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530B1 -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530B1
KR100238530B1 KR1019970069201A KR19970069201A KR100238530B1 KR 100238530 B1 KR100238530 B1 KR 100238530B1 KR 1019970069201 A KR1019970069201 A KR 1019970069201A KR 19970069201 A KR19970069201 A KR 19970069201A KR 100238530 B1 KR100238530 B1 KR 100238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all request
alarm sound
call
reques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139A (ko
Inventor
김종광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530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휴대전화기에서 통화 대기중, 상대측의 통화요구가 있으면 이를 알리는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진동 및 경보음 발생 기능이 수행되는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통화 상태에서 통화 상대측의 통화요구에 대응하는 음성이 전달되면, 상기 전달되는 음성을 감지한 후, 상기 진동 및 경보음 발생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진동 및 경보음 발생을 중지시키는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진동 및 경보음 발생 기능 수행에 의한 진동 및 경보음 발생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진동 및 경보음 발생 기능을 가진 휴대전화기.

Description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전화기에서 통화 대기중, 상대측의 통화요구가 있으면 이를 알리는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사용자들이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통화 상황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는, 전화통화가 어느 한쪽 통화자의 일방적인 의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통화자 쌍방간에 이루어진다는 전화통화의 특성에 의한 당연한 현상이다. 따라서, 전화기를 제조하거나 개발하는 사람들은 위와 같이 다양하게 존재하는 통화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전화기를 구현하거나 개발한다.
이하 설명될 본 발명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다양한 통화 상황을 대처하는 전화기의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착신자 및 발신자 상호간에 통화를 수행하던 중, 어느 한쪽의 사정에 의해 다른 한쪽에서 통화를 기다려야 하는 경우, 즉, 통화를 하다가 상대방이 다른 전화를 받거나 혹은 잠시 다른 볼일을 급히 보게 되어, 한쪽의 통화자가 통화 상태에서 상대방의 응답을 송수화기를 들고 마냥 기다리는 통화 대기중 상태의 통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더구나, 상기 통화자는 상대방이 응답할 때까지, 즉 통화 요구를 수행할 때까지 송수화기를 계속 귀에 대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만 하였다.
특히, 요즘과 같이 휴대전화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는 경우, 휴대전화기가 가지는 무게에 의한 불편함뿐만 아니라 통화 요구를 기다리는 시간의 허비는 통화자에게 많은 피해를 가져다주었다.
따라서, 휴대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로부터 통화중 상대방의 통화 요구를 기다리는 통화 대기 상태에 의한 피해를 해소하고자 하는 많은 요구가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전화기에서 통화 대기중, 상대측의 통화요구가 있으면 이를 알리는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동시에, 본 발명은 통화 상태에서 발생하는 통화 대기에 의한 휴대전화기 사용자의 시간낭비 및 휴대전화기를 계속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설정키가 입력되면, 통화요구 기능 및 상기 통화요구 기능 수행에 따라 경보음이나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동작 상태를 설정하고, 통화 상태에서 통화 대기중, 통화요구 기능 동작키가 입력되면, 상대측에서 송신되는 음성신호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설정된 동작 상태에 의한 경보음이나 진동이 발생되어 사용자가 상대측으로부터 통화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휴대전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통화요구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들의 각 구성요소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과감히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전화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제어부100과 메모리110과 키입력부120과 표시부130과 무선송수신부140과 증폭부150과 출력증폭부160과 스피커161과 마이크171과 진동발생부190과 경보음발생부180과 음성신호감지부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100은 상기 휴대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0은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ocessor)로서, 내부에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과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00의 내부 램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통화요구 기능에 관련된 프로그램데이터의 처리 영역이 할당되어 있다. 메모리110은 휴대전화기에서 정전시에도 유지되어야 할 데이터들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입력부120은 각종 기능 및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들과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으로 출력한다. 