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809B1 - 연결고정구 - Google Patents

연결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809B1
KR100242809B1 KR1019970056097A KR19970056097A KR100242809B1 KR 100242809 B1 KR100242809 B1 KR 100242809B1 KR 1019970056097 A KR1019970056097 A KR 1019970056097A KR 19970056097 A KR19970056097 A KR 19970056097A KR 100242809 B1 KR100242809 B1 KR 100242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head
substrate flange
soft material
attachm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405A (ko
Inventor
히데야 미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1998008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2019/045Coated ri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과제) 요동이나 진동에 의한 이음(異音)발생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정해제 후 재사용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바우(bow)등의 불량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양호한 성형성을 가지는 연결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기판플랜지(1)의 일면측에 형성된 목부(3) 및 머리부(4)를 일측부재(p1)의 부착구멍(w1)에 고정시켜 일측부재(p1)에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 기판플랜지(1)의 타측면에 형성된 걸림다리부(2)를 타측부재(p2)의 고정구멍(w3)에 고정시킴으로써 일측부재(p1)와 타측부재(p2)를 서로 연결고정시키는 연결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기판플랜지(1)와 상기 머리부(4)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 및 상기 목부(3)의 외측 둘레면이 연질재료에 의해서 피복된 연질재료층(12, 32, 42)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고정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결고정구
본 발명은, 기판플랜지의 일면측에 걸림다리부를 돌출형성함과 아울러, 그 기판플랜지의 타면측에 기둥형상의 목부를 개재하여 판형상의 머리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일측부재에 형성된 일부가 절결되어 개방된 부착구멍으로 상기 목부를 삽입하여 상기 기판플랜지와 상기 머리부 사이에 이 부착구멍의 주위를 고정시키고, 상기 걸림다리부를 타측부재에 형성된 고정구멍으로 압입하여 이 고정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리게 함으로써, 일측부재와 타측부재를 서로 연결고정시키는 연결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내장재를 자동차 보디에 부착할 경우등에 사용되는 일측부재와 타측부재를 연결고정시키기 위한 연결고정구로서, 종래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57-46117호 공보에 개시된 클립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클립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플랜지(a)의 일면측에 축방향 중간부가 큰 지름으로 형성된 탄성변형 가능한 걸림다리부(b)를 돌출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기판플랜지(a)의 타면측에 기둥형상의 목부(c)를 개재하여 원판형상의 머리부(d)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목부(c)의 외측둘레면에 다수의 날개판형상의 돌기편(e)을 일체로 돌출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기판플랜지(a)의 일면측에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걸림다리부(b)의 축방향 선단측으로, 비스듬한 탄성변형 가능한 링형상의 스커트부(f)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클립은, 일측부재(p1)에 형성된 일부가 절결되어 개방된 부착구멍(w1)으로 상기 목부(c)를 삽입하여 상기 기판플랜지(a)와 상기 머리부(d) 사이에 이 부착구멍(w1)의 주위를 고정시키고, 상기 걸림다리부(b)를 타측부재(도시 생략)에 형성된 고정구멍(도시생략)으로 압입하여 상기 걸림다리부(b)를 이 고정구멍의 둘레가장자리부에 걸리게 함으로써, 일측부재(p1)와 타측부재(도시 생략)를 서로 연결고정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일측부재(p1)에 형성된 부착구멍(w1)은, 예를 들어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이 좁은 홈구멍(s)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된 큰 지름의 삽입구멍(w2)과 작은 지름의 부착구망(w1)이 연이어 형성된 소위 오뚝이구멍(w)의 일부로서 형성된 것으로, 이 오뚝이구멍(w)의 상기 삽입구멍(w2)으로 상기 머리부(d)를 통과시켜 상기 목부(c)를 오뚝이구멍(w)으로 삽입하고, 그 목부(c)를 상기 홈구멍(s)을 통해서 상기 부착구멍(w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일측부재(p1)에 상기 목부(c)를 고정시킨다.
