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961B1 -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961B1
KR100240961B1 KR1019970039685A KR19970039685A KR100240961B1 KR 100240961 B1 KR100240961 B1 KR 100240961B1 KR 1019970039685 A KR1019970039685 A KR 1019970039685A KR 19970039685 A KR19970039685 A KR 19970039685A KR 100240961 B1 KR100240961 B1 KR 100240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loor
control
signal
driving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955A (ko
Inventor
이정구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3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96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6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의 승장도어구동지령을 입력받는 구동지령입력부와; 상기 구동지령입력부의 도어구동지령과 위치신호에 따라 해당 승장도어의 개폐를 위한 모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터제어부와;각 층에 설치된 위치스위치로부터 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모터제어부에 전달하는 위치신호입력부와; 상기 제어반의 승장도어구동지령에 따라 구동하여 해당 층을 선택하는 층선택용 릴레이를 통해 해당 층을 선택하고, 상기 모터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해당 승장용 모터에 인가함과 아울러 층선택용 릴레이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를 상기 제어반에 인가하는 문열림층선택부로 이루어진 승장도어제어부로 구성한다. 그리고 전원단자와 상기 선택이상신호단자 사이에 상기 층선택용 릴레이의 a접점을 연결하여 층선택용 릴레이 이상여부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하고, 하나의 포트를 통해 상기 위치신호입력수단과 각 층 위치스위치를 연결하고, 전원단자와 각 층 위치스위치 사이에 상기 층선택용 릴레이의 a접점을 연결함으로써 해당 층의 위치스위치의 위치신호만이 위치신호입력수단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나의 승장도어제어부로 각 층의 승장도어용 모터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설치배선이 간단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며,
엘리베이터가 정지한 층만을 선택하여 도어구동지령을 인가할 수 있고, 층선택용 릴레이의 이상이 발생하면 도어구동지령의 출력을 정지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해당 층의 위치신호만을 입력받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APPARATUS FOR DOOR CONTROLLING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도어 제어장치와 도어 제어장치가 분리된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승장도어장치로 각 층의 승장도어용 모터를 제어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장치의 동작상 분류는 도어가 좌우로 움직이는 좌우개폐식(side sliding)방식과 도어가 상하로 움직이는 상하개폐식(up sliding)방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상기의 좌우개폐식 구동방식은 주로 주거용, 상업용 건물의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고, 상하개폐식 구동방식은 화물용, 자동차용 엘리베이터에 적용된다.
상기 구동방식의 기술 구성상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좌우개폐식은 케이지에 설치된 카도어제어장치가 제어반의 도어구동지령에 의해 카도어를 구동하면 이에 기계적으로 연동된 승장도어가 구동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하개폐식에 있어서는 카도어제어장치는 케이지에 설치하고, 각층 승장도어제어장치는 각 층 엘리베이터 출입구에 각각 설치한다. 따라서 제어반으로 부터 도어구동지령이 인가되면 카도어제어장치와 각 층 승장도어제어장치가 각 기 해당 도어를 제어한다.
도1은 종래 엘리베이터 승장도어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의 운전과 카도어 제어 및 승장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등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10)과; 각 층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반(10)의 승장도어구동지령에 따라 승장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각층의 승장도어제어부(20)로 구성한다.
상기 승장도어제어부(20)는 상기 제어반(10)의 승장도어구동지령을 입력받는 구동지령입력부(21)와; 각 층에 설치된 위치스위치(SW1-SW6)로부터 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는 위치신호입력부와(22); 상기 구동지령입력부(21)와 상기 위치신호입력부(22)의 출력신호에 따라 승장도어 개폐를 위한 모터제어신호를 해당 승장도어용 모터(24)에 인가하는 모터제어부(23)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엘리베이터가 주행하여 목적층에 도착하면 제어반(10)은 카도어 및 승장도어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한다.
이에따라 구동지령입력부(21)는 상기 제어반(10)으로부터의 도어구동지령을 입력받아 모터제어부(23)에 전달한다.
이때, 각 층에 설치되어있는 위치스위치(SW1-SW6)가 도어위치신호를 출력하면 위치신호입력부(22)는 이를 입력받아 역시 모터제어부(23)에 인가한다.
이에따라 상기 모터제어부(23)는 상기 구동지령입력부(21)와 상기 위치신호입력부(22)의 위치신호에 따라 승장도어의 문열림 또는 문닫힘을 위한 모터제어신호를 해당 승장도어용 모터(24)에 인가한다.
이로인해 승장도어는 개폐된다.
한편, 제어반(10)에는 정지층 판별회로가 구비되어 있어 엘리베이터가 정지한 층의 승장도어제어부(20)에만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제어부(23)는 위치신호에 따라 승장도어용 모터(24)의 속도를 제어하는데, 문열림 동작시에는 승장도어가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은 속도곡선으로 회전하는 승장용 모터의 구동에 응동하여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로인해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이 열림위치스위치(SW4-SW6)를 순차적으로 동작 시키면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1차감속, 2차감속, 정지의 순서로 승장도어용 모터(24)의 속도를 제어 한다.
