로부터 제 1종 방향 말다 가장자리의 측면상에 연장된 제 1허리 랩핑부의 일부가 고착 수단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성분 인장력이 직접 작용하는 허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이고, 허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에 상응하는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 구역이 제 1측면 가장자리 구역이고, 가랑이 랩핑부의 측면상의 응력이완 구조물상의 한 점에서 접하도록 제 1종 방향 말단 가장자라의 측면상의 탄성다리 고착 수단의 한쪽 말단으로부터 연장된 제 2경계선으로부터 가랑이 랩핑부의 측면상에 연장된 제 1허리 부분의 일부가 고착 수단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성분 인장력이 직접 착용하는 다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이고, 다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에 상응하는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 구역이 제 2측면 가장자리 구역이고, 각각의 고착 수단이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의 견인 구역에서 귀부에 부착되고, 제 1측면 가장자리 구역의 적어도 일부와 제 2측면 가장자리 구역의 일부가 오버랩되는 일회용 기저귀.
  7.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의 가랑이 영역에 위치되도록 흡수 코어를 상면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 사이에 게재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제 1종방향 말단 가장자리, 제 2종 방향 말단 가장자리, 제 1종 방향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 1허리 랩핑부, 제 2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 2허리 랩핑부, 및 제 1및 제 2허리 랩핑부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가랑이 랩핑부를 갖는 흡수부; 제 1종방향 말단 가장자리를 따라 제 1허리 랩핑부 위에 연장되어 있는 탄성 다리 고착 수단; 흡수부의 제 1허리 랩핑부의 마주하는 양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각각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귀부; 및 귀부의 양측면 말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2개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각각의 귀부가 이의 주변부 보다 주변부 이외의 부분에서 작은 인장 응력이 유도되는 응력 이완 구조물을 갖고, 제 1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의 측면상의 응력 이완 구조물상의 한 점에서 접하도록 동일한 귀부의 측면상의 탄성 허리 고착 수단의 말단로부터 연장된 제 1경계선으로부터 제 1종방향 말단가장자리의 측면상에 연장된 제 1허리 랩핑부의 일부가고착 수단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성분 인장력이 직접 작용하는 허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이고, 허리 랩핑 성분력분배 영역에 상응하는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 구역이 제 1측면 가장자리 구역이고, 귀부의 저부 말단이 가랑이 랩핑부의 측면상의 응력 이완 구조물상의 한 점에서 접하도록 가랑이 랩핑부의 측면 가장자리에 결합된 한 점으로부터 연장된 제 2경계선으로부터 가랑이 랩핑부의 측면상에 연장된 제 1허리 랩핑부의 일부가 고착 수단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성분 인장력이 직접 작용하는 다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이고, 다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에 상응하는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 구역이 제 2측면 가장자리 구역이고, 각각의 고착 수단이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의 견인 구역에서 귀부에 부착되고, 제 1측면 가장자리 구역의 적어도 일부와 제 2측면 가장자리 구역의 일부가 오버랩되는 일회용 기저귀
  8.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의 가라이 영역에 위치되도록 흡수 코어를 상면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 사이에 게재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제 1종방향 말단 가장자리, 제 2종 방향 말단 가장자리, 제 1종방향 말다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 1허리 랩핑부, 제 2종방향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 2허리 랩핑부, 및 제 1및 제 2허리 랩핑부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가랑이 랩핑부를 갖는 흡수부; 흡수부의 가랑이 랩핑부의 마주하는 양측면 말단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탄성 다리 고착 수단; 제 1종 방향 말단 가장자리를 따라 제 1허리 랩핑부 위에 연장되어 있는 탄성 다리 고착 수단; 흡수부의 제 1허리 랩핑부의 마주하는 양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각각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귀부; 및 귀부의 양측면 말단에 각각 부착되어 잇는 2개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각각의 귀부가 이의 주변부 보다 주변부 이외의 부분에서 작은 인장 응력이 유도되는 응력 이완 구조물을 갖고,
    제 1종 방향 말단 가장자리의 측면상의 응력 이완 구조물상의 한 점에서 접하도록 귀부의 측면상의 탄성 허리 고착 수단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된 제 1경계선으로부터 제 1종 방향 말단 가장자리의 측면상에 연장된 제 1허리 랩핑부의 일부가 고착될 수단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성분 인장력이 탄성 허리 고착 수단의 말단에 작용하는 허리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이고, 허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에 상응하는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 구역이 제 1측면 가장자리 구역이고, 가랑이 랩핑부의 측면상의 응력이완 구조물상의 한 점에서 접하도록 제 1종방향 측면 가장자리의 측면상의 탄성 다리 고착 수단의 한쪽 말단으로부터 연장된 제 2경계선으로부터 가랑이 랩핑부의 측면상에 연장된 제 1허리 부분의 일부가 고착 수단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성분 인장력이 탄성 허리 고착 수단의 말단에 작용하는 다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이고, 다리 랩핑 성분력 분배 영역에 상응하는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 구역이 제 2측면 가장자리 구역이고, 각각의 고착 수단이 귀부의 측면 가장자리 견인 구역에서 귀부에 부착되고, 제 1측면 가장자리 구역의 적어도 일부와 제 2측면 가장자리 구역의 일부가 오버랩되는 일회용 기저귀.