또한, 키입력부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요구 기능 설정키 및 통화요구 기능 동작키, 진동 및 경보음 발생 정지키를 구비하며, 이는 기존 키를 통해 구현되거나 토글 동작을 수행하는 키로 구현된다. 표시부130은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무선송수신부140은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부150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증폭부150으로부터 음성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 받아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증폭부150은 무선송수신부140으로부터 전송된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제어부100과 출력증폭부160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증폭부150은 제어부100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와 마이크171을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무선송수신부140으로 출력한다. 출력증폭부160은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무선송수신부140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61로 출력한다. 스피커161은 휴대전화기의 수화부에 해당되며, 마이크171은 휴대전화기의 송화부에 해당된다. 한편, 입력증폭부170은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마이크17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부150을 통해 무선송수신부140으로 전송한다. 경보음발생부180은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부저소리와 같은 경보음을 발생하고, 진동발생부190은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휴대전화기가 진동되도록 하는 진동을 발생한다. 상기 진동발생부190은 기존 페이져나 기존 휴대전화기의 진동발생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한다. 음성신호감지부200은 상기 무선송수신부140에 수신되어 상기 증폭부150을 통해 증폭된 신호중, 음성신호만을 검출하여 감지하고, 음성신호 감지되면, 이의 사실을 제어부100으로 알린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도 1의 구성 설명에서 언급된 통화요구 기능 설정키의 입력에 따라 설정된 통화요구 기능 설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00은 대기상태인 210단계에서 키입력부120으로부터 사용자가 누른 키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키데이터를 입력받는다. 220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키데이터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요구 기능 설정키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통화요구 기능 설정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00은 상기 210단계 동작을 재수행한다. 상기 220단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요구 기능 설정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0은 230단계에서 진동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230단계에서 진동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240단계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시 진동이 발생하도록 진동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240단계에서 설정된 진동모드 상태는, 250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다. 상기 230단계에서 진동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232단계에서 경보음 발생 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232단계에서 경보음 발생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234단계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시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하는 경보음 발생 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234단계에서 설정된 경보음 발생 모드 상태는, 250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다. 상기 232단계에서 경보음 발생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236단계에서 진동과 경보음 동시 발생 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236단계에서 진동 및 경보음 동시 발생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238단계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시 진동 및 경보음이 동시에 발생하도록 하는 진동 및 경보음 동시 발생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238단계에서 설정된 진동 및 경보음 동시 발생 모드 상태는, 250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다. 상기 236단계에서 진동 및 경보음 동시 발생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230단계를 되풀이 수행한다.
