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545B1 - 언어학습장치 - Google Patents

언어학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545B1
KR100686545B1 KR1020060093364A KR20060093364A KR100686545B1 KR 100686545 B1 KR100686545 B1 KR 100686545B1 KR 1020060093364 A KR1020060093364 A KR 1020060093364A KR 20060093364 A KR20060093364 A KR 20060093364A KR 100686545 B1 KR100686545 B1 KR 100686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sentence component
sentence
component display
spee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언
Original Assignee
정준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언 filed Critical 정준언
Priority to KR1020060093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545B1/ko
Priority to PCT/KR2007/004546 priority patent/WO200803893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3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wherein the elements are adapted to be arranged in co-operation with the support to form symb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09B1/1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the elements being rota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편문법의 원리에 의해 모든 언어를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언어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문장성분을 표시하며 두개 이상 구비되는 문장성분표시부와,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를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언어를 삼차원적(입체적)으로 배울 수 있게 되어 기억에도 오래 남게 되어 학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놀이처럼 할 수 있어서 나이가 어린 유아와 같은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오랜시간 동안 학습을 할 수 있으며, 문장의 구조를 배울 수 있게 되어 모국어뿐만 아니라 외국어도 보편문법의 원리에 의해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언어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언어, 학습, 보편, 문법, 설명장치

Description

언어학습장치{Equipment for language edu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 부분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수단 110 : 지지부
120 : 제1중심부 130 : 제2중심부
140 : 제3중심부 200 : 제1문장성분표시부
210, 310, 410 : 제1품사표시부
212 : 끼움돌기 213 : 낱말판
214 : 끼움공 220, 320, 420 : 제2품사표시부
230, 270 : 연결로드 231, 271 : 걸림돌기
240, 250, 260 : 연결부 121, 241, 251, 261 : 돌기
122, 252, 262 : 로드삽입공 300 : 제2문장성분표시부
400 : 제3문장성분표시부
한국공개특허 제 2005-81911호
한국등록특허 제0557226호
본 발명은 언어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문장성분을 표시하며 두개 이상 구비되는 문장성분표시부와,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를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언어를 삼차원적(입체적)으로 배울 수 있게 되어 기억에도 오래 남게 되어 학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놀이처럼 할 수 있어서 나이가 어린 유아와 같은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오랜시간 동안 학습을 할 수 있으며, 문장의 구조를 배울 수 있게 되어 모국어뿐만 아니라 외국어도 보편문법의 원리에 의해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언어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언어학에서는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에 대한 개념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사실상 외국어를 배우려는 노력을 할 때에는 이미 외국어 원어민의 문법적지식이 생성되어 일차원적으로 표현된 언어 자료(음성언어, 문자언어)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대부분의 외국어 학습자들은 상당한 시간을 훈련하고 나서야 원어민의 문법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언어 학습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0557226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상기 공보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로 하여금 영어의 문장 구성 순서를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영어의 구조를 시각적인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여 언어의 단어를 위치에 맞게 매트릭스에 넣음으로써 자연스럽게 문장이 되게 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쉽게 문장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컴퓨터를 이용한 것이므로 나이가 어린 학습자는 혼자서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학습자가 학습하는 내용을 평면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한가지 언어만 학습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 2005-81911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상기 공보에서는,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를 바탕으로 하여 문장을 주부와 술부로 나누고, 다시 주부를 주요소인 주어와 수식요소로 구분하고, 술부를 주요소인 동사, 목적어, 보어와 각각의 수식요소로 구분하여 동일한 문장틀에 두 언어의 각각의 문장성분을 정해진 위치에 놓는다. 