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213B1 - 벽 및 상 표면용 입체표면 구조화된 피복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위한 구조용 페이스트 - Google Patents

벽 및 상 표면용 입체표면 구조화된 피복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위한 구조용 페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213B1
KR100242213B1 KR1019930005624A KR930005624A KR100242213B1 KR 100242213 B1 KR100242213 B1 KR 100242213B1 KR 1019930005624 A KR1019930005624 A KR 1019930005624A KR 930005624 A KR930005624 A KR 930005624A KR 100242213 B1 KR100242213 B1 KR 100242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tructural
paste
structural 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687A (ko
Inventor
페트리디스 디미트리오스
Original Assignee
보소 샤프
마르부르겔 타페텐파브리그 제이.베.세페르.게엠베하.운트 컴퍼니 케이게
클레멘스 진세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5577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4221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보소 샤프, 마르부르겔 타페텐파브리그 제이.베.세페르.게엠베하.운트 컴퍼니 케이게, 클레멘스 진세르 filed Critical 보소 샤프
Publication of KR93002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02Wallpaper or wall covering on textile ba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무기 및/또는 유기 충전제와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중합체 분산제에 기초하는 PVC 없는 무가소제 구조풀이 사용되는 구조화된 벽지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진행 지연제로써의 비결정화 소르바이트 시럽 또는 에틸렌 글리콜, 소수(疎水)제로써의 파라핀 분산제, 비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한 미세진주 및/또는 중공의 미세구슬이 또한 구조물의 성분으로써 첨가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벽 및 상 표면용 입체표면 구조화된 피복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위한 구조용 페이스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벽표면 및 플로어 표면용 라이닝 또는 입체표면 구조로 된 피복재, 특히 청구항 1의 전문에 기재된 벽지의 제조방법 즉, “구조용 페이스트를 적당한 도포방법으로 기재(substrate)상에 소망의 구조가 되도록 도포하여 이 기재상에서 경화시키는, 벽표면 및 플로어 표면에 사용하는 입체표면 구조의 피복재 특히, 구조 벽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 벽지 제조시에 사용하는 구조용 페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표면이 양각 구조로 된 플로어 라이닝재 및 벽 라이닝재 특히, 벽지는 공지되어 있다. 공지방법에 있어서 양각 구조의 제조에는 각각 폴리염화비닐(PVC)계의 발포제를 함유하지 않는 치밀한 플라스티졸 또는 발포제를 함유하는 발포 플라스티졸을 사용한다.
플라스티졸 페이스트는 제조하고자 하는 구조의 종류에 따라 공지의 도포방법, 특히 가압 도포 방법에 의하여 적당한 기재폭 위에 도포한다. 그 기재는 여러 가지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된 것이 좋지만 구조벽지의 경우에는 주로 벽지용 원료지이다. 도장에 적당한 방법은 회전스크린 날염(프린팅)법, 평면스크린 날염(프린팅)법, 회전저압법, 압착저압법, 고압법, 도포법 그리고 사출법이 있다.
