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246B1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246B1
KR100239246B1 KR1019970030912A KR19970030912A KR100239246B1 KR 100239246 B1 KR100239246 B1 KR 100239246B1 KR 1019970030912 A KR1019970030912 A KR 1019970030912A KR 19970030912 A KR19970030912 A KR 19970030912A KR 100239246 B1 KR100239246 B1 KR 100239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cooking chamber
cooking
machine room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200A (ko
Inventor
마사지 요네쿠라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980003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0Feed lines
    • H05B6/707Feed lines using waveguides
    • H05B6/708Feed lines using waveguides in particular slotted wave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 장치로부터 마그네트론을 통하여 조리실에 바람을 공급하는 구성의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조리실의 강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 문의 유리창에 넓은 범위에 바람을 분사하며, 조리실의 측판에는 상부 선반판 지지부(4a)를 사이에 두고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가 설치되어 있고, 조리실(4)의 측판은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부 선반판지지부(4a)에 의해 보강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구성의 경우, 렌지 조리시에는 마그네트론을 냉각시킨 바람이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를 통하여 조리실 내로 배출되어 문의 유리창에 넓은 범위에 분사되어 이로써 유리창이 뿌옇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렌지{MICROWAVE RANGE}
본 발명은 팬 장치로부터 마그네트론을 통하여 조리실에 바람을 공급하는 구성의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렌지는 조리실에 인접하는 기계실내에 마그네트론 및 팬 장치를 설치하고 팬장치로부터 마그네트론에 냉각풍을 분사하면서 렌지 조리를 실시하는 구성의 것이다. 이 구성의 경우, 조리실의 측판에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고 렌지 조리중에는, 팬 장치로부터의 바람을 통풍구를 통하여 문의 유리 창에 분사함에 따라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문의 유리창이 뿌옇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었다.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통풍구가 작고, 유리창의 전역에 냉각풍을 분사하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유리창 전역이 뿌옇게 되는 것을 충분히 해소하지 못할 우려가 있었으므로, 통풍구의 형성영역을 확대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의 경우, 조리실의 측판의 강성이 저하되어, 측판이 휘어지기 쉬워지므로, 조리실의 크기에 제조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와 함께, 조리실 내의 임피던스가 변하고 조리물의 마무리 상태가 흐트러질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리실의 강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 문의 유리창에 넓은 범위에 바람을 분사할 수 있는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조리실의 측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문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댐퍼 및 댐퍼 모터를 도시한 하부면도(댐퍼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댐퍼 및 댐퍼 모터를 도시한 하부면도(댐퍼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전자렌지의 종단측면도(기계실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전자렌지의 횡단 상부면도(기계실의 내부를 도시한 상부면도),
도 7은 댐퍼의 개방시에서의 냉각풍의 통과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댐퍼의 폐쇄시에서의 냉각풍의 통과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전기적 구성의 개략을 도시한 도면 및
도 10은 도 1에 상당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외부상자(캐비넷) 4: 조리실
4a, 4b: 상부 선반판 지지부(접시지지체)
4e: 제 1 상부 선반판 지지부(제 1 접시 지지체)
4f: 제 2 상부 선반판 지지부(제 2 접시지지체)
5: 문 7: 기계실
8: 도파관 9: 마그네트론
13: 히터 14: 각접시(조리접시)
15: 팬장치 16: 상부통풍구(제 1 통풍구)
17: 하부통풍구(제 2 통풍구) 18: 댐퍼
23,24: 배기통로(통풍로)