이 경우, 상기 클립의 상기 목부(c)를 상기 오뚝이구멍(w)의 상기 삽입구멍(w2)에서 상기 부착구멍(w1)으로 이동하여 고정시킬 때,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부(c)에 돌출형성된 상기 돌기편(e)이 일단 꺽이듯이 하여 상기 홈구멍(s)을 통과하고, 상기 부착구멍(w1)에서는 이들 돌기편(e)의 선단이 부착구멍(w1)의 내측둘레 가장자리에 맞닿음으로써 클립의 목부(c)가 부착구멍(w1)에 유지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클립은, 목부(c)와 부착구멍(w1) 사이에 발생하는 지름방향의 힘이나 진동에 대해서는 부착구멍(w1)의 내측둘레 가장자리에 맞닿는 상기 각 돌기편(e)의 탄성에 의해서 이들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요동과 이음(異音)발생을 방지할 수 있지만, 축방향으로 큰 힘이나 진동이 발생한 경우등에는 이들을 흡수할 수 없으므로 클립이 파손되거나 요동과 이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자동차부품의 부착에 상기 클립을 사용한 경우에는 진동에 의한 이음발생이 문제가 된다.
또, 상기 종래의 클립은 합성수지재료에 의해서 각부를 일체적으로 성형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기판플랜지(a), 걸림다리부(b), 목부(c) 및 머리부(d)는 확실한 고정상태를 확보하기 위해서 충분한 강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부분들과 일체로 성형되는 상기 각 돌기편(e)도 어느 정도 강성이 높은 재료로 성형되게 되어 어느 정도의 가요성은 가지고 있지만 반드시 충분한 유연성을 가진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상기 부착구멍(w1)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홈구멍(s)을 통과시킬 때 상기돌기편(e)이 부러져서 양호하게 부착구멍(w1)에 고정시킬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부착구멍(w1)에 고정된 후에도 일측방향으로 장시간 하중이 걸린 상태로 있으면, 상기 돌기편(e)이 꺾이거나 기타 변형이 발생하고 이 변형이 정착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될 수 없게 되므로, 정비등을 위해서 한번 분해한 후에는 다시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한, 도면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보통 이러한 종류의 클립에서는, 상기 목부(c)의 두께는 상기 원판형상 머리부(d)의 두께보다 상당히 두껍게 형성되므로, 성형후 목부(c)의 수지(樹脂)수축은 머리부(d)의 수지수축보다 크다. 이 때문에 목부(c)와의 연결부 상면에 오목자국(indentation)형상의 변형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머리부(d)에 바우(bow)가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판플랜지의 일면측에 형성된 목부 및 머리부를 일측부재의 부착구멍에 고정시켜 일측부재에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 기판플랜지의 타면측에 형성된 걸림다리부를 타측부재의 고정구멍에 고정시킴으로써 일측부재와 타측부재를 서로 연결고정시키는 합성수지제의 연결고정구에 있어서, 요동과 진동에 의한 이음발생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정해제 후 재사용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바우등의 불량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양호한 성형성을 가진 연결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연결고정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상기 연결고정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상기 연결고정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상기 연결고정구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5는 상기 연결고정구를 나타내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상기 연결고정구를 나타내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상기 연결고정구를 나타내는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상기 연결고정구를 나타내는 도 2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상기 연결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절결하여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10은 상기 연결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목부의 횡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연결고정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상기 종래의 연결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목부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플랜지 11 : 기판플랜지의 심재
12 : 기판플랜지의 연질재료층 13 : 볼록부
2 : 걸림다리부 23 : 걸림돌출부
3 : 목부 31 : 목부의 심재
32 : 목부의 연질재료층 33 : 돌기편(돌출부)
4 : 머리부 41 : 머리부의 심재
42 : 머리부의 연질재료층 43 : 볼록부
5 : 스커트부 w1 : 부착구멍
w3 : 고정구멍 p1 : 일측부재
p2 : 타측부재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판플랜지의 일면측에 외측둘레면에 걸림돌출부를 가지는 탄성변형 가능한 걸림다리부를 돌출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기판플랜지의 타면측에 기둥형상의 목부를 개재하여 판형상의 머리부를 형성함으로써 하여 이루어지고, 일측부재에 형성된 일부가 절결되어 개방된 부착구멍으로 상기목부를 삽입하여 상기 기판플랜지와 상기 머리부 사이에 이 부착구멍의 주위를 고정시키고, 상기 걸림다리부를 타측부재에 형성된 고정구멍으로 압입하여 상기 걸림돌출부를 그 고정구멍의 둘레가장자리에 걸리게 함으로써, 일측부재와 타측부재를 서로 연결고정시키는 연결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기판플랜지와 상기 머리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 및 상기 목부의 외측둘레면이 연질재료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고정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고정구는, 일측부재에 오뚝이구멍의 일부로서 형성된 일부가 절결되어 개방된 부착구멍으로 그 절결부분을 통해서 상기 목부를 삽입하여 상기 기판플랜지와 상기 머리부 사이에 이 부착구멍의 주위를 고정시켜 일측부재에 부착함과 아울러, 타측부재에 형성된 고정구멍으로 상기 걸림다리부를 압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일측부재와 타측부재를 서로 연결고정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연결고정구에 의하면, 상기 기판플랜지와 상기 머리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 및 상기 목부의 외측둘레면이 연질재료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일측부재에 형성된 부착구멍의 내측둘레면 및 상기 부착구멍 주위에 맞닿는 부분이 연질재료로 피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고정구와 일측부재 사이에 어떤 방향으로의 힘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그 힘이나 진동을 상기 연질재료가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요동이나 