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607B1 - 실온에서 저장 안정성이 있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온에서 저장 안정성이 있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607B1
KR100240607B1 KR1019930001268A KR930001268A KR100240607B1 KR 100240607 B1 KR100240607 B1 KR 100240607B1 KR 1019930001268 A KR1019930001268 A KR 1019930001268A KR 930001268 A KR930001268 A KR 930001268A KR 100240607 B1 KR100240607 B1 KR 100240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group
isourea
room temperature
cyc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941A (ko
Inventor
쉐퍼 발터
페터 뮐러 한스
크로이더 한스-요아힘
보크 만프레드
로이터 크누트
Original Assignee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빌프리더 하이더
Publication of KR930017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ureide or urethane link, otherwise, than from isocyanate radical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온에서 저장 안정성이 있고, A) 1몰 당 2개 이상의 시클릭이소요소기를 갖는 화합물 1종 이상 및 B) 1몰 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 1종 이상을 카르복실기 1몰 당 0.5 내지 1.5몰의 이소요소기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온에서 저장 안정성이 있는 조성물
본 발명은 유기 폴리카르복실산과 함께 시클릭 이소요소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신규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용기속의 2성분계는 공지되어 있다. 이 계는 고온의 가교 반응에서 서로 끼리만 반응하는 2종의 별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래커 결합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따라서 실온에서 하나의 용기 속에 혼합 및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코팅 조성물로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는 유기 폴리히드록실 화합물과 차단시킨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혼합물이 있다. 이 계의 단점은, 코팅물이 가열될 때, 차단제가 변형되어 환경 속으로 방출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온에서 저장가능하고 차단제의 분해없이 고온에서 가교시킬 수 있는, 신규의 일 용기 속 2성분 코팅물 결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결합제의 각 성분들은 시클릭 이소요소 및 폴리카르복실산 중에서 선택되며, 이것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된다.
문헌[Chem, Ber. 100, (1967) 제16 내지 22페이지]에는 카르복실산과 이소요소의 반응이 실온에서 진행된다고 이미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이 실온에서 저장 안정성이 있을 것이라고는 기대할 수 없다.
일본국 특허 출원(공고 번호 91-157,421)에는 시클릭 이소요소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조성물에 대해 이미 기재되어 있지만, 이 조성물은 이소요소외에 폴리에폭시드, 및 카르복실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H-활성 화합물도 또한 함유하는 3성분 혼합물이다.
본 발명은 실온에서 저장 안정성이 있고, A) 1분자 당 2개 이상의 시클릭 이소요소기를 갖는 화합물 1종 이상 및 B) 1분자 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 1종 이상을 카르복실기 1몰 당 0.5 내지 1.5몰의 이소요소기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성분 A)는 1분자 당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시클릭 이소요소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이다. 이소요소의 당량(즉, 시클릭 이소요소 구조 단위 당 분자량)은 338 내지 2,000이 바람직하다. 시클릭 이소요소 구조 단위는 하기 일반식에 대응된다.
및(또는)
여기서, R은 수소원자, 1 내지 18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또는 페닐, 클로로메틸 또는 페녹시메틸기이다.
화합물 A)는 하기 일반식(Ⅲ)의 시클릭 이소요소 유도체를 부가 반응 또는 축합 반응시 아미노기에 대한 관능성 기를 갖는 다관능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Ⅲ)의 헤테로환식 아민은 공지되어 있으며(Chem. Rev. 71, 483(1971); Liebigs Ann. Chem. 442, 130), 시안아미드와 하기 일반식(Ⅳ)의 에폭시드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25℃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과량의 시안아미드를 사용하여, 수성 매질 중에서 수행된다.
아미노기를 갖고 상기 일반식(Ⅲ)에 대응하는 화합물로서 적당한 것으로는 2-아미노-4,5-디히드로옥사졸, 2-아미노-5-메틸-4,5-디히드로옥사졸, 2-아미노-5-에틸-4,5-디히드로옥사졸, 2-아미노-5-옥틸-4,5-디히드로옥사졸, 2-아미노-5-스테아릴-4,5-디히드로옥사졸, 2-아미노-5-페닐-4,5-디히드로옥사졸, 2-아미노-5-클로로메틸-4,5-디히드로옥사졸 또는 2-아미노-5- 페녹시메틸-4,5-디히드로옥사졸이 있다.
