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728Y1 -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 - Google Patents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2728Y1 KR200482728Y1 KR2020160003818U KR20160003818U KR200482728Y1 KR 200482728 Y1 KR200482728 Y1 KR 200482728Y1 KR 2020160003818 U KR2020160003818 U KR 2020160003818U KR 20160003818 U KR20160003818 U KR 20160003818U KR 200482728 Y1 KR200482728 Y1 KR 20048272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sonant
- plate
- hangul
- vowel
- display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09B1/1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the elements being rotatable
- G09B1/2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the elements being rotatable and bearing the symbols on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는 원주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분할된 각 구역에 한글 자음이 표시된 자음판; 자음판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자음판에 표시된 자음과 조합을 이루도록 원주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분할된 각 구역에 한글 모음이 표시된 모음판; 및 자음판과 모음판을 결합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에 있어서, 자음판은 분할된 원주의 한쪽 절반 영역에 표시되는 자음의 오른쪽에 중심이 위치되는 자음 1조 영역과, 자음 1조 영역의 다른 한쪽 절반 영역에 표시되는 자음의 아래쪽에 중심이 위치되도록 배열된 자음 2조 영역으로 구분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글의 기초를 익힐 나이의 어린이들이 회전체를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이 표시된 회전체를 직접 돌려가면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이 되어 글자가 완성되는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한글 기초를 익힐 수 있도록 한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에 관한 것이다.
한글은 14개의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과 10개의 모음(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도합 24자의 자모의 낱자로 적게 되어 있으며, 이들 낱자로 적을 수 없는 ㄲ, ㄸ, ㅃ, ㅆ, ㅉ,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처럼 2개 이상의 낱자를 함께 적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한글은 14개의 자음과 10개의 모음을 익히게 되면, 누구나 쉽게 자음과 모음의 조합에 의해서 대부분의 소리를 표현할 수 있도록 과학적으로 구성되었음은 외국의 언어학자들도 인정하고 있다.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외국인의 경우에도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불과 수 시간 만에 익힐 수 있을 정도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문자를 익히기 시작하는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있는 실정으로, 아직 말귀를 알아듣지 못하는 유아에게도 다양한 형태의 문자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한글이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익히기에 쉬운 문자라고 하더라도 아직 문자 획득 경험이 전혀 없는 유아의 경우에는 한글 습득이 매우 어렵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유아들이 한글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흥미를 가질 수 있고, 보다 쉽게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교재 또는 교구들이 개발 및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 예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5849호에 개시된 원형 한글 자동학습기가 있다. 예의 원형 한글 자동학습기는 사용자가 전원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어느 한 모음이 표시된 모음판이 회전하게 되고, 자음판에 표시된 자음에 모음이 접하게 되는 과정을 통해서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이다. 그러나, 이러한 원형 한글 자동학습기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사용되어야 하며,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 아이들이 사용하는 과정에서 고장이 자주 발생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시 모음판의 교체에 따른 불편함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 예의 한글 자동학습기는 자동으로 구동됨으로써 아이들이 쉽게 무료함을 느낄 수 있으며, 아이들 스스로 창의적으로 글자를 조합하며 한글을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예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6507호에 개시된 한글 학습교구가 있다. 예의 한글 학습교구는 기초한글 학습자가 그림을 보고 기초 한글을 연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이다. 그런데 이러한 한글 학습교구는 그림으로 표현할 수 없는 문자는 학습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한글의 기초를 익힐 나이의 어린이들이 직접 회전체를 돌려가면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글자가 완성되는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한글 기초를 익힐 수 있도록 한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는 원주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분할된 각 구역에 한글 자음이 표시된 자음판; 자음판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자음판에 표시된 자음과 조합을 이루도록 원주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분할된 각 구역에 한글 모음이 표시된 모음판; 및 자음판과 모음판을 결합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에 있어서, 자음판은 분할된 원주의 한쪽 절반 영역에 표시되는 자음의 오른쪽에 중심이 위치되는 자음 1조 영역과, 자음 1조 영역의 다른 한쪽 절반 영역에 표시되는 자음의 아래쪽에 중심이 위치되도록 배열된 자음 2조 영역으로 구분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에서 자음판의 뒤에는 베이스가 더 설치되고, 자음판은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에서 자음판에는 벽에 걸기 위한 벽걸이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에서 베이스에는 벽에 걸기 위한 벽걸이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에서 자음판에는 스탠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에서 베이스에는 스탠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에서 자음판의 지름은 80 ~ 140㎝ 범위 내의 크기로 형성되며, 모음판의 지름은 60 ~ 100㎝ 범위 내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에 의하면 기초한글을 익히기 시작하는 연령대의 어린이들이 자음과 모음이 표시된 자음판과 모음판을 스스로 돌려가면서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상호 조합으로 글자가 완성되는 것을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에 의하면 한글공부를 시작하는 연령대의 아이들의 경우에 호기심이 많기 때문에 아이들 스스로 자음판과 모음판을 돌려가면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는 합자원리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한글의 기초를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서는 한글을 익히는 과정에서 시각, 촉각, 미각 등 여러 신경회로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아이들의 대근육 발달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에 의하면 자음판이 자음 1조 영역과 자음 2조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음에 따라서 모음판에 표시된 한정된 모음들과의 조합을 다양하게 하는 과정에서 창의적인 사고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는 한글공부를 시작하는 연령대의 어린이들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제작됨으로써 어린이들이 일어선 상태에서 스스로 자음판 또는 모음판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놀이와 운동 및 학습이 병행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의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음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음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7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의 정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가 입식으로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음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음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7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의 정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가 입식으로 설치된 상태의 도면.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 도면에 표시된 도면부호 100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를 지시하는 것이다.