PVC 플라스티졸 페이스트는 기재폭 위에서 경화되면, 상기의 목적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특성을 구비하게 된다. PVC 플라스티졸 페이스트는 내광성이 좋고 내세척성 및 내마모성이 좋으며, 경화된 상태에서도 적당한 유연성을 가지므로 발포제를 사용하여 경량의 구조물에 사용할 수 있고 불에 잘 타지 않는 성질을 가진다. 그러나, PVC 플라스티졸은 여러 가지 단점도 있다. PVC플라스티졸은 겔화 및 발포에 180℃∼230℃의 비교적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하며, 벽의 호흡작용도 떨어지고, 니코틴 등에 민감(변색)하다. 이 가운데 가장 큰 결점은 그 화학적 조성에 있다. 즉, 염소를 함유하는 화합물로서 환경상의 문제점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폴리염화 비닐은 본질적으로 부패하지 않기 때문에 소각 이외의 처리방법이 없다. 이 때 유해한 염산 증기가 발생하는 데 이것은 화재시에도 발생하여 인간에게 크게 위험한 것이다. 게다가, PVC 플라스티졸은 기본적으로 가소제 즉, 본질적으로 프탈산 에스테르를 함유하여 가공시에 부분적으로 이것이 방출되기 때문에 경비가 많이 드는 검출 및 연소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질적으로 PVC 및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으면서, 종래의 공지의 방법으로 문제없이 도포 작업을 할 수 있고, 동시에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수 있는 구조용 페이스트의 사용에 의한, 입체표면구조로 된 벽표면 천장 및 플로어 표면용 피복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같이 입체표면 구조로 된 피복재를 제조하기 위한 페이스트로서 본질적으로 PVC 및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특수한 구조용 페이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 -- “구조용 페이스트를 적당한 도포방법으로 기재상에 소망의 구조가 되도록 도포하여 이 기재상에서 경화시키는, 벽표면 및 플로어 표면에 사용하는 입체표면 구조의 피복재 특히, 구조 벽지의 제조방법으로서, 무기 및 유기충전제나 무기충전재 또는 유기충전재와; 필요에 따라 희석제를 포함하는 초산비닐공중합체분산액으로 이루어진 구조용 페이스트를 사용하며, 또한 이 구조용 페이스트에 유기충전제로서 교질화되지 않은 전분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한 구조용 페이스트는 청구항 8 에 그 특징 -- “벽표면 및 플로어표면용 입체표면 구조로 된 피복재, 특히 구조벽지를 제조하기 위한 구조용 페이스트로서, 초산비닐공중합체계의 중합체 분산액, 무기 및 유기충전재, 무기나 유기충전재, 필요에 따라 용제 및 희석제, 용제나 희석제를 함유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이 유기충전재에 교질화되지 않은 전분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이다.
이하 간단히 서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구조 벽지 제조에 응용하는 것에 관해서만 설명하지만, 당업자에게 여기에 기재된 제조방법이 다른 구조에도 응용할 수 있고, 특히 다른 벽 및 플로어의 피복재 제조에도 적합하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기재 또한 구조 벽지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벽지용 원지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기재는 여러 가지 재료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 벽지의 제조에는 경우에 따라 미리 피복된 벽지용 원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면밀한 시험에 의하여 고품질의 구조 표면은 수성 시스템(an aqueous system)에서 초산 비닐 공중합체의 분산액에 적당한 충전재 및 안료를 함유하는 구조용 페이스트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수성 시스템에서는 구조용 페이스트를 간단한 건조 내지 증발에 의하여 경화시킬 수 있고, 이 때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건조 또한 40℃∼200℃의 온도에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PVC 플라스티졸의 사용에 비하여 훨씬 유리하다.
또 본 발명의 구조용 페이스트는 전술한 PVC 플라스티졸에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도포방법으로 작업할 수 있다. 경화된 구조의 표면 마감은 예를 들면 인쇄, 락카 도포, 플로크화(flocculation) 등에 의하여 쉽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용 페이스트에는 초산 비닐 에틸렌 공중합체(EVA; a vinyl acetate ethylene copolymer)를 원료로 하고, 가소제를 함유하지 아니하는 50%∼55% 수중 분산액에 의하여 얻어지는 중합체 분산액이 특히 적당하다. 이 분산액은 구조용 페이스트에 유동성을 부여하고, 페이스트의 다른 성분 상호간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하게 하며, 기재에 대한 양호한 밀착성을 갖추게 하여 건조 후에는 장기간에 걸쳐 탄성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초산비닐-말레인산디-n-부틸에스테르와 초산비닐 아크릴산 에스테르계의 중합체 분산액도 바람직하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구조재료의 기본적인 조성은 무기 및/또는 유기충전재 1중량부에 대하여 50%∼55%의 중합체 분산액 0.8∼2.0 중량부를 포함한다. 구조용 페이스트에 사용하는 유기충전재로서는 주로 젤라틴화되지 않은 전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감자전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젤라틴화 전분은 양호한 충전능력을 가지며 전분은 무기충전재보다 가볍기 때문에 구조재료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또 전분은 생물학적으로 용이하게 또한 완전히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용 페이스트의 분해성을 더 좋게 한다. 비젤라틴화 전분은 무기충전재가 탄산 칼슘이든 수산화 알미늄이든 상관없이 무기충전재와 함께 하나의 단위를 형성하기 때문에 무기충전재의 부분적인 대체재로서 고려될 수 있다.