반대로 문닫힘 동작시에는 승장도어가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은 속도곡선으로 회전하는 승장도어용 모터(24)의 구동에 응동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인해 캠이 닫힘위치스위치(SW1-SW3)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감속, 2차감속, 정치의 순서로 승장도어용 모터(24)의 속도를 제어하는 동작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의 장치는 각 층마다 승장도어제어부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제어반과 각 층 승장도어제어부 사이에 신호선이 많아지게 되어 배선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승장도어제어부로 각 층에 설치된 도어구동용 모터를 제어하는데 적당 하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승장도어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승장도어와 위치스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
도 3은 문열림시의 위치스위치(SW4-SW6)와 도어속도를 나타낸 도.
도 4는 문닫힘시의 위치스위치(SW1-SW3)와 도어속도를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상세 회로도.
도 7은 선택이상신호의 판별 동작 흐름도.
도 8은 승장도어의 문열림 및 문닫힘시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반 200 : 승장도어제어부
210 : 구동지령입력부 220 : 모터제어부
230 : 위치신호입력부 240 : 문열림층선택부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장치는 카의 운전과 카도어 제어 및 승장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선택이상신호가 입력되면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하지 않는 등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의 승장도어구동지령에 따라 승장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해당 층 승장도어용 모터를 제어하는 승장도어제어수단으로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의 운전과 카도어 제어 및 승장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선택이상신호가 입력되면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하지 않는 등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100)과; 상기 제어반(100)의 승장도어구동지령에 따라 승장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해당 층 승장도어용 모터를 제어하는 승장도어제어부(200)로 구성한다.
상기 승장도어제어부(200)는 상기 제어반(100)의 승장도어구동지령을 입력받는 구동지령입력부(210)와; 상기 구동지령입력부(210)의 도어구동지령과 위치신호에 따라 해당 승장도어의 개폐를 위한 모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터제어부(220)와;
각 층에 설치된 위치스위치(SW1-SW6)로부터 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모터제어부(220)에 전달하는 위치신호입력부(230)와; 상기 제어반(100)의 승장도어구동지령에 따라 구동하여 해당 층을 선택하는 층선택용 릴레이(PS1-PST)를 통해 해당 층을 선택하고, 상기 모터제어부(220)의 제어신호를 해당 승장용 모터에 인가함과 아울러 층선택용 릴레이(PS1-PST)에 이상이발생하면 이를 상기 제어반(100)에 인가하는 문열림층선택부(240)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첨부한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가 주행하여 목적층(예:1층)에 도착하면 제어반(100)은 먼저, 선택이상신호(PSR)를 체크하여 이상이 없으면 해당 승장도어(1층)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한다.
상기 도어구동지령은 구동지령입력부(210)를 통해 모터제어부(220)에 인가된다. 이에따라 모터제어부(220)는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모터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문열림층선택부(240)는 상기 제어반(100)으로부터의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해당 층선택용 릴레이(PS1-PST)가 구동한다.
이로인해 정지층신호가 판별되는데, 이에따라 상기 모터제어부(220)의 모터제어신호를 해당 층(1층) 즉, 엘리베이터가 정지한 층의 승장도어용 모터에만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위치신호입력부(230)는 각 층에 설치된 위치스위치(SW1-SW6)로부터 도어의 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모터제어부(220)에 인가한다.
이에따라 상기 모터제어부(220)는 상기 위치신호입력부(230)의 위치신호에 따라 해당 층에 적합한 모터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해당 승장도어용 모터가 구동하여 승장도어가 개폐된다.
상기 동작을 문열림층선택부(240)와 위치스위치판별부를 중심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가 주행하여 최하층(예:1층)에 도착한 경우 제어반(100)은 먼저, 선택이상신호(PSR)를 체크하는데, 도착당시에는 층선택용 릴레이(PS1-PST)가 모두 구동되지 않으므로 전원단자와 선택이상신호단자(PSR) 사이에 연결된 그 층선택용 릴레이(PSI-PST)의 a접점이(PS1a-PSTa) 모두 오프상태가 되어 선택이상신호(PSR)는 'L'신호이다.
이와같이 선택이상신호(PSR)가 'L'신호이면 정상인것으로 판단하여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하는데, 이는 도6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지령입력부(210)를 통해 모터제어부(220)에 인가된다.
이와동시에 엘리베이터가 최하층에 도작했으므로 문열림층선택부(240)에 1층 도착신호인 'H'신호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1층선택용 릴레이(PS1)가 구동되고 그의 a접점(PS1a)이 온되어 최하층 승장도어용 모터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최하층 승장도어만 문이 열린다.
즉, 하나의 모터제어부(220)로 다수개의 승장도어용 모터를 안전하고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층의 위치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하나의 포트를 통해 위치신호입력부(230)에 연결하고, 각 층의 위치스위치(SW1-SW6)를 병렬로 연결하되, 각 위치스위치(SW1-SW6)의 일측단자와 DC48V 전원단자 사이에 해당 층선택용 릴레이(PS1-PST)의 a접점(PS1a-PSTa)을 연결한다.