도 2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100)는 자음판(110)의 전방에 모음판(1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자음판(110)의 중심과 모음판(120)의 중심은 별도의 결합수단(130)을 통해서 조립될 수 있다.
전술한 결합수단(130)은 자음판(110)과 모음판(120)이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되 자음판(110)에 대해서 모음판(120)이 회전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합수단(130)으로는 위와 같은 조건(결합상태를 유지하며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이 만족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형태의 수단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결합수단(130)의 예로는 핀, 리벳, 볼트, 힌지 등 자음판(110)과 모음판(120)과 별도로 제작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자음판(110) 또는 모음판(120)의 조립구멍(112, 122)에 양 부재가 회전이 가능한 조건에서 상호 결합이 될 수 있는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100)에서 자음판(110)과 모음판(120)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는 자음판(110)의 전면에 모음판(120)이 결합되는 형태만을 보이고 있으나, 자음판(110) 자체에 모음판(120)의 외곽이 조립될 수 있는 사이즈의 구멍을 형성하여 자음판(110)과 모음판(120)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로도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100)의 자음판(110)은 도 3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원주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분할된 각각의 구역에 한글의 자음이 표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특히, 분할된 원주의 절반 영역에 표시되는 자음은 자음판(110)의 중심이 해당 자음의 오른쪽에 위치되도록 배열이 된다. 그리고 나머지 절반 영역에 표시되는 자음은 자음판(110)의 중심이 해당 자음의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배열이 된다. 즉, 자음판(110)에 표시되는 자음들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호의 방향으로 한글 자음 14개씩 두 개의 조가 배열이 되되 자음 1조 영역(200A)의 한글 자음은 각 자음의 오른쪽에 자음판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다른 1조(이하에서는 '자음 2조 영역(200B)'이라 함)의 한글 자음은 각 자음의 아래쪽에 자음판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배열되는 것이다. 즉, 자음판(110)은 외주가 원주방향으로 28등분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각 영역의 1번째부터 14번째 칸은 자음 1조 영역으로, 한글 자음의 오른쪽에 자음판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각 자음이 표시된다. 분할 영역 중 15번째부터 28번째 칸은 자음 2조 영역으로, 한글 자음의 아래쪽에 자음판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각 자음이 표시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100)의 모음판(120)은 도 4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원주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분할된 각각의 구역에 한글의 모음이 표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표시되는 모음은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로 차례로 표시된 모음 1조(30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모음판(120)은 외주가 원주방향으로 10등분으로 분할되며, 각 분할된 구역에는 자음 1조 영역의 어느 한 자음과 조합되어 한글이 완성되도록 하는 한글 모음 5개(ㅣ, ㅏ, ㅑ, ㅓ, ㅕ)와 자음 2조 영역의 어느 한 자음과 조합되어 한글이 완성되도록 하는 모음 5개(ㅗ, ㅛ, ㅜ, ㅠ, ㅡ)가 각각 표시된다.