또, 젤라틴화 되지 않은 즉, 교질화되지 않은 전분은 냉수에서는 녹지 않으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로소 녹기 시작한다. 이 특성은 제조기술상 이점을 가진다. 건조온도 및 건조시간을 온도와 수분의 배합에 의하여 전분입자가 그 표면에서 보다 쉽게 용해되고, 전분입자 상호간에 그리고 전분입자와 다른 충전재가 결합하여 하나의 단위가 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로써 구조재료의 강도를 개량할 수 있다.
또, 전분은 상당량의 수분과 결합하여, 건조시에 이것을 서서히 방출한다. 따라서 급속한 증발로 발생하는 발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분을 사용할 때에는 충전재 전체에 대하여 적어도 1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25중량%∼40중량%의 교질화되지 않은 전분을 유기 충전재로서 함유하는 것이 유리하다. 교질화되지 않은 전분은 입자의 직경이 10㎛∼100㎛인 분말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재료용의 무기 충전재로서는 수산화알미늄(Al(OH)3) 및 탄산칼슘(CaCO3)이 중요하다. 그러나 추가 백색안료로서 어느 정도의 이산화티탄(TiO2)을 가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산화티탄은 무기 및/또는 유기 충전재 전체의 10 중량%까지 사용될 수 있다.
충전재로서는 입자 지름이 20㎛∼25㎛인 수산화알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산칼슘은 입자 지름이 5㎛∼30㎛이고, 급유량(oil number)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티탄의 경우 루틸형(rutile modification)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상기 충전재 규격 외의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시스템에 일정량의 유기성 가공 지연제를 가하는 것이 특히 유익하다. 페이스트 전체에 대하여 1 중량% ∼8중량%의 비결정성 솔비톨 시럽을 가하면, 가공 지연과 더불어 구조용 페이스트의 점도에도 좋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공에 있어서 매우 큰 이점이 있다.
상기 비결정성 솔비톨 시럽은 필요하다면 에틸렌글리콜 또는 동등한 특성을 가지는 다른 유기용제로 대체할 수도 있다. 페이스트 전체에 대하여 1중량%∼5중량%의 에틸렌 글리콜을 가하는 것 또한 어떤 경우의 가공에 있어서는 유리하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조할 구조 벽지에 어느 정도의 발수(방수)성(waterrepellent character)을 부여하기 위하여 소수화제를 가하는 것도 유리하다. 그것은 페이스트 전체에 대하여 1중량%∼3중량%의 파라핀 분산액을 가하여 달성할 수 있다.
제조된 구조용 페이스트의 비중을 낮추고 건조시에 그 건조 체적을 크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 적당한 첨가제를 비교적 소량 가할 수 있다.
구조용 페이스트의 비체적(specific volume)을 가공시에 특히, 건조시에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페이스트 전체에 약 1중량%∼8중량%의 마이크로 펄을 가하여 준다. 이 마이크로 펄은 발포재를 충전한 직경이 약 10㎛∼20㎛인 열가소성 플라스틱제 마이크로 캡슐이며, 120℃∼140℃에서 그 체적의 수배까지 팽창한다. 이들 마이크로 펄은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 메틸계 또는 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체의 중합체 외피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팽창비가 약 20인 마이크로펄을 사용한다. 이들 마이크로 펄은 본 발명의 구조용 페이스트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종래의 PVC 플라스티졸에 있어서 발포 입제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 충전재의 비중을 낮게 하거나, 또는 건조된 페이스트의 비체적을 높이기 위해서는 페이스트 전체에 대하여 약 1중량%∼5중량%의 이른바 중공미세구(hollow microbeads)를 가할 수 있다. 이때 표면에 있어서 바람직하기로는 무기 충전재가 매립되어 있는 팽창중합체 중공구가 중요하다. 이러한 중공 미세구의 직경은 10㎛∼80㎛이며 비중은 약 0.15g/㎠이다. 중공 미세구란 그 미세구의 중합체 재료와 그 위에 부착시킨 무기 충전재 입자에 의해 사실상 매우 높은 비체적을 가지는 무기-유기 혼합층전재이다.
본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특정의 도포방법으로 작업하려면 구조용 페이스트가 상당한 정도의 점도를 가져야 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 점도는 본 발명인 페이스트의 경우 물을 적당히 가하여 조절한다.