우리말로 된 문장틀을 영어로 바꾸고 영어의 어순배열공식에 따라서 일렬로 우리말과 영어로 써서 영어의 어순감각을 키우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학습자가 평면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기억에 오래 남지 않게 되고, 유희적인 면이 없기 때문에 학습자가 흥미를 잃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문장성분을 표시하며 두개 이상 구비되는 문장성분표시부와,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를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언어를 삼차원적(입체적)으로 배울 수 있게 되어 기억에도 오래 남게 되어 학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놀이처럼 할 수 있어서 나이가 어린 유아와 같은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오랜시간 동안 학습을 할 수 있으며, 문장의 구조를 배울 수 있게 되어 모국어뿐만 아니라 외국어도 보편문 법의 원리에 의해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언어학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언어학습장치는, 문장성분을 표시하며 두개 이상 구비되는 문장성분표시부와,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를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언어를 삼차원적(입체적)으로 배울 수 있게 되어 기억에도 오래 남게 되어 학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놀이처럼 할 수 있어서 나이가 어린 유아와 같은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오랜시간 동안 학습을 할 수 있으며, 문장의 구조를 배울 수 있게 되어 모국어뿐만 아니라 외국어도 보편문법의 원리에 의해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는 제1문장성분표시부와 제2문장성분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제1중심부와, 상기 제1중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중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문장성분표시부는 상기 제1중심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문장성분표시부는 상기 제2중심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문장성분표시부와 상기 제2문장성분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동수단의 방사상에 배치되어, 다수개의 문장성분표시부의 순서를 다양하게 바꿔서 배치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문장성분표시부에 원근감을 줄 수 있어서 사용자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으며, 문장성분표시부를 회동시켜 안보이게 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검토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는 품사가 표시되는 다수개의 품사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는 상기 이동수단에 연결로드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품사표시부는 상기 연결로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품사공부도 병행할 수 있으며, 상황에 맞는 적절한 품사를 고르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언어학습장치는, 문장성분을 표시하며 두개 이상 구비되는 문장성분표시부와,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를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이동수단(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는 문장에서 문장 성분에 따라 각각 구별되도록 문장성분을 표시하며 두개 이상 구비된다.
여기서, 문장성분이란, 주성분과 부속성분, 그리고 독립성분이 있다. 주성분은 문장의 골격을 이루는 성분으로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가 있다. 부속성분은 주로 주성분의 내용을 수식하는 성분으로, 관형어와 부사어가 있다. 독립성분은 주성분이나 부속성분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이 문장에서 따로 독립해 있는 성분으로, 이에는 독립어가 있다.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는 제1문장성분표시부(200)와 제2문장성분표시부(300)와 제3문장성분표시부(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문장성분표시부(200)에는 주어가 표시되며, 제2문장성분표시부(300)에는 목적어가 표시되며, 제3문장성분표시부(400)에는 서술어가 표시된다.
즉, 제1문장성분표시부(200)에는 '나는'이 표시되며, 제2문장성분표시부(300)에는 '너를'이 표시되며, 제3문장성분표시부(400)에는 '사랑한다'가 표시된다.
문장의 형식에 따라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는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문장성분표시부에는 같은 의미 가지거나 같은 문장성분을 가진 두개 이상의 언어가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문장성분표시부(200)에는 '나는'과 'I'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표시되며, 제2문장성분표시부(300)에는 '너를'과 'YOU'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표시되며, 제3문장성분표시부(400)에는 '사랑한다'와 'LOVE'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언어 중에는 우리나라의 국어와 같이 대명사에 격조사가 붙어서 주어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 있다. 또한, 영어와 같이 격조사가 없이 바로 'I'라는 단어 하나로 주어부가 형성되게 된다. 본 장치에서는, 격조사에 해당하는 제2품사표시부(220, 320, 420) '는' 부분을 학습자의 눈에 보이지 않도록 제1품사표시부(210, 310, 410) '나'의 뒤쪽으로 제1품사표시부(210, 310, 410)에 대해 상대적 으로 이동시키거나 원근감을 주게 되면, 역사적으로 격조사가 사라지는 현상을 삼차원적인 구조물(태양계구조)을 통해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어 학습자의 이해력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는 각각 다른 색깔로 구비된다.
예를들어, 주어를 나타내는 제1문장성분표시부(200)는 붉은색, 목적어를 나타내는 제2문장성분표시부(300)는 노랑색, 서술어를 나타내는 제3문장성분표시부(400)는 초록색으로 하여, 학습자가 색깔을 통해 문장성분을 연상할 수 있도록 하여 문장성분의 구조 또는 순서 등을 용이하게 숙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는 품사가 표시되는 다수개의 품사표시부와, 상기 품사표시부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부(240, 250, 260)와 상기 연결부(240, 250, 260)를 연결하는 연결로드(230)를 구비하며, 상기 품사표시부는 제1품사표시부(210, 310, 410)와 제2품사표시부(220, 320, 420)를 포함한다.
