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962B1 - 엘리베이터 상하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상하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962B1
KR100240962B1 KR1019970040612A KR19970040612A KR100240962B1 KR 100240962 B1 KR100240962 B1 KR 100240962B1 KR 1019970040612 A KR1019970040612 A KR 1019970040612A KR 19970040612 A KR19970040612 A KR 19970040612A KR 100240962 B1 KR100240962 B1 KR 100240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osition signal
boarding
control
c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617A (ko
Inventor
안준선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40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962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도어위치신호 또는 승장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등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과; 카도어위치신호와 승장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그 차이에 따라 승장도어의 속도를 제어하는 승장도어제어부와; 카도어위치신호와 승장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그 차이에 따라 카도어의 속도를 제어하는 카도어제어부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카도어제어부 또는 승장도어제어부에서 카도어위치신호 및 승장도어위치신호를 모두 입력받아 그 두 신호의 차이에 따라 승장도어 또는 카도어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카도어 및 승장도어간의 속도편차를 줄일 수 있어, 화물이나 승객이 카도어에 끼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LIFTABLE DOOR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도어 제어장치와 승장도어 제어장치가 분리된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에 있어서, 승장도어와 카도어의 구동장치가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기술방식이 가지는 카도어와 승장도어간의 속도의 불균형을 보정하는데 적당 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장치의 동작상 분류는 도어가 좌우로 움직이는 좌우개폐식(side sliding)방식과 도어가 상하로 움직이는 상하개폐식(up sliding)방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상기의 좌우개폐식 구동방식은 주로 주거용, 상업용 건물의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고, 상하개폐식 구동방식은 화물용, 자동차용 엘리베이터에 적용된다.
상기 구동방식의 기술 구성상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좌우개폐식은 케이지에 설치된 카도어제어장치가 제어반의 도어구동지령에 의해 카도어를 구동하면 이에 기계적으로 연동된 승장도어가 구동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하개폐식은 카도어제어장치는 케이지에 설치하고, 각층 승장도어제어장치는 각 층 엘리베이터 출입구에 각각 설치한다. 따라서 제어반으로 부터 도어구동지령이 인가되면 카도어제어장치와 각 층 승장도어제어장치가 각 기 해당 도어를 제어한다.
이러한 상하개폐식 도어 제어장치는 승장도어와 카도어간에 성치상태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서 승장도어와 카도어의 속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만일 이러한 속도의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승객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심지어 화물이나 승객이 승장도어나 카도어에 끼는 등의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도1은 종래 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의 운전과 카도어 제어 및 승장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등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10)과; 각 층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반(10)의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승장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다수의 승장도어제어부(20)로 구성한다.
상기 승장도어제어부(20)는 상기 제어반(10)의 도어구동지령을 입력받는 구동지령입력부(21)와; 각 층에 설치된 위치스위치(SW1-SW6)로부터 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는 위치신호입력부(22)와; 상기 구동지령입력부(21)와 상기 위치신호입력부(22)의 출력신호에 따라 승장도어 개폐를 위한 모터제어신호를 해당 승장도어용 모터(24)에 인가하는 모터제어부(23)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엘리베이터가 주행하여 목적층에 도착하면 제어반(10)은 카도어 및 승장도어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한다.
이에따라 구동지령입력부(21)는 상기 제어반(10)으로부터의 도어구동지령을 입력받아 모터제어부(23)에 전달한다.
이때,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스위치(SW1-SW6)가 도어위치신호를 출력하면 위치신호입력부(22)는 이를 입력받아 역시 모터제어부(23)에 인가한다.
이에따라 상기 모터제어부(23)는 상기 구동지령입력부(21)와 상기 위치신호입력부(22)의 위치신호에 따라 승장도어의 문열림 또는 문닫힘을 위한 모터제어신호를 해당 승장도어용 모터(24)에 인가한다.
이로인해 승장도어는 개폐된다.