진동에 의한 이음발생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목부의 외측둘레면과 상기 기판플랜지와 상기 머리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돌출부나 볼록부를 형성하여, 부착구멍 고정시에 그 돌출부나 볼록부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부착구멍의 내측둘레면이나 주위에 맞닿도록 설계함으로써, 보다 양호하게 요동과 이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종래의 클립과 같이 상기 목부의 외측둘레면에 형성하는 돌출부를 날개판형상의 돌기편으로 할 경우에도, 이 돌기편을 목부의 외측둘레면을 감싸는 상기 연질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양호한 유연성 및 탄성을 가지는 돌기편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구멍으로 상기 목부를 삽입할 때 돌기편이 부서지는 일없이 양호하게 부착구멍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구멍에 고정된 후 일측방향으로 장시간 하중이 걸려 이들 돌기편이 꺾이거나 기타 변형된 상태로 있더라도 상기 하중에서 해방됨으로써 연질재료의 유연성 및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므로, 정비등을 위해서 한번 떼어낸 후에도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고정구는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제조하지만, 이 경우 우선 양호한 강성을 가지는 경질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기판플랜지, 걸림다리부, 목부 및 머리부를 일체적으로 성형하고, 이 성형물을 다시 금형내에 세트하여 연질재료로 2차성형을 하고, 목부의 외측둘레면 및 기판플랜지와 상기 머리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을 상기 연질재료로 피복하는 소위 2색성형법으로 성형할 수 있고, 이 경우 2차성형에 의해서 성형되는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피복층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경질재료로 이루어지는 목부 및 머리부의 심재를 거의 동일한 두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목부와 머리부의 연결부에 수지의 수축량 차이에 의한 오목자국이나 바우 등의 성형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양호하게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고정구는 요동이나 진동에 의한 이음발생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정해제 후 재사용에도 충분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또한 바우등 불량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양호한 성형성을 가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히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합성수지제의 연결고정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연결고정구는 기판플랜지(1)의 일면측(도면상 하측)에 걸림다리부(2)를 돌출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기판플랜지의 타면측(도면상 상측)에 원기둥형상의 목부(3)를 개재하여 원판형상의 머리부(4)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기판플랜지(1)의 일면측에 스커트부(5)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기판플랜지(1), 목부(3) 및 머리부(4)는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일체로 성형된 경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재(11, 31, 41)를 일체로 성형된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연질재료층(12, 32, 42)으로 피복한 것으로, 목부(3)는 그 외측둘레 전체면이 연질재료층(32)에 의해서 피복되고, 기판플랜지(1) 및 머리부(4)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 전체면이 각각 상기 연질재료층(12, 42)으로 피복된 것이다. 이 경우, 기판플랜지(1)의 연질재료층(12) 외측둘레 가장자리부는 기판플랜지(1)의 심재(1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머리부(4)의 연질재료층(42) 외측둘레 가장자리부도 머리부(4)의 심재(4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목부(3)의 연질재료층(32)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질재료층(32)과 일체로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4장의 날개판형상 돌기편(돌출부 : 33)이 서로 등간격으로 떨어져서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4장의 돌기편(33)은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상기 머리부(4)의 연질재료층(42) 및 상기 기판플랜지(1)의 연질재료층(12)과 일체화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각 돌기편(33)의 선단부에서 연장되듯이 머리부(4)의 연질재료층(42) 및 상기 기판플랜지(1)의 연질재료층(12)에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볼록부(43, 1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다리부(2)는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판플랜지(1) 심재(11)의 일면측(도면상 하측)에 경질재료에 의해서 일체로 돌출형성된 것으로, 도4,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측둘레면에 2쌍의 얕은 오목부(21, 21)와 2쌍의 깊은 오목부(22, 22)가 교차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얕은 오목부(21)와 깊은 오목부(22) 사이의 축방향 중간부가 각각 외측으로 돌출하여 걸림돌출부(23, 23, 23, 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다리부(2)의 상기 각 걸림돌출부(23) 부분은 외측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내측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커트부(5)는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판플랜지(1) 심재(11)의 외측둘레 가장자리부에 경질재료에 의해서 일체로 돌출형성된 것으로,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걸림다리부(2)의 축방향 선단측으로 경사져서 상기 걸림다리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탄성변형 가능한 링형상의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기판플랜지(1), 목부(3) 및 머리부(4)의 심재(11, 31, 41) 및 상기 걸림다리부(2) 및 스커트부(11)를 형성하는 경질재료로서는, 충분한 강성과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라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고, 구체적으로 폴리옥시메틸렌(POM)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이들 POM으로서 BASF사 제품 상품명 N2640Z4, 미츠비시엔지니어 플라스틱사 제품 상품명 VR20H, 폴리플라스틱사 제품 상품명 TD15R 등이 있다.