제1품사표시부(210, 310, 410)는 상기 제2품사표시부(220, 320, 4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품사표시부(210, 310, 410)는 단면형상이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블럭으로 형성된다.
제1품사표시부(210, 310, 410) 상부 외주면에는 끼움돌기(212)가 각 면에 하나씩 돌출되어 형성된다.
끼움돌기(212)는 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낱말판(213)이 끼워진 후 기울어지지 않도록 한다.
낱말판(213)은 사각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품사표시부(210, 310, 410)의 외주면을 모두 둘러싸도록 각 면 외측에 하나씩 배치된다.
이로써, 제1품사표시부(210, 310, 410)를 돌리게 되면 상황에 따라서 다른 단어가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낱말판(213)의 상부에는 끼움돌기(212)가 끼워지는 끼움공(214)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각각의 낱말판(213)에는 하나의 명사, 대명사, 조사 등과 같은 품사에 해당하는 단어가 각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명사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1문장성분표시부(200)의 제1품사표시부(210)에는 '나', 제2품사표시부(220)에는 '는'이 표시되며, 제2문장성분표시부(300)의 제1품사표시부(310)에는 '너', 제2품사표시부(320)에는 '를'이 표시되며, 제3문장성분표시부(400)의 제1품사표시부(410)에는 '사랑하다', 제2품사표시부(420)에는 'ㄴ다'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술부가 표시되는 제3문장성분표시부(400)의 제1품사표시부(410)에는 동사원형이 표시되고, 제2품사표시부(420)에는 상황에 따라서 활용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어미 및 선어말어미 부분이 표시된다. 본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시야에 제1품사표시부(410)의 어근 부분만 보이고, 제2품사표시부(420)의 어미 부분이 어간에 이어지도록 제2품사표시부(420)를 이동시키면, 자연스럽게 문장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품사표시부(410)에 대한 제2품사표시부(420)의 상대적인 위치 를 변화시키거나 원근감을 주어 동사 원형이 어떻게 되고, 제2품사표시부(420)를 다양하게 교체시켜 동사의 어미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삼차원적인 구조물(태양계구조)을 통해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어 학습자의 이해력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제1품사표시부(210, 310, 410) 하면에는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제2품사표시부(220, 320, 420)는 제1품사표시부(210, 3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품사표시부(220, 320)의 낱말판에는 조사가 표시된다.
제2품사표시부(220, 320) 각각의 낱말판에는 제1품사표시부(210, 310)의 단어와 연결될 수 있는 다른 조사가 표시되거나, 다른 언어로 된 단어가 표시된다.
제2품사표시부(220, 320, 420)와 제1품사표시부(210, 310)는 품사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색으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1문장성분표시부(200)와 제2문장성분표시부(300)에 있는 대명사를 나타내는 제1품사표시부(210, 310)는 모두 주황으로 하고, 제1문장성분표시부(200)와 제2문장성분표시부(300)에 있는 조사를 나타내는 제2품사표시부(220, 320)는 모두 연두로 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상기 문장성분표시부에 포함된 품사 중에서 같은 품사는 같은 색으로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색을 다르게 하여, 학습자가 같은 품사를 가진 단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색깔을 통해 품사가 연상되도록 할 수 있어 학습효과가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제1품사표시부(210, 310) 하부에는 첫번째 연결부(240)가 배치되며 첫번째 연결부(240) 아래에는 두번째 연결부(260)가 배치되며, 제2품사표시부(220, 320, 420) 하부에는 세번째 연결부(250)가 설치된다.
한편, 제3문장성분표시부(400)의 제1품사표시부(410)는 제3중심부(140)에 바로 설치된다.