출발 성분 A)를 제조하기 위한 일반식(Ⅲ)의 헤테로시클릭 아민에 대한 반응물은
1.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것은 NCO/NH2당량비를 0.8 : 1 내지 1.2 : 1로 유지하면서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함);
2. 유기 폴리에폭시드(이것은 1급 아미노기 1당량에 대한 에폭시기의 비를 0.8 내지 1.2로 유지하면서 헤테로시클릭 아민과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함);
3. 메틸롤 또는 메톡시메틸기를 갖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또는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이것은 1급 아미노기 1몰에 대한 메틸롤 및 메톡시메틸기의 비를 0.8 내지 1.2로 유지하면서 헤테로시클릭 아민과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함); 및
4.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를 갖는 화합물(이것은 1급 아미노기 1당량에 대한 에스테르기의 비를 0.8 내지 1.2로 유지하면서 헤테로시클릭 아민과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을 함유한다.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우레탄 화학으로부터 널리 알려진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된다. 이의 예로는 테트라메틸렌 1,4-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 1,5-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1,6-디이소시아네이트, 2,2,4- 및 2,4,4-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 운데카메틸렌 1,11-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멜틸렌 1,12-디이소사아네이트, 1,2-디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부텐, 1,4-디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시클로헥실메탄, p- 및 m-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산, 1-메틸-2,6-디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산 및 1-이소시아네이토-3,3,5-트리메틸-5-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이 있다.
특히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1-이소시아네이토-3,3,5-트리메틸-5-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시클로헥산 1,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시클로헥실메탄, 2,4- 및 2,6-디이소시아네이토-1-메틸시클로헥산의 80 : 20 혼합물,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 및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1-이소시아네이토-3,3,5-트리메틸-5-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으로부터 제조되며, 옥사디아지네트리온기, 우레트디온기, 바이우레트기 및(또는)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다.
상기의 디-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진 않지만 적합한 기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2,4- 및(또는) 2,6-디이소시아네이토톨루엔, 2,4'- 및(또는)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 및 이러한 디이소시아네이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당량 미만의 유기 폴리히드록실 화합물로부터 제조된 NCO기 함유 전구 중합체는 생성된 화합물 A)가 요구되는 이소요소 당량을 갖는다면 보다 바람직하진 않지만 적합하다.
적합한 폴리에폭시드는, 폴리에폭시드와 상기 일반식(Ⅲ)의 헤테로시클릭 아민의 반응 생성물이 요구되는 이소요소 당량을 가질 경우 1분자 당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적합한 폴리에폭시드로는 예컨대, 알칼리의 존재 하에서 1몰 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에피클로로히드린, 글리세롤 디클로로히드린 또는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켜 제조한 폴리글리시딜 및 폴리(β-메틸글리시딜)에스테르가 있다. 이러한 폴리글리시딜 에스테르는 옥살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신산, 및 이합체화 또는 삼합체화된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족 폴리카르복신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4-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헥사히드로프탈산 및 4-메틸헥사히드로프탈산과 같은 시클로지방족 폴리카르복실산; 및 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과 같은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폴리에폭시드는 알칼리 조건 하에서나 또는 산 촉매의 존재 하에서 1분자 당 2개 이상의 유리 알코올성 히드록실기 및(또는)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을 적합한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킨 후에 알칼리로 처리하여 제조한 폴리글리시딜 및 폴리(β-메틸글리시딜) 에테르이다. 이러한 에테르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및 고분자량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프로판-1,2-디올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판-1,3-디올, 부탄-1,4-디올,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펜탄-1,5-디올, 헥산-1,6-디올, 헥산-2,4,6-트리올, 글리세롤, 1,1,1-트리메틸롤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및 소르비톨과 같은 아시클릭계 알코올; 시클로헥산-1,3- 및 1,4-디올, 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메탄, 2,2-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 및 1,1-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스-3-엔과 같은 시클로지방족 알코올; N,N-비스(2-히드록시에틸)-아닐린 및 p,p'-비스(2-히드록시메틸아미노)-디페닐메탄과 같은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알코올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폴리글리시딜 및 폴리(β-메틸글리시딜) 에테르는 레소르시놀 및 히드로퀴논과 같은 단핵 페놀;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4,4'-디히드록시바이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1,1,2,2,-테트라키스(4-히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및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과 같은 다핵 페놀; 및 알데히드(예컨대,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클로랄 및 푸르푸릴알데히드) 및 페놀(예컨대, 비치환 페놀, 및 염소 원자 또는 9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에 의해 고리 치환된 4-클로로페놀, 2-메틸페놀 및 4-tert-부틸페놀과 같은 페놀)로부터 제조된 노보락(novolak)으로부터 유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폴리에폭시드로는 예컨대, 에피클로로히드린과, 2개 이상의 아민 수소 원자를 갖는 아닐린, n-부틸아민, 비스(4-아미노페닐)-메탄, m-크실렌디아민 및 비스(4-메틸아미노페닐)-메탄과 같은 아민;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에틸렌요소 및 1,3-프로필렌요소와 같은 시클릭 알킬렌요소의 N,N'-디글리시딜 유도체; 및 5,5-디메틸히단토인과 같은 히단토인의 반응 생성물에서 염산을 제거하여 얻은 화합물이 있다.