물론, 본 발명인 구조용 페이스트는 그 외관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예컨대 착색안료나 염료를 가할 수가 있다. 가공시 필요에 따라 소량의 살균제 또는 거품제거제인 소포제를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 역시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구조용 페이스트로서 2 종류의 바람직한 조성을 중량부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240 ∼ 360 중량부의 가소제 없는 50%∼55% EVA 분산액.
5 ∼ 50 중량부의 비결정성 솔비톨시럽,
10 ∼ 50 중량부의 마이크로 펄,
300 중량부의 Al(OH)3와 비교질화 전분,
5 ∼ 35 중량부의 물(점도조절재).
또는,
240 ∼ 360 중량부의 가소제 없는 50%∼55% EVA 분산액.
6 ∼ 30 중량부의 에틸렌 글리콜
6 ∼ 39 중량부의 마이크로 펄,
230 중량부의 Al(OH)3및/또는 CaCO3
6 ∼ 30 중량부의 중공 미세구,
25 ∼ 30 중량부의 물(점도조절제).
이들 조성에 루틸형 이산화 티탄을 30중량%까지를 가할 수 있다. 여기에 다시 전술한 착색안료, 염료, 거품제거제, 살균제와 이와같이 소량 사용하는 다른 첨가제를 보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의 구조용 페이스트는 모든 필요조건을 갖춘 것이다. 이들 구조용 페이스트는 내광성, 내세척성이 높고, 내긁힘성, 내마모성이 좋으며, 유연성이 풍부하고, 게다가 비교적 경량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구조용 페이스트는 수산화 알미늄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불에 잘 타지 아니한다. 이들 페이스트는 또한 종래의 PVC 플라스티졸 구조에 비하여 PVC 및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으며, 수증기 투과성이 좋고, 니코틴에도 민감하지 않고, 연소시에도 염소함유물, 특히 염산증기를 방출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이들 페이스트는 가공시에 장애가 되거나 또는 수집할 필요가 있는 용액을 전혀 함유하지 않으며, 비교적 저온에서 경화하므로 전체적으로 작업시에 드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인 구조용 페이스트는 생물학적으로 용이하게 분해된다.
[실시예 1]
이하에 표시한 양의 원료를 혼합하여 구조용 페이스트를 제조했다.
280 중량부의 가소제 없는 50%∼55% EVA 분산액,
200 중량부의 입자 크기 분포 20㎛∼25㎛ Al(OH)3,
100 중량부의 비교질화 전분,
20 중량부의 루틸형 TiO2,
37.5 중량부의 마이크로펄,
45 중량부의 비결정성 솔비톨시럽,
20 중량부의 파라핀 분산액,
10 중량부의 물(점도조절제).
EVA 분산물과 비결정성 솔비톨 시럽 및 물을 교반용기에 넣고 서서히 교반을 시작했다. 교반 중에 비교질화 전분, 마이크로 펄, 수산화알미늄, 이산화티탄 및 파라핀 분산액을 순차적으로 서서히 가했다. 약 30분 교반 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페이스트를 완성했다.
이 페이스트를, 기재로서 단위면적당 중량 50g/㎡ 폭 110cm인 폴리머 부직포상에 스크린나염법으로, 40m/min의 속도로 벽지 구조로 도포했다. 이 구조를 약 150℃에서 35초간 건조했다. 이같이 제조된 구조 벽지는 모든 요구조건을 충족했다.
[실시예 2]
이하에 표시한 양의 원료를 혼합하여 구조페이스트를 제조했다.
320 중량부의 가소제 없는 50% ∼ 55% EVA 분산액,
200 중량부의 입자 크기 분포 20㎛ ∼ 25㎛ Al(OH)3,
100 중량부의 비교질화 전분,
15 중량부의 마이크로 펄,
10 중량부의 비결정성 솔비톨시럽,
7.5 중량부의 파라핀 분산액,
25 중량부의 물(점도조절제).
EVA 분산물과 비결정성 솔비톨 시럽 및 물을 교반용기에 넣고 서서히 교반을 시작했다. 이 교반 중에 비교질화 전분, 마이크로 펄, 수산화알미늄 및 파라핀분산액을 순차적으로 서서히 가했다. 약 30분 교반 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페이스트를 완성했다.