청구항 1에 기재된 전자렌지는 조리실의 가로에 설치된 기계실과, 이 기계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내에 수용된 조리물을 렌지 조리하기 위한 마그네트론과, 상기 기계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트론을 냉각하는 팬장치와, 상기 조리실내에 수용된 조리물을 히터 조리하기 위한 히터와, 상기 조리실의 측판에 설치되어 히터 조리용 조리접시를 지지하는 접시지지체와, 상기 조리실의 기계실측의 측판에 설치되어 상기 팬장치로부터의 바람을 조리실내로 공급하는 통풍구를 구비하고, 상기 통풍구는 상기 접시 지지체보다 상측에 배치한 제 1 통풍구와, 접시 지지대 보다도 하측에 배치한 제 2 통풍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팬 장치가 작동하면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를 통하여 조리실내에 바람이 공급된다. 이 때문에, 문의 유리창에 넓은 범위에 걸쳐서 바람이 분사되므로, 유리창이 뿌옇게 되는 것이 충분히 해소된다. 또한, 접시지지체를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리실의 측판이 접시지지체에 의해 보강되고, 측판의 강성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측판이 휘어지기 어려워지므로, 조리실의 크기에 제조오차가 발생하거나 조리실 내의 임피던스가 변하고 조리물의 마무리 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전자렌지는 조리실의 기계실측의 측판에 설치된 접시 지지체는 수평방향으로 분할되어 있고, 그 분할된 중간부의 측판에 마그네트론으로부터의 전파를 인도하는 도파관의 여진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조리실의 측판이 도파관에 의해 보강되므로, 측판의 강성이 한층 향상된다. 이 때문에, 측판이 한층 휘어지기 어려워지므로 조리실의 크기에 제조오차가 발생하거나, 조리실내의 임피던스가 변하여 조리물의 마무리 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전자렌지는 조리실의 기계실측의 측판에 설치된 접시 지지대는 수평방향으로 분할되어 있고, 그 분할된 중간부의 상하 측판에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를 지나 조리실내에 바람이 공급되므로, 렌지 조리시에 유리창이 뿌옇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를 제 1 접시지지체 및 제 2 접시지지체 사이의 간격을 두고 상하부에 배치했다. 이 때문에, 조리실의 측판이 접시지지체에 의해 보강되므로 조리실의 크기에 제조 오차가 발생하거나, 조리실내의 임피던스가 변하여 조리물의 마무리 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함께, 강판에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를 형성한 후, 제 1 접시지지체 및 제 2 접시지지체를 드로잉가공하는 데에 있어서, 펀칭개구로 이루어진 양통풍구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전자렌지는 기계실내에는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를 동시에 개폐하는 댐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전자렌지는 조리실과 캐비넷 사이에 통풍로가 형성되고, 히터 조리시에는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가 댐퍼에 의해 닫혀지고, 팬장치로부터의 바람이 상기 통풍로를 따라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문에, 히터 조리시에는 냉각풍이 조리실내에 침입하여 냉장고내 온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캐비넷의 내면을 따라서 바람이 유통되기 때문에, 히터로부터의 열에 의해 캐비넷이 고온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전자렌지는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의 개구면적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로부터 조리실로 배출되는 풍량이 다르므로 조리실내에서 와류(渦流)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조리실내의 공기가 교반되므로 문의 유리창의 전역에 걸쳐서 뿌옇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전자렌지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통풍구의 개구면적이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통풍구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제 1 통풍구의 개구면적이 제 2 통풍구 보다 크므로 조리실내에서 와류가 발생하고, 열기가 모이기 쉬운 조리실내의 상부의 공기가 효율 좋게 교반된다. 이 때문에, 문의 유리창 중 특히 열기가 모이기 쉬운 상부가 뿌옇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전자렌지는 팬장치가 기계실내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위쪽을 향해서 바람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통풍구가 상하방향으로 2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위쪽에 설치된 제 1 통풍구로부터 열기가 모이기 쉬운 조리실내의 상부에 다량의 바람이 공급되어, 문의 유리창 상부가 뿌옇게 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특히, 제 1 통풍구의 개구면적이 제 2 통풍구보다 큰 경우에는,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로부터 조리실내에 원활하게 바람이 배출되므로 효과가 한층 더 높아진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전자렌지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통풍구가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통풍구 보다 문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열기가 모이기 쉬운 문의 유리창 상부에는 제 1 통풍구로부터 바람이 효율적으로 분사되므로 유리창의 상부가 뿌옇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에서, 전자렌지 본체(1)는 캐비넷에 상당하는 외부상자(2)의 내부에 내부상자(3)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내부상자(3)의 내부는 조리실(4)로서 기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외부상자(2)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5)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문(5)은 직사각형을 이루는 테두리체에 유리창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조리실(4)의 앞면 개구부는 문(5)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개폐된다. 또한, 문(5)의 유리 창은 내열유리로 형성되어 있다.