바람직한 에폭시 수지는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폴리글리시딜 에스테르, N,N'-디글리시딜히단토인 및 방향족 아민의 폴리(N-글리시딜) 유도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수지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및 적어도 0.5당량/kg의 1,2-에폭시 함량을 가지며 포름알데히드와 페놀로부터 제조한 노보락으로부터 유도된 폴리글리시딜 에테르이다.
적합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또는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는, 상기 일반식(Ⅲ)의 헤테로시클릭 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이 요구되는 이소요소 당량을 가질 경우, 1분자 당 2개 이상의 메틸롤 및(또는) 메톡시메틸기를 갖는 포름알데히드와 멜라민 또는 요소의 축합 생성물로부터 선택된다.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를 갖는 적합한 화합물은, 상기 일반식(Ⅲ)의 헤테로시클릭 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이 요구되는 이소요소 당량을 가질 경우, 1분자 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며, 쉽게 휘발되는 지방족 알코올을 기재로 사용한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예컨대, 디메틸 옥살레이트, 디메틸 숙시네이트, 디메틸 푸마레이트, 이합체 지방산 디메틸 에스테르,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ε-카프로락톤 및 γ-부티로락톤이 있다.
반응 생성물 중의 이소요소기의 함량은 용매인 DMF 속에서 1N HCl로 적정하여 측정할 수 있다(브로모페놀 블루 지시약).
일반식(Ⅲ)의 헤테로시클릭 아민과 부가 또는 축합 반응을 할 수 있는 상기 반응물과의 반응은 공지된 방법으로, 적절하게는 부가 또는 축합 반응을 가속시키는 통상적인 촉매의 존재 하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성분 B)는 145 내지 20,000의 분자량, 1분자 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실기 및 적어도 28mg KOH/g의 산가를 갖는 유기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성분 B)로서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카르복실기를 갖는 공중합체이며, 올레핀성 불포화 카르복신산(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르산 및(또는) 말레산0과 다른 올레핀성 불포화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제조한다. 이러한 다른 올레핀성 불포화 단량체로는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iso-부틸, iso-옥틸 또는 iso-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알킬기에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알킬기에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히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러한 단량체들의 혼합물이 있다.
공중합체는 2,000 내지 15,000의 분자량(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Mn), 및 70 내지 160mg KOH/g의 산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B)로서 적합한 다른 화합물로는 예컨대, 개환 에스테르 형성 반응을 이용한 말레산 무수물 또는 프탈산 무수물과 같은 분자내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유기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이 있으며, 단 이 반응 생성물은 카르복실기 함량 및 카르복실 관능성에 있어서 상기에서 주어진 세부 사항에 대응해야 한다.
성분 B)로서 적합한 기타 화합물로는 예컨대, 아디프산, 세바신산, 프탈산, 헥사히드로프탈산, 이합체 또는 삼합체 지방산과 같은 단량체 폴리카르복실산 및 상기 언급된 폴리카르복신산의 임의 개의 혼합물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성분 A) 및 B)는 이소요기 1개 당 0.5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개의 카르복실기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이 혼합물은 용매 함유 코팅 조성물이나 또는 분말 코팅 조성물을 위한 열경화성 결합제로서 적합하며, 단 이 분말은 30℃에서는 고체이고 120℃이상에서는 액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기재로 하는 분말 코팅 조성물은 예컨대, 개개의 성분들을 함께 블렌딩시키고, 현저하게 가교 반응시키지 않고 가열함으로써 간단히 액체 상태로 전환시키고, 액상으로 철저하게 혼합한 후에 냉각시키고, 이후에 철저하게 혼합시킨 혼합물을 분말화하여 분말 코팅 조성물용 결합제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용매 함유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적합한 용매로는 예컨대, 톨루엔, 크실렌,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iso-부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및 이러한 용매들의 혼합물이 있다.