또, 상기 기판플랜지(1), 목부(3) 및 머리부(4)의 연질재료층(12, 32, 42) 및 상기 각 돌기편(33) 및 볼록부(13, 43)를 형성하는 연질재료로서는, 충분한 유연성과 탄성을 가지는 재료라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통 쇼어(Shore) A경도가 50∼80°, 특히 70°전후의 탄성중합체가 가장 알맞게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올레핀계 탄성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올레핀계 탄성중합체로서는, AES재팬사 제품 상품명 샌트플렌 101-73, 주우(住友)화학사제품 상품명 주우 TPE 3780, 미츠이석유화학사 제품 상품명 미라스토머 7030N 등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결고정구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출성형법을 이용한 2색성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우선 상기 경질재료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상기 기판플랜지(1), 목부(3) 및 머리부(4)의 심재(11, 31, 41) 및 상기 걸림다리부(2) 및 스커트부(11)를 성형하고, 이 성형물을 다시 금형내에 배치하여 상기 연질재료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상기 기판플랜지(1), 목부(3) 및 머리부(4)의 연질재료층(12, 32, 42) 및 상기 각 돌기편(33) 및 볼록부(13, 43)를 성형하여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목부(3) 및 머리부(4)의 심재(31, 41) 두께를 거의 동일한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서 수지의 수축량 차이에 의한 오목자국이나 바우 등의 성형불량없이 양호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목부(3) 및 머리부(4)의 최종적인 설계상의 치수는 상기 연질재료층(32, 42)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결고정구는, 일측부재에 형성된 일부가 절결되어 개방된 부착구멍으로 상기 절개부분을 통해서 상기 목부를 삽입하여 상기 기판플랜지(1)와 상기 머리부(4) 사이에 이 부착구멍의 주위를 고정시켜 일측부재에 부착함과 아울러, 타측부재에 형성된 고정구멍으로 상기 걸림다리부(2)를 압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일측부재와 타측부재를 서로 연결고정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부재(p1)에 지름이 작은 부착구멍(w1)과 지름이 큰 삽입구멍(w2)을 폭이 좁은 홈구멍(s)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한 소위 오뚝이구멍(w)을 형성하고, 이 오뚝이구멍(w)의 상기 삽입구멍(w2)으로 상기 머리부(4)를 통과시켜 상기 목부(3)를 오뚝이구멍(w)에 삽입하고, 이 목부(3)를 그 외측둘레면에 돌출형성된 상기 돌기편(33)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홈구멍(s)을 통하여 상기 부착구멍(w1)으로 이동시켜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멍(w1)에 상기 목부(3)를 고정시킴으로써, 본 실시예의 연결고정구를 일측부재(p1)에 부착한다.