전자렌지 본체(1)의 우측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패널(6)이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패널(6)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모드나 조리시간 등의 조리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조리조건 설정키(6a), 스타트키(6b) 등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패널(6)의 안쪽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상자(2)와 내부상자(3) 사이에 위치하고 기계실(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계실(7)의 측판(조리실(4)의 측판)에는 중앙부에 위치하여 도파관(8)이 용접되고, 도파관(8)에는 마그네트론(9)이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기계실(7) 내에는 마그네트론(9) 외에 고압트랜스(10a) 및 고압콘덴서(10b) 등의 전장부품이 수용되어 있다.
조리실(4)의 측판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펀칭 개구로 이루어지는 여진구(勵振口)(11)가 설치되어 있고, 마그네트론(9)이 동작하면 도파관(8)로부터 여진구(11)를 지나 조리실(4) 내에 마이크로파가 조사되고 렌지 조리가 실시된다.
조리실(4)내의 바닥부에는 턴테이블(도시하지 않음)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턴테이블은 렌지 조리시에 조리물을 배치하기 위한 것이고 턴 테이블 모터(12)(도 9참조)의 구동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또한, 조리실(4)의 윗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형상의 히터(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히터(1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부러진 것이고 히터(13)가 발열하면 조리실(4)내가 가열되며, 오븐 조리(히터조리)가 실시된다.
조리실(4)의 우측판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부에 위치하여 상부 선반지지부(4a,4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선반 지지부(4a,4b)는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고, 도파관(8)은 상부 선반 지지부(4a,4b)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리실(4)의 좌측판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의 상부 선반 지지부(4c)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선반 지지부(4c)는 상부 선반 지지부(4a,4b)에 대향 배치된 것이고 상부 선반 지지부(4a∼4c)에는 히터 조리용 각접시(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반 지지부(4a,4b)는 접시 지지체에 상당하고 각접시(14)는 조리접시에 상당한다.
조리실(4)의 양측판에는 하부 선반판 지지부(4d)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하부 선반 지지부(4d) 상에는, 히터 조리용 각접시(14)가 설치된다. 또한, 각 선반 지지부(4a∼4d)는 윗면이 수평인 단면 삼각형을 이루는 것이고 조리실(4)의 측판에 일체로 드로잉가공되어 있다.
기계실(7) 내의 바닥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 모터(15a)가 설치되고 팬모터(15a)의 회전축에는 팬(15b)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상자(2)의 바닥판에는 복수의 공기 흡입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팬모터(15a)의 작동에 수반하여 팬(15b)이 회전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공기 흡입구로부터 기계실(7) 내에 외부 공기가 흡인되고 기계실(7) 내의 위쪽을 향해서 배출됨에 수반한, 기계실(7)내의 전장부품이 냉각된다. 또한, 도 5의 부호(15)는 팬 모터(15a) 및 팬(15b)으로 이루어진 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조리실(4)의 우측판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선반판 지지부(4a,4b)의 위쪽에 위치하여 상부 통풍구(16)가 설치되며, 상부 선반판 지지부(4a,4b)와 하부 선반판 지지부(4d) 사이에 위치하여 하부 통풍구(1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는 복수의 펀칭개구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부 선반판 지지부(4a)를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는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에 상당하는 것이다.
