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650B1 - 촉매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촉매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650B1
KR100239650B1 KR1019950069969A KR19950069969A KR100239650B1 KR 100239650 B1 KR100239650 B1 KR 100239650B1 KR 1019950069969 A KR1019950069969 A KR 1019950069969A KR 19950069969 A KR19950069969 A KR 19950069969A KR 100239650 B1 KR100239650 B1 KR 100239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region
frequency ratio
monitoring method
loa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291A (ko
Inventor
김충공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69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650B1/ko
Publication of KR97004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매 모니터링(Monitoring)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촉매모니터링 방법은 촉매 모니터링 시 촉매 주파수 샘플링 영역을 한 영역에서만 실시하여 촉매 주파수를 샘플링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의 촉매 모니터링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특정 영역에서 악화조건이 있을 경우, 그 영역에서만 촉매 주파수가 샘플링 되므로 인해 샘플링 된 촉매 주파수 비가 악화된 것으로 판단되어 앰아이엘이 점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촉매 주파수비가 샘플링 영역을 운전영역에 따라 저부하 영역, 중부하 영역, 고부하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하여 촉매 주파수비를 산출하므로서, 보다 정확하게 촉매 주파수비를 산출할 수 있게 되어 특정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촉매 주파수비를 샘플링하여 발생되는 MIL(앰아이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촉매 모니터링 방법이다.

Description

촉매 모니터링 방법
본 발명은 촉매 모니터링(Monitoring)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촉매 주파수비의 샘플링 영역을 운전영역에 따라 저부하 영역, 중부하 영역, 고부하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 가중치를 설정하여 촉매 주파수비를 산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촉매 주파수비를 산출할 구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특정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촉매 주파수비를 샘플링하여 발생되던 앰아이엘(MIL)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촉매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촉매 모니터링 방법은, 배기통로 내에서 촉매의 전후방에 각각 O2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각 O2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각 신호의 주파수를 샘플링한후, 이들 햄플링된 값에 의하여 촉매 주파수비를 산출하여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모니터링된 주파수비(촉매 주파수비라 함)에 따라 촉매의 열화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촉매 주파수비는, 후방 O2센서와 전방 O2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비율로서 정의되며, 촉매 주파수가 0 일 때를 이상적인 상태로 판단한다. 그리고, 촉매주파수가 0.9 이상일 때에는 촉매가 열화된 상태로 판단하고 이를 운전자에 알리기 위하여 앰아이엘(MIL : Malfunction Indicate Lamp)을 점등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촉매 모니터링 방법은, 임의의 운전영역에서 일정시간동안 샘플링하여 산출된 촉매 주파수비로서 촉매의 열화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촉매가 열화된 상태가 아닌데도, 일순간 특수한 환경에 처한 특정 부하영역에서 샘플링 된 신호에 의해 촉매의 주파수비가 높게 산출될 경우, 이를 촉매의 열화로 판정하고 앰아이엘을 점등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촉매 주파수비의 샘플링 영역을 운전영역에 따라 저부하 영역, 중부하 영역, 고부하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 가중치를 설정하여 촉매 주파수비를 산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촉매 주파수비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특정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촉매 주파수비를 샘플링하여 발생되던 앰아이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촉매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촉매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촉매 모니터링 방법은, 촉매의 열화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촉매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촉매 주파수비의 샘플링 영역을 운전영역에 따라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영역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며, 각 운전영역에서 가중치 횟수만큼의 주파수비를 샘플링 한 후, 샘플링된 주파수비의 평균값으로 촉매 주파수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3개로 나누어진 3개의 운전영역은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저부하 영역, 중부하 영역, 그리고 고부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명과 같은 본 발명의 촉매 모니터링 방법의 동작을 도면 제1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본 발명의 촉매 모니터링 방법에서 촉매 주파수 샘플링 영역이 저부하 영역(A)과 중부하 영역(B)과 고부하 영역(C)으로 나누어진 것과, 상기 나누어진 각 영역에 대한 촉매 주파수비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촉매 주파수비 모니터링 시,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하 영역(A)과 고부하 영역(C) 영역에서 촉매 주파수비가 높게 산출되고, 중부하 영역(B)에서 촉매 주파수비가 낮게 산출된다.
종래의 촉매 모니터링 방법에 의하면 저부하 영역(A)과 고부하 영역(C)에서 촉매 주파수가 샘플링될 경우, 운전상태에 따라 특수한 상황에서 촉매 주파수비가 높게 산출될 수 있으며, 이때 촉매가 열화되어 촉매 주파수비가 악화된 것으로 판단하고 앰아이엘을 점등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저부하 영역(A)과 중부하 영역(B)과 고부하 영역(C)마다 가중치를 설정하고, 각 부하영역(A)(B)(C)으로부터 각각 가중치에 해당되는 횟수만큼 촉매 주파수비를 샘플링한 후, 이들의 평균값으로 촉매 주파수비를 산출하여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특수한 환경에 의해 일순간동안 특정운전영역에서 촉매 주파수비가 높게 샘플링되더라도, 이를 촉매의 열화로 판단하여 앰아이엘을 점등시키게 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 부하영역(A)(B)(C)에 대한 가중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저부하 영역(A)에서는 촉매에 의한 배출공기 정화작용이 충분히 나타나지 않고, 고부하 영역(C)에서는 과도한 배출공기량에 의해 일부 배출공기가 정화되지 않으며, 중부하 영역(B)에서 촉매에 의한 정화작용이 가장 정확하게 나타남을 감안할 때, 저부하 영역(A):중부하 영역(B): 고부하 영역(C)의 가중치(샘플링 비율)를 1:9:4 정도의 비율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촉매 주파수비의 샘플링 영역을 운전영역에 따라 저부하 영역, 중부하 영역, 고부하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하며, 각 부하영역에서 가중치만큼의 횟수씩 샘플링한 후 그 평균값으로 촉매 주파수비를 산출하므로서, 보다 정확하게 촉매 주파수비를 산출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특정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촉매 주파수비를 샘플링함에 의하여 발생되던 앰아이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촉매의 열화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촉매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촉매 주파수비의 샘플링 영역을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저부하 영역, 중부하 영역 그리고 고부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영역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며, 각 영역에서 가중치 횟수만큼의 주파수비를 샘플링 한 후, 샘플링된 주파수비의 평균값으로 촉매 주파수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모니터링 방법.
KR1019950069969A 1995-12-30 1995-12-30 촉매 모니터링 방법 KR100239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9969A KR100239650B1 (ko) 1995-12-30 1995-12-30 촉매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9969A KR100239650B1 (ko) 1995-12-30 1995-12-30 촉매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291A KR970044291A (ko) 1997-07-26
KR100239650B1 true KR100239650B1 (ko) 2000-01-15

