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798B1 - 문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문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798B1
KR100243798B1 KR1019920006633A KR920006633A KR100243798B1 KR 100243798 B1 KR100243798 B1 KR 100243798B1 KR 1019920006633 A KR1019920006633 A KR 1019920006633A KR 920006633 A KR920006633 A KR 920006633A KR 100243798 B1 KR100243798 B1 KR 10024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display
frame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305A (ko
Inventor
다나까히데까즈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2002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사용자에 불쾌감을 부여하지 않고, 무모한 조작을 시키는 것없이 문자 입력의 한계를 사용자에 알린다.
[구성] 표시 문자틀(23)에 좌에서 우로 순차 문자를 기입 입력하여 가면, 그 문자가 논리 문자를 (24)에 순차 표시된다.
논리 문자틀(24)의 표시가능한 문자수가 한계에 달하면, 표시 문자틀(23)은 기입한계를 알리기 위한 마크(31)가 표시된다.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
제1도는 제2도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2도는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한 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의 실시예에 대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제4도는 제2도의 실시예에 대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제5도는 제2도의 실시예에 대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제6도는 제2도의 실시예에 대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제7도는 제2도의 실시예에 대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제8도는 제2도의 실시예에 대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CPU 5 : ROM
6 : RAM 8 : 타브레트
9 : LCD 21 : 기입부
22 : 활자 플레이트 23 : 표시 문자틀
24 : 논리 문자틀
본 발명은 전자 수첩 장치 등의 포터블 콤퓨터에 사용되는 적합한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워드 프로세서 등에서는, 예를들면 키보드에서 소정의 문자를 입력하면, 그 문자가 일단 소정 범위의 작은 윈도우내에 표시되고, 문자를 확정했을 때, 그 문자가 윈도우에서 본래의 입력 위치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윈도우는 변환 동작을 위하여 준비되어 있는 것이므로, 거기에는 통상, 가능한 10 내지 20개 정도의 문자밖에 입력할 수 없다.
윈도우의 입력 한계에 달한후,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면, 비프음이 울리게 되거나, 입력된 문자가 무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프로그램의 폭주가 방지되어 있다. 그러나, 비프음을 울리는 방법은 입력한계를 초과하여 문자를 입력했을 때 처음에 발생되는 것이므로, 무모한 입력을 행하게 되는 결과로 되고, 조작자에 불쾌감을 부여하는 결점이 있었다.
입력한계 이후의 입력이 무시되는 방법은 조작자가 입력한계에 달했는지 아닌지를 항시 기록하여 있지 않으면 안되고, 조작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상황을 감안한 것이며, 입력한계에 달한 것을 조작자에 불쾌감을 부여하지 않고, 또한, 무모한 입력을 행하지 않고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기입 문자를 입력 표시하는 복수의 문자 표시틀을 가지는 입력 표시 수단과, 표시 문자틀에 순환하여 기입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기입 문자의 입력을 금지할 때, 표시 문자틀에 소정의 마크를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문자 입력 장치에서는 표시 문자틀로의 기입 문자의 입력이 금지될 때, 그 표시 문자틀에 소정의 마크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한계에 달한 것을 입력을 행하기 전에 쉽게 알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한 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은 전원 스위치, 그 외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입력부이고, 그 입력은 인터페이스(2)를 거쳐 CPU(4)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전원 회로(3)는 내부에 전지(3b)와 버퍼업용의 콘덴서(3a)를 내장하고 있으며, 각부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ROM(5)은 CPU(4)가 동작하고 필요한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각종의 미리 설정된 데이타를 기억하고 있다. RAM(6)은 동작상 필요한 데이타등을 수시 기억한다. RAM(7)은 전원회로(3)에 의하여 버퍼업된 메모리이다.
LCD(9)와 타브레트(8)는 일체화되어 있으며, LCD(9)에 표시된 화상을 타브레트(8)를 거쳐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타브레트(8)는 감압식 또는 정전 용량식의 좌표 검출 장치를 구성하고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펜등에 의하여 입력된 데이타를 인터페이스(2)를 거쳐 CPU(4)에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피커(10)는 필요에 따라 소정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제3도는 LCD(9)에 표시된 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 나타나듯이, 기입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활자 플레이트(22)가 윈도우로서 표시되어 있다. 이 활자 플레이트(22)는, 4개의 표시 문자틀(23)과, 확정전의 문자를 표시하는 논리 문자틀(24)과, 가명한자 변환을 실행할 때, 조작되는 보턴(25)과, 확정한 문자를 기입난(21)에 기입할 때 조작되는 기입 보턴(26)을 가지고 있다.
이 기입 보턴(26)을 조작했을 때, 논리 문자틀(24)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가 기입난(21)의 카솔(27)이 위치하는 위치에 기입된다.
도면에서, 문자가 불명료하게 나타내어 있는 보턴은, 그때, 그 보턴이 동작 블능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표시 문자틀(23)에 도시하지 않은 펜에서 문자를 기입 입력하면, 그 필적이 타브레트(8)에 의하여 검출되고, 그 데이타가 인터페이스(2)를 거쳐 CPU(4)에 공급된다. CPU(4)는 그 데이타를 미리 ROM(5)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와 비교하고, 그 문자를 인식한다. 그리고, 인식 결과가 얻어졌을 때, 그 인식된 문자를 LCD(9)에 출력하고 표시한다. 따라서, 표시 문자틀(23)에 기입 문자를 입력하면, 그 필적이 그 위치에 표시되고, 그후, 그 필적이 패턴 인식되고, 인식된 문자가 인식전의 필적에 대하여 표시한다.