상부 통풍구(16)의 펀칭수는 하부 통풍구(17)의 펀칭수 보다 많고 상부 통풍구(16)의 개구면적은 하부 통풍구(17)의 개구변적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 통풍구(16)의 전단부는 하부 통풍구(17)의 전단부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문(5)에 접근하고 있다. 또한, 기계실(7) 내에는 하부통풍구(17)의 전방부분(2점 쇄선(7a)으로 도시한 부분)에 위치하고 문(5)을 폐쇄상태로 잠그기 위한 잠금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조리실(4)의 우측판에는 댐퍼(18)가 축(18a)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 댐퍼(18) 및 축(18a)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7) 내에 위치하는 것이고, 댐퍼(18)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18b)가 구부러져 형성되고, 플랜즈부(18b)에는 홈부(18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계실(7) 내에는, 상부에 위치하여 댐퍼모터(19)가 설치되어 있고 이 댐퍼 모터(19)의 회전축에는 캠(20)이 연결되며, 캠(20)에는 샤프트(20a)가 부착되어 있다.
캠(20)의 샤프트(20a)는 댐퍼(18)의 홈부(18c) 내에 걸어 맞추어져 있고, 댐퍼 모터(19)의 동작에 수반하여 캠(20)이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캠(20)의 회전 운동력이 시프트(20a)를 통하여 댐퍼(18)에 전달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18)가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를 개방한다. 이 상태로부터 캠(20)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캠(20)의 회전운동력이 샤프트(20a)을 지나 댐퍼(18)에 전달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18)가 화살표A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운동함에 따라서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를 폐쇄한다.
조리실(4)의 좌측판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뒤쪽에 위치하고 배기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기구(21)는 복수의 펀칭 개구로 이루어진 것이고, 조리실(4)의 좌측판에는 외부상자(2)와 내부상자(3) 사이에 위치하고 덕트(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덕트(22)는 외부상자(2)의 배기구(도시하지 않음)를 지나 외부상자(2)의 뒷면측에 개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의 폐쇄 상태에서 팬장치(15)가 작동하면,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바람이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로부터 조리실(4) 내에 유입되고, 문(5)의 유리창에 분사된다. 그리고, 배기구(21)로부터 덕트(22) 내에 유입되고 덕트(22)를 지나 전자렌지 본체(1)의 뒷면측으로 배출된다.
외부상자(2)의 천정판과 내부상자(3)의 천정판 사이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통로(23)가 형성되고 외부상자(2)의 좌측판과 내부상자(3)의 좌측판 사이에는 배기통로(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배기통로(23, 24)는 외부상자(2)의 내부면을 따른 통풍로에 상당하는 것이고,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의 폐쇄상태에서 팬 장치(15)가 작동하면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바람이 배기통로(23,24)를 따라 통과된다.
외부상자(2)의 바닥판에는 조리실(4)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배기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며 외부상자(2)의 아랫면에는 전자렌지 본체(1)의 앞면측에 개구하는 덕트(25)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상자(2)의 바닥판과 내부상자(3)의 바닥판 사이에는 간막이판(25a)이 설치되어 있고, 배기통로(24)내를 유통하는 바람은 배기구를지나 덕트(25)내에 유입되며 덕트(25) 내를 지나 전자렌지 본체(1)의 앞면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의 개방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장부품을 냉각한 바람의 일부가 배기통로(23,24)로부터 덕트(2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외부 상자(2)에는 기계실(7)의 뒤쪽에 위치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가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 중 어떤 경우에도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바람의 일부가 배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기계실(7) 내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26)가 설치되어 있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가 댐퍼(18)에 의해 폐쇄되면, 댐퍼(18)의 플랜지(flange)부(18b)가 마이크로 스위치(26)의 플런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분리되고 마이크로 스위치(26)가 오프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가 댐퍼(18)에 의해 개방되면, 댐퍼(18)의 플랜지부(18b)가 마이크로 스위치(26)의 플런저를 누르고 마이크로 스위치(26)가 온된다.
도 9에 도시한 제어장치(27)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구성된 것이고 스타트키(6b)가 조작되면, 조리조건 설정키(6a)의 설정내용, 마이크로 스위치(26)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마그네트론(9), 턴테이블 모터(12), 히터(13), 팬모터(15a), 댐퍼 모터(19)를 구동제어한다.