한편, 제어반(10)에는 정지층 판별회로가 구비되어 있어 엘리베이터가 정지한 층의 승장도어제어부(20)에만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제어부(23)는 위치신호에 따라 승장도어용 모터(24)의 속도를 제어하는데, 문열림 동작시에는 승장도어가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은 속도곡선으로 회전하는 승장용 모터의 구동에 응동하여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로인해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이 열림위치스위치(SW4-SW6)를 순차적으로 동작 시키면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1차감속, 2차감속, 정지의 순서로 승장도어용 모터(24)의 속도를 제어 한다.
반대로 문닫힘 동작시에는 승장도어가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은 속도곡선으로 회전하는 승장도어용 모터(24)의 구동에 응동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인해 캠이 닫힘위치스위치(SW1-SW3)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감속, 2차감속, 정지의 순서로 승장도어용 모터(24)의 속도를 제어하는 동작을 한다.
도5는 종래 다른 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의 운전과 카도어 제어 및 승장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선택이상신호가 입력되면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하지 않는 등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30)과; 상기 제어반(30)의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승장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해당 층 승장도어용 모터를 제어하는 승장도어제어부(40)로 구성한다.
상기 승장도어제어부(40)는 상기 제어반(30)의 도어구동지령을 입력받는 구동지령입력부(41)와; 상기 구동지령입력부(41)의 도어구동지령과 위치신호에 따라 해당 승장도어의 개폐를 위한 모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터제어부(42)와; 각 층에 설치된 위치스위치(SW1-SW6)로부터 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모터제어부(42)에 전달하는 위치신호입력부(43)와; 상기 제어반(30)의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구동하여 해당 층을 선택하는 층선택용 릴레이(PS1-PST)를 통해 해당 층을 선택하고, 상기 모터제어부(42)의 제어신호를 해당 승장용 모터에 인가함과 아울러 층선택용 릴레이(PS1-PST)에 이상이발생하면 이를 상기 제어반(30)에 인가하는 문열림층선택부(44)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종래 다른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가 주행하여 목적층(예:1층)에 도착하면 제어반(30)은 먼저, 선택이상신호(PSR)를 체크하여 이상이 없으면 해당 승장도어(1층)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한다.
상기 도어구동지령은 구동지령입력부(41)를 통해 모터제어부(42)에 인가된다. 이에따라 모터제어부(42)는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모터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문열림층선택부(44)는 상기 제어반(30)으로부터의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해당 층선택용 릴레이(PS1-PST)가 구동한다.
이로인해 정지층신호가 판별되는데, 이에따라 상기 모터제어부(42)의 모터제어신호를 해당 층(1층) 즉, 엘리베이터가 정지한 층의 승장도어용 모터에만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위치신호입력부(43)는 각 층에 설치된 위치스위치(SW1-SW6)로부터 도어의 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모터제어부(42)에 인가한다.
이에따라 상기 모터제어부(42)는 상기 위치신호입력부(43)의 위치신호에 따라 해당 층에 적합한 모터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해당 승장도어용 모터가 구동하여 승장도어가 개폐된다.
상기 동작을 문열림층선택부(44)와 위치스위치판별부를 중심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가 주행하여 최하층(예:1층)에 도착한 경우 제어반(30)은 먼저, 선택이상신호(PSR)를 체크하는데, 도착당시에는 층선택용 릴레이(PS1-PST) 모두가 오프상태에 있으므로 전원단자와 선택이상신호단자(PSR) 사이에 연결된 상기 층선택용 릴레이(PS1-PST)의 A접점이 모두 오프상태가 되어 선택이상신호(PSR)는 'L'신호이다.
이와같이 선택이상신호(PSR)가 'L'신호이면 정상인것으로 판단하여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하는데, 이는 도6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지령입력부(41)를 통해 모터제어부(42)에 인가된다.
이와동시에 엘리베이터가 최하층에 도작했으므로 문열림층선택부(44)에 1층 도착신호인 'H'신호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1층 선택용 릴레이(PS1)가 구동되고 이에 부속된 A접점(PS1)이 온되어 최하층인 1층의 승장도어용 모터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최하층 승장도어만 문이 열린다.