필요한 경우, 코팅 조성물에는 카르복실기와 이소요소기간의 가교 반응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적합한 촉매를 첨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촉매에는 유기 주석, 아연 또는 구리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메틸 p-톨루엔술폰산염 또는 p-톨루엔술폰산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이로부터 제조한 코팅 조성물에는 코팅 기술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보조제 및 첨가제 예컨대, 안료, 유동 조절제, 광 안정화제 등을 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코팅 기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5 내지 200㎛의 건막 두께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도포된다. 적합한 기판으로는 금속과 같은 내열성 기판, 내열성 플라스틱, 및 돌, 콘크리트 또는 유리와 같은 무기 기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코팅 조성물은 정전 분말 코팅법(EPC법)으로 도포시킬 수 있다.
코팅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1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80℃의 온도에서 경화된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모든 부 및 비율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중량으로 한다.
실시예 1 내지 7은 성분 A)로 적합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질소 분위기 하에서 2-아미노-5-메틸-4,5-디히드로옥사졸 331g(3.3몰)에 삼합체화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632.6g(3.3몰의 NCO)을 적가하고, 온도가 70℃를 넘지 않도록 조절하였다. 70℃에서 0.5시간 동안 반응 혼합물을 교반시킨 후에, 온도를 120℃로 올리고,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켜 두었다. 70 내지 80℃의 융점과 이소요소기 1몰 당 339g의 당량을 갖는 취성 생성물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2]
톨루엔 250ml 중의 2-아미노-5-에틸-4,5-디히드로옥사졸 100g(1.0몰)의 용액에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84g(0.5몰)을 적가하고, 온도가 35℃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하였다. 이어서, 반응 용액을 70℃에서 1시간 더 교반시키고, 계속하여 12밀리바아, 50℃에서 톨루엔을 제거하였다. 130℃의 융점을 갖는 생성물이 결정화되었다. 적정에 의해 측정한 결과, 생성물은 이소요소기 1몰 당 198g의 당량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3]
크실렌 500ml중의 2-아미노-5-메틸-4,5-디히드로옥사졸 200g(2몰)의 용액에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시클로헥실메탄 262g(1몰)을 적가하고, 온도가 70℃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12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결과 2상이 형성되었다. 이를 120℃, 1 내지 2밀리바아에서 농축시킨 결과, 170℃의 융점을 갖는 취성 생성물을 얻었다. 당량은 이소요소기 1몰 당 230g이었다.
[실시예 4]
2-아미노-5-메틸-4,5-디히드로옥사졸 100g(1.0몰)에 솔베소(Solvesso) 용매 33g에 용해시킨,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한 삼합체 280g(NCO 1.1몰)을 빙수로 냉각시키면서 적가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7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90 내지 120℃의 온도 및 0.5 내지 1밀리바아의 압력에 용매를 증류시킨 후에, 130 내지 150℃의 융점 및 이소요소기 1몰 당 610g의 당량을 갖는 취성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5]
크실렌 500ml 중의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에폭시드 당량=180) 180g의 용액에 2-아미노-5-메틸-4,5-디히드로옥사졸 200g(2.0몰)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20 내지 130℃에서 1시간 이상 가열하였다. 이를 1시간 동안 교반시킨후에, 상층의 크실렌 상을 기울여 따라 제거한 후에, 100 내지 120℃, 1 내지 2밀리바아에서 하층 상의 잔류 크실렌을 제거하였다. 이소요소기 1몰 당 295g의 당량을 갖는 매우 점성질 수지를 얻었다.
[실시예 6]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72g(메톡시메틸기 1.0몰)에 2-아미노-5-메틸-4,5-디히드로옥사졸 100g(1.0몰)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포름산 1ml의 존재 하에 125℃에서 0.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소요소기 1 몰 당 221g의 당량을 갖는 무색의 점성질 수지를 얻었다.
[실시예 7]
실온에서 2-아미노-5-메틸-4,5-디히드로옥사졸 300g(3.0몰)을-카프로락톤 343g(3.0몰)과 혼합한 후에, 12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70℃에서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시클로헥실메탄 150g(NCO기 1.1몰)에 디메틸포름아미드 250ml 중의 상기 부가 반응 생성물 250g(OH기 1.1몰)을 적가하였다. 온도를 110℃까지 상승시키고, IR스펙트럼에서 NCO띠가 더이상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교반시켰다.