전술한 모음판(120)은 도 1 및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자음판(110)의 크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자음판(110)에 대해서 모음판(120)이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자음판(110)에 표시된 자음 1조 영역(200A)의 오른쪽에 모음판(120)에 표시된 'ㅏ', 'ㅑ', 'ㅓ', 'ㅕ', 또는 'ㅣ'가 위치되거나 자음 2조 영역(200B)의 아래쪽에 모음판(120)에 표시된 'ㅗ', 'ㅛ', 'ㅜ', 'ㅠ', 또는 'ㅡ'가 위치되었을 때 자음과 모음의 조합에 의해서 하나의 한글 글자가 완성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자음판(110)에 표시되는 자음들은 자음 1조 영역(200A)과 자음 2조 영역(200B)에 상호 다른 방향으로 배열이 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모음판(120)에 표시된 한정된 자음들과의 조합을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100)는 한글 공부를 처음 시작하거나 앞으로 시작하게 될 어린이들을 위한 것인 만큼 어린이들의 키높이에 맞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자음판(110)은 지름이 80 ~ 140㎝ 범위 내의 크기로 형성되며, 모음판(120)은 지름이 60 ~ 100㎝ 범위 내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자음판(110)의 지름은 120㎝ 내외, 모음판의 지름은 80㎝ 내외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100)는 가방에 넣을 수 있는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방에 넣을 수 있는 크기(자음판의 지름이 10 ~ 30㎝)로 제작된 경우에는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에 여행지나 차량의 실내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100)는 바닥에 펼친 상태에서 어린이들이 모음판(120)을 회전시키면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는 관계를 익히는 데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면에 설치하여 어린이들이 선 상태에서 모음판(120)을 회전시키면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이 되는 관계를 익히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5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어머니'라는 문자를 표현하고자 할 때, 자음 1조의 자음들 중 'ㅇ'의 위치에 모음 'ㅓ'가 위치되도록 모음판(120)을 회전시키게 되면 문자 '어'가 완성된 상태가 보이고, 자음 1조 영역(200A)의 자음들 중 'ㅁ'의 위치에 모음 'ㅓ'가 위치되도록 모음판(120)을 회전시키게 되면 문자 '머'가 완성된 상태가 보이게 되고, 자음 1조 영역(200A)의 자음들 중 'ㄴ'의 위치에 모음 'l'가 위치되도록 모음판(120)을 회전시키게 되면 문자 '니'가 완성된 상태가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한글 기초를 공부하는 어린이에게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구성에 대해서, 또는 자음과 모음의 결합을 통해 문자가 완성되는 과정 등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100)는 어린이 스스로 자음판(110)과 모음판(120)을 돌려가며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는 합자원리를 통해서 한글을 익히는 과정에서 시각, 촉각, 미각 등 여러 신경회로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아이들의 대근육 발달에도 좋은 영향을 주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100)는 어린이들의 놀이도구로도 이용될 수 있음에 따라서 어린이들이 자연스럽게 한글의 기초를 익힐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100)는 모음판(120) 뿐만 아니라 자음판(11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음판(110)과 모음판(120)이 모두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100)를 이용할 경우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자음과 모음이 반듯하게 조합된 상태를 보일 수 있는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 7에서와 같이 자음판(120)의 후방에는 별도의 베이스(1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140)가 더 설치된 경우에는 자음판(110)의 회전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음판(110)의 후방에 베이스(140)가 더 설치된 경우에는, 베이스(140)에 벽에 걸기 위한 벽걸이수단(150)이 형성되고, 베이스(140)에 대해서 자음판(110)과 모음판(120)이 모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벽걸이수단(150)은 본 고안의 각 실시 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100)를 벽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벽걸이수단(150)은 벽에 걸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벽걸이수단(150)은 자음판(110)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100)에는 별도의 스탠드(160)를 설치하여 벽에 기대거나 걸지 않고서도 세워둘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스탠드(160)는 자음판(110)의 후방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자음판(110)의 후방에 베이스(140)가 더 설치된 경우에는 베이스(140)에 스탠드(160)가 조립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의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00 :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 110 : 자음판
120 : 모음판 122 : 조립구멍
130 : 결합수단 140 : 베이스
150 : 벽걸이수단 160 : 스탠드
200A : 자음 1조 영역 200B : 자음 2조 영역
120 : 모음판 122 : 조립구멍
130 : 결합수단 140 : 베이스
150 : 벽걸이수단 160 : 스탠드
200A : 자음 1조 영역 200B : 자음 2조 영역
Claims (7)
