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189B1 - 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189B1
KR100217189B1 KR1019970032949A KR19970032949A KR100217189B1 KR 100217189 B1 KR100217189 B1 KR 100217189B1 KR 1019970032949 A KR1019970032949 A KR 1019970032949A KR 19970032949 A KR19970032949 A KR 19970032949A KR 100217189 B1 KR100217189 B1 KR 10021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attachment substrate
machine room
heat shield
shiel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0137A (ko
Inventor
가즈나리 이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98001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실의 가로방향의 소형화를 꾀하고 또한 전기부품으로의 열영향도 적게 할 수 있도록 한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기계실(7)과 가열조리실(4)과 간막이하는 측판부(3a)에는 통기구(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측판부(3a)에 있어서 통기구(8)부분에는 문 록 스위치(13), 릴레이구동회로(14), 댐퍼장치(15) 등을 부착한 부착기판(16)이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댐퍼장치(15)는 댐퍼모터(19)와 개폐기구(20)와 댐퍼판을 겸용하는 차열판(21)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차열판(21)은 통기구(8)와 부착판(16)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통기구(8)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가열조리기
본 발명은 가열조리실과 기계실을 간막이하는 벽부에 통기구를 형성하고 이 통기구에서 가열조리실 내로 공기를 넣도록 한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열조리기, 예를 들면 전자렌지에 있어서는 조리기 본체의 내부에 가열조리실과 기계실을 인접하여 형성하고 있고, 기계실에는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 릴레이와 문 록 스위치, 또한 팬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가열조리실과 기계실을 간막이하는 벽부에는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통기구를 둘러싸도록 덕트를 상기 벽부에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팬장치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이 덕트 및 통기구를 통해 가열조리실 내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또, 가열조리실 내로의 바람의 공급은 가열조리실의 문 유리창의 흐림방지와 증기배출을 위해 실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구성에서는 기계실에 덕트가 존재하기 때문에 전기부품의 부착스페이스를 그다지 차지할 수 없고 어쩔 수 없이 상기 전기부품을 덕트의 바깥쪽으로 배치하게 되어 이 때문에 기계실이 가로방향으로 대형화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계실 내에 있어서 비교적 큰 부품으로서는 상기한 덕트 이외에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및 고압콘덴서 등의 전기부품이 있고, 이러한 것은 미리 부착 스페이스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가 결정되어 있지만, 특히 릴레이와 문 록 스위치 등의 비교적 작은 전기부품의 배치는 그 후에 결정되는 것이고, 이러한 전기부품의 배치스페이스를 상기 덕트의 바깥 쪽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 많아서 이 덕트 바깥 쪽으로도 어쩔 수 없이 전기부품을 배치하는 구성이 되어 기계실이 가로방향으로 대형화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기부품을 기계실 벽부에 근접 부착하여 배치할 수 있고, 기계실의 가로방향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으며 또 전기부품으로의 열영향도 작게 할 수 있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기계실 부분의 종단측면도,
도 2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 3은 통기구 부분의 종단정면도,
도 4는 통기구 부분의 횡단평면도,
도 5는 다른 작용상태의 통기구 부분의 횡단평면도,
도 6은 렌지조리시에 있어서 전체적인 바람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적 투시도,
도 7은 히터조리시에 있어서 전체적인 바람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적 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지 본체(조리기 본체) 2 : 외부 상자
3 : 내부 상자 3a : 측판부(벽부)
4 : 가열조리실 7 : 기계실
8 : 통기구 9 : 마그네트론
13 : 문 록 스위치(전기부품) 14 : 릴레이 구동회로(전기부품)
15 : 댐퍼장치 17 : 공간부
18 : 팬장치 21 : 차열판
22 : 히터
청구항 1의 발명은 내부에 가열조리실과 기계실을 인접하여 형성한 조리기 본체와, 상기 가열조리실과 기계실을 간막이하는 벽부에 형성된 통기구와, 상기 기계실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 부분의 벽부에 대해 떨어져서 배치되고 전기부품을 장착한 부착기판과, 상기 통기구와 상기 부착 기판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통기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차열판과, 상기 기계실 내에 설치되어 바람을 생성하여 적어도 상기 통기구 부분에 공급하는 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통기구 부분의 벽부에 덕트는 설치하지 않고 이 벽부에 부착기판을 통해서 전기부품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실의 가로방향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전체의 크기를 종전대로 하면 가열조리실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부착기판은 통기구 부분의 벽부에 대해 떨어져 있기 때문에 팬장치에 의한 바람이 통기구로 양호하게 흐르게 되어, 가열조리실로의 바람의 공급이 방해되지 않는다. 또, 통기구로 향하는 바람에 의해 부착기판 및 전기부품도 냉각되게 된다.