이 페이스트를, 기재로서 단위면적당 중량 50g/㎡ 폭 110cm 인 폴리머 부직포상에 저압법(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하여 40m/min의 속도로, 벽지 구조로 도포했다. 이 구조를 약 150℃에서 35초간 건조했다. 제조된 구조벽지는 모든 요구 조건을 만족했다.
[실시예 3]
이하 나타낸 량의 원료를 혼합하여 구조페이스트를 제조한다.
300 중량부의 가소제 없는 50% ∼ 55% EVA 분산액,
30 중량부의 물,
10 중량부의 에틸렌 글리콜
7 중량부의 10㎛ ∼ 20㎛의 입자 직경과 20의 팽창비를 가지는 마이크로 펄,
130 중량부의 입자 크기 분포 20㎛ ∼ 25㎛ Al(OH)3,
[100 중량부의 입자크기 분포 5㎛ ∼ 30㎛ CaCO3,
7.5 중량부의 루틸형 이산화티탄,
12 중량부의 직경 10㎛ ∼ 80㎛ 중공 미세구,
EVA 분산액, 에틸렌글리콜 및 물을 교반용기에 넣고 서서히 교반을 시작했다. 교반 중에 마이크로 펄, 수산화알미늄,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및 중공 미세구를 순차적으로 서서히 가했다. 30분 교반 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페이스트를 완성했다.
이 페이스트를, 기재로서 단위면적당 중량 50g/㎡, 폭 110cm 의 폴리머 부직 포상에 회전스크린 나염법에 의하여 40m/min의 속도로 벽지구조로 페이스트를 도포했다. 이 구조를 약 150℃에서 35초간 건조했다. 이와같이 제조된 구조벽지는 모든 요구조건을 만족했다.

Claims (24)

  1. 구조용 페이스트를 적당한 도포방법으로 기재상에 소망의 구조가 되도록 도포하여 이 기재상에서 경화시키는, 벽표면 및 플로어 표면에 사용하는 입체표면 구조의 피복재 특히, 구조 벽지의 제조방법으로서, 무기 및 유기충전재나 무기충전재 또는 유기충전재와; 선택적으로 희석제를 포함하는 초산비닐공중합체분산액으로 이루어진 구조용 페이스트를 사용하며, 이 구조용 페이스트에 유기충전재로서 교질화되지 않은 전분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 전체에, 유기충전재로서 적어도 10중량 %의 교질화되지 아니한 전분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물을 사용하며, 이 물에 의하여 구조용 페이스트의 가공점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페이스트가 기재상에 건조에 의하여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가 40℃∼200℃의 온도에서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벽표면 및 플로어표면용 입체표면 구조로 된 피복재, 특히 구조벽지를 제조하기 위한 구조용 페이스트로서, 초산비닐공중합체계의 중합체 분산액, 무기 및 유기충전재, 무기나, 유기충전재, 필요에 따라 용제 및 희석제, 용제나 희석제를 함유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이 유기충전재에 교질화되지 않은 전분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분산액은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초산 비닐-에틸렌 공중합체 (EVA)의 분산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전재가 실질적으로 Al(OH)3및 CaCO3이거나, Al(OH)3또는 CaC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가 10 중량 %까지의 TiO2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및 유기충전재, 무기 또는 유기충전재 1 중량부에 대하여 50%∼55%의 중합체 분산액 0.8∼2.0 중량부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그 전체가, 유기충전재로서, 교질화되지 않은 전분이 25 중량%∼ 40중량%을 차지하고, 나머지 충전재는 무기충전재로서 실질적으로 Al(OH)3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12. 제6항에 있어서, 가공 지연제로서 비결정성 솔비톨시럽 또는 에틸렌 글리콜을 추가로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페이스트 전체에 대하여 1중량%∼8중량%양의 솔비톨시럽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14. 제6항에 있어서, 팽창제로서 마이크로 펄을 추가로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펄의 양은 페이스트 전체에 대하여 1중량%∼8중량%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16. 제7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50%∼55% EVA 분산액 240∼360 중량부; 비결정성 솔비톨시럽 5∼50중량부; 마이크로 펄 10∼50 중량부; Al(OH)3와 교질화하지 않은 전분 300 중량부; 그리고 점도조절제로서 물 5∼30중량부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교질화하지 않은 전분 100 중량부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18. 제7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50%∼55% EVA 분산액 240∼360 중량부; 에틸렌 글리콜 6∼30 중량부; 마이크로 펄 6∼30 중량부; Al(OH)3및 CaCO3230 중량부이거나 또는 Al(OH)3나 CaCO3230 중량부; 중공 미세구 6∼30중량부; 그리고 점도조절제로서 물 25∼35 중량부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라핀분산액 5∼25중량%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20.