[코팅재 1]
n-부틸 아세테이트 25g에 용해시킨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체 40g에 메톡시에탄올 23g에 용해시킨 실시예 1의 이소요소 10g을 첨가하였다. 상기 공중합체는 85.7mg KOH/g의 산가를 가지며, 48%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41%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11% 아크릴산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이 혼합물은 저장 안정성이 있고, 유리판 상에 블레이드(blade) 코팅시켜 155℃에서 30분간 가열하였을 때 광택이 있고 내아세톤성인 막을 제공하였다. 2주 후에, 이 혼합물을 또다시 유리판 상에 블레이드 코팅시켜 155℃에서 30분간 가열하였을 때 광택이 있고 내아세톤성인 막을 제공하였다.
[코팅재 2]
부틸 아세테이트 20g에 용해시킨, 코팅재 1에서 설명한 공중합체 30g에 메톡시에탄올 14g에 용해시킨 실시예 5의 이소요소 14g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은 저장 안정성이 있고, 유리판 상에 블레이드 코팅되어 155℃에서 30분간 가열될 때 광택이 있고 내아세톤성인 막을 제공하였다. 2주 후에, 이 혼합물을 또다시 유리판 상에 블레이드 코팅시켜 155℃에서 30분간 가열하였을 때 광택이 있고 내아세톤성인 막을 제공하였다.
[코팅재 3]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체 45g에 메톡시에탄올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1 : 3의 혼합물 100g에 용해시킨 실시예 3의 이소요소 23g을 첨가하였다. 이 공중합체는 123.9 KOH/g의 산가를 가지며, 17%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64% n-부틸 아크릴 레이트 및 19% 메타크릴산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이 혼합물을 120℃로 가열시키고,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유리판 상에 블레이드 코팅시켰다. 이를 155℃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에, 약간 무광택의 내아세톤성 막을 얻었다.
[코팅재 4]
디메틸포름아미드 50g에 용해시킨, 코팅재 3에서 설명한 공중합체 45g에 실시예 7의 이소요소 용액 59g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은 저장 안정성이 있고, 유리판 상에 블레이드 코팅시켜 155℃에서 30분간 가열하였을 때 광택이 있고 내아세톤성인 막을 제공하였다.
[코팅재 5]
디메틸포름아미드 25g에 용해시킨, 코팅재 3에서 설명한 공중합체 22g에 메톡시에탄올 10g에 용해시킨 실시예 6의 이소요소 10g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은 저장 안정성이 있고, 유리판 상에 블레이트 코팅시켜 155℃에서 30분간 가열하였을 때 광택이 있고 내아세톤성인 막을 제공하였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의 목적만을 위한 것이며, 당 업계의 숙련자들에 의해서는 첨부되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제한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각종의 변경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4)

  1. 실온에서 저장 안정성이 있고, A) 1분자 당 2개 이상의 시클릭 이소요소기를 갖는 화합물 1종 이상 및 B) 1분자 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 1종 이상을 카르복실기 1몰 당 0.5 내지 1.5몰의 이소요소기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시클릭 이소요소기가 하기 일반식에 대응하는 것인 조성물.
    및(또는)
    여기서, R은 수소 원자, 1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또는 페닐, 클로로메틸 또는 페녹시메틸기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성분 B)가 적어도 28mg KOH/g의 산가를 가지며 올레핀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다른 올레핀성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인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성분 B)가 적어도 28mg KOH/g의 산가를 가지며 올레핀성 불포화 카르복신산과 다른 올레핀성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인 조성물.
