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727B1 - 무선 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727B1
KR100238727B1 KR1019970026134A KR19970026134A KR100238727B1 KR 100238727 B1 KR100238727 B1 KR 100238727B1 KR 1019970026134 A KR1019970026134 A KR 1019970026134A KR 19970026134 A KR19970026134 A KR 19970026134A KR 100238727 B1 KR100238727 B1 KR 100238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rmodulation
input
low noise
input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514A (ko
Inventor
박재선
조성원
김홍규
권성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6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727B1/ko
Publication of KR1999000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9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by improving strong signal performance of the receiver when strong unwanted signals are present at the receiver inpu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03G3/3068Circuits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both R.F. and I.F.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H04B1/123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using adaptive balancing or compens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되는 혼변조 왜곡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신신호의 신호대간섭비를 분석하여 상기 간섭신호가 설정 값보다 클 경우 혼변조제어신호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장치에 있어서, 입력노드에 수신되는 신호를 전압분배하는 분배바이어스기와, 상기 입력노드와 상기 분배바이어스기 사이에 연결되는 스위치소자와, 상기 입력노드의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증폭소자로 구성되는 저잡음증폭기를 구비하여, 상기 혼변조제어신호 활성화시 상기 스위치소자가 오프되어 상기 분배 바이어스를 고정 바이어스로 변환하며, 이로인해 상기 증폭소자의 입력 전류를 증가시켜 입력 3차 교차점을 상승시키고, 따라서 상기 증폭소자에 출력되는 간섭신호의 레벨을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시스템의 혼변조제거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removinf intermodul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되는 혼변조 왜곡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원인들 중의 하나가 혼변조 왜곡신호(InterModulation Distortion)에 의한 간섭신호이다. 상기 혼변조 왜곡신호는 수신신호의 대역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신호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간섭신호가 원하는 수신신호 보다 상당히 큰 신호로 나타나면, 원하는 수신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수신감도는 현격히 저하되게 된다. 이런 문제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IS-95 듀얼 모드(dual mode: CDMA & AMPS) 셀룰라 폰(cellular phone)에서 그 영향을 가장 크게 받고 있다. 즉, 예를들면, CDMA 등과 같은 이동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AMPS에 의한 원치않는 간섭신호들 간에 상호 변조(intermodulation)되어 발생되는 3차 혼변조 왜곡신호(3rd order intermodulation distortion level)가 수신하고자 하는 CDMA 대역 내에 발생하고 그 발생된 신호가 CDMA신호 보다 상당히 클 경우, 원하는 CDMA신호의 수신감도는 현격히 저하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저잡음 증폭기113의 전단에 감쇄기112를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상기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듀플렉서(duplexer)111을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는 감쇄기(attenuator)112에 설정된 비율로 감쇄된다. 이때 상기 감쇄기112는 상기 수신 RF신호에 포함된 원치않는 혼변조신호를 감쇄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감쇄된 수신 RF신호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113에서 증폭된 후 RF 대역여파기(Band Pass Filter)114에서 수신 대역으로 여파되며, 혼합기(mixer)에서 발진기115의 출력과 혼합되어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저잡음 증폭기1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RF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정합기211과, 상기 입력정합기211에서 출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13과, 상기 저잡음 증폭된 RF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정합기21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 2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저잡음 증폭기113은 도 3과 같은 구성으로 구체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 1과 같이 감쇄기111을 사용하는 방법은 간섭신호 뿐만 아니라 원하는 수신신호도 같이 감쇄하게 된다. 