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루틸형 TiO25-30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은 50%∼55% EVA 분산액은 280 중량부; 상기 Al(OH)3은 입자크기 분포 20㎛∼25㎛으로서 200 중량부; 상기 교질화하지 않은 전분 100 중량부; 상기 마이크로 펄은 입자 직경 10㎛∼20㎛이고 팽창비 20으로서 37.5 중량부; 상기 비결정성 솔비톨시럽은 45 중량부; 상기 점도조절제로서 물은 10 중량부이며; 여기에 파라핀분산액 20 중량부와 루틸형 TiO220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가소제를 함유하는 않은 50%∼55% EVA 분산액은 320 중량부; 상기 Al(OH)3은 입자크기 분포 20㎛∼25㎛으로서 200 중량부; 상기 교질화하지 않은 전분 100 중량부; 상기 마이크로 펄은 입자 직경 10㎛∼20㎛이고 팽창비 20으로서 15 중량부; 상기 비결정성 솔비톨시럽은 10 중량부; 상기 점도조절제로서 물은 25 중량부이며; 여기에 파라핀분산액 7.5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가소제를 함유하는 않은 50%∼55% EVA 분산액은 300 중량부; 상기 점도조정제로서 물은 30 중량부; 상기 에틸렌글리콜은 10 중량부; 상기 마이크로 펄은 입자 직경 10㎛∼20㎛이고 팽창비 20으로서 7 중량부; 상기 Al(OH)3은 입자크기 분포 20㎛∼25㎛으로서 130 중량부; CaCO3은 입자크기 분포 5㎛∼30㎛으로서 100 중량부; 상기 중공 미세구는 직경 10-80㎛으로서 12중량부이며; 여기에 루틸형 TiO27.5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24. 제6항에 있어서, 염료; 착색안료; 살균제 및 소포제; 살균제 또는 소포제를 추가로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조용 페이스트.
KR1019930005624A 1992-04-02 1993-04-02 벽 및 상 표면용 입체표면 구조화된 피복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위한 구조용 페이스트 KR100242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210922.1 1992-04-02
DE4210922A DE4210922A1 (de) 1992-04-02 1992-04-02 Verfahren zum Herstellen dreidimensional oberflächenstrukturierter Beläge für Wand- und Bodenflächen und Strukturpaste dafür
DEP4210922.1-43 1992-04-02
EP92121757.6 1992-12-22
EP92121757A EP0564712B2 (de) 1992-04-02 1992-12-22 Verfahren zum Herstellen dreidimensional oberflächenstrukturierter Beläge für Wand- und Bodenflächen und Strukturpaste dafü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687A KR930021687A (ko) 1993-11-22
KR100242213B1 true KR100242213B1 (ko) 2000-02-01

Family

ID=645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624A KR100242213B1 (ko) 1992-04-02 1993-04-02 벽 및 상 표면용 입체표면 구조화된 피복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위한 구조용 페이스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564712B2 (ko)
KR (1) KR100242213B1 (ko)
DE (2) DE42109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575B1 (ko) * 2005-04-08 2007-02-08 장철환 생분해성 수용성 코팅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545398A (en) * 1997-06-20 1999-01-04 Bio-Tec Biologische Naturverpackungen Gmbh & Co. Kg Wall paper or wall covering with at least one layer of biodegradable materials
DE19821774C2 (de) * 1998-05-14 2002-01-10 Wacker Chemie Gmbh Verwendung von Polymerzusammensetzungen zur Herstellung von thermisch expandierbaren Dispersionsschäumen
DE102006019004A1 (de) * 2006-04-25 2007-11-08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Druckwerk einer Rollenrotationsdruckmaschine
KR101342218B1 (ko) 2008-10-30 2013-12-16 (주)엘지하우시스 바이오 벽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1139267A1 (en) * 2010-05-03 2011-11-10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Carpets with surfactant-stabilized emulsion polymer carpet binders for improved processability
US10301772B2 (en) 2010-05-03 2019-05-28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Carpets with surfactant-stabilized emulsion polymer carpet binders for improved processability