한편, 상기 진동 모드 및 경보음 발생 모드는, 앞서 도 1에서 설명된 진동발생부190 및 경보음발생부180을 통해 진동 및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통화중 상기 도 2에 나타난 통화요구 기능 설정 상태에 따라 진동 및 경보음을 발생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310단계의 대기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320단계에서 통화중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320단계에서 통화중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320단계에서 키입력부120으로부터 사용자가 누른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전송 받고, 330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키데이터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요구 기능 동작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통화요구 기능 동작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00은 400단계에서 정상적인 통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제어부100은 상기 330단계에서 통화요구 기능 동작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340단계에서 진동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도 2의 설정 과정서 진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340단계에서 진동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은 350단계에서 음성신호감지모드로 진입하도록 한다. 제어부100은 360단계에서 음성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무선송수신부140에 상대측의 음성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감지한다. 제어부100은 상기 360단계에서 음성신호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370단계에서 상기 진동발생부190을 통해 진동을 발생시킨다. 만일 상기 340단계에서 진동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342단계에서 경보음 발생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342단계에서 경보음 발생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350단계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344단계에서 음성신호감지모드로 진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360단계의 동작 수행과 동일하게 346단계에서 음성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346단계에서 음성신호가 감지되면, 348단계에서 상기 경보음발생부180을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00은 상기 342단계에서 경보음 발생 모드도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352단계에서 진동 및 경보음 동시 발생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352단계에서 진동 및 경보음 동시 발생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354단계에서 음성신호감지모드로 진입하도록 한다. 상기 352단계에서 진동 및 경보음 발생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400단계에서 정상적인 통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356단계에서 음성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이 또한 상기 360단계 및 346단계의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 356단계에서 음성신호가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358단계에서 상기 진동발생부190과 경보음발생부180이 동시에 동작하여 진동 및 경보음이 동시에 발생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350단계, 344단계, 354단계의 음성신호감지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은, 상기 음성신호감지부200에 상기 무선송수신부140을 통해 수신되어 증폭부150으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신호 및 데이터에 음성신호가 있는지를 감지하는 동작에 의해 수행된다. 제어부100은 상기 370단계, 상기 348단계, 상기 358단계의 동작이 수행중, 380단계에서 진동이나 경보음 발생을 사용자가 중지시키는 진동 및 경보음 정지 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380단계에서 상가 진동 및 경보음 정지키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은 390단계에서 상기 도 2의 과정에서 설정된 통화요구 기능 설정을 해제 하도록 한다. 그리고 400단계에서 정상적인 통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실제 사용 일예를 통해 다시한번 설명하면, 발신자와 착신자가 통화를 수행하던 중, 발신자가 다른 정화를 급히 받아야 하거나 급한 일로 잠시 통화를 중지해야 하는 경우, 상기 착신자는 전화를 끊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착신자는 통화요구기능 설정키를 누른 후, 진동모드 혹은 경보음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착신자는 전화기를 내려놓는다. 한편, 상기 발신자가 급한 통화나 볼일을 끝내고, 상기 착신자와 통화를 지속하기 위해 상기 착신자를 음성으로 통화요구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신자의 통화요구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음성신호를 감지하여, 이전에 상기 착신자가 설정한 진동모드 및 경보음발생모드에 의해 진동이나 경보음이 발생하게된다. 이때 착신자는 전화기가 진동되거나 경보음이 발생하는 것을 보고 발신자가 통화를 요구하고 있음을 인지 하게된다. 따라서 잠시 내려놓았던 전화기를 다시 들어 통화를 재수행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전화기의 일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응용 상태에 따라, 다른 전화기에서도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진동이나 경보음 발생외에 빛을 발하는 발광소자를 통한 통화요구 기능 수행이나 별도로 저장된 음악, 목소리 등으로도 대체하여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성신호감지부는 음성센서나 음성신호를 검출하는 IC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중 여러 요인에 의해 통화대기를 하여야 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전화기를 계속 들고 기다리는 문제를 해소한다.
또한, 통화대기중에도 자유로운 자세로 있을 수있으며, 휴대전화기의 경우 손에 쥐고 있거나 주머니에 넣어두더라도, 상대측의 통화요구를 즉시 알 수 있으므로, 사용상에 편리함이 증대된다.
그리고, 주변 상황에 따라 진동모드 및 경보음발생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이점 또한 가진다.