즉, 하나의 모터제어부(42)로 다수개의 승장도어용 모터를 안전하고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층의 위치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하나의 포트를 통해 위치신호입력부(43)에 연결하고, 각 층의 위치스위치(SW1-SW6)를 병렬로 연결하되, 각 스위치의 일측단자와 DC48V 전원단자 사이에 해당 층 릴레이의 A접점을 연결한다.
이와같이 하면 해당 층 릴레이가 온될 때 해당 층 위치스위치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해당 위치스위치에서만 위치신호가 출력 된다.
이와같이 위치신호가 발생되면 위치신호입력부(43)는 이를 소정전압으로 다운하여 모터제어부(42)에 인가한다.
이에따라 상기 모터제어부(42)는 입력된 위치신호에 따라 각 층의 상태에 적합한 속도제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모터제어부(42)는 상기에 기술한바와 같이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은 동작을 통해 모터제어신호를 출력 한다.
한편, 문열림층선택부(44)가 고장나면 선택이상신호(PSR)가 발생되어 상기 제어반(30)에 인가되는데, 이에따라 제어반(30)은 도어구동지령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예를 들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층 승장도어용 모터의 전원을 차단, 투입하는 릴레이(예:1층=PS1, 2층=PS2 ~ 최상층=PST) 중 릴레이(PS2)가 융착되는 고장이 발생 한 경우를 설명한다.
엘리베이터가 1층에 도착한 상태에서, 제어반(30)은 선택이상신호(PSR)를 체크하는데, 릴레이(PS2)가 융착되어 있으므로 선택이상신호(PSR)는 'H'신호이다.
이와같이 선택이상신호(PSR)가 'H'인 상태에서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하면 1층 승장도어와 2층 승장도어가 동시에 열리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이상신호(PSR)가 'H'이면 제어반(30)은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의 장치는 승장도어와 카도어의 속도제어를 각기 별도의 제어부에서 제어하기 때문에 설치 상태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서 승장도어와 카도어의 움직임에 있어서, 속도의 편차가 발생할 소지가 있으며, 이로인해 화물이나 승객이 카도어에 끼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카도어제어부 또는 승장도어제어부에서 카도어위치신호와 승장도어위치신호를 모두 입력받아 이를 비교하여 그에따라 속도를 보정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도어와 승장도어간의 속도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도어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승장도어와 위치스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
도 3은 문열림시의 위치스위치(SW4-SW6)와 도어속도를 나타낸 도.
도 4는 문닫힘시의 위치스위치(SW1-SW3)와 도어속도를 나타낸 도.
도 5는 종래 다른 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도5의 상세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시도.
도 8은 카위치스위치의 동작 설명도.
도 9는 승장스위치의 동작 설명도.
도10은 승장도어 속도보정시의 승장위치스위치의 속도 그래프.
도11는 승장도어 속도보정시의 동작 흐름도.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300 : 제어반 200,400 : 승장도어제어부
210,410 : 구동지령입력부 220,430 : 승장도어위치신호입력부
230,420 : 카도어위치신호입력부 240,440 : 모터제어부
450 : 문열림층선택부 500 : 카도어 제어부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는 카도어위치스위치로부터 카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달하는 등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의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승장도어용 모터를 제어하되, 승장도어위치스위치로부터의 승장도어위치신호와 상기 제어반으로부터의 카도어위치신호를 비교수단에 의해 비교하여 그에따라 승장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다수개의 승장도어제어부로 구성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는 승장도어위치스위치로부터 승장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달하는 등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의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카도어용 모터를 제어하되, 카도어위치스위치로부터의 카도어위치신호와 상기 제어반으로부터의 승장도어위치신호를 비교수단에 의해 비교하여 그에따라 카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카도어제어부로 구성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는 카도어위치스위치로부터 카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달하고 선택이상신호가 입력되면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하지 않는 등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의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승장도어용 모터를 제어하되, 승장도어위치스위치로부터의 승장도어위치신호와 상기 제어반으로부터의 카도어위치신호를 비교수단에 의해 비교하여 그에따라 승장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층선택용릴레이에 이상이 발생하면 선택이상신호를 상기 제어반에 인가하는 승장도어제어부로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도어위치스위치(SW1-SW10)로부터 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달하는 등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100)과; 각 층에 설치된 해당 승장도어위치스위치(SWA-SWJ)로부터의 승장도어위치신호와 상기 제어반(100)으로부터의 카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비교하여 그에따라 승장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다수 개의 각층 승장도어제어부(200)와; 상기 카도어 위치 스위치(SW1-SW10)로 부터의 카도어 위치신호와 상기 제어반(100)으로 부터의 도어구동지령을 입력받아 카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카도어 제어부(500)로 구성한다.