KR1019930001268A 1992-02-04 1993-01-30 실온에서 저장 안정성이 있는 조성물 KR100240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203085.4 1992-02-04
DE4203085A DE4203085A1 (de) 1992-02-04 1992-02-04 Bei raumtemperatur lagerfaehige gemische und ihre verwendung als bindemittel in beschichtungsmittel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941A KR930017941A (ko) 1993-09-20
KR100240607B1 true KR100240607B1 (ko) 2000-01-15

Family

ID=645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268A KR100240607B1 (ko) 1992-02-04 1993-01-30 실온에서 저장 안정성이 있는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292807A (ko)
EP (1) EP0554728B1 (ko)
JP (1) JPH06271667A (ko)
KR (1) KR100240607B1 (ko)
AT (1) ATE134199T1 (ko)
CA (1) CA2088522A1 (ko)
DE (2) DE4203085A1 (ko)
ES (1) ES208566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8549A (en) * 1997-01-07 1999-01-12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Hydroxyalkyl)urea crosslinking agents
US5840822A (en) * 1997-09-02 1998-11-24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Mono(hydroxyalkyl)urea and oxazolidone crosslinking agents
DE19807502B4 (de) 1998-02-21 2004-04-08 Basf Ag Verfahren zur Nachvernetzung von Hydrogelen mit 2-Oxazolidinonen, daraus hergestellte Hydrogele und deren Verwendung
DE19841542A1 (de) * 1998-09-11 2000-03-16 Degussa Feste oxazolinterminierte, urethangruppenhaltige Polyaddionsverbindungen,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DE19929602A1 (de) * 1999-06-28 2001-01-0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m wesentlichen Ameisensäure-freien N-Alkyl-N'-methylalkylen-harnstoff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9499A (en) * 1968-10-28 1972-09-05 Sidney H Metzger Jr Method for preparing iminooxazolidines from guanidines
US4069198A (en) * 1974-07-29 1978-01-17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Polyesters and polyester-urethanes stabilized with isoureas or isocyanate adducts thereof
JPS5938648B2 (ja) * 1974-11-15 1984-09-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ヘツド
US4262112A (en) * 1979-12-28 1981-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polycarbonates using cyclic isourea catalysts
US4410689A (en) * 1980-11-10 1983-10-18 The Upjohn Company Preparation of polyurethane from bis(cyclic urea) and polymeric polyol
US4652620A (en) * 1984-08-20 1987-03-24 Ashland Oil, Inc. Resinous molding compositions of a phenol, an oxazoline and an epoxy compound
JP2507615B2 (ja) * 1988-07-20 1996-06-12 帝人株式会社 ポリn―オキサゾリンの製造法
US5196531A (en) * 1988-07-20 1993-03-23 Teijin Limited Poly(N-cyclic iminoether),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thermosetting composition containing it and thermoset resin
JPH078901B2 (ja) * 1989-07-26 1995-02-01 帝人株式会社 熱硬化性組成物および硬化樹脂の製造方法
US4996281A (en) * 1989-09-29 1991-02-26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mers containing amide moietie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JP2961814B2 (ja) * 1990-05-23 1999-10-12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水性塗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203085A1 (de) 1993-08-05
CA2088522A1 (en) 1993-08-05
JPH06271667A (ja) 1994-09-27
US5292807A (en) 1994-03-08
EP0554728A2 (de) 1993-08-11
EP0554728B1 (de) 1996-02-14
DE59301612D1 (de) 1996-03-28
EP0554728A3 (en) 1993-09-29
ES2085660T3 (es) 1996-06-01
KR930017941A (ko) 1993-09-20
ATE134199T1 (de) 199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2333B2 (en) Powder coating of amino-urea or urethane catalyst and epoxy/hydroxy and/or siloxane resin
US6479151B2 (en) Aqueous two-component cross-linkable composition
US7390765B2 (en) Catalyst of reaction product of polyisocyanate and tertiary amino group-containing amine, alcohol or polyol
AU2001256268A1 (en) Aqueous two-component cross-linkable composition
US4020123A (en) Polyamine coating compositions
JPH02185511A (ja) 架橋触媒としてのイソシアネート変性したブロック化スルホン酸エステル
US4455426A (en) Tetrahydropyrimidine-isocyanate addition products
KR100240607B1 (ko) 실온에서 저장 안정성이 있는 조성물
CA2088130A1 (en) Carboxy-functional polyurethane and curable coating composition
US5324797A (en) Thermosetting resinous composition containing polyfunctional oxazolidinone terminated epoxy resins
EP0194756B1 (en) Polyamide resins
US4376844A (en) Hydrocurable ambient curing polyepoxide coating and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ing them
US4308356A (en) Hydrocurable ambient curing polyepoxide coating and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ing same
US4331793A (en) Hydrocurable ambient curing polyepoxide coating and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ing them
JP2003041183A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膜
EP0570077B1 (en) Curable compositions comprising glycidil ethers of hydroxyalkyl carbamates
JP2003026990A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膜
JPS5827827B2 (ja) 熱硬化性被覆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