Claims (8)

  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와,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저장부와,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음성신호감지부와, 통화요구 기능 설정에 대응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는 통화요구 기능 설정키와, 통화요구 기능 수행에 대응하는 키데이터가 발생하는 통화요구기능 동작키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구현 방법에 있어서,
    통화요구 기능 설정키가 입력되면, 발신측으로부터 음성신호가 감지되면 소정 신호를 출력하는 통화요구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통화요구 기능 설정에 따라 츨력되는 신호를 진동 또는 경보음으로 발생할 것 인지 여부를 선택하여 설정하고, 통화수행시, 상기 통화요구 기능 동작키가 입력된 후, 발신측의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신호감지부에 감지되면, 상기 설정된 진동 또는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및 경보음 발생시 이를 중지하도록 하는 키데이터가 발생하는 진동 및 경보음 발생 정지키를 더 구비시켜, 진동 혹은 경보음이 발생되는 동안, 상기 진동 및 발생 정지키가 입력되면, 상기 진동 혹은 경보음 발생 동작을 중지시킴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혹은 경보음 발생 동작이 중지되면, 상기 통화요구 기능 설정을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진동 및 경보음 동시에 발생 여부 설정 과정을 더부가하여, 통화 수행중, 상기 통화요구 기능 동작키가 입력되고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신호감지부에 감지되면, 진동 및 경보음이 동시에 발생되도록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기에 발광소자를 구비시키고, 상기 발광소자를 통한 발광이 발생 여부 설정 과정을 더 부가하여, 통화 수행중, 상기 통화요구 기능 동작키가 입력되고,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신호감지부에 감지되면, 상기 발광소자가 발광되도록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6. 진동 및 경보음 발생 기능이 구현되며, 입력되는 통화 상대측의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음성신호감지부와, 미리정의된 키입력데이터가 발생하는 제1기능키 및 제2기능키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기능키가 입력됨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기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휴대전화기에 입력되는 통화 상대측의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신호감지부를 통해 감지하는 과정과,
    음성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휴대전화기에 구현된 진동 및 경보음이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2기능키가 입력되면, 상기 진동 및 경보음 발생이 중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되는 진동 및 경보음은, 미리 약정된 순서에 의해 진동 또는 경보음이 택일되어 선택되고, 선택된 진동 이나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처리하는 과정이 더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8. 진동 및 경보음 발생 기능이 수행되는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상태에서 통화 상대측의 통화요구에 대응하는 음성이 전달되면, 상기 전달되는 음성을 감지한 후, 상기 진동 및 경보음 발생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진동 및 경보음 발생을 중지시키는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진동 및 경보음 발생 기능 수행에 의한 진동 및 경보음 발생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KR1019970069201A 1997-12-16 1997-12-16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KR100238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201A KR100238530B1 (ko) 1997-12-16 1997-12-16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201A KR100238530B1 (ko) 1997-12-16 1997-12-16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139A KR19990050139A (ko) 1999-07-05
KR100238530B1 true KR100238530B1 (ko) 2000-01-15

Family

ID=19527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201A KR100238530B1 (ko) 1997-12-16 1997-12-16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5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139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20943A (ja) ノイズの大きい環境における電話機の拡張された使用
EP0927484B1 (en) On hold call waiting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US8848930B2 (en) Adaptive ring level
KR20010056261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호의 선택적 착신 및 거부 방법
KR100233169B1 (ko) 휴대폰에서 배경음악 송출 방법
KR100557619B1 (ko) 이동 전화기의 상대방 수신 경보 방법
KR100238530B1 (ko) 휴대전화기에서 통화요구 기능 수행 방법
US7499725B2 (en) Mobile terminal having recording function
GB2340338A (en) A telephone arranged to generate a waiting message
JP3667087B2 (ja) 携帯電話端末の制御方法
KR100406252B1 (ko) 착신 기능 비활성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비활성화 방법
JP2005020435A (ja) 拡声機能付き移動電話機、拡声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584362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상태 뮤트방법
KR100320303B1 (ko) 셀룰라폰의발신자메세지저장방법
KR100277069B1 (ko) 전화기에서 통화자 호출 방법
JP2001251672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携帯電話装置の通話方式
JP3148598B2 (ja) 携帯無線電話機の呼び出し装置
KR100797485B1 (ko) 일시정지기능을 가진 휴대폰
JPH04368027A (ja) 携帯電話機
KR20040083616A (ko) 호의 착신 확인 방법
JPH11187459A (ja) 携帯用電話機
JP2009049736A (ja) 携帯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装置、着信通知方法および着信通知プログラム
GB2409605A (en) Notification at calling terminal of called party answering call
JPH11252647A (ja) 携帯電話機の強制着信方法および強制着信型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