또한, 렌지 조리 및 오븐 조리의 비실행시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모터(19)에 의해 댐퍼(18)를 화살표A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고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를 폐쇄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렌즈 조리를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는 조리실(4) 내에 턴 테이블을 설치하고 턴테이블 상에 조리물을 배치한다. 그리고, 조리조건 설정키(6a)를 조작하고 렌지 조리를 선택한 후, 스타트키(6b)를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제어장치(27)는 마이크로 스위치(26)가 온되기까지 댐퍼모터(19)를 구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댐퍼(18)를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고,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를 개방한다.
제어장치(27)는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를 개방하면, 마그네트론(9), 턴테이블 모터(12), 팬 모터(15a)를 구동한다. 그렇게 하면, 턴테이블 및 마그네트론(9)이 작동하고 턴테이블이 회전하면서 조리실(4) 내에 마이크로파가 조사되어, 턴테이블 상의 조리물이 렌지 조리된다.
이와 함께, 팬장치(15)가 작동하고 마그네트론(9)을 주체로 전장부품에 냉각풍이 분사되며, 냉각풍의 일부가 기계실(7)의 뒤쪽의 배기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남은 냉각풍의 일부가 배기통로(23,24)로부터 덕트(25)를 통하여 전자렌지 본체(1)의 앞면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남은 냉각풍의 대부분이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로부터 조리실(4) 내에 공급되고 문(5)의 유리창에 분사된 후, 배기구(21) 및 덕트(22)를 지나 전자렌지 본체(1)의 뒷면측으로 배출된다.
그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장치(27)는 마그네트론(9), 턴테이블모터(12)를 구동 정지한다. 이와 함께, 마이크로 스위치(26)가 오프되기까지 댐퍼모터(19)를 구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댐퍼(18)를 화살표A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고,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를 폐쇄한다.
히터조리를 실시하는데에 있어서, 상단의 선반판 지지부(4a∼4c) 및 하단의 선반판 지지부(4d)에 각접시(14)를 선택적으로 설치한 후, 각접시(14) 상에 조리물을 배치한다. 그리고, 조리조건 설정키(6a)를 조작하여 히터조리를 선택한 후, 스타트키(6b)를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제어장치(27)는 히터(13) 및 팬모터(15a)를 구동한다. 그렇게 하면, 히터(13)가 발열하는 것에 수반하여 조리실(4)내가 가열되고 각접시(14) 상의 조리물이 히터 조리된다.
이와 함께, 팬 장치(15)가 작동하고 마그네트론(9)을 주체로 전장부품에 냉각풍이 분사되며, 냉각풍의 일부가 기계실(7) 뒤쪽의 배기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냉각풍의 나머지가 배기 통로(23, 24)로부터 덕트(25)를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그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며 제어장치(27)는 히터(13), 팬모터(16a)를 구동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일련의 동작은 제어장치(27)의 기억장치에 기억된 운전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를 지나 조리실(4) 내에 바람을 공급했다. 이 때문에, 문(5)의 유리창에 넓은 범위에 걸쳐서 바람이 분사되므로 렌지 조리시에 유리창이 뿌옇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선반판 지지부(4a)를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를 배치했다. 이 때문에, 조리실(4)의 우측판이 상부 선반판 지지부(4a)에 의해 보강되고 우측판의 강성이 향상되므로 우측판이 휘어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내부상자(3)(조리실(4))의 크기에 제조오차가 생기거나, 조리실(4)내의 임피던스가 변하여 조리물의 마무리 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하나의 통풍구의 형성영역을 확대한 경우, 통풍구의 특정부분을 지나 바람이 집중적으로 배출되는 형상이 있으므로, 유리창의 넓은 범위에 바람이 분사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의 2곳에서 조리실(4) 내에 바람을 공급했다. 이 때문에, 바람이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에 효율적으로 분산되므로, 유리창에 넓은 범위에 바람이 확실하게 분사된다.