연결부(240, 250, 260)는 측면에는 로드삽입공(252, 262)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돌기(241, 251, 261)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에는 타 연결부(240, 250, 260)의 돌기(241, 251, 261)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로드삽입공(252, 262)은 연결로드(230, 270)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로드삽입공(252, 262)은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홈과 같이 연결부(240, 250, 260)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돌기(241, 251, 261)의 단면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부(240, 250, 260)에 연결되는 타 부재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품사표시부(210, 310)의 삽입공에 끼워지는 첫번째 연결부(240)의 돌기(241)는 제1품사표시부(210, 310)가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단면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돌기(241)의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품사표시부(210, 310)가 첫번째 연결부(240)에 대해 상대회전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연결로드(230, 270)는 이동수단(100)의 중심부와 두번째 연결부(260)를 연결 하거나, 그 상부에 배치된 두번째 연결부(240)와 제2품사표시부(220, 320, 420)의 하부에 연결된 세번째 연결부(250)를 연결한다.
한편, 제3중심부(140)에 연결된 연결로드는 제3문장성분표시부(400)의 제2품사표시부(420) 하부에 있는 연결부와 연결된다.
연결로드(230, 270)는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돌기(231, 27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걸림돌기(231, 271)가 형성되어 연결로드(230, 270)가 로드삽입공(122, 252, 262)에 삽입되어 헛돌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제1품사표시부(210, 310, 410) 및 제2품사표시부(220, 320, 420)는 전자적으로 엘시디 화면(디스플레이부)으로 구비되어, 상황에 따라서 각각 다른 단어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연결로드(270)와 두번째 연결부(260)에 대해 상기 문장성분표시부의 첫 번째 연결부(240) 및 제1품사표시부(210, 310) 및 세번째 연결부(250) 및 제2품사표시부(220, 320)은 회동가능해진다. 즉, 상기 문장성분표시부가 자전 운동을 하는 것과 같게 된다.
이동수단(100)은 지지부(110)와 제1중심부(120)와, 상기 제1중심부(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중심부(130)와, 제1중심부(120)와 제2중심부(13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3중심부(140)를 포함하는 중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를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시킨다.
지지부(110)는 넓은 디스크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측이 약간 돌출되어 균형을 잘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110) 상면에는 상기 중심부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공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는 회동축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심부는 측면에는 로드삽입공(122)이 관통되어 홀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돌기(121)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에는 타 중심부의 돌기(121)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돌기(121)의 단면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부가 서로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축의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제1중심부(120)는 지지부(110) 상부에 놓여지며, 제2중심부(130)는 제1중심부(120) 상부에 놓여지며, 제3중심부(140)는 제2중심부(130) 상부에 놓여져서,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즉, 제1중심부(120)의 상기 삽입공에 지지부(110)의 돌기가 삽입되게 되며, 제1중심부(120)의 돌기(121)가 제2중심부(120)의 삽입공에 삽입되게 되며, 제2중심부(120)의 돌기가 제3중심부(140)의 삽입공에 삽입되게 된다.
이로써, 각각의 중심부는 서로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중심부는 동일하게 형성된 블럭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여러가지 언어에 따라 상기 중심부를 여러개 구비하기도 용이하다.
제1중심부(120)의 로드삽입공(122)에 끼워지는 연결로드(270)의 타단은 제1 문장성분표시부(200)측에 연결되고, 제2중심부(130)의 로드삽입공에 끼워지는 연결로드의 타단은 제2문장성분표시부(300)측에 연결되고, 제3중심부(140)에 끼워지는 연결로드의 타단은 제3문장성분표시부(400)측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는 이동수단(100)에 연결로드(270)를 통해 연결되어 이동수단(100)의 방사상에 배치되어, 이동수단(10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문장성분표시부가 공전 운동을 하게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수동으로 상기 중심부 및 상기 연결부(240, 250, 260)를 회동시키거나, 상기 중심부 및 상기 연결부(240, 250, 260)에 모터를 장착하여 자동으로 상기 문장성분표시부 또는 상기 품사표시부가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언어를 삼차원적(입체적)으로 배울 수 있게 되어 기억에도 오래 남게 되어 학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문장의 구조를 배울 수 있게 되어 모국어뿐만 아니라 외국어도 보편문법의 원리에 의해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언어의 일차원적 표현 배후에 존재하는 3차원적 보편적 구조를 표현하여, 외국어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모국어 