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207B1 - 이득선택장치 - Google Patents

이득선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207B1
KR100238207B1 KR1019960046331A KR19960046331A KR100238207B1 KR 100238207 B1 KR100238207 B1 KR 100238207B1 KR 1019960046331 A KR1019960046331 A KR 1019960046331A KR 19960046331 A KR19960046331 A KR 19960046331A KR 100238207 B1 KR100238207 B1 KR 100238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operational amplifier
output terminal
inpu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532A (ko
Inventor
이금묵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6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207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득 선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기록매체를 갖는 복합 제품에서 입력 신호의 차를 보상해 주기 위한 이득 선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득 선택 장치는 복수의 입력 신호를 조합하여 이득 제어 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이득으로 증폭하는 증폭 수단 및 기록매체의 종류 및 각 모드에 대응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서 이득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폭 수단은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데, 연산 증폭기의 제1입력 단자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고, 가산하고자 하는 상기 입력 신호들은 각각 저항 소자를 통하여 상기 연산 증폭기의 제2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 단자는 각각 저항 소자를 통하여 상기 이득 제어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칭 수단의 입(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입)력 단자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매체의 종류 및 모드에 따라서 이득값을 다르게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형태의 기록매체를 하나의 제품에서 호환성 있게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득 선택 장치{Gain sel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이득 선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기록매체를 갖는 복합 제품에서 입력 신호의 차를 보상해 주기 위한 이득 선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픽업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픽업 장치를 통해 출력된 신호의 크기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신호의 사용 용도에 따라서도 증폭도에 차이를 갖게 할 필요가 있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씨디 롬(CD-ROM)을 하나의 재생 장치에서 광 픽업하여 신호 처리하기 위해서는 디스크의 종류별로 증폭도를 다르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로는 이러한 여러 종류의 광자기 기록매체를 하나의 재생 장치에 의하여 재생시킬 수 있는 장치에서 픽업에 의해 검출된 신호의 이득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크 종류별 또는 모드 별 신호의 증폭도를 차등적으로 설정하는 이득 선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득 선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산기의 세부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2증폭기의 세부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3증폭기의 세부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어 수단의 세부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어 수단의 논리 상태표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득 선택 장치는 복수의 입력 신호를 조합하여 이득 제어 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이득으로 증폭하는 증폭 수단 및 기록매체의 종류 및 각 모드에 대응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서 이득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 신호는 광자기 디스크에서 복수 개의 포토 다이오드로 검출한 광신호에 상응하는 전압 신호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폭 수단은 복수 개의 연산 증폭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산 증폭기는 상기 이득 제어 신호에 따라서 이득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 개의 스위칭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산 증폭기의 제1입력 단자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고, 가산하고자 하는 상기 입력 신호들은 각각 저항 소자를 통하여 상기 연산 증폭기의 제2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 단자는 각각 저항 소자를 통하여 상기 이득 제어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칭 수단의 입(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입)력 단자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 수단은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랜지스터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수단은 논리 게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들을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위칭 수단을 도통시키는 상기 이득 제어 신호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와 콤팩트 디스크를 호환성 있게 재생시킬 수 있는 복합 제품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득 선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득 선택 장치는 입력 신호를 선택된 이득 제어 신호에 따라서 증폭하기 위한 증폭 수단(210) 및 증폭도를 선택하기 위한 이득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수단(2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증폭 수단(210)은 제1증폭기(21), 제2증폭기(22), 제3증폭기(23) 및 가산기(24)로 구성된다.
우선 도 1의 블록도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입력 신호(A∼F)는 재생시 광자기 디스크의 픽업 장치의 6개의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검출된 광신호에 비례하는 전압 성분의 신호이다.
스위칭 신호인 MSW1은 디스크의 종류를 구분한다. 예를 들면 재생 디스크가 DVD(Digital Video Disk)이면 "H", CD-ROM이면 "L" 상태가 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MSW2는 디스크의 층을 구분한다. 즉, 단면 DVD이면 "L", 양면 DVD이면 "H" 상태가 되도록 설정한다. 이와 더불어 스위칭 신호 GSW1, GSW2는 DVD, CD-ROM의 각 모드에 대응하여 이득값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스위칭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이득을 선택하여 출력 신호인 PDSUM, PDO1, PDO2, PDO3, PDO4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출력 신호 PDSUM은 신호 처리 시에 사용되는 신호이고, 출력 PD01, PD02는 CD-ROM 또는 DVD 재생시 포커스 에러 검출의 입력신호가 되고, DVD 트랙킹 에러 검출 기능의 입력신호로 사용된다.
그리고 CD-ROM 재생 시에는 출력 PDO3과 PDO4의 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트랙킹 에러를 검출하는데 사용한다.
본 발명의 세부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폭 수단(210)은 제1증폭기(21), 제2증폭기(22), 제3증폭기(23) 및 가산기(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증폭기(21)는 도 4에 도시된 회로도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연산 증폭기(A2)의 반전 입력 단자에 PD1,3 및 PD2,4의 입력 신호가 인가되고, 연산 증폭기(A2)의 출력 단자와 연산 증폭기(A2)의 반전 입력 단자는 병렬로 저항 R45∼R48과 스위칭을 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Q41∼Q44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득 제어 신호 SWO1∼SWO