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413B1 - 교습구 - Google Patents

교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413B1
KR100241413B1 KR1019980001361A KR19980001361A KR100241413B1 KR 100241413 B1 KR100241413 B1 KR 100241413B1 KR 1019980001361 A KR1019980001361 A KR 1019980001361A KR 19980001361 A KR19980001361 A KR 19980001361A KR 100241413 B1 KR100241413 B1 KR 100241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isplayed
teaching tool
consonants
te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248A (ko
Inventor
고종택
Original Assignee
고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종택 filed Critical 고종택
Priority to KR1019980001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413B1/ko
Publication of KR980004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동에게 문자를 가르칠 때 사용하는 교습구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것은 문자가 표기된 단순한 블록을 서로 조립하여 단어를 만드는 것이어서 아동이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며, 학습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한글의 구성원리에 입각하여 한글을 가르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는 자음 또는 모음이 표기된 블록과 블록을 수용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표면에 모음 또는 자음이 표시된 관체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자음, 모음, 받침이 결합되어 한글 글자가 완성되는 과정을 시각적 감각적으로 보여주므로써 원리적이고 체계적인 교습이 이루어지도록하여 보다 더 쉽고 재미있게 한글을 깨우칠 수 있도록 해준다는 효과를 제공하며, 아동의 문자 교습, 특히 한글교습에 사용된다.

Description

교습구
본 발명은 교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글을 아동에게 쉽고 재미있게 가르칠 수 있도록 해주는 교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동에게 문자를 단순한 방법으로 학습시키면쉽게 싫증을 느낄뿐만 아니라 학습효과도 떨어진다. 이에 따라 시각효과를 최대한 살리면서 아동이 흥미를 가지고 문자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문자 교습구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관련된 사항은 실용신안 공개 96-6038호,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5-59482호, 소64-3870호, 소63-157782호, 소63-101971호, 소61-140377호,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021657호 등(이하 “선출원고안”이라 함)에 자세히 게재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 교습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는 종래의 교습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교습구(10)는 그 표면에 문자(12)가 표시되어 있는 여러 개의 블록(14)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블록(14)의 일측면에는 이웃의 블록(14)과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결합돌기(16)와, 결합된 상태에서 블록(14)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회전방지돌기(1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물론, 블록(14)의 타측면에는 결합돌기(16)와 회전방지돌기(18)가 결합될 수 있는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야 된다.
즉, 제1도에 나타낸 각 블록(14)들을 소정의 순서대로 서로 결합하여 필요한 단어를 만들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뒷면에는 발음기호를 표시하여둘 수도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종래의 교습구(10)는 블록(14)들을 순서대로 조립하여 필요한 단어를 만들 수 있도록 해주는 아주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한글에 적용하는 경우 한글의 원리를 아동들이 쉽게 깨칠 수 있도록 해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제2도는 종래 교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도는 종래 교습구(2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교습구(20)는 표면에 문자(22)가 표시되어 있는 다수의 카드(24)와 각 카드를 소정 순서대로 배열하여 장착해 둘 수 있도록 해주는 일 열로 배치된 다수의 카드장착부(26)를 갖는 카드 케이스(28)로 이루어져 있다.
즉, 각 카드장착부(26)에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카드(24)를 여러 장씩 장착한 상태에서 필요한 카드(24)를 카드 장착부(26)에서 이탈시키면서 필요한 단어를 구성하게 하면 된다. 이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교습구에 비하여 다소 많은 수의 단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 역시 그 구성이 단순하여 아동이 쉽게 싫증을 낼 우려가 있으며, 특히 한글에 적용하는 경우 원하는 단어를 만들어 볼 수 있도록 해주지만 아동이 한글의 구성원리를 쉽게 깨칠 수 있도록 해주지는 못한다.