예를들면, 상기 감쇄기112에서 10dB 감쇄를 하면, 간섭신호가 같은 레벨이라고 가정하는 경우, 상기 간섭신호에 의한 3차 혼변조 왜곡신호 레벨은 30dB 감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혼변조 왜곡신호의 레벨을 30dB 감쇄시키는 경우, 원하는 신호도 10dB 감쇄하게 되므로, 결국 혼변조 왜곡에 의한 영향을 20dB 감소시킬 수 있지만, 원하는 신호도 10dB 감소하게 되므로서, 수신감도도 10dB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종래의 혼변조 왜곡신호 제거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혼변조 왜곡신호의 특성을 살펴보면, f1 및 f2와 같은 간섭신호(two tone interferer)가 수신되면, 능동소자(active element) 즉, 저잡음 증폭기113 등의 비선형 특성에 의해 고조파가 발생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f1 및 f2 뿐만 아니라 2f1-f2, 2f2-f1의 3차 고조파와 기타 여러 차수의 혼변조 왜곡신호들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여러 차수의 혼변조 왜곡신호들 중 3차 성분은 실제 수신하고자 하는 수신신호와 같은 주파수 영역에 존재하므로, 상기 3차 혼변조 왜곡신호 성분이 결국 간섭신호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3차 혼변조 왜곡신호 성분이 크면 클수록 수신 감도는 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현상은 무선통신기기 단말기에서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IS-95 듀얼모드 셀룰라 폰(dual mode cellular phone)에서 그 영향을 가장 크게 받게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쇄기112를 사용하고 있다. 도 5는 상기 3차 혼변조 왜곡신호와 수신신호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혼변조 반응(intermodulation response) 특성 곡선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신호 f1과 f2가 저잡음 증폭기113을 통과하면, 출력이 약 -4.4dBm인 경우 3차 혼변조 왜곡신호의 레벨은 -26dBm이 된다. 이때 2톤 f1 및 f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신호 성분과 같은 주파수 영역이 아니므로, 결국 대역여파기114에서 제거된다. 그러나 3차 혼변조 왜곡신호는 수신신호 대역내에 존재하므로, 상기 대역여파기114에서 제거되지 않는다.
그런데 상기 도 5의 혼변조 반응 특성 곡선에서 알수 있듯이, 수신신호가 1dB 증가함에 따라 상기 3차 혼변조 왜곡신호의 레벨은 3dB씩 증가한다. 그러므로 상기 3차 혼변조 왜곡신호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수신신호를 감소시키면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도 5의 혼변조 반응 특성 곡선에서, 수신신호를 10dB 감소시키면 3차 혼변조 왜곡신호는 30dB 감소되므로, 수신신호에 비하여 3차 혼변조 왜곡신호는 20dB 더 감소되어 3차 혼변조 왜곡신호의 영향을 덜 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저잡음 증폭기113의 전단에 감쇄기112를 연결하여 수신신호를 감소시키는 종래의 혼변조 억압 방법은 상기 3차 혼변조 왜곡신호를 작게 할 수는 있으나, 수신신호 까지 같이 감소되므로 결국 수신감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서 혼변조 왜곡신호의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전류 또는 전압을 제어하여 3차 혼변조 왜곡신호의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에서 저잡음 증폭기 스위치를 구비하며, 간섭신호에 의한 수신감도가 저하될 시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입력 3차 교차점을 크게하므로서 상대적으로 3차 혼변조 왜곡신호의 레벨을 감소시켜, 수신 대역 내에 발생하는 간섭신호의 영항을 작게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수신신호의 신호대간섭비를 분석하여 상기 간섭신호가 설정값보다 클 경우 혼변조제어신호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장치에 있어서, 입력노드에 수신되는 신호를 전압분배하는 분배바이어스기와, 상기 입력노드와 상기 분배바이어스기 사이에 연결되는 스위치소자와, 상기 입력노드의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증폭소자로 구성되는 저잡음증폭기를 구비하여, 상기 혼변조제어신호 활성화시 상기 스위치소자가 오프되어 상기 분배 바이어스를 고정 바이어스로 변환하며, 이로인해 상기 증폭소자의 입력 전류를 증가시켜 입력 3차 교차점을 상승시키고, 따라서 상기 증폭소자에 출력되는 간섭신호의 레벨을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스위칭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소자가 혼변조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분배바이어스 및 입력전류를 증가시키는 고정바이어스가 선택되는 저잡음 증폭기를 구비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 