Family

ID=1944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9969A KR100239650B1 (ko) 1995-12-30 1995-12-30 촉매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6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701685A (ko) * 1990-08-28 1993-06-12 볼프강 마우스·지그프리트 나스 내연기관 배기 시스템내의 촉매 변환기의 촉매 활성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701685A (ko) * 1990-08-28 1993-06-12 볼프강 마우스·지그프리트 나스 내연기관 배기 시스템내의 촉매 변환기의 촉매 활성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291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8722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collision for air bag
KR960037453A (ko) 센서이상검출시스템
CA236391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tire air pressure
KR930021476A (ko) 센서오기능 검출방법 및 장치
KR970028273A (ko) 자동차의 촉매 상태 검출 방법
KR100239650B1 (ko) 촉매 모니터링 방법
KR970007006A (ko) 적합형 변속기
JPH08240444A (ja) 車両用表示装置
US5218544A (en) Constant-speed driving control device for motor vehicles
KR970040353A (ko)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의 공기 필터의 교환 경보장치
KR100279412B1 (ko) 엔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S601573A (ja) センサの異常検出回路
KR100369158B1 (ko) 전자 드로틀 제어 시스템의 오류 판정방법
KR970028510A (ko) 자동차 촉매컨버터의 정화성능 검출장치와 그 방법
KR100267330B1 (ko) 자동차의 차속 판단방법
KR100371984B1 (ko) 내연기관의 촉매열화 검출장치
GB2344003A (en) Vehicle braking warning system
JP3643212B2 (ja) 車両用電子装置の診断装置
SU104036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игнализации загрузки дизел
JPS62241757A (ja) アンチスキツド制御装置用車速信号処理装置
KR100250302B1 (ko) 차량의 저속도 연산 방법
KR0120178B1 (ko) 차량속도 급감속시 비상등 제어장치
JPS5867533A (ja) 自動車用減速表示装置
JPH06176876A (ja) トンネル照明制御システム
JPH06289078A (ja) パルス入力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