즉,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특히, 한글의 구성원리에 맞는 교습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동이 보다 더 쉽고 재미있게 문자를 깨우칠 수 있도록 해주며, 특히 아동이 한글의 구성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놀이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교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종래 교습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종래 교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 교습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제3도 제1블록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제6도는 제3도 제1블록의 꺾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표면에 받침이 표시되어 있는 제2블록을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제2블록을 사용하여 받침이 있는 글자를 만드는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제9도와 제10도 교습구의 제3블록과 제4블록의 연결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 : 교습구 110 : 제1블록
112,212,312,322 : 자음 120 : 제1관체
122 : 투명부 124 : 불투명부
126,256,314,324 : 모음 128 : 바퀴
130,230,330 : 탄성줄 140 : 제2블록
142,222 : 받침 210 : 제3블록
211,251,365 : 구멍 220 : 제2관체
250 : 제4블록 310 : 제5블록
320 : 제3관체 340 : 보조블록
350 : 제6블록 354 : 실
360 : 책 362 : 뒷표지
364 : 앞표지 p : 그림
c : 문자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에게 문자를 가르치기 위한 교습구에 있어서, 외주면에 다수의 자음 또는 모음이 표시되어 있는 제1블록 및 제1블록이 수용되어 이동됨을 허용하고 적어도 일측에 자음 또는 모음과 조합되어 완성된 문자를 구성할 수 있는 다수의 모음 또는 자음이 표시되어 있는 제1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습구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교습구는 제1블록들을 서로 연결하여 주고 연결된 제1블록의 회동과 이웃 제1블록과의 벌어짐 및 이웃 제1블록에 대한 꺾어짐을 허용하는 제1탄성줄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 제1블록과 제1관체의 외주면에는 완성되는 문자와 관련된 다수의 그림들을 더 표시해두며, 제1관체는 투명부와 불투명부가 교대로 배치되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위 교습구는 외주면에 다수의 한글 받침이 표시되어 있는 제2블록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좋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동에게 문자를 가르치기 위한 교습구에 있어서, 외주면에 다수의 자음이 표시되어 있는 제3블록, 자음과 조합되어 완성된 문자를 구성하는 모음이 외주면에 다수 표시되어 있는 제4블록 및 제3블록과 제4블록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제3블록과 제4블록 상호간에 대한 회동, 벌어짐 및 꺾어짐을 허용하는 제2탄성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습구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위 제3블록과 제4블록이 수용되어 이동됨을 허용하고 일측에 다수의 받침이 표시되어 있는 제2관체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소정의 그림 또는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책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면 더욱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교습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3도와 제4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100)는 다수의 제1블록(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1블록(110)은 대략 직육면체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표면에는 자음(112)이 표시되어 있다. 자음으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이 있는데, 이를 모두 표시하기 위해서는 1개의 제1블록(110)에 4자의 자음씩, 총5개의 제1블록(110)이면 충분하다. 경우에 따라서 제1블록(110)의 표면에는 모음을 표시하고 뒤에는 설명되는 제1관체(120)에 자음(112)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블록(110)들은 고무 등의 탄성줄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 제자리 회동, 이웃 제1블록(110)과의 벌어짐, 이웃 제1블록(110)에 대한 꺾어짐 등이 가능토록 되어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100)는 제1블록(110)이 수용되어 이동될 수 있는 제1관체(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관체(120)는 사각관모양을 하고 있으며, 투명부(122)와 불투명부(124)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투명부(122)에 모음(126)이 표시되어 있다. 앞쪽 끝단은 반드시 투명(122)부로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모음(126)으로는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등이 있으며 제1블록(110)의 자음과 조합되어 완성된 문자를 구성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제1블록(110)에 모음(126)을 표시하고, 제1관체(120)에 자음(112)을 표시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제1블록(110)에 자음(112)과 모음(126)을 모두 표시하고 대응되는 위치의 제1관체(120)에 모음(126)과 자음(112)을 모두 표시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한글 대신 영어나 일어 등 여타의 언어에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예를들면 제1관체(120)의 일측 투명부에 “ab”를 표시해 두고 제1블록(110)의 표면에는 “ab”로 시작하는 단어의 나머지 부분을 표시해두면 “ab”로 시작하는 여러 단어를 학습하는 데 편리하다.