여기에서 가열조리실 내의 복사열이 통기구를 통해 부착기판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염려되었지만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차열판을 통기구와 상기 부착기판과의 사이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통기구에서 나온, 또는 나오려 하는 복사열과 식품에서 발생하는 가스 등을 차폐할 수 있다. 또, 차열판을 통기구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가열조리실로의 바람의 공급 또는 정지를 필요에 따라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차열판이 그 개방위치에 있어서 통기구보다 크게 또한 부착기판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차열판이 통기구를 개방하면 바람이 가열조리실 내에 공급된다. 이 때, 차열판이 개방동작하여서 차열판이 통기구와의 대향영역에서 벗어나 그 벗어난 부분에서 복사열이 부착기판에 영향을 주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차열판이 그 개방위치에 있어서 통기구보다 크기 때문에 차열판이 통기구와의 대향영역에서 벗어나지 않고 개방된 통기구에서 나온 복사열은 차열판에 의해 차폐되어진다. 또, 차열판은 개방위치에서 부착기판보다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차열판이 부착기판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 결과, 부착기판의 전기부품으로 향하는 바람의 흐름이 차열판에 의해 저해되지 않고 전기부품의 냉각이 저해되지 않는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는 조리모드로서 마그네트론을 사용하는 렌지조리와 히터를 사용하는 히터조리가 있고, 차열판은 렌지조리시에 개방되고 히터조리시에 폐쇄되도록 되어 있으며 부착기판부분에는 히터조리시에 팬장치에 의한 바람이 부착기판 안쪽면측에 통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구성이 되고 있는 것에 특징을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렌지조리시에 통기구에서 가열조리실 내로 바람이 유입하여 문 유리창의 흐림해소와 증기배출 등에 기여한다. 또, 히터조리시에 통기구가 폐쇄되어도 팬장치에 의한 바람이 부착기판 안쪽면측에 통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구성이기 때문에 내부 상자가 뜨겁게 되는 히터조리시에 있어서도 기판 및 전기부품의 냉각을 양호하게 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는 차열판이 부착기판에 있어서 전기부품 존재영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차열판이 통기구에 대향하는 전기부품뿐만 아니라 통기구 대향영역 이외에도 부착기판의 전기부품을 모두를 차열하도록 되어 전기부품에 대한 열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가열조리기로서 전자렌지가 나타나 있다. 조리기 본체인 렌지 본체(1)는 외부 상자(2)의 내부에 내부 상자(3)를 배치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내부 상자(3)의 내부는 가열조리실(4)로 이루어져 있다. 또, 외부 상자(2)에는 문(5)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문(5)은 장방형상을 이루는 틀체에 유리창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열조리실(4)의 전면 개구부는 문(5)의 회전운동에 의해 개폐된다.
또, 렌지 본체(1)의 우측부에는 조작패널(6)이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패널(6)에는 조리모드와 조리시간 등의 조리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와 스타트 스위치, 또한 표시기 등을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안쪽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 외의 전자부품과 전자회로를 탑재한 회로기판이 부착되어 있다.