DE102014119121B4 (de) 2014-12-18 2022-03-03 Marburger Tapetenfabrik J. B. Schaefer Gmbh & Co Kg Bahnförmiges Einlegeelement zur Strukturierung einer Sichtbetonoberfläche und Verfahren zur Strukturierung einer Sichtbetonoberfläche
DE202017005179U1 (de) * 2017-10-09 2019-01-11 Follmann Gmbh & Co. Kg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einer beschichteten Wand-, Boden und Deckenbekleidung,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einer beschichteten Tapete
DE102021126981A1 (de) 2021-10-18 2023-04-20 Marburger Tapetenfabrik J. B. Schaefer Gmbh & Co Kg Tapete mit mineralischer Oberfläch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6504A (en) * 1965-03-31 1973-02-13 Air Prod & Chem Paper coating compositions and products formed therefrom
FR2470782A1 (fr) * 1979-12-06 1981-06-12 Textone Compositions a base de liants polymeres pour revetements de terrains
EP0492087B1 (de) * 1990-12-04 1995-01-18 OPTIPLAST Gesellschaft für Kunststoffspezialbeschichtungen mbH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für Tapeten und daraus hergestellte Tapeten
FR2673209B3 (fr) * 1991-02-26 1992-12-24 Elce Ets Procede pour realiser un support presentant des proprietes anti-glisse et support ainsi obtenu.
DE4124560A1 (de) * 1991-07-24 1993-01-28 Wacker Chemie Gmbh Beschichtungsmittel zur herstellung von wasserdichten, dampfdurchlaessigen und flammverzoegernden beschichtun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575B1 (ko) * 2005-04-08 2007-02-08 장철환 생분해성 수용성 코팅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210922A1 (de) 1993-10-07
EP0564712B1 (de) 1996-08-28
DE59207006D1 (de) 1996-10-02
EP0564712A1 (de) 1993-10-13
KR930021687A (ko) 1993-11-22
EP0564712B2 (de) 2000-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8093B2 (en) Acoustic ceiling board with improved aesthetics
US4148781A (en) Flexible building sheet materials
KR100242213B1 (ko) 벽 및 상 표면용 입체표면 구조화된 피복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위한 구조용 페이스트
EP0304550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dreidimensionaler Muster oder Beschichtungen auf Trägerbahnen aus Papier, Textilien und/oder auf Kunststoffolien
US6759116B2 (en) Volumetric effect glass fiber wallcoverings
JPH06101199A (ja) 壁表面および床表面用の立体表面構造化した被覆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構造ペースト
KR100371972B1 (ko) 단섬유 도료 및 다채 무늬 도료의 제조 방법
AU2001250183B9 (en) Coating composition
CN115109483A (zh) 一种滚涂真石漆、制备方法及其应用
RU2338024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оев и обои, изготовленные этим способом
JPS6287285A (ja) 多彩模様塗装仕上げ法
AU2001250183A1 (en) Coating composition
JPH11207853A (ja) 吸放湿機能を有する化粧材
CN1100115A (zh) 喷射式壁面装饰材料的制造方法
JP2001310438A (ja) 凹凸のある装飾シートの製造方法
EP1254984B1 (en) Volumetric effect glass fiber wallcoverings
RU2335589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оев и обои, изготовленные этим способом
FI74509C (fi) Foerfarande och medel foer applicering av tunna brandklassade vaeggbeklaednader.
JP2001096656A (ja) 内装用化粧材
JPH09123339A (ja) 吸放湿性を有する化粧材
JPH0284600A (ja) 通気性壁紙
JPS62231740A (ja) 吸放湿性ビニル壁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07852A (ja) 吸放湿機能を有する化粧材
JP2000037821A (ja) 内装用化粧材
JPH11117410A (ja) 内装用化粧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