도시된 바와같이 제1관체(120)의 불투명부(124) 또는 제1블록(110)들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자음(112)과 모음(126)으로 완성되는 글자와 관련이 있는 이름이 갖는 그림(p)을 그려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아동의 흥미를 더욱 유발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장난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관체(120)의 외주면에 바퀴(128)를 각각 설치해두면 더욱 좋다.
즉,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상태에서 제1블록(110)들을 제1관체(120)에 삽입하면, 그 삽입 위치에 따라 “가, 나, 다, 라, 마, 뱌, 샤, 야, 쟈, 챠, 고, 노, 도, 로, 모, 뵤, 쇼, 요, 죠, 쵸……”등의 글자를 만들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제1블록(110)을 회동시키면 “바, 사, 아, 자, 차……” 등의 글자를 만들 수 있으며, 90°더 회동시키면 제1블록(110)의 하면에 기재된 자음(112)과 관련된 글자를, 90°더 회동시키면 제1블록(110)의 뒷면에 표시한 자음(112)에 관련된 글자를 각각 만들 수 있게 된다. 즉, 받침이 들어가는 글자를 제외하고는 모두 만들 수 있다.
제5도는 제3도 제1블록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제6도는 제3도 제1블록의 꺾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5도와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블록(110)은 고무 등의 탄성줄(130)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블록(110)은 이웃하는 제1블록(110)과의 사이를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6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웃하는 제1블록(11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꺾을 수도 있다.
제5도와 제6도에서 알 수 있듯이 이웃하는 제1블록(110)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다수의 그림(p)이 그려져 있다. 이 그림(p)으로는 앞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글자가 구성될 때 그 글자에 관련되는 그림, 예를들어 “가”의 글자가 완성되는 부분에는 가지 그림을, “나”의 글자가 완성되는 부분에는 나비 그림을 각각 형성해두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아동이 호기심을 가지고 교습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그림들로 인해 시각적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제7도는 표면에 받침이 표시되어 있는 제2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대략 육면체의 제2블록(140) 표면에 한글의 받침(142)을 표시해두면 제3도와 제4도를 통해 설명한 교습구에서 받침이 있는 글자까지 만들 수 있게 된다. 받침으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ㅆ, ㄵ, ㄶ, ㄺ, ㄼ, ㄻ, ㅄ, ㅀ, ㄳ” 24개가 있는데, 육면체 모든 면에 표시하는 경우 4개의 제2블록(140)만 있으면 된다. 제2블록(140)의 수는 필요한 만큼 사용하면 된다.
제8도는 제2블록을 사용하여 받침이 있는 글자를 만드는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8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교습구(100)는 제3도∼제6도를 통해 설명한 제1블록(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1블록(110)의 표면에는 자음(112)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1블록(112)들은 내부의 탄성줄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제1블록(110)에는 제1관체(120)가 결합되어 있다. 이 제1관체(120)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투명부(122)와 불투명부(124)가 교대로 배치도어 있고, 투명부(122)에는 모음(126)이 표시되어 있다. 제8도에는 제1블록(110)의 자음과 제1관체(120)의 모음으로 “다”가 만들어진다. 그 상태에서 제7도에서 설명한 제2블록(140)을 도시된 바와같이 배치하면 “담”자가 완성되게 된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9도에는 본발명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200)는 그 표면에 자음(212)이 표시되어 있는 제3블록(2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3블록(210)의 표면에는 그 면에 표시된 자음으로 시작하는 이름을 갖는 그림(p)이 그려져 있다. 