이 조작 패널(6)의 안쪽에는 외부 상자(2)와 내부 상자(3)와의 사이의 우측공간에 의해 기계실(7)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기계실(7)은 가열조리실(4)과 인접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기계실(7)과 가열조리실(4)을 간막이하는 벽부인 내부 상자(3)의 측판부(3a)에는 통기구(8)가 상하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 기계실(7)에 있어서 측판부(3a)에는 렌지조리에 사용되는 마그네트론(9)이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이 마그네트론(9)은 가열조리실(4)내에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것이고, 그 때문에 도파관(9a)을 구비하고 있다. 또, 고압트랜스(10) 및 고압콘덴서(11)는 고압용의 기판(12)에 부착된 형태이고,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또, 복수의 문 록 스위치(13) 및 릴레이 구동회로(14) 및 댐퍼장치(15)등이 부착기판(16)에 배치된 형태이고, 상기 측판부(3a)의 통기구(8)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또, 이 부착기판(16)에 부착된 전기부품은 저압부품이다.
이 경우, 이 부착기판(16)은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판부(3a)에 대해 떨어진 형태로 부착되어 있다. 공간부(17)는 바람의 유통 및 차열판(21)(후술한다)의 개폐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가능한한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 기판(12)의 하부에는 수평형태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분에는 상기 마그네트론(8)의 아래쪽이 되는 위치관계로서 팬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팬장치(18)는 바람을 윗쪽으로 향하여 송풍하는 것이고, 팬모터(18a)와 팬(18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댐퍼장치(15)는 댐퍼모터(19)와 개폐기구(20)와 댐퍼판을 겸용하는 차열판(21)으로 구성되어 있고, 댐퍼모터(19)가 통전되면 개폐기구(20)가 작동하여 차열판(21)을 개방시키고, 개방이 검지되면 단전된다. 다음에 다시 댐퍼모터(19)가 통전되면 차열판(21)이 폐쇄되고, 폐쇄가 검지되면 단전된다. 이와 같은 차열판(21)의 개폐동작에 의해 통기구(8)가 개폐된다.
상기 차열판(21)은 그 개방위치(도 5 참조)에서의 크기(도 5에 부호 21A로 나타낸다)에 있어서 통기구(8)보다 크고 부착기판(16)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 부착기판(16)에 있어서 전기부품 존재영역(16A)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부 상자(3)의 상판부 상면에는 히터(22)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하판부 하면에도 히터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히터는 오븐 조리 또는 그릴 조리라는 히터조리를 할 때에 사용된다.
상기 외부 상자(2)의 바닥판부(2a)와 내부 상자(3)의 바닥판부(3b)와의 사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실(7)에 이어지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부 가운데 하부 왼쪽부에는 그 좌우를 간막이하는 간막이판(23)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간막이판(23)의 우측의 바닥판부(2a)에는 흡입구(24)가 형성되고, 좌측의 바닥판부(2a)에는 배기구(25)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것의 아래쪽부에 배기덕트(25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계실(7)의 후판부에도 배기구(26)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열조리실(4)의 좌판부에는 외부 상자(2)의 후판부의 외부로 통하는 배기통로부(27)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전자렌지에 있어서는 조리모드로서 마그네트론(8)을 사용하는 렌지조리와 히터(22)를 사용하는 히터조리가 있다.
렌지 조리시에 있어서는 댐퍼장치(15)는 통기구(8)를 개방하고 그리고 팬장치(16)가 구동된다. 이 때 조리기 본체(1) 밖의 공기는 흡입구(24)에서 흡입되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로 향하는 바람이 되어 마그네트론(9)에 불어 도담할과 동시에 좌우로 분기한다. 그리고 전체적인 바람의 흐름을 나타낸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분기한 일부는 기계실(7) 후방부의 배기구(24)에서 토출되지만 별도의 일부는 배기구(8)부분을 향하고, 통기구(8)에서 가열조리실(4)내에 유입하여 배기통로부(27)에서 토출된다. 또 나머지는 내부 상자(3) 주위를 유통하여 배기구(25) 및 배기덕트(25a)를 통하여 토출된다.