방법에 있어서, 수신신호의 신호대간섭비를 검출하여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과정에서 간섭신호가 설정값보다 클 경우 혼변조제어신호를 활성화시켜 상기 고정바이어스를 선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수신감도 저하시 증폭기의 입력전류를 증가시켜 입력 3차 교차점을 상승시키고, 이로인해 상기 증폭기가 원하는 신호의 감쇄없이 간섭신호의 레벨을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혼변조신호를 제거하는 수신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중 저잡음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혼변조 왜곡신호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혼변조 왜곡신호의 반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혼변조 왜곡신호를 제거하는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a -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저잡음 증폭기의 전류/전압 변환에 따른 IIP3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혼변조 왜곡신호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중 동일한 부품들은 가능한한 어느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차 혼변조 왜곡신호 레벨을 감소시키는 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듀플렉서111은 안테나와 연결되며,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여파하여 상기 안테나에 출력하며, 상기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RF신호를 여파하여 저잡음 증폭기113에 출력한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113는 제어부121의 혼변조 제어신호(이하 IMD제어신호라 칭한다)에 의해 스위칭되며, 혼변조 왜곡신호를 감소시키며 수신신호를 저잡음으로 증폭 출력한다. 대역여파기114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113의 출력을 수신하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 대역으로 여파 출력한다. 혼합기116은 상기 대역여파기114의 출력 및 발진기115의 출력을 수신하며, 두 입력신호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수를 발생한다. 증폭기117은 상기 혼합기116의 출력을 입력하며, 입력되는 중간주파수신호를 증폭 출력한다. 대역여파기118은 상기 증폭기117의 출력을 입력하며, 상기 입력되는 중간주파수에서 주파수 변환하고자 하는 대역의 중간주파수를 여파 출력한다. 상기 대역여파기118은 상기 중간주파수에서 하강 변환(down conversion)된 중간주파수를 여파 출력한다. 복조기119는 상기 대역여파기 118의 출력을 입력하며, 상기 입력신호를 복조(quadrature demodulator)하여 I 및 Q신호로 출력한다. 신호처리부(baseband chip set)120은 상기 복조기119의 출력을 입력하며, 상기 I 및 Q신호를 입력하여 기저대역의 디지털 데이터를 발생하며, 상기 수신신호의 수신전계강도(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 이하 RSSI라 칭한다) 및 신호대간섭비(이하 Ec/Io라 칭한다)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제어부121은 상기 신호처리부120에서 출력하는 RSSI 및 Ec/Io를 입력하며, 상기 RSSI 및 Ec/Io를 분석하여 상기 IMD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IMD제어신호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113에 인가되며, 저잡음 증폭기113은 상기 IMD제어신호에 의해 3차 교차점(3rd order intercept point: 이하 IIP3이라 칭한다)가 제어되어 3차 혼변조 왜곡신호의 레벨을 낮추게 된다.
도 7a -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113의 구성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7a -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잡음 증폭기113은 공통적으로 입력정합기211, 증폭기213 및 출력정합기215로 구성되며, 상기 증폭기213은 내부에 상기 IMD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신호의 전류 또는 전압을 변화시키는 스위치351을 구비한다. 상기 도 7a - 도 7b는 상기 스위치351의 연결 위치에 따른 변형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113의 구성을 살펴보면, 입력정합기211은 듀플렉서111의 출력단과 증폭기213의 입력노드NI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듀플렉서111과 저잡음 증폭기113 간의 신호 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정합기215는 상기 증폭기213의 출력노드NO와 대역여파기114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저잡음 증폭기113과 대역여파기114 간의 신호 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정합기211 및 출력정합기215는 증폭용 트랜지스터313의 특성에 따라 그 구조를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증폭기213의 바이어스회로는 증폭기213의 온도에 대한 안정적인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압 분배 바이어스 또는 액티브 바이어스(active bias) 등을 이용한다.