상기 승장도어제어부(200)는 상기 제어반(100)의 도어구동지령을 입력받는 구동지령입력부(210)와; 각 층에 설치된 승장도어위치스위치(SWA-SWJ)로부터 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는 승장도어위치신호입력부(220)와; 상기 제어반(100)으로부터 카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는 카도어위치신호입력부(230)와; 상기 구동지령입력부(210)와 상기 승장도어위치신호입력부(220) 및 카도어위치신호입력부(2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승장도어 개폐를 위한 모터제어신호를 해당 승장도어용 모터에 인가하는 모터제어부(2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카도어 제어부(500)는 상기 제어반(100)의 도어구동지령을 받는 구동지령 입력부(510)와, 카도어 위치 스위치(SW1-SW10)로부터 카도어 위치신호를 입력받는 카도어 위치 신호 입력부(520)와, 상기 구동지령입력부(510) 및 카도어 스위치 신호 입력부(520)의 출력신호에 따라 카도어 개폐를 위한 모터 제어신호를 카도어용 모터에 인가하는 모터 제어부(530)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첨부한 도8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엘리베이터가 목적층에 정지하면 제어반(100)은 카도어제어부(500) 및 승장도어제어부(200)에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반(100)은 카위치스위치(SW1-SW10)로부터의 카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승장도어제어부(200)에 전달한다.
이에따라 상기 승장도어제어부(200)는 구동지령입력부(210)를 통해 상기 제어반(100)의 도어구동지령을 입력받고, 카도어위치신호입력부(230)를 통해서는 상기 제어반(100)의 카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으며, 승장도어위치신호입력부(220)를 통해서는 해당 승장도어위치스위치(SWA-SWJ)로부터 승장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모터제어부(240)는 상기 구동지령입력부(210)의 구동지령에 따라 승장도어를 제어하는데, 상기 카도어위치신호입력부(230)의 카도어위치신호와 상기 승장도어위치신호입력부(220)의 승장도어위치신호를 비교하여 그에따라 승장도어구동용 모터의 속도를 제어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어가 구동되면 도어의 측면에 장착된 캠이 카도어 위치스위치(SW1-SW10)와 승장도어 위치스위치(SWA-SWJ)를 차례로 동작시키면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승장도어의 위치신호는 승장도어제어부(200)의 승장도어위치신호입력부(220)에 입력되며, 카도어위치신호는 카도어 제어부(500)의 카도어 위치 신호 입력부(520)에 입력됨과 아울러 제어반(100)을 통해 승장도어제어부(200)의 카도어위치신호입력부(230)에 입력된다.
상기 카도어위치신호입력부(230)와 상기 승장도어위치신호입력부(220)는 입력받은 각 위치신호를 모터제어부(240)에 인가한다.
이에따라 상기 모터제어부(240)는 입력된 카도어위치신호와 승장도어위치신호를 비교하여 위치스위치의 동작시점이 소정치 이상으로 차이가 날 경우 승장도어의 속도를 보정하여 조정한다.
예를들어 구동지령이 열림지령일 경우, 승장도어의 스위치는 SWA,SWB,SWC ...의 순서로 전폐시 SWJ까지 동작하며, 카도어의 스위치는 SW1,SW2,SW3,...의 순서로 전폐시 SW10까지 동작한다.
이때, 카도어와 승장도어가 기계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운행할 경우에는 SW1동작시 SWA가 동작하고, SW2일 때 SWB가 동작하는 방식으로 SW10와 SWJ까지 동작한다.
즉, 승장도어와 카도어가 운행하는데 있어서 속도의 차이가 없다.
그러나 만일 두 도어의 속도에 차이가 난다면 모터제어부(240)는 승장도어의 속도를 보정하여 제어한다.