- 원주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분할된 각 구역에 한글 자음이 표시된 자음판; 상기 자음판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자음판에 표시된 자음과 조합을 이루도록 원주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분할된 각 구역에 한글 모음이 표시된 모음판; 및 상기 자음판과 모음판을 결합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에 있어서,
상기 자음판은 지름이 80 ~ 140㎝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자음판은 28등분으로 분할되며 각 분할된 영역에는 한글 자음이 표시되되 상기 분할된 각 영역의 1번째부터 14번째 칸은 자음 1조 영역으로 한글 자음의 오른쪽에 상기 자음판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표시되는 한편 15번째부터 28번째 칸은 자음 2조 영역으로 한글 자음의 아래쪽에 상기 자음판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표시되고,
상기 모음판은 상기 자음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갖는 60 ~ 100㎝ 범위 내의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모음판은 10등분으로 분할된 각 구역에는 상기 자음 1조 영역의 어느 한 자음과 조합되어 한글이 완성되도록 하는 한글 모음 5개(ㅣ, ㅏ, ㅑ, ㅓ, ㅕ)와 상기 자음 2조 영역의 어느 한 자음과 조합되어 한글이 완성되도록 하는 모음 5개(ㅗ, ㅛ, ㅜ, ㅠ, ㅡ)가 각각 표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판의 뒤에는 베이스가 더 설치되고, 상기 자음판은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판에는 벽에 걸기 위한 벽걸이수단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벽에 걸기 위한 벽걸이수단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판에는 스탠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스탠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3818U KR200482728Y1 (ko) | 2016-06-30 | 2016-06-30 |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3818U KR200482728Y1 (ko) | 2016-06-30 | 2016-06-30 |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6695 Division | 2015-03-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3301U KR20160003301U (ko) | 2016-09-27 |
KR200482728Y1 true KR200482728Y1 (ko) | 2017-02-27 |
Family
ID=5704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3818U KR200482728Y1 (ko) | 2016-06-30 | 2016-06-30 |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272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6426B1 (ko) | 2020-11-26 | 2021-11-12 | 김대웅 | 기초 한글 교육용 교구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3146Y1 (ko) * | 1999-10-12 | 2000-03-15 | 박세균 | 유아용 [ 한글 시계 ] 기초학습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5849Y1 (ko) | 2002-11-22 | 2003-03-03 | 박세균 | 원형 한글 자동학습기 |
KR200446507Y1 (ko) | 2008-01-23 | 2009-11-05 | (주)천재교육 | 한글 학습교구 |
KR101135959B1 (ko) * | 2009-06-23 | 2012-04-18 | (주)시누스 | 학습장치 |
-
2016
- 2016-06-30 KR KR2020160003818U patent/KR200482728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3146Y1 (ko) * | 1999-10-12 | 2000-03-15 | 박세균 | 유아용 [ 한글 시계 ] 기초학습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6426B1 (ko) | 2020-11-26 | 2021-11-12 | 김대웅 | 기초 한글 교육용 교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3301U (ko) | 2016-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260886A1 (en) | Multi-sensory Learning Game System | |
JP2002518707A (ja) | 数学学習用ゲーム器及び方法 | |
US6074211A (en) | Educational device for teaching art | |
KR101386981B1 (ko) | 다감각 인지지각 페그보드 | |
KR20110004339A (ko) | 한글교습도구 | |
KR200482728Y1 (ko) | 기초한글 창의 체험 교구 | |
RU176529U1 (ru) | Тренажер-кольцо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движений пальцев и кисти руки и зрительно-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й памяти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 |
US20160055755A1 (en) | Squeezable alphabet educational toy | |
CN202748962U (zh) | 带遮挡板的古诗文学习机 | |
KR101320050B1 (ko) | 학습 교구 | |
WO2019064298A1 (en) | EDUCATIONAL DEVICE | |
KR100686545B1 (ko) | 언어학습장치 | |
US850045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mpact activity learning system | |
Ramnarain-Seetohul et al. | Case study of a mobile based application for kindergarten schools in Mauritius | |
US20080299522A1 (en) | Visual Learning Tool | |
KR102326426B1 (ko) | 기초 한글 교육용 교구 | |
CN108263126A (zh) | 一种学生用教学智能机器人一体化装置 | |
CN208752803U (zh) | 一种智能互动多感官教玩具设备 | |
RU97842U1 (ru) | Игровой комплект "круглая азбука" | |
KR100764139B1 (ko) | 문자 학습용 완구 | |
CN103065516A (zh) | 幼儿启蒙助教仪 | |
KR100505422B1 (ko) | 어학겸용 분수교육 장치 | |
CN209471577U (zh) | 一种学前教育用爬步机 | |
RU144502U1 (ru) | Средство обучения чтению | |
BRPI0400095B1 (pt) | Sistema educacional e recreativo para aprendizado de linguagens em ger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