먼저 상기 저잡음 증폭기113의 구성에서 도 7a와 같은 구성을 갖는 증폭기213의 구성을 살펴보면, 캐패시터311은 전원단Vcc와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며, 전원 잡음 제거 및 AC 접지 기능을 한다. 저항307은 전원단Vcc와 입력노드NI 사이에 연결되고, 저항309는 접지단에 연결된다. 상기 저항307 및 309는 증폭용 트랜지스터313의 바이어스용으로 사용한다. 인덕터315는 상기 전원단Vcc와 출력노드NO 사이에 연결되며, 증폭용 트랜지스터313은 상기 출력노드NO와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어단이 상기 입력노드NI에 연결된다. 그리고 스위치351은 상기 입력노드NI와 상기 저항309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IMD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스위치351이 온되면 상기 저항307 및 309는 입력되는 신호를 분배하는 분배 바이어스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스위치351이 오프되면 상기 저항 307은 고정 바이어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21은 수신감도가 저하되면, 상기 스위치351을 오프시키기 위한 IMD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스위치351이 오프되면, 상기 증폭기213은 전압 분배 바이어스에서 고정 바이어스로 전환된다. 그러면 상기 증폭용 트랜지스터313의 베이스 전극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며, 이로인해 결국 트랜지스터313의 컬렉터 전류가 증가하게 되므로서, 상기 트랜지스터313의 입력 3차 교차점 IIP3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랜지스터313의 IIP3이 증가하면, 증폭기213에 입력되는 신호들 중에서 상기 도 4와 같은 간섭신호 f1 및 f2에 의해 발생되는 3차 혼변조 왜곡신호(2f1-f2, 2f2-f1)의 레벨은 증폭기213의 IIP3 레벨의 높아지는 값 보다 2배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증폭기213에 흐르는 전류를 증가시키므로서, 원하는 신호의 손실없이 간섭신호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상 상태에서 상기 저잡음 증폭기113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기 위하여 작은 Vce 전압 및 작은 Ic 전류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두 번째로 상기 저잡음 증폭기113의 구성에서 도 7b와 같은 구성을 갖는 증폭기213의 구성을 살펴보면, 캐패시터311 및 353은 각각 전원단Vcc와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며, 전원 잡음 제거 및 AC 접지 기능을 한다. 저항352는 상기 캐패시터311과 353 사이에 연결되며, 증폭용 트랜지스터313의 Vce 조정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치351은 상기 저항352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21의 IMD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치 제어된다. 저항307은 전원단Vcc와 입력노드NI 사이에 연결되고, 저항309는 상기 입력노드NI와 접지단에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저항307 및 309는 증폭용 트랜지스터313의 바이어스용으로 사용한다. 인덕터315는 상기 전원단Vcc와 출력노드NO 사이에 연결되며, 증폭용 트랜지스터313은 상기 출력노드NO와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어단이 상기 입력노드NI에 연결된다.
상기 도 7b를 참조하면, 정상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21은 상기 스위치351을 오프시키기 위한 IMD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치351은 오프 상태를 유지하며, 이로인해 상기 트랜지스터313은 입력노드NI에 인가되는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출력한다. 이때 상기 도 4와 같은 간섭신호 f1 및 f2에 의해 발생되는 3차 혼변조 왜곡신호에 의해 수신감도가 저하되면, 상기 제어부121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스위치351은 온시키기 위한 IMD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치351이 온되어 트랜지스터313의 Vce 및 Ic전류를 증가시켜, 상기 간섭신호의 영향을 줄여준다. 물론 상기 Vce 또는 Ic 전류를 증가시킬 경우, 상기 트랜지스터313의 잡음 지수(noise figure)는 증가하지만, 그 증가량이 1-2dB 정도로 간섭신호에 의해 수신감도가 저하되는 것에 비해 무시할 수 있다.
