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847B1 -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한 용접로봇의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한 용접로봇의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847B1
KR100241847B1 KR1019970042128A KR19970042128A KR100241847B1 KR 100241847 B1 KR100241847 B1 KR 100241847B1 KR 1019970042128 A KR1019970042128 A KR 1019970042128A KR 19970042128 A KR19970042128 A KR 19970042128A KR 100241847 B1 KR100241847 B1 KR 100241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vision sensor
robot
laser vision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849A (ko
Inventor
우갑주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1019970042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847B1/ko
Publication of KR19990018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84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anipulator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하여 용접선을 추적하는 용접로봇의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이저비전센서로부터 획득한 영상데이타로부터 용접선에 대한 3차원좌표와 위빙좌표를 구하고, 이 위빙좌표에 근거하여 용접로봇을 구동시키므로서 용접토치가 용접선을 따라 위빙하면서 용적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용접풀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한 용접로봇의 제어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용접로봇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저비전센서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용접선의 중심점에 대한 3차원좌표와 용접토치의 위빙좌표를 연산하여 용접로봇을 구동제어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과 용접품질을 높일 수 있는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한 용접로봇의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로봇은 자동차, 선박등과 같이 금속판재의 접합공정에 사용되며, 작업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용접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용접로봇은 작업명령에 따라 로봇팔에 부착된 용접토치를 이동시켜 피용접부재의 용접선을 추종하면서 용접하게 된다.
종래기술에서는 용접로봇에 설치된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하여 용접선을 추종하며, 레이저비전센서에 의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용접부위를 인식하여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하여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안정적인 용접부위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자 용접속도를 느리게 설정하고 용접토치가 위빙(weaving)하지 않고 용접선을 추종하게 된다. 작업정반에 서로 맞닿게 놓여진 피용접부재의 용접부위가 협소한 경우에는 비교적 양호한 용접품질을 얻을 수 있으나, 피용접부재의 용접부위가 넓은 경우에는 제1도와 같이 용접토치를 위치이동시켜 국부적으로 용접하여 겹겹이 층을 이루는 다층용접을 수행하게 되어 용접품질의 저하를 초래하였으며,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비전센서에 의해 획득된 영상데이타로부터 추출한 위빙좌표 따라 용접토치를 위빙시키면서 용접선을 추종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한 용접로봇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이저비전센서로부터 획득한 영상데이터로부터 용접 토치가 위빙하기 위한 위방좌표를 연산하여 용접로봇을 구동시키므로써 용접토치가 위방하면서 용접선을 추종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한 용접로봇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의해 다층용접된 용접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해 용접된 용접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로봇의 제어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레이저비전센서가 용접선의 중심을 검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용접토치가 위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봇제어부 11 : 마이크로프로세서
12 : 타이머 13 : 메모리
20 : 영상처리부 21 : 센서구동부
22 : 영상복원부 23 : 좌표변환부
30 : 용접로봇 31 : 용접토치
40 : 레이저비전센서 50 : 피용접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로봇을 이용하여 피용접부재를 자동으로 용접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로봇의 용접토치에 설치되고, 상기 용접토치에 대향하는 용접부위에 레이저를 주사하여 용접선을 촬영하는 레이저비전센서; 상기 레이저비전센서가 촬영한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용접토치의 구동변위를 조정하기 위해 변환메트릭스를 이용하여 상기 용접선에 대한 2차원 좌표를 3차원 좌표로 변환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의 3차원 좌표에 따라 상기 용접토치를 위빙시키기 위한 위빙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위빙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용접로봇을 구동시키기 위한 로봇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로봇제어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로봇을 이용하여 피용접부재를 자동으로 용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접로봇의 용접토치에 설치된 레이저비전센서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간격마다 상기 피용접부재의 용접부위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단계에 의해 얻어진 영상데이타에 기초하는 용접선의 2차원좌표에 대해 변환메트릭스를 이용하여 3차원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용접로봇의 이동속도와 용접토치의 위빙속도 및 피용접부재의 용접부위에 따라 상기 3차원좌표에로부터 용접토치에 대한 위빙좌표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위방좌표에 따라 용접 토치가 용접선을 추종할 수 있도록 용접로봇을 구동제어하는 단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용접토치를 위빙동작에 따라 용접선을 추종하게 되며 제2도와 같이 용접토치(1)는 피용접부재(2)(3)의 용접부위를 위빙하면서 용접선을 따라 이동하므로 용접부위의 단면이 균일한 층을 이루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로봇의 제어장치의 구성도로서, 용접로봇(30)과 레이저비전센서(40)를 구동제어하며, 용접토치(31)에 대한 위빙좌표를 연산하는 로봇제어부(10)와, 상기 로봇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레이저비전센서(40)가 촬영한 영상데이타를 입력받아 용접선에 대한 3차원좌표를 연산하는 영상처리부(20)와, 상기 영상처리부(20)의 구동신호에 따라 피용접부재의 용접부위를 촬영하는 레이저비전센서(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봇제어부(10)는 설정된 시간이 도래할때 마다 계수완료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12)와 피용접부재의 용접선에 대한 중심점에 대한 좌표를 저장하는 메모리(12) 및 상기 완료신호에 응답하여 용접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용접선의 3차원좌표를 위빙좌표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로 이루어 진다.