또한, 상부 선반판 지지부(4a, 4b) 사이의 간격에 도파관(8)을 부착했다. 이 때문에, 조리실(4)의 우측판이 도파관(8)에 의해 보강되므로 우측판의 강성이 한층 향상된다. 이 때문에, 우측판이 한층 휘어지기 어려워지므로, 조리실(4)의 크기에 제조오차가 발생하거나 조리실(4) 내의 임피던스가 변하여 조리물의 마무리 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히터 조리를 실시할 때에, 상부 통기구(16) 및 하부 통기구(17)를 댐퍼(18)에 의해 폐쇄하고 팬 장치(15)를 작동시켰다. 이 때문에, 기계실(7) 내가 냉각됨과 동시에, 냉각풍이 조리실(4) 내에 침입하여 조리실 내 온도가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조리실(4)의 휘어짐이 방지되고 있으므로, 댐퍼(18)가 조리실(4)의 우측판에 밀착된다. 이 때문에, 댐퍼(18)와 조리실(4)의 우측판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냉각풍이 조리실(4) 내에 한층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외부상자(2)와 내부상자(3) 사이에 배기통로(23,24)를 형성하고, 히터 조리시에는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를 댐퍼(18)에 의해 폐쇄하고 배기통로(23,24) 내에 바람을 통과시켰다. 이 때문에, 외부상자(2)의 내부면을 따라서 바람이 흐르게 되므로, 외부상자(2)의 특히 천정부가 히터(13)로부터의 열에 의해 고온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통풍구(17)의 개구면적을 다르게 했다. 이 때문에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로부터 조리실(4)로 배출되는 풍량이 다르고, 조리실(4) 내에서 와류가 발생하게 되므로, 조리실(4) 내의 공기가 교반된다. 이 때문에, 문(5)의 유리창의 전역에 걸쳐서 뿌옇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상부 통풍구(16)의 개구면적을 하부 통풍구(17) 보다 크게 했다. 이 때문에, 조리실(4) 내에서 와류가 발생하고 열기가 모이기 쉬운 조리실(4) 내의 상부의 공기가 효율적으로 교반된다. 이 때문에, 문(5)의 유리창 중 특히 열기가 모이기 쉬운 상부의 뿌옇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기계실(7) 내의 바닥부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냉각풍을 배출시켰다. 이 경우, 통풍구(16,17)가 상하 방향으로 2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부 통풍구(16)로부터 열기가 모이기 쉬운 조리실(4)내의 상부에 다량의 바람이 공급되고 그 결과, 문(5)의 유리창 중 상부가 뿌옇게 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상부 통풍구(16)의 개구면적이 하부통풍구(17)의 개구면적보다 크므로,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통풍구(17)로부터 조리실(4) 내에 원활하게 바람이 배출되어 효과가 한층 높아진다.
또한, 상부 통풍구(16)를 하부 통풍구(17)에서 문(5)쪽으로 배치했다. 이 때문에, 상부 통풍구(16)로부터 유리창의 상부에 바람이 효율적으로 분사되므로 유리창의 상부가 뿌옇게 되는것이 한층 확실하게 방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다른 부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조리실(4)의 우측판에는, 상부 선반판 지지부(4a,4b)로 바꾸어 제 1 상부 선반판 지지부(4e) 및 제 2 상부 선반판 지지부(4f)가 일체로 드로잉가공 되어 있다.