KR1019970704748A 1995-01-11 1996-01-02 일회용 기저귀 KR100244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867095A JP3162592B2 (ja) 1995-01-11 1995-01-11 使い捨ておむつ
JP95-18670 1995-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359A KR19980701359A (ko) 1998-05-15
KR100244615B1 true KR100244615B1 (ko) 2000-05-01

Family

ID=1197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748A KR100244615B1 (ko) 1995-01-11 1996-01-02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0802778B1 (ko)
JP (1) JP3162592B2 (ko)
KR (1) KR100244615B1 (ko)
CN (1) CN1135958C (ko)
AT (1) ATE180661T1 (ko)
AU (1) AU4656896A (ko)
BR (1) BR9606908A (ko)
CA (1) CA2209913C (ko)
DE (1) DE69602715T2 (ko)
ES (1) ES2132883T3 (ko)
MX (1) MX9705287A (ko)
WO (1) WO199602141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28699T3 (es) * 1993-11-19 1999-05-16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con paneles laterales extensibles en varias direcciones.
US5650214A (en) * 1996-05-31 1997-07-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b materials exhibiting elastic-like behavior and soft, cloth-like texture
JPH10328237A (ja) * 1997-05-30 1998-12-15 Uni 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US6306121B1 (en) 1998-06-12 2001-10-23 First Quality Enterprises, Inc. Disposable elastic absorbent article having triple member closure
US7217260B2 (en) 2001-01-31 2007-05-15 The Procter & Gamble Co. Absorbent article with tension-dividing side panels
JP3759902B2 (ja) * 2001-12-13 2006-03-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ATE390109T1 (de) * 2002-04-02 2008-04-15 Sca Hygiene Prod Ab Seitenklappeneinrichtung für absorbierenden artikel
JP4021798B2 (ja) 2002-09-30 2007-1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US8475423B2 (en) 2004-04-30 2013-07-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characteristics for droop elimination
US7432413B2 (en) * 2005-12-16 2008-10-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side panels with structurally, functionally and visually different regions
BRPI0520765A2 (pt) * 2005-12-21 2009-05-26 Sca Hygiene Prod Ab painel lateral para um artigo absorvente, tal como uma fralda, um protetor para incontinência ou similar
CN101902999A (zh) * 2007-12-21 2010-12-01 Sca卫生用品公司 具有侧片或带元件的吸收性衣物
JP5566612B2 (ja) * 2008-02-19 2014-08-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67096B2 (ja) * 2008-12-03 2013-03-21 花王株式会社 ファスニングテープ、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用カバー
JP5513034B2 (ja) * 2009-07-29 2014-06-04 花王株式会社 展開型着用物品
KR101501145B1 (ko) * 2010-11-30 2015-03-10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
JP4976541B1 (ja) * 2010-12-27 2012-07-18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12183094A (ja) * 2011-03-03 2012-09-27 Zuiko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073251A (ja) * 2012-10-04 2014-04-24 Uni Charm Corp 着用物品
EP3434238B1 (en) 2017-07-24 2021-03-10 Ontex BV Absorbent article for multiple size comfortable f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23040A1 (en) * 1987-12-04 1989-07-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shirred ea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588916T4 (da) * 1991-06-13 2001-10-08 Procter & Gamble Absorberende artikel med fastgøringssystem, der tilvejebringer dynamisk tilpasning af elasticeret linning
SG75789A1 (en) * 1992-09-28 2000-10-24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feature comprising elasticized hip panels
US5383871A (en) * 1993-06-03 1995-0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a closure system providing sustained dynamic f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23040A1 (en) * 1987-12-04 1989-07-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shirred ea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21412A3 (en) 1997-02-13
EP0802778A2 (en) 1997-10-29
WO1996021412A2 (en) 1996-07-18
BR9606908A (pt) 1997-10-21
AU4656896A (en) 1996-07-31
CN1135958C (zh) 2004-01-28
DE69602715T2 (de) 1999-12-02
ES2132883T3 (es) 1999-08-16
CA2209913A1 (en) 1996-07-18
JPH08191860A (ja) 1996-07-30
CN1173813A (zh) 1998-02-18
KR19980701359A (ko) 1998-05-15
JP3162592B2 (ja) 2001-05-08
EP0802778B1 (en) 1999-06-02
ATE180661T1 (de) 1999-06-15
DE69602715D1 (de) 1999-07-08
CA2209913C (en) 2000-04-25
MX9705287A (es) 199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615B1 (ko) 일회용 기저귀
US5906008A (en) Disposable diaper
JP3454361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法
KR101761975B1 (ko) 흡수성 물품
AU2003235344B2 (en) Panty type diaper
JP2004141177A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H10508519A (ja) パンティ型衛生ナプキン
KR100235695B1 (ko) 일회용 기저귀
KR20010110124A (ko)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
TWI642418B (zh) Absorbent article
US6200299B1 (en) Disposable diaper having stress relaxing structures and fasteners positioned for improved fit
JP2018134272A (ja) トランクス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8134272A5 (ko)
JP2002345886A (ja) 吸収性物品
JP3426343B2 (ja) 使い捨て紙おむつ
JP2018083021A5 (ko)
JP7289215B2 (ja) トランクス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8134482A (ja) トランクス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WO2023026560A1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JP7293028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の伸縮構造、及びこの伸縮構造を有する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8083020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20162830A5 (ko)
JP2023032122A5 (ko)
JPH11332912A (ja) パンツ型おむつ
JP2000005231A (ja) 使い捨て紙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