통기구(8)부분으로 향한 바람에 대해 상술하면 도 5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람은 부착기판(16)의 안쪽면과 표면측(전기부품측)으로 나뉜다. 이 경우, 부착기판(16)이 통기구(8)부분과 떨어져 있기 때문에 통기구(8)로 양호하게 흘러서 이 통기구(8)에서 가열조리실(4) 내로 상기한 바와 같이 유입하고, 문(6) 유리창의 흐림해소에 기여하는 동시에 피가열물(식품)에서 발생한 증기를 배출한다. 나머지 바람은 부착기판(16)의 전기부품을 냉각한다.
또, 히터조리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댐퍼장치(15)는 통기구(8)를 폐쇄하고 팬장치(18)가 구동된다. 이 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기판(16)부분에는 그 안쪽면측에 통하는 공간부(17)가 형성되어 있고, 바람은 일부 이 공간부(17)에 우측부터 유입하여 위로 빠지고, 나머지는 전기부품측을 통해 위로 빠진다. 또, 전체적인 바람의 흐름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이 경우, 가열조리실(4)내로 공기의 유입은 없고 그 이외는 상기한 것과 거의 같다.
상기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기구(8)부분에 종래와 같은 덕트는 설치하지 않고 측판부(3a)에 부착기판(16)을 붙여서 전기부품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실(7)의 가로방향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전체의 크기를 종전대로 하면 가열조리실(4)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부착기판(16)은 통기구(8)부분의 측판부(3a)에 대해 떨어져 있기 때문에 팬장치(18)에 의한 바람이 통기구(8)로 양호하게 흐르도록 되고, 가열조리실(4)로의 바람의 공급이 방해되지 않고, 또, 통기구(8)로 향하는 바람에 의해 부착기판(16) 및 전기부품도 양호하게 냉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각 조리시에 있어서 가열조리실(4)내의 복사열이 통기구(8)를 통해서 부착기판(16)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이 우려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열판(21)을 통기구(8)와 상기 부착기판(16)과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통기구(8)에서 나온, 또는 나오려고 하는 복사열과 식품에서 발생한 가스 등을 차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부착기판(16) 및 전기부품의 열 악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열판(21)이 그 개방위치에 있어서 통기구(8)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차열판(21)이 개방동작하고 상기 차열판(21)이 통기구(8)와의 대향영역에서 벗어나 그 벗어난 부분에서 복사열이 부착기판(16)에 영향을 주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차열판(21)이 그 개방위치에 있어서 통기구(8)보다 크기 때문에 차열판(21)이 통기구(8)와의 대향영역에서 벗어나지 않고 개방된 통기구(8)에서 나온 복사열은 차열판(21)에 의해 확실하게 차폐할 수 있다.
또, 차열판(21)은 개방위치에서 부착기판(16)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참고예로서 나타낸 도 8과 같이 만약 차열판(S)이 부착기판(16)보다 크면 차열판(S)이 부착기판(16)보다 초과하여 전기부품을 향하는 바람의 흐름이 상기 차열판(S)에 의해 저해되는 일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열판(21)이 개방되어도 부착기판(16)보다 초과되지 않고, 이 결과 통기구(8)로 향하는 바람의 흐름, 더 나아가서는 부착기판(16) 및 전기부품으로 향하는 바람의 흐름이 차열판(21)에 의해 저해되지 않고 전기부품의 냉각이 저해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열판(21)이 부착기판(16)에 있어서 전기부품 존재영역(16A)보다 크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통기구(8)에 대향하는 전기부품뿐만 아니라 통기구 대향영역 이외에서도 부착기판(16)에 있어서 전기부품을 모두 차열하게 되어 전기부품에 대한 열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부착기판(16)에 전기부품으로서 문 록 스위치(13) 및 릴레이 구동회로(14) 및 댐퍼장치(15) 등을 부착했지만 이것 이외의 전기부품이라도 좋다. 또, 통기구(8)는 하나라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통기구 부분의 벽부에 덕트는 설치하지 않고 전기부품을 장착한 부착기판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실의 가로방향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고, 또 통기구로 향하는 바람에 의해 부착기판 및 전기부품의 냉각을 꾀할 수 있으며 통기구에서의 복사열이 부착기판 심지어는 전기부품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열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열판을 통기구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가열조리실로의 바람의 공급 또는 정지를 필요에 따라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차열판을 