예를들어 “ㄱ”이 표시된 면에는 가지 그림을 그려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3블록(210)에는 제4블록(250)이 결합되어 있다. 이 역시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고무 등의 탄성줄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제3블록(210)과 제4블록(250)은 상호간의 간격을 벌릴 수 있고, 회동될 수 있으며, 이웃 블록에 대해 소정 각도로 꺾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제4블록(250)의 표면에는 모음(256)이 표시되어있다. 이 제4블록(250)에도 역시 그 면에 표시된 모음(256)과 관련된 이름을 갖는 그림(p)이 그려져 있다. 예를들어 “ㅏ”가 표시된 편에는 아가 그림을 그려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3블록(210)과 제4블록(250) 여러 개를 교대로 배치하고 연결하여 교습구를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0도는 제9도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0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200)는 자음(212)이 표시되어 있는 제3블록(210)을 구비하고 있다. 제3블록(210)에 표시된 자음(212)은 그 표기방향이 제9도에서와는 달리 제3블록(210)의 길이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제3블록(210)의 표면에 표기된 자음(212)과 관련된 이름을 갖는 그림(p)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이 제3블록(210)에 이웃하는 제4블록(2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4블록(250)의 표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모음(256)이 표시되어 있다. 이 제4블록(250)의 각 표면에는 표기된 모음(256)과 관련된 이름을 갖는 그림(p)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3블록(210)과 제4블록(250)을 이용하여 받침이 없는 글자를 여러개 만들 수 있다.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200)는 제2관체(2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관체(220)에는 받침(222)이 표시되어 있다. 이 받침(222) 역시 길이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2관체(220)는 제3블록(210) 또는 제4블록(250)을 수용하여 그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제3블록(210), 제4블록(250) 및 제2관체(220)를 이용하면 받침(222)이 있는 글자 “공”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제11도는 제9도와 제10도 교습구의 제3블록과 제4블록의 연결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3블록(210)과 제4블록(250)은 고무 등의 탄성줄(23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탄성줄(230)의 설치는 각 블록에 반대편까지 관통되는 구멍(211, 251)을 뚫고 탄성줄(230)을 구멍(211, 251)에 끼워 바깥쪽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탄성줄(230)의 끝단에 매듭을 형성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제3블록(210)과 제4블록(250)은 회동, 상호간의 벌어짐, 꺾여짐 등의 동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3블록(210)과 제4블록(250)의 접촉면에는 그림(p)을 표시하여 두는 것이 좋다.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습구(300)는 그림(p)과 글자(c)가 표시되어 있는 책(36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책(360)의 뒷표지(362) 하단부에는 제5블록(310)과 보조블록(340)이 탄성줄(330)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앞표지(364)에는 구멍(365)을 뚫어두는 것이 좋다.
제5블록(310)의 각 표면에는 자음(312), 모음(314) 등이 순서대로 표기되어 있다. 이 제5블록(310)은 회동될 수 있다. 이 제5블록(310)의 옆쪽에 보조블록(340)이 설치되어 있고, 이 보조블록(340)의 외주면에 제3관체(320)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블록(340) 역시 필요한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으며, 그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제3관체(320)의 표면에는 모음(324)과 자음(322)이 표기되어 있다. 이 제3관체(320)는 제5블록(310)을 수용한 상태에서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실(354)을 통해 제6블록(350)이 연결되어 있다. 이 제6블록(350)의 표면에는 받침(352)이 표기되어 있다.