이 경우 상기 목부(3)는, 상기와 같이 양호한 유연성과 탄성을 가지는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연질재료층(32)으로 피복됨과 아울러 이 목부(3)에서 돌출형성된 상기 각 돌기편(33)도 마찬가지로 연질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돌기편(33) 및 목부(3)의 외측둘레를 삽입구멍(w2)에서 부착구멍(w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일측부재(p1)에 고정된 상기 목부(3)는, 그 외측둘레면에 돌출형성된 각돌기편(33)의 선단부가 부착구멍(w1)의 내측둘레면에 맞닿음과 아울러, 각 돌기편(33) 전체가 압축변형된 상태가 되고{도 9 중의 일점쇄선이 원래의 돌기편(33) 위치}, 그 탄성에 의해서 양호하게 부착구멍(w1)에 고정됨과 아울러, 부착구멍(w1)의 중심과 목부(3)의 중심(고정구의 중심)이 약각 어긋난 상태로 있더라도(복수의 오뚝이구멍 사이의 피치 어긋남등에 의해서 약간씩의 어긋남은 종종 생긴다), 그 어긋남을 이들 돌기편(33)의 변형에 의해서 양호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 이 때, 머리부(4) 및 기판플랜지(1)의 탄성재료층(42, 12)에 돌출형성된 각 볼록부(43, 13)도 부착구멍(w1) 주위의 양쪽면에 각각 압축변형된 상태로 맞닿고{도 9 중의 일점쇄선이 원래의 볼록부(43, 13) 위치}, 그 탄성에 의해서 목부(3)가 양호하게 부착구멍(w1)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타측부재(p2)에 형성된 고정구멍(w3)으로 상기 걸림다리부(2)를 압입한다. 이에 의해서 상기 각 걸림돌출부(23)가 형성된 걸림다리부(2)의 축방향 중간부가 내측으로 압압되어 일단 탄성변형되고, 고정구멍(w3)을 통과함으로써 이것이 탄성복귀하여 상기 걸림돌출부(23)가 고정구멍(w3)의 둘레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춤됨으로써 일측부재(p1)와 타측부재(p2)가 서로 연결고정된다. 이 때, 상기 스커트부(5)의 외측둘레 가장자리부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타측부재(p2)의 표면에 맞닿고, 그 탄성력에 의해서 연결고정구와 타측부재(p2) 사이에서의 요동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고정구에 의하면, 상기 기판플랜지(1)와 상기 머리부(4)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 및 상기 머리부(3)의 외측둘레면이 연질재료층(12, 42, 32)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일측부재(p1)에 형성된 부착구멍(w1)의 내측둘레면 및 상기 부착구멍(w1) 주위의 양면에 맞닿는 부분이 연질재료로 피복되므로, 상기 연결고정구와 일측부재(p1) 사이에 어떤 방향으로의 힘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이 힘이나 진동은 상기 연질재료층(12, 42, 32)이 효과적으로 흡수하므로, 요동과 진동에 의한 이음발생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질재료로 피복된 상기 기판플랜지(1)와 상기 머리부(4)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 및 상기 머리부(3)의 외측둘레면에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돌기편(33) 및 볼록부(13, 43)가 돌출형성되고, 이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돌기편(33) 및 볼록부(13, 43)가 압축변형된 상태로 상기 부착구멍(w1)에 고정되므로, 확실하게 부착구멍(w1)에 고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보다 양호하게 요동과 이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연결고정구의 상기 목부(3)에 형성된 날개판형상의 돌기편(33)은, 그 목부(3)의 외측둘레면을 피복하는 상기 연질재료층(32)에 상기 연질재료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양호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부착구멍(w1)으로 상기 목부(3)를 삽입할 때 돌기편(33)이 부러지지 않고, 일측방향으로 장시간 하중이 걸림으로써 이들 돌기편(33)이 꺾이거나 기타 변형된 상태로 있더라도 그 하중에서 해방되면 연질재료의 유연성 및 탄성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므로, 정비등을 위해서 한번 떼어낸 후에도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고정구를 소위 2색성형법으로 성형할 경우, 2차성형에 의해서 성형되는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피복층(12, 32, 42)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경질재료로 이루어지는 목부(3) 및 머리부(4)의 심재(31, 41)를 거의 동일한 두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목부(3)와 머리부(4)의 연결부에 있어서 수지수축량의 차이에 의한 오목자국이나 바우 등의 성형불량없이 양호하게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고정구는, 요동이나 진동에 의한 이음발생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정해제 후 재사용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고, 또 바우등 불량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양호한 성형성을 가지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연결고정구는,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커트부(5)나 돌기편(33), 볼록부(13,43)는 반드시 필요한 필수구성이 아니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을 생략할 수도 있고, 또한 걸림다리부(2)의 형상이나 기판플랜지(1)의 형상 등 기타 구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 목부(3)가 고정되는 부착구멍(w1)도 상기 오뚝이구멍(w)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가 절결되어 개방된 관통구멍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고정구를 제조하는 방법도 상기 2색성형법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고정구는, 필러가니시등의 자동차 내장재를 자동차보디에 부착하는 경우등 자동차부품의 부착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지만 용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의 부재에 형성된 부착구멍과 고정구멍을 이용하여 이들 부재를 서로 연결고정시키는 용도라면 어떤 용도에라도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고정구는, 요동이나 진동에 의한 이음발생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정해제 후 재사용에도 충분하케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바우등과 같은 불량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양호한 성형성을 가진다.