그 개방위치에 있어서 통기구보다 크고 부착기판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했기 때문에 차열판이 개방되어도 통기구에서의 복사열이 부착기판 및 전기부품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부착기판 및 전기부품으로 향하는 바람의 흐름이 상기 차열판에 의해 저해되지 않아 전기부품의 냉각이 저해되지 않는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렌지조리시에 있어서는 통기구에서 가열조리실 내로 바람이 유입하기 때문에 문 유리창의 흐림해소와 증기배출 등에 기여할 수 있고, 히터조리시에 통기구가 폐쇄되어도 팬장치에 의한 바람이 부착기판 안쪽면측에 통하기 때문에 통기구 폐쇄시에 있어서도 기판 및 전기부품의 냉각을 양호하게 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차열판을 부착기판에 있어서 전기부품 존재영역보다 크게 형성하기 때문에 통기구에 대향하는 전기부품뿐만 아니라 통기구 대향영역 이외에도 부착기판에 있어서 전기부품 모드를 차열할 수 있어 전기부품에 대한 열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내부에 가열조리실과 기계실을 인접하여 형성한 조리기 본체,
    상기 가열조리실과 기계실을 간막이하는 벽부에 형성된 통기구,
    상기 기계실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 부분의 벽부에 대해 떨어져서 배치되고 전기부품을 장착한 부착기판,
    상기 통기구와 상기 부착기판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통기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차열판, 및
    상기 기계실 내에 설치되고 바람을 생성하여 상기 통기구 부분에 공급하는 팬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판은 그 개방위치에 있어서 통기구보다 크고 부착기판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조리모드로서 마그네트론을 사용하는 렌지조리와 히터를 사용하는 히터조리가 있고, 상기 차열판은 렌지조리시에 개방되고 히터조리시에 폐쇄되어지게 되고,
    또, 부착기판 부분에는 히터조리시에 팬장치에 의한 바람이 부착기판 안쪽면측에 통하도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판은 부착기판에 있어서 전기부품 존재영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KR1019970032949A 1996-07-23 1997-07-16 가열조리기 KR100217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93166A JP2796083B2 (ja) 1996-07-23 1996-07-23 加熱調理器
JP8-193166 1996-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137A KR980010137A (ko) 1998-04-30
KR100217189B1 true KR100217189B1 (ko) 1999-09-01

Family

ID=1630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949A KR100217189B1 (ko) 1996-07-23 1997-07-16 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796083B2 (ko)
KR (1) KR100217189B1 (ko)
CN (1) CN1126913C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137A (ko) 1998-04-30
JP2796083B2 (ja) 1998-09-10
CN1173614A (zh) 1998-02-18
JPH1038283A (ja) 1998-02-13
CN1126913C (zh) 200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02426A1 (en) Microwave oven having a door ventilation system
US5951907A (en) Exhaust structure for ventilation-hooded microwave ovens
KR19980074278A (ko) 전자레인지
KR880000798B1 (ko) 고주파 가열장치
KR100694254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JP3735810B2 (ja) 加熱調理器
KR100402578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217189B1 (ko) 가열조리기
CN112954840B (zh) 烹饪装置
KR200175396Y1 (ko) 붙박이식 전자렌지의 공기흐름 개선구조
KR100560206B1 (ko) 전자레인지
KR100420319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전장부품 냉각구조 및 조리실에어플로 구조
KR100217190B1 (ko) 가열조리기
KR200232523Y1 (ko) 전자레인지 캐비티의 흡배기 구조
KR100395639B1 (ko) 전자렌지
KR19980058169U (ko) 후드겸용 전자렌지
KR100420333B1 (ko)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차폐구조
JPS6143136Y2 (ko)
KR100369820B1 (ko) 전자렌지
KR100369819B1 (ko) 전자렌지
KR100437396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공기유동장치
JPH0477433B2 (ko)
KR200162041Y1 (ko) 전자렌지의 전장품실의 흡입공 구조
KR200189531Y1 (ko) 전자렌지
KR100671839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