상기 영상처리부(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의 구동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구동신호를 레이저비전센서(40)로 출력하는 센서구동부(21)와 레이저비전센서(40)가 촬영한 영상데이타를 입력받아 용접선에 대한 2차원좌표를 출력하는 영상복원부(22)와 상기 영상복원부(22)의 2차원좌표에 대해 변환메트릭스를 이용하여 3차원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부(23)로 이루어진다.
먼저,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타이머(12)의 완료신호가 인가되면 구동제어신호를 센서구동부(21)로 출력한다. 센서구동부(21)는 구동신호를 레이저비전센서(40)로 출력하여 촬영을 개시한다. 상기 타이머(12)는 용접선의 중심을 찾기 위한 샘플링시간이 도래하면 완료신호를 출력한다.
영상복원부(22)는 레이저비전센서(40)가 촬영한 영상데이타를 입력받고, 용접선에 대한 2차원좌표를 출력한다. 좌표변환부(23)는 2차원좌표를 변환메트릭스를 이용하여 3차원좌표를 변환한후 마이크로프로세서(11)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용접선에 대한 3차원좌표를 이용하여 용접토치(31)가 위빙하기 위한 위빙좌표를 연산하며, 용접로봇의 이동속도, 위빙속도 및 용접부위의 크기를 고려하여 위빙좌표를 연산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위빙좌표에 따라 용접로봇(30)과 용접토치(31)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레이저비전센서(40)는 제4도와 같이 용접토치(31)로부터 소정거리(d)만큼 떨어져 설치하는데, 용접토치(31)의 화염에 의해 촬영영상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이저비전센서(40)는 센서구동부(21)의 구동신호에 따라 하방에 위치하는 피용접부재의 용접부위를 촬영하여 영상복원부(22)로 출력한다. 레이저비전센서(40)는 피용접부재(50)의 용접선방향(A)을 따라 이동하면서 용접선의 중심점(P1,P2,··,Pn)을 촬영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영상처리부(20)를 통해 중심점(P1,P2,··,Pn)에 대한 3차원좌표를 입력받아 메모리(13)에 저장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타이머(12)의 설정시간이 경과시 마다 용접로봇(30)의 위치와 메모리(13)에 저장된 중심점에 대한 3차원좌표를 비교하고; 피용접부재(50)와 용접토치(31)의 이격거리가 가장 짧은 중심점(Pn)을 구한다. 이어,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제5도와 같이 중심점(Pn)에서 전후에 위치하는 좌표(N-3, N-2, N-1, N, N+1, N+2, N+3)와의 직선거리중 가장 짧은 직선과 교차하는 중심점(Pa)을 구한다. 이어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중심점(Pa)을 기준으로 용접로봇(30)의 용접토치(31)가 위빙하기 위한 위방좌표(Pb)(Pc)를 구한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용접로봇(30)의 진행속도, 위빙속도, 용접부위에 대응하는 각장(S)의 크기에 따라 위빙좌표를 결정한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로봇제어신호를 용접로봇(30)으로 출력하게 되면 용접토치(31)가 위빙좌표에 따라 위빙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용접선을 추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비전센서로부터 획득한 영상데이타로부터 용접선에 대한 3차원좌표와 위빙좌표를 구하고, 이 위빙좌표에 근거하여 용접로봇을 구동시키므로서 용접토치가 용접선을 따라 위빙하면서 용적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용접풀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용접로봇을 이용하여 피용접부재를 자동으로 용접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로봇의 용접토치에 설치되고, 상기 용접토치에 대향하는 용접부위에 레이저를 주사하여 용접선을 촬영하는 레이저비전센서; 상기 레이저비전센서가 촬영한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용접토치의 구동변위를 조정하기 위해 변환메트릭스를 이용하여 상기 용접선에 대한 2차원 좌표를 3차원 좌표로 변환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의 3차원 좌표에 따라 상기 용접토치를 위빙시키기 위한 위방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위빙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용접로봇을 구동시키기 위한 로봇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로봇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하여 용접선을 추적하는 용접로봇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제어부는 설정된 시간이 도래할때 마다 완료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와, 피용접부재의 용접선에 대한 중심점에 대한 좌표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완료신호에 응답하여 용접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용접선의 3차원좌표를 위빙좌표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한 용접로봇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동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구동신호를 레이저비전센서로 출력하는 센서구동부와, 레이저비전센서가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용접선에 대한 2차원좌표를 출력하는 영상복원부와 상기 영상복원부의 2차원좌표에 대한 변환메트릭스를 이용하여 3차원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한 용접로봇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비전센서는 용접토치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한 용접로봇의 제어장치.