이들 제 1 상부 선반판 지지부(4e) 및 제 2 상부 선반판 지지부(4f)는 제 1 접시 지지체 및 제 2 접시 지지체에 상당하는 것이고,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를 갖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는 제 1 상부 선반판 지지부(4e) 및 제 2 상부 선반판 지지부(4f)를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상부 선반판 지지부(4e) 및 제 2 상부 선반판 지지부(4f)를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를 배치했다. 이 때문에, 강판에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를 형성한 후, 제 1 상부 선반판 지지부(4e) 및 제 2 상부 선반판 지지부(4f)를 드로잉가공하는 데에 있어서,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리실(4)의 우측판을 드로잉가공하는 것에 수반하여 선반판 지지부(4a∼4f)를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선반판 지지체를 용접하거나 나사 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조리시에 댐퍼(18)를 화살표A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고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를 폐쇄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댐퍼(18)를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고 상부 통풍구(16) 및 하부 통풍구(17)를 개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댐퍼(18)의 플랜지부(18b)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26)의 플런지를 눌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댐퍼(18)의 본체부에 의해 눌리거나 캠(20)의 샤프트(20a)에 의해 눌려져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댐퍼(18)의 개폐를 검출하는 스위치로서 마이크로 스위치(26)를 사용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광전 스위치나 근접 스위치 등의 비접촉형 스위치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26)의 온오프에 기초하여 댐퍼(18)의 개폐를 검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댐퍼 모터(19)에 회전운동량을 검출하는 로터리 엔코더 등을 설치하고 이 로터리 엔코더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댐퍼(18)의 개폐를 검출해도 좋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렌지는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수단에 의하면,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를 통하여 조리실내에 바람을 공급했다. 이 때문에, 문의 유리창에 넓은 범위에 걸쳐서 바람이 효율 좋게 분사되므로 렌지 조리시에 유리창이 뿌옇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는 접시지지체를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배치했다. 이 때문에, 조리실의 측판이 접시지지체에 의해 보강되고, 측판이 휘어지기 어려워지므로 조리실의 크기에 제조오차가 발생하거나 조리실내의 임피던스가 변하여 조리물의 마무리 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수단에 의하면, 접시지지체 사이의 공간에 도파관을 부착했다. 이 때문에, 조리실의 측판이 도파관에 의해 보강되고 측판이 한층 휘어지기 어려워지므로 조리실의 크기에 제조오차가 생기는 것, 조리실내의 임피던스가 변하고 조리물의 마무리 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수단에 의하면,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를 통하여 조리실내에 바람을 공급했으므로, 렌지 조리시에 유리창이 뿌옇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는, 제 1 접시지지체 및 제 2 접시지지체를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배치했다. 이 때문에, 조리실의 측판이 접시지지체에 의해 보강되므로, 조리실의 크기에 제조오차가 발생하거나 조리실내의 임피던스가 변하여 조리물의 마무리 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함께, 강판에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를 형성한 후, 제 1 접시지지체 및 제 2 접시지지체를 드로잉가공하는 데에 있어서, 펀칭 개구로 이루어진 양 통풍구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4 및 청구항 5에 기재된 수단에 의하면 히터 조리시에는 냉각풍이 조리실내로 침입하여 냉장고내 온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캐비넷의 내면을 따라서 바람이 유통되기 때문에, 히터로부터의 열에 의해 캐비넷이 고온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조리실의 측판의 휘어짐이 방지되고, 댐퍼와 조리실의 측판이 밀착하기 때문에 냉각풍이 조리실내로 더욱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수단에 의하면,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의 개구면적을 다르게 했다. 이 때문에,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이 조리실내에서 와류가 되고 조리실내의 공기가 교반되므로 문의 유리창 전역에 걸쳐서 뿌옇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수단에 의하면, 제 1 통풍구의 개구면적을 제 2 통풍구보다 크게 했다. 이 때문에, 조리실내에서 와류가 발생하고 열기가 모이기 쉬운 조리실내의 상부의 공기가 효율적으로 교반되므로 문의 유리창 중 특히 상부가 뿌옇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수단에 의하면, 기계실내의 바닥부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냉각풍을 배출했다. 이 때문에,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통풍구로부터 조리실내의 상부에 다량의 바람이 공급되므로, 문의 유리창 중 특히 상부가 뿌옇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특히, 제 1 통풍구의 개구면적이 제 2 통풍구 보다 큰 경우에는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로부터 조리실내에 원활하게 바람이 배출되므로 효과가 한층 커진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수단에 의하면, 제 1 통풍구를 제 2 통풍구 보다 문쪽에 배치했다. 이 때문에, 제 1 통풍구로부터 문의 유리창 상부에 바람이 효율적으로 분사되므로 유리창 상부가 뿌옇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Claims (9)