사용자는 4개의 표시 문자틀(23)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 1개씩 문자를 기입 입력하여 간다. 이때 CPU(4)는, 제1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스텝(S1)에서 n번째 (n은 1 내지 4)의 표시 문자틀(23)에 표시시키기 위한 논리 문자틀(24)의 번호(Rn)를 취득한다. 다음에 스텝(S2)에서, 번호(Rn)와 논리 문자틀(24)의 개수가 비교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논리 문자틀(24)에는 11개의 문자가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논리 문자틀의 번호(Rn)가 11 이하일 때, 스텝(S3)으로 나아가고, 논리 문자틀 번호(Rn)의 내용이 n번째의 표시 문자틀(23)에 표시된다.
한편, 논리 문자틀의 번호(Rn)가 논리 문자틀의 수(11) 보다 크게되었을 때, 스텝(S4)으로 나아가고, 그 표시 문자틀(23)에 그것이상 기입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마크)을 표시한다.
이상의 동작을 제4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표시 문자틀(23)에 좌에서 우로 순차 소정의 문자를 입력하여 간다. 4개의 문자를 입력했을 때, 다음 5번째의 문자는 재차 가장 좌측의 표시 문자틀(23)로 돌아가 기입하게 된다. 이와같이, 기입은 4개의 표시 문자틀(23)에서 순환하여 행하여진다. 제4도에서는 「あぃう」까지의 히라가나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5도에서는, 「あいうえおかきく」까지의 문자가 입력되고, 이들의 문자가 논리 문자틀(24)에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다음의 문자「け」가 제 1 번째의 표시 문자틀(23)에 기입 입력되고, 그 필적이 아직 인식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제6도에 나타나듯이, 「け」,「こ」의 다음에, 「さ」의 문자를 입력하면, 이것에서 합계 11개의 문자가 입력된 것으로 된다. 그결과, 논리 문자틀(24)에는 이것 이상 문자를 입력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さ」의 문자가 입력된 제 3 번째의 표시 문자틀(23) 근처의 제 4 번째의 표시 문자틀(23)에는 이것 이상 문자를 입력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마크 31(실시예에서는 손의 마크)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음에 12개째의 문자 입력을 위한 동작을 행하기 전에, 이것 이상 문자를 입력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모한 문자 입력을 위한 조작을 행하지 않고 완수하게 된다.
제7도에 나타나듯이, 제 11 번째의 문자 「さ」의 기입 입력을 완료하면, 제8도에 나타나듯이, 이 문자가 인식되고, 인식의 결과 얻어진 문자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기입 보턴(26)을 조작하면, 논리 문자틀(24)의 문자가 기입란(21)에 기입된다.
표시 문자틀(23)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경우, 상술했듯이 순환적인 입력을 행하지 않고 완료한다. 그러나 이와같이 하면, 입력 표시면을 크게하지 않으면 안되고, 장치가 대형화한다. 그래서 전자 수첩 장치등과 같이 휴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표시 문자틀(23)의 수를 어느정도 작게하고,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서는 표시 문자틀(23)을 순환적으로 사용함으로서, 사용자의 사고를 정지시키지 않고, 문자를 입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하면, 표시 문자틀에 순환적으로 기입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서, 기입 문자의 입력을 금지할 때, 그 표시 문자틀에 소정의 마크를 표시하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자에 불쾌감을 주지않고, 무모한 동작을 시키지 않고, 입력 한계를 사용자에 알리며, 입력 조작을 일단 중단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기입 문자를 입력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문자틀을 구비하는 입력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문자틀에 순환하여 기입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기입 문자의 입력을 금지할 때, 상기 표시 문자틀에 소정의 마크를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KR1019920006633A 1991-04-30 1992-04-21 문자입력장치 KR100243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26739A JP3061068B2 (ja) 1991-04-30 1991-04-30 文字入力装置
JP91-126739 1991-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305A KR920020305A (ko) 1992-11-21
KR100243798B1 true KR100243798B1 (ko) 2000-02-01

Family

ID=1494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633A KR100243798B1 (ko) 1991-04-30 1992-04-21 문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61068B2 (ko)
KR (1) KR100243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5555A (ja) * 2007-03-08 2008-09-25 Takram Design Engineering:Kk 手書き文字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305A (ko) 1992-11-21
JP3061068B2 (ja) 2000-07-10
JPH04329419A (ja) 199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0665A (en) Touch screen handling
US4545023A (en) Hand-held computer
JP3829366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方法
JP3020851B2 (ja) 情報検索装置および情報検索制御方法
JP2000056877A (ja) タッチパネル式レイアウトフリーキーボード
JP317404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EP0725331A1 (en) Information imput/output device using touch panel
JPH08249122A (ja) 表示装置
KR0137847Y1 (ko) 터치 판넬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장치
KR100243798B1 (ko) 문자입력장치
JPH10283108A (ja) 筆記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50102829A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및 한글입력방법
JP2783472B2 (ja) 情報処理装置
KR100233416B1 (ko)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KR19990048401A (ko) 키보드 확대 디스플레이 장치
JPH0588804A (ja) ローマ字入力装置
JP2706010B2 (ja) 情報処理装置
KR20080047018A (ko) 기호 입력을 위한 표시창들이 가변되는 전자장치
JP2950312B2 (ja) 個人情報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293631A (ja) 手書き文字入力装置及び手書き文字入力方法
JP2023042339A (ja) 操作シート、操作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940003626B1 (ko) 한글 자소 소거 방법
JP2869936B2 (ja) 文字変換装置
JPH06214701A (ja) 情報処理装置
JPH05298262A (ja) 仮名文字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