  5. 용접로봇을 이용하여 피용접부재를 자동으로 용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접로봇의 용접토치에 설치된 레이저비전센서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간격마다 상기 피용접부재의 용접부위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단계에 의해 얻어진 영상데이타에 기초하는 용접선의 2차원좌표에 대해 변환메트릭스를 이용하여 3차원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용접로봇의 이동속도와 용접토치의 위빙속도 및 피용접부재의 용접부위에 따라 상기 3차원좌표에로부터 용접토치에 대한 위빙좌표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위빙좌표에 따라 용접토치가 용접선을 추종할 수 있도록 용접로봇을 구동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한 용접로봇의 제어방법.
KR1019970042128A 1997-08-28 1997-08-28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한 용접로봇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241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128A KR100241847B1 (ko) 1997-08-28 1997-08-28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한 용접로봇의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128A KR100241847B1 (ko) 1997-08-28 1997-08-28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한 용접로봇의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849A KR19990018849A (ko) 1999-03-15
KR100241847B1 true KR100241847B1 (ko) 2000-03-02

Family

ID=6603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128A KR100241847B1 (ko) 1997-08-28 1997-08-28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한 용접로봇의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84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186A (ko) * 2000-11-04 2002-05-11 김형벽ㅂ 용접선 자동추적 및 용접조건 적응제어 방식의 용접캐리지장치
KR100542389B1 (ko) * 2000-11-02 2006-01-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용 자율주행 캐리지 장치
KR100859335B1 (ko) 2007-06-19 2008-09-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엘브이에스와 비주얼서보잉을 이용한 용접시작점 추적방법
KR101059868B1 (ko) 2008-11-10 2011-08-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로봇의 수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5127551A (zh) * 2015-09-29 2015-12-09 北人机器人系统(苏州)有限公司 一种基于可移动式厚板的自动焊接系统及其焊接方法
KR20220115686A (ko) 2021-02-09 2022-08-1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퓨터 비전 기반의 용접 로봇 비전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380B1 (ko) * 2000-10-11 2005-09-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온도센서가 구비된 자동냉각 및 입열장치를 장착한 시각센서
KR20020085017A (ko) * 2001-05-04 2002-1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선 자동 추적장치
KR100892028B1 (ko) * 2007-05-11 2009-04-07 세방전지주식회사 니켈 수소 2차 전지의 극주 연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530A (ko) * 1987-12-12 1989-08-02 윤영석 용접선 추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530A (ko) * 1987-12-12 1989-08-02 윤영석 용접선 추적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389B1 (ko) * 2000-11-02 2006-01-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용 자율주행 캐리지 장치
KR20020035186A (ko) * 2000-11-04 2002-05-11 김형벽ㅂ 용접선 자동추적 및 용접조건 적응제어 방식의 용접캐리지장치
KR100859335B1 (ko) 2007-06-19 2008-09-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엘브이에스와 비주얼서보잉을 이용한 용접시작점 추적방법
KR101059868B1 (ko) 2008-11-10 2011-08-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로봇의 수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5127551A (zh) * 2015-09-29 2015-12-09 北人机器人系统(苏州)有限公司 一种基于可移动式厚板的自动焊接系统及其焊接方法
KR20220115686A (ko) 2021-02-09 2022-08-1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퓨터 비전 기반의 용접 로봇 비전 장치 및 그 방법
KR102437009B1 (ko) * 2021-02-09 2022-08-2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퓨터 비전 기반의 용접 로봇 비전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849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101680B1 (en) Active Laser Vision Robust Weld Tracking System and Weld Position Detection Method
JP6420229B2 (ja) 仮想物体の画像をロボットの映像に重畳表示する映像表示装置を備えるロボットシステム
EP38637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weld path generation
JP3004279B2 (ja) 光学的シーム追跡装置用画像処理システム
JP4578056B2 (ja) 作業ロボットを用いた制御システムによるワーク加工方法
JPH08505091A (ja) 冗長軸を使用して対象物上の形態をトラッキ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並びに方法
JP2001225288A (ja) 溶接ロボットの教示位置を補正する方法
KR100241847B1 (ko) 레이저비전센서를 이용한 용접로봇의 제어방법 및 장치
JP2022519185A (ja) 改善されたツーリング経路生成を伴う産業ロボット装置、及び改善されたツーリング経路に従って産業ロボット装置を動作させる方法
JPH07266272A (ja) マニピュレータ用追従方法及び装置
KR100542389B1 (ko) 용접용 자율주행 캐리지 장치
JP2786874B2 (ja) 可動位置制御装置
JP2007304713A (ja) ロボット教示経路補正方法及びロボットを用いた作業装置
KR100227029B1 (ko) 용접용 갠트리로봇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463142B2 (ja) 溶接装置
JP2895289B2 (ja) 溶接自動倣い装置
KR100687813B1 (ko) 레이저 비전 센서를 이용한 용접 로봇 위빙 방법
JP3483713B2 (ja) 隅肉多層盛り溶接ロボット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方法
JP2817092B2 (ja) レーザ加工装置
JPH09155543A (ja) 自動溶接装置
JP3203507B2 (ja) レーザ加工装置
JP2822315B2 (ja) レーザ加工装置
JP2594869Y2 (ja) 倣い機能付溶接ロボット
JP2655898B2 (ja) 記憶・再生型アーク溶接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3596095B2 (ja) ロボット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