도 8은 Vce 또는 Ic의 변화에 따른 트랜지스터313의 IIP3 특성 곡선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기 Vce 또는 Ic를 증가시킬 경우 트랜지스터313의 IIP3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도 9는 제어부121이 상기 신호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Ec/Io 및 RSSI를 분석하여 수신감도를 측정한 후, 수신감도가 설정 값 보다 낮은 경우 상기 IMD제어신호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 9 및 도 7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변조 제거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제어부121은 411단계에서 상기 신호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Ec/Io를 수신하여 설정값과 비교 분석한다. 이때 상기 Ec/Io가 설정 값 보다 큰 경우에는 IMD 제어가 필요없으므로, 상기 IMD제어신호를 비활성화시킨다. 상기 IMD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도 7a와 같은 저잡음 증폭기113의 스위치351이 온되며, 이런 경우 상기 입력노드NI에 입력되는 신호는 상기 저항307 및 309에 의해 바이어스 조정되어 증폭용 트랜지스터313의 베이스 전극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증폭용 트랜지스터313은 상기 입력노드NI에 인가되는 수신신호를 정상적으로 저잡음 증폭하여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411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Ec/Io가 설정 값 보다 작은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121은 413은 상기 신호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RSSI를 설정값과 비교 분석한다. 여기서 상기 RSSI 값을 분석하는 이유는 상기 Ec/Io가 작은 이유가 RSSI가 작은 상태인지 아니면 간섭신호 Io가 큰 상태인지는 검사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RSSI가 설정 값 보다 큰 경우에는 수신전계가 큰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Ec/Io가 작은 것은 간섭신호가 큰 상태임을 의미하며, 상기 RSSI가 설정 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수신전계가 작이 Ec/Io가 작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413단계에서 상기 RSSI가 설정 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411단계로 되돌아가 Ec/Io의 값을 다시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 413단계에서 RSSI가 설정 값 보다 큰 경우에는 415단계에서 상기 IMD제어신호를 활성화시킨다. 그러면 상기 도 7a와 같은 저잡음 증폭기113에서 스위치351이 오프되며, 이로인해 상기 증폭기213은 전압 분배 바이어스에서 고정 바이어스로 전환된다. 그러면 상기 증폭용 트랜지스터313의 베이스 전극에 공급되는 전류가 증가하며, 이로인해 상기 증폭용 트랜지스터313의 컬렉터 전극의 전류도 증가하게된다. 그러면 상기 증폭용 트랜지스터313의 IIP3가 증가하게 되며, 이로인해 증폭기313은 입력되는 수신 대역내의 3차 혼변조 왜곡신호 레벨이 낮아지게 하면서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증폭기213에 흐르는 전류를 증가시키므로서 수신 대역내의 원하는 신호의 손실 없이 간섭신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장치의 수신단에서 수신신호의 수신전계 강도 및 신호대 간섭신호의 크기를 분석한 후, 큰 간섭신호가 수신될 시 저잡음 증폭기를 고정 바이어스로 변환하여 입력 3차 교차점을 증가시키므로서, 수신 대역의 원하는 신호의 손실 없이 혼변조 왜곡신호를 억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수신신호의 신호대간섭비를 분석하여 상기 간섭신호가 설정 값보다 클 경우 혼변조제어신호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장치에 있어서,
    입력노드에 수신되는 신호를 전압분배하는 분배바이어스기와, 상기 입력노드와 상기 분배바이어스기 사이에 연결되는 스위치소자와, 상기 입력노드의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증폭소자로 구성되는 저잡음증폭기를 구비하여,
    상기 혼변조제어신호 활성화시 상기 스위치소자가 오프되어 상기 분배 바이어스를 고정 바이어스로 변환하며, 이로인해 상기 증폭소자의 입력 전류를 증가시켜 입력 3차 교차점을 상승시키고, 따라서 상기 증폭소자에 출력되는 간섭신호의 레벨을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장치의 혼변조제거장치.
  2. 수신신호의 신호대간섭비를 분석하여 상기 간섭신호가 설정 값보다 클 경우 혼변조제어신호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장치에 있어서,
    입력노드의 신호를 전압 분배하는 분배바이이스기와, 전원단과 상기 입력노드에 분배바이어스기와 병렬 연결되는 스위치소자와, 상기 입력노드의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증폭소자로 구성되는 저잡음증폭기를 구비하여,
    상기 혼변조제어신호 활성화시 상기 스위치소자가 구동되어 상기 증폭소자의 입력 전류를 증가시켜 입력 3차 교차점을 상승시키고, 따라서 상기 증폭소자에 출력되는 간섭신호의 레벨을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장치의 혼변조제거장치.