  1. 조리실의 가로에 설치된 기계실;
    상기 기계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내에 수용된 조리물을 렌지 조리하기 위한 마그네트론;
    상기 기계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트론을 냉각하는 팬장치;
    상기 조리실내에 수용된 조리물을 히터 조리하기 위한 히터;
    상기 조리실의 측판에 설치되어 히터 조리용 조리접시를 지지하는 접시지지체; 및
    상기 조리실의 기계실측의 측판에 설치되어 상기 팬장치로부터의 바람을 조리실내에 공급하는 통풍구를 구비하고,
    상기 통풍구는 상기 접시 지지대 보다 상측에 배치한 제 1 통풍구와 접시지지대 보다도 하측에 배치한 제 2 통풍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조리실의 기계실측의 측판에 설치된 접시 지지체는 수평방향으로 분할되어 있고, 그 분할된 중간부의 측판에 마그네트론으로부터의 전파를 유도하는 도파관의 여진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조리실의 기계실측의 측판에 설치된 접시 지지체는 수평방향으로 분할되어 있고, 그 분할된 중간부의 상하 측판에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기계실내에는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를 동시에 개폐하는 댐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조리실과 캐비넷 사이에 통풍로가 형성되고, 히터조리시에는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가 댐퍼에 의해 닫혀지고, 팬장치로부터의 바람이 상기 통풍로를 따라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의 개구면적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통풍구의 개구 면적이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통풍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팬장치는 기계실내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윗쪽 제 1 통풍구 및 제 2 통풍구를 향해서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통풍구는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통풍구 보다 문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1019970030912A 1996-06-26 1997-06-26 전자렌지 KR100239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66416A JPH1019269A (ja) 1996-06-26 1996-06-26 電子レンジ
JP8-166416 1996-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200A KR980003200A (ko) 1998-03-30
KR100239246B1 true KR100239246B1 (ko) 2000-01-15

Family

ID=1583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912A KR100239246B1 (ko) 1996-06-26 1997-06-26 전자렌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019269A (ko)
KR (1) KR100239246B1 (ko)
CN (1) CN1136413C (ko)
TW (1) TW4663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481A (ko) * 2002-03-11 2003-09-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도어냉각장치
KR100510655B1 (ko) * 2002-11-20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레인지
TW201018926A (en) * 2008-11-12 2010-05-16 Shin Yo Feng Precise Technology Corp Ltd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mechanism and method
CN102948054B (zh) * 2010-06-21 2015-06-17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超导线圈、旋转装置以及超导线圈制造方法
CN105066165A (zh) * 2015-07-30 2015-1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风门调节装置及燃气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0117A (zh) 1998-01-14
CN1136413C (zh) 2004-01-28
JPH1019269A (ja) 1998-01-23
TW466324B (en) 2001-12-01
KR980003200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050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100419206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EP1467154B1 (en) Heating cooker
EP2363648B1 (en) Oven
US7049567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having an exhaust mechanism
KR100239246B1 (ko) 전자렌지
KR100694254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386009B1 (ko) 가열조리장치
KR100394419B1 (ko) 가열조리기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100676138B1 (ko) 오븐
JPH03144219A (ja) 電子レンジ
KR200147440Y1 (ko) 컨벡션 오븐렌지
KR20060064312A (ko) 가열조리장치
KR19990014039U (ko) 붙박이식 전자렌지의 공기흐름 개선구조
KR20050010565A (ko) 전자레인지
KR0113760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냉각장치
KR100303534B1 (ko) 전자렌지
KR100596247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냉각시스템
KR100217189B1 (ko) 가열조리기
JPH08130087A (ja) 電子レンジ
GB2401932A (en) Oven featuring superposed cooking chambers with ventilated doors
KR100545246B1 (ko) 전자 레인지용 댐퍼장치
KR100294591B1 (ko) 전자렌지의조리실외부공기유입장치
KR100277964B1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