예를들어 도10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도어위치스위치(SW6)가 동작 한 후에, 위치스위치(SW5)가 동작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보다 승장도어위치스위치(SWF)가 동작 한 후 승장도어위치스위치(SWE)가 동작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많으면 승장도어의 속도를 빠르게 하여 카도어와 승장도어간의 속도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승장도어제어부(200)는 승장도어만을 제어하고, 카도어제어부(500)에서 카도어위치신호와 승장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카도어의 속도를 제어할 수 도 있는데, 이와같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제어반(100)에서 승장도어위치스위치로부터 승장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카도어제어부(500)에 전달해 주도록 구성 한다.
한편,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도어위치스위치(SW1-SW10)로부터 카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달하고 선택이상신호가 입력되면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하지 않는 등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300)과; 상기 제어반(300)의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승장도어용 모터를 제어하되, 카도어위치신호 및 승장도어위치스위치(SWA-SWJ)로부터의 승장도어위치신호를 비교하여 그에따라 승장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승장도어제어부(400)와; 상기 카도어 위치 스위치로부터의 카도어 위치신호와 상기 제어반(300)으로 부터의 도어구동지령을 입력받아 카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카도어 제어부(500)로 구성한다.
상기 승장도어제어부(400)는 상기 제어반(300)의 도어구동지령을 입력받는 구동지령입력부(410)와; 상기 제어반(300)의 카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는 카도어위치신호입력부(420)와; 각 층에 설치된 승장도어 위치스위치(SWA-SWJ)로부터 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는 승장도어위치신호입력부(430)와; 상기 구동지령입력부(410)의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되, 상기 카도어위치신호와 상기 승장도어위치신호를 비교하여 그에 따라 속도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440)와; 상기 제어반(300)의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구동하여 해당 층을 선택하는 층선택용 릴레이(PS1-PST)를 통해 해당 층을 선택하고, 상기 모터제어부(440)의 제어신호를 해당 승장용 모터에 인가함과 아울러 층선택용 릴레이(PS1-PST)에 이상이발생하면 이를 상기 제어반(300)에 선택이상신호를 인가하는 문열림층선택부(450)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카도어제어부(500)는 상기 도7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구동지령입력부(510), 카도어 위치신호 입력부(520) 및 모터 제어부(530)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첨부한 도9 및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엘리베이터가 목적층에 정지하면 제어반(300)은 도어구동지령을 카도어제어부(500) 및 승장도어제어부(400)에 인가한다.
이때, 상기 제어반(300)은 카도어위치스위치(SW1-SW10)로부터 카도어위치신호도 입력받아 이를 승장도어제어부(400)에 인가한다.
이에따라 상기 카도어제어부(500)와 승장도어제어부(400)는 입력된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도어구동지령은 승장도어제어부(400)의 구동지령입력부(410) 및 문열림층선택부(450)에 인가되고, 카도어위치신호는 카도어위치신호입력부(420)에 인가된다.
그리고 승장도어위치신호입력부(430)는 해당 승장도어위치스위치로부터 승장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카도어위치신호와 승장도어위치신호는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같은 카도어위치스위치(SW1-SW10) 및 승장도어위치스위치(SWA-SWJ)의 동작에 의해 발생한다.
그러면 모터제어부(440)는 상기 구동지령입력부(410)의 구동지령에 따라 승장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데, 상기 일 실시예의 동작에 기술한 바와같이 상기 카도어위치신호와 상기 승장도어위치신호를 비교하여 그에 따라 승장도어용 모터의 속도를 제어한다.
한편, 문열림층선택부(450)는 상기 제어반(300)으로부터의 도어구동지령에서 해당 층을 선택하여, 상기 모터제어부(440)의 제어신호를 그 선택된 해당 승장도어용 모터에 인가한다.
이때, 층선택용릴레이(PS1-PST)에 이상이 발생하여 층선택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문열림층선택부(450)는 선택이상신호를 상기 제어반(300)에 인가한다.