  3. 무선통신 시스템의 혼변조 제거장치에 있어서,
    입력노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소자를 구비하며, 수신신호를 입력하고 혼변조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치 소자가 스위칭 제어되어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을 원하는 기저대역신호로 하강 변환하는 주파수변환부와,
    상기 주파수변환부의 출력을 복조하며, 상기 수신신호의 신호대간섭비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대간섭비신호를 분석하여 간섭신호가 설정값보다 클 경우 상기 혼변조제어신호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수신감도 저하시 상기 저잡음 증폭기의 스위치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저잡음 증폭기의 입력 3차 교차점을 상승시키므로서, 원하는 신호의 손실없이 간섭신호의 레벨을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잡음 증폭기는;
    전원단과 입력노드 및 상기 입력노드 및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전압분배하는 제1 및 제2저항과,
    상기 입력노드와 제2저항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혼변조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소자와,
    상기 입력노드에 제어단이 연결되어 상기 입력노드의 수신신호를 증폭출력하는 증폭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혼변조제어신호 활성화시 상기 스위치소자가 오프되어 고정 바이어스로 변환하며, 이로인해 상기 입력노드의 전류가 증가하여 상기 증폭소자의 입력 3차 교차점을 상승시켜 원하는 신호의 손실 없이 간섭신호 레벨을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혼변조제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잡음 증폭기는,
    전원단에 연결되며, 증폭용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미터간 전압을 조정하는 제1저항과,
    상기 제1저항과 입력노드 및 상기 입력노드 및 접지단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전압분배하는 제2 및 제3저항과,
    상기 제1저항과 제2저항 사이에 병렬 연결되며 상기 혼변조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소자와,
    상기 입력노드에 제어 전극이 연결되어 상기 입력노드의 수신신호를 증폭출력하는 증폭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상기 혼변조제어신호 활성화시 상기 스위치소자가 온되어 고정바이어스로 변환하며, 이로인해 상기 입력노드의 전류가 증가되어 상기 증폭소자의 입력 3차 교차점을 상승시켜 원하는 신호의 손실 없이 간섭신호 레벨을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혼변조제거장치.
  6. 스위칭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소자가 혼변조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분배바이어스 및 입력전류를 증가시키는 고정바이어스가 선택되는 저잡음 증폭기를 구비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 방법에 있어서,
    수신신호의 신호대간섭비를 검출하여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과정에서 간섭신호가 설정값보다 클 경우 혼변조제어신호를 활성화시켜 상기 고정바이어스를 선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수신감도 저하시 증폭기의 입력전류를 증가시켜 입력 3차 교차점을 상승시키고, 이로인해 상기 증폭기가 원하는 신호의 감쇄없이 간섭신호의 레벨을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방법.
KR1019970026134A 1997-06-20 1997-06-20 무선 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장치 및 방법 KR100238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134A KR100238727B1 (ko) 1997-06-20 1997-06-20 무선 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134A KR100238727B1 (ko) 1997-06-20 1997-06-20 무선 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514A KR19990002514A (ko) 1999-01-15
KR100238727B1 true KR100238727B1 (ko) 2000-01-15

Family

ID=19510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134A KR100238727B1 (ko) 1997-06-20 1997-06-20 무선 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151A (ko) * 1997-07-28 1999-02-25 윤종용 무선통신장치 수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121B1 (ko) * 1999-12-29 200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시스템의 상호변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12212B1 (ko) * 2005-06-07 2006-08-11 블루텍 주식회사 오디오 기기의 주파수 간섭 방지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151A (ko) * 1997-07-28 1999-02-25 윤종용 무선통신장치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514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2404B1 (ko) 혼변조 왜곡 성분을 억압하는 수신장치 및 방법
JP4436387B2 (ja) 受信器の干渉イミュニティを向上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193848B1 (ko) 대역확산통신기에 있어서 수신신호 이득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US9048921B2 (en) Re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472936B1 (en) Low-noise gain switching circuit using tapped inductor
KR100251560B1 (ko) 부호분할 다중 접속방식 단말기의 외부 간섭신호 제거장치
KR20030031377A (ko) 이동통신 단말장치 수신기
KR100238727B1 (ko) 무선 통신시스템의 혼변조 제거장치 및 방법
RU221153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ышения помехоустойчивости
KR100354166B1 (ko) 저잡음 증폭 장치
KR1003033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신호 수신 회로 및 장치
JP3675138B2 (ja) 受信機
KR20010047138A (ko) 부호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의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265429B1 (ko) 아이에프신호자동이득제어회로
KR20000033051A (ko) 듀얼밴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방해주파수 수신신호 감쇄장치
JP2000174650A (ja) 受信機の利得制御方式
JPH08228118A (ja) 自動利得制御回路
CN116886152A (zh) 星载抗干扰测控接收机
KR2000006642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제어방법
KR200165094Y1 (ko) 무선호출 수신기의 상호채널 간섭 제거회로
JP2002009652A (ja) 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JPH09312539A (ja) 受信アッテネータ回路
KR20000044458A (ko)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이나믹레인지 향상을 위한 장치
KR20010073616A (ko)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액티브 소자에 대한 바이어스 조절방법
KR19990012151A (ko) 무선통신장치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