지식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하고, 상기 문장성분표시부의 순서를 자유롭게 배치시킬 수 있어 학습자의 외국어 문법 구조가 모국어 구조와 어떻게 다른지 바로 시각적 및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원자나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 구성의 기본적 구조를 차용하여, 단어와 형태소 사이의 관계, 단어군과 단어군의 관계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연결로드(270)를 상기 중심부에 형성된 로드삽입공(122)에 끼워넣어 상기 중심부의 외측으로 연결로드(270)가 많이 돌출되게 하거나 적게 돌출되게 하여 이동수단(100)과 상기 문장성분표시부와의 사이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이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학습자가 선택적으로 각각의 상기 문장성분표시부에 별도로 원근감을 줄 수 있게 되어 학습자의 학습 정도에 따라 원근감을 조절하거나 학습자의 학습 내용검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학습자가 학습을 흥미를 가지고 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제1중심부(120)와 제1문장성분표시부(200)의 연결부(240, 250, 260)의 색깔을 같게 구비하고, 제2중심부(130)와 제2문장성분표시부(300)의 연결부의 색깔을 같게 구비하고, 제3중심부(140)와 제3문장성분표시부(400)의 연결부의 색깔을 같게 구비하여, 학습자가 중심부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중심부에 연결된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도 동시에 움직인다는 기하학적인 구조도 동시에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어, 술어, 목적어, 모어, 부가어, 보충어 따위를 표현하기 위하여 다른 색깔을 사용함으로, 모국어와 다른 외국어 사이에 존재하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시각적으로 관찰하고, 단어의 순서나 문법적 기능을 하는 특별한 단어 혹은 구문을 기억하기 쉽게 도와주어 보다 효율적인 문법습득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심부 및 연결부(240, 250, 260)의 상면 및 하면에 일측에는 철판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자석을 설치하여 각각의 중심부 또는 연결부(240, 250, 260)가 서로 자성에 의해 연결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언어학습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문장성분을 표시하며 두개 이상 구비되는 문장성분표시부와,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를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언어를 삼차원적(입체적)으로 배울 수 있게 되어 기억에도 오래 남게 되어 학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놀이처럼 할 수 있어서 나이가 어린 유아와 같은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오랜시간 동안 학습을 할 수 있으며, 문장의 구조를 배울 수 있게 되어 모국어뿐만 아니라 외국어도 보편문법의 원리에 의해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다.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는 제1문장성분표시부와 제2문장성분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제1중심부와, 상기 제1중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중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문장성분표시부는 상기 제1중심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문장성분표시부는 상기 제2중심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문장성분표시부와 상기 제2문장성분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동수단의 방사상에 배치되어, 다수개의 문장성분표시부의 순서를 다양하게 바꿔서 배치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문장성분표시부에 원근감을 줄 수 있어서 사용자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으며, 문장성분표시부를 회동시켜 안보이게 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검토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는 품사가 표시되는 다수개의 품사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는 상기 이동수단에 연결로드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품사표시부는 상기 연결로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품사공부도 병행할 수 있으며, 상황에 맞는 적절한 품사를 고르도록 할 수도 있다.

Claims (3)

  1. 삭제
  2. 문장성분을 표시하며 두개 이상 구비되는 문장성분표시부;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를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는 제1문장성분표시부와 제2문장성분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제1중심부와, 상기 제1중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중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문장성분표시부는 상기 제1중심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문장성분표시부는 상기 제2중심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문장성분표시부와 상기 제2문장성분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동수단의 방사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장치.
  3. 문장성분을 표시하며 두개 이상 구비되는 문장성분표시부;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를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는 품사가 표시되는 다수개의 품사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문장성분표시부는 상기 이동수단에 연결로드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품사표시부는 상기 연결로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장치.