즉, 제5블록(310), 제3관체(320), 제6블록(350)을 이용하여 책(360)에 표시되어 있는 글자를 만들어 보거나 아니면 그림에 관련된 글자를 만들어 볼 수 있다. 제3도∼제11도에서 설명한 어느 것이라도 책(360)에 설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발명에 따른 교습구는 자음, 모음, 받침이 결합되어 한글 글자가 완성되는 과정을 아동이 시각적, 감각적으로 이해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은 물론 원리적이고 체계적인 교습을 통해 보다 더쉽고 재미있게 한글을 깨칠 수 있도록 해준다. 필요한 경우에는 여타의 언어영역에서도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장난감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어린이에게 문자를 가르치기 위한 교습구에 있어서, 외주면에 다수의 자음 또는 모음이 표시되어 있는 제1블록; 및 상기 제1블록이 수용되어 이동됨을 허용하고 적어도 일측에 상기 자음 또는 모음과 조합되어 완성된 문자를 구성할 수 있는 다수의 모음 또는 자음이 표시되어 있는 제1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들을 서로 연결하여주고 상기 연결된 제1블록의 회동과 이웃 제1블록과의 벌어짐 및 이웃 제1블록에 대한 꺾여짐을 허용하는 제1탄성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습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과 제1관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완성되는 문자와 관련된 다수의 그림들이 더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1관체는 투명부와 불투명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습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주면에 다수의 한글 받침이 표시되어 있는 제2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습구.
  5. 어린이에게 문자를 가르치기 위한 교습구에 있어서, 외주면에 다수의 자음이 표시되어 있는 제3블록; 상기 자음과 조합되어 완성된 문자를 구성하는 모음이 외주면에 다수 표시되어 있는 제4블록; 및 상기 제3블록과 제4블록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3블록과 제4블록 상호간에 대한 회동, 벌어짐 및 꺾여짐을 허용하는 제2탄성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습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블록과 제4블록이 수용되어 이동됨을 허용하고 일측 투명부에 다수의 받침이 표시되어 있는 제2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습구.
  7.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그림 또는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습구.
  8.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그림 또는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습구.
KR1019980001361A 1998-01-17 1998-01-17 교습구 KR100241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1361A KR100241413B1 (ko) 1998-01-17 1998-01-17 교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1361A KR100241413B1 (ko) 1998-01-17 1998-01-17 교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248A KR980004248A (ko) 1998-03-30
KR100241413B1 true KR100241413B1 (ko) 2000-02-01

Family

ID=1953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361A KR100241413B1 (ko) 1998-01-17 1998-01-17 교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4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29B1 (ko) 2010-09-30 2011-05-04 이규휘 유아 학습용 블록
KR102184332B1 (ko) * 2020-08-24 2020-11-30 주식회사 제이디어스 문자표시용 조립블록세트
KR102202501B1 (ko) * 2020-09-04 2021-01-13 김연희 한글 학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29B1 (ko) 2010-09-30 2011-05-04 이규휘 유아 학습용 블록
KR102184332B1 (ko) * 2020-08-24 2020-11-30 주식회사 제이디어스 문자표시용 조립블록세트
KR102202501B1 (ko) * 2020-09-04 2021-01-13 김연희 한글 학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248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3740A (en) Educational word and letter game and method of playing
US4204343A (en) Reading skills development kit
US3302310A (en) Teaching device
KR101277012B1 (ko) 학습용 끼움 놀이판
KR100241413B1 (ko) 교습구
US4914019A (en) Multi-purpose learning device
KR101245794B1 (ko) 큐브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KR101320050B1 (ko) 학습 교구
US4378216A (en) Educational apparatus employing playground equipment or the like
KR100686545B1 (ko) 언어학습장치
Newton The role of pictures in learning to read
KR200232119Y1 (ko) 학습교구
KR100733484B1 (ko) 영어 교육용 블럭 세트
KR200144759Y1 (ko) 어학 교습구
US3765107A (en) Educational and game device
CN214671111U (zh) 一种小学语文教学用汉语拼音拼盘教具
CN213815006U (zh) 一种有助于英语单词记忆和拼写的装置
Bang-Jensen Welcome to the word garden: Composing a curriculum that rocks
KR200318057Y1 (ko) 캐릭터케이스를 갖는 문자조합식 교습구
KR19990020041U (ko) 교습용 문자조합 돌림판
JPH0623060U (ja) 発音対照ツール
KR200310246Y1 (ko) 문자블록
KR0137260Y1 (ko) 유아교육용 한글 학습교재
JPH0216372Y2 (ko)
Hildreth Reading with a rational alphabet: the Russia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