이와같이 하면 해당 층선택용 릴레이(PS1-PST)가 온될 때 해당 층 위치스위치(SW1-SW6)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해당 위치스위치(SW1-SW6)에서만 위치신호가 출력 된다.
이와같이 위치신호가 발생되면 위치신호입력부(230)는 이를 소정전압으로 다운하여 모터제어부(220)에 인가한다.
이에따라 상기 모터제어부(220)는 입력된 위치신호에 따라 각 층의 상태에 적합한 속도제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모터제어부(220)는 종래 동작설명에서 기술한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은 동작을 통해 모터제어신호를 출력 한다.
한편, 문열림층선택부(240)가 고장나면 선택이상신호(PSR)가 발생되어 상기 제어반(100)에 인가되는데, 이에따라 제어반(100)은 도어구동지령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예를 들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층 승장도어용 모터의 전원을 차단, 투입하는 층선택용 릴레이(예:1층=PS1, 2층=PS2 ~ 최상층=PST)의 a접점(PS1a-PSTa)중 a접점(PS2a)이 융착되는 고장이 발생 한 경우를 설명한다.
엘리베이터가 1층에 도착한 상태에서, 제어반(100)은 선택이상신호(PSR)를 체크하는데, a접점(PS2a)이 융착되어 있으므로 선택이상신호(PSR)는 'H'신호이다.
이와같이 선택이상신호(PSR)가 'H'인 상태에서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하면 1층 승장도어와 2층 승장도어가 동시에 열리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이상신호(PSR)가 'H'이면 제어반(100)은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승장도어제어부로 각 층의 승장도어용 모터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설치배선이 간단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며,
엘리베이터가 정지한 층만을 선택하여 도어구동지령을 인가할 수 있고, 층선택용 릴레이의 이상이 발생하면 도어구동지령의 출력을 정지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해당 층의 위치신호만을 입력받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카의 운전과 카도어 제어 및 승장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선택이상신호가 입력되면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하지 않는 등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의 승장도어구동지령 승장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해당 층 승장도어용 모터를 입력받는 구동지령입력수단과; 상기 구동지령입력수단의 도어구동지령과 위치신호에 따라 해당 승장도어의 개폐를 위한 모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터제어수단과; 각 층에 설치된 위치스위치로부터 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모터제어수단에 전달하는 위치신호입력수단과; 상기 제어반의 승장도어구동지령에 따라 구동하는 다수개의 층선택용 릴레이로 이루어져 그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해당 층을 선택하고, 상기 모터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해당 승장용 모터에만 인가함과 아울러 층선택용 릴레이에 이상이발생하면 이를 상기 제어반에 인가하는 문열림층선택수단으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원단자와 상기 선택이상신호단자 사이에 상기 층선택용 릴레이의 a접점을 연결하여 층선택용 릴레이 이상여부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포트를 통해 상기 위치신호입력수단과 각 층 위치스위치를 연결하고, 전원단자와 각 층 위치스위치 사이에 상기 층선택용 릴레이의 a접점을 연결하여 해당 층의 위치스위치의 위치신호만이 위치신호입력수단에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KR1019970039685A 1997-08-20 1997-08-20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KR100240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685A KR100240961B1 (ko) 1997-08-20 1997-08-20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685A KR100240961B1 (ko) 1997-08-20 1997-08-20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955A KR19990016955A (ko) 1999-03-15
KR100240961B1 true KR100240961B1 (ko) 2000-01-15

Family

ID=19517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685A KR100240961B1 (ko) 1997-08-20 1997-08-20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9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955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2158A (en) Elevator system having microprocessor-based door operator
US8292038B2 (en)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two elevator cars in a single hoistway
CA1261085A (en) Hydraulic elevator having microprocessor-based, distributed control system
CA2429477A1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several self-propelled cars and at least three elevator hoistways situated adjacently
KR20040094348A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4341288A (en) Elevator system
KR100240961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US447313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vator
CN112978524A (zh) 电梯功能安全控制系统
CA1295060C (en) Elevator system having microprocessor-based door operator
KR100240962B1 (ko) 엘리베이터 상하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US20080091278A1 (en) Freight elevator door control utilizing serial communication
US6481533B1 (en) Single inverter controller for elevator hoist and door motors
CN111819145B (zh) 电梯
JPH1179577A (ja) 油圧エレベータのためのリミットスイッチ装置
US70631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canning an elevator entry way
JP3324932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EP1154948B1 (en) Inverter controller for elevator hoist and door motors
WO2022208858A1 (ja) 伝送システム
KR950002132B1 (ko) 주차빌딩 관리 제어회로
JPH08231136A (ja) エレベータカゴ内ファン自動運転装置
CN113165843B (zh) 用于电梯设备的门控制系统
JP4326057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S6149232B2 (ko)
SU134285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 включением привода движени кабины лиф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