KR1020060093364A 2006-09-26 2006-09-26 언어학습장치 KR100686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364A KR100686545B1 (ko) 2006-09-26 2006-09-26 언어학습장치
PCT/KR2007/004546 WO2008038934A1 (en) 2006-09-26 2007-09-19 Equipment for language edu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364A KR100686545B1 (ko) 2006-09-26 2006-09-26 언어학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6545B1 true KR100686545B1 (ko) 2007-02-26

Family

ID=3810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364A KR100686545B1 (ko) 2006-09-26 2006-09-26 언어학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6545B1 (ko)
WO (1) WO200803893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364B1 (ko) 2009-12-09 2010-07-06 신효상 영어속독을 위한 동적 영문그래픽 상영방법
KR101156041B1 (ko) 2009-09-04 2012-06-20 안우진 학습용 단말기의 타국어 설명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97065A (ko) * 2014-06-30 2014-08-06 이시디코리아 주식회사 캐릭터를 이용한 영어의 문장 구조 학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7004B (zh) * 2018-03-14 2023-09-29 云羽之音智能乐器(武汉)有限公司 一种便于课堂教学及学习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294U (ko) * 1998-11-30 1999-02-25 이동현 학습기
KR200218191Y1 (ko) * 2000-09-07 2001-03-15 고종택 어린이용 학습구
KR20040065759A (ko) * 2003-01-16 2004-07-23 조미영 전자매트를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및 시스템
KR20040067540A (ko) * 2003-01-24 2004-07-30 조미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069A (ko) * 2001-06-15 2002-12-31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문형연습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려는 사람을 위한 문제작성 방법 및 그 시스템
BRPI0400095B1 (pt) * 2004-03-31 2015-06-30 Positivo Informática S A Sistema educacional e recreativo para aprendizado de linguagens em geral
KR20060020940A (ko) * 2004-09-01 2006-03-07 박창용 아동용 학습 놀이기구
JP2006184834A (ja) * 2004-12-27 2006-07-13 Kuniyoshi Kin コンピュータを利用した外国語のスピーキングとヒアリング学習訓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294U (ko) * 1998-11-30 1999-02-25 이동현 학습기
KR200218191Y1 (ko) * 2000-09-07 2001-03-15 고종택 어린이용 학습구
KR20040065759A (ko) * 2003-01-16 2004-07-23 조미영 전자매트를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및 시스템
KR20040067540A (ko) * 2003-01-24 2004-07-30 조미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041B1 (ko) 2009-09-04 2012-06-20 안우진 학습용 단말기의 타국어 설명 장치 및 그 방법
KR100968364B1 (ko) 2009-12-09 2010-07-06 신효상 영어속독을 위한 동적 영문그래픽 상영방법
US8310505B2 (en) 2009-12-09 2012-11-13 Hyo Sang Shin Method for playing dynamic english graphics of english sentences for speed reading
KR20140097065A (ko) * 2014-06-30 2014-08-06 이시디코리아 주식회사 캐릭터를 이용한 영어의 문장 구조 학습법
KR101706980B1 (ko) * 2014-06-30 2017-02-16 주식회사 에듀잉 캐릭터를 이용한 영어의 문장 구조 학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38934A1 (en)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pe The English studies book: An introduction to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KR100686545B1 (ko) 언어학습장치
Zaki Corpus‐based teaching in the Arabic classroom: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Nolas et al. Entanglements that matter
Miller Reflecting on spirituality in education
KR101245794B1 (ko) 큐브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KR101320050B1 (ko) 학습 교구
Kaplan Cultural thought patterns
KR20120042586A (ko) 영어문장구조를 도해한 시각화 교재
Kulju et al. Multilayered word structure model for assessing spelling of Finnish children in shallow orthography
KR200482728Y1 (ko)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
Gumilar et al. Interlanguage grammar in English: Produced by Indonesian students learning French
KR100241413B1 (ko) 교습구
JP3141166U (ja) 教育用具
Hughes et al. The Confusion with “Give” and “Get” by Japanese Learners: Common Errors in the Basic Meaning of Property Transfer
Montrul Form–meaning mappings in the aspectual domain: What about the L1? A response to Bruhn de Garavito and Valenzuela
Warbrick Najma’s Snow: Making Space for Formative Creative Writing
Slougui Dissertation titles in EFL and UK-based contexts: How much do they differ?
Mirshahidovna Enhancing Reading Skills Through Short Stories
JPH0216372Y2 (ko)
Shen Th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of Chinese and British university students, with an analysis of approaches to selected cultural keywords
Seizova-Nankova Primary schooleducation and computer-based language study
Aryanti The Relation among Syntactic Units, Tenses and Meanings in Students Writing
Phillips Teaching syntax with Trees
Ballman Statistical Information on Foreign Langu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