Claims (6)

  1. 기판플랜지의 일면측에, 외측둘레면에 걸림돌출부를 가지는 탄성변형 가능한 걸림다리부를 돌출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기판플랜지의 타면측에, 기둥형상의 목부를 개재하여 판형상의 머리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일측부재에 형성된 일부가 절결되어 개방된 부착구멍으로 상기 목부를 삽입하여 상기 기판플랜지와 상기 머리부 사이에 이 부착구멍의 주위를 고정시키고, 상기 걸림다리부를 타측부재에 형성된 고정구멍으로 압입하여 상기 걸림돌출부를 이 고정구멍의 둘레가장자리부에 걸리게 함으로써, 일측부재와 타측부재를 서로 열결고정시키는 연결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기판플랜지와 상기 머리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 및 상기 목부의 외측둘레면이 연질재료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외측둘레면에 상기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고정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판플랜지와 상기 머리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볼록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고정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와 머리부가, 거의 동일한 두께의 심재를 상기 연질재료로 피복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고정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재료가 쇼어(Shore) A경도 50∼80°의 탄성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고정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플랜지의 일면측에,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걸림다리부의 축방향 선단측으로 경사지는 탄성변형 가능한 링형상의 스커트부를 상기 걸림다리부를 에워싸듯이 형성하고, 걸림다리부를 상기 타측부재의 부착구멍으로 압입하여 고정시켰을 때 상기 스커트부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타측부재에 맞닿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고정구.
KR1019970056097A 1997-05-13 1997-10-29 연결고정구 KR100242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7654 1997-05-13
JP9137654A JPH10311312A (ja) 1997-05-13 1997-05-13 連結固定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405A KR19980086405A (ko) 1998-12-05
KR100242809B1 true KR100242809B1 (ko) 2000-03-02

Family

ID=15203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097A KR100242809B1 (ko) 1997-05-13 1997-10-29 연결고정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311312A (ko)
KR (1) KR100242809B1 (ko)
TW (1) TW35435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48B1 (ko) * 2013-07-08 2014-03-07 주식회사 신성화학 파스너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4807B2 (ja) * 2000-12-07 2010-09-29 株式会社ニフコ 蓋体の取付構造
ES2246118B1 (es) 2004-01-26 2007-03-16 I.T.W. España, S.A. Pieza de union entre un panel y un soporte.
DE102010025941B4 (de) * 2010-07-02 2016-11-17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Fahrzeuginnenausstattungsteil insbesondere Türinnenverkleidung
JP7280813B2 (ja) * 2019-12-04 2023-05-2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留め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48B1 (ko) * 2013-07-08 2014-03-07 주식회사 신성화학 파스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54358B (en) 1999-03-11
KR19980086405A (ko) 1998-12-05
JPH10311312A (ja) 1998-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8868B2 (en) Plug-in coupling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20110278760A1 (en) Fastener clip with seal
US20050244250A1 (en) Clip
JP5150634B2 (ja) 線路のための固定装置
JPH03501513A (ja) シール
JP2015203480A (ja) クリップ
KR100242809B1 (ko) 연결고정구
KR20050062417A (ko) 차량용 휠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970020913A (ko) 롤러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52810A (ja) 樹脂製クリップ
JPH024844Y2 (ko)
JP7280813B2 (ja) 留め具
JP4816485B2 (ja) 車両用外装部品
JP2000009165A (ja) バンパーラバー
JP2009245706A (ja) 板材取付部品用のアダプタ
JP7058328B2 (ja) バルブステムシール
KR19990033137U (ko) 온돌파이프 고정크립 구조
JP2005076648A (ja) 二色成形クリップ
JPH0754819A (ja) クリップ取付座
JPH08332801A (ja) ホイールキャップの係着構造
JP2007331462A (ja) 遮熱板固定用ボスと遮熱板の固定構造
JP4282270B2 (ja) 外装部品用プロテクタ
JP2012201296A (ja) 蓋体の取付構造
JP2022062999A (ja) 防振装置用内筒、および防振装置
JPH0882310A (ja) 部品の止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