이에따라 상기 제어반(300)은 도어구동지령의 발생을 정지한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는 도13에 도시한 바와같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카도어제어부 또는 승장도어제어부에서 카도어위치신호와 승장도어위치신호를 모두 입력받아 이를 비교하여 해당 도어의 속도를 보정하여 제어함으로써 카도어와 승장도어의 속도편차를 줄일 수 있어 화물이나 승객이 카도어에 끼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카도어위치스위치로부터 카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달하는 등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의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승장도어용 모터를 제어하되, 승장도어위치스위치로부터의 승장도어위치신호와 상기 제어반으로부터의 카도어위치신호를 비교수단에 의해 비교하여 그에따라 승장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다수개의 각층 승장도어제어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 카도어위치신호와 승장도어위치신호를 연동하여 입력받아 그 차이에 따라 승장도어의 속도를 제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 카도어위치신호와 승장도어위치신호를 분리해서 입력받아 각각의 위치스위치가 동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수하여 그 차이에 따라 승장도어의 속도를 제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4. 승장도어위치스위치로부터 승장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달하는 등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의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카도어용 모터를 제어하되, 카도어위치스위치로부터의 카도어위치신호와 상기 제어반으로부터의 승장도어위치신호를 비교수단에 의해 비교하여 그에따라 카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카도어제어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 카도어위치신호와 승장도어위치신호를 연동하여 입력받아 그 차이에 따라 카도어의 속도를 제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 카도어위치신호와 승장도어위치신호를 분리해서 입력받아 각각의 위치스위치가 동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수하여 그 차이에 따라 카도어의 속도를 제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7. 카도어위치스위치로부터 카도어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달하고 선택이상신호가 입력되면 도어구동지령을 출력하지 않는 등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의 도어구동지령에 따라 승장도어용 모터를 제어하되, 승장도어위치스위치로부터의 승장도어위치신호와 상기 제어반으로부터의 카도어위치신호를 비교수단에 의해 비교하여 그에따라 승장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층선택용릴레이에 이상이 발생하면 선택이상신호를 상기 제어반에 인가하는 승장도어제어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 카도어위치신호와 승장도어위치신호를 연동하여 입력받아 그 차이에 따라 승장도어의 속도를 제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 카도어위치신호와 승장도어위치신호를 분리해서 입력받아 각각의 위치스위치가 동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수하여 그 차이에 따라 승장도어의 속도를 제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상하 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KR1019970040612A 1997-08-25 1997-08-25 엘리베이터 상하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KR100240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612A KR100240962B1 (ko) 1997-08-25 1997-08-25 엘리베이터 상하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612A KR100240962B1 (ko) 1997-08-25 1997-08-25 엘리베이터 상하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617A KR19990017617A (ko) 1999-03-15
KR100240962B1 true KR100240962B1 (ko) 2000-01-15

Family

ID=19518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612A KR100240962B1 (ko) 1997-08-25 1997-08-25 엘리베이터 상하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9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617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4935B1 (en) Elevator apparatus
US8292038B2 (en)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two elevator cars in a single hoistway
JP5010094B2 (ja) 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US6223861B1 (en) Elevator hoistway access safety
CA2521704C (en) Inputting or adjusting reference positions in a door controller
US5719360A (en) Adjustable transfer floor
CA1191632A (en) Elevator system
KR100240962B1 (ko) 엘리베이터 상하개폐식 도어 제어장치
US5864103A (en) Limit switch apparatus for hydraulic elevators
KR100240961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CN112978524A (zh) 电梯功能安全控制系统
US7156210B2 (en) Freight elevator landing door control
CN100519383C (zh) 双层电梯控制装置
EP1775250B1 (en) Door device of elevator
US6481533B1 (en) Single inverter controller for elevator hoist and door motors
JP3324932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2001233553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9071180B (zh) 电梯设备
EP1154948B1 (en) Inverter controller for elevator hoist and door motors
JP502388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4487293A (en) Elevator/hatch controller platform leveling logic with safety features
KR930007065Y1 (ko) 엘리베이터 구출운전 선택회로
SU134285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 включением привода движени кабины лифта
GB2214488A (en) Lift control
CN116265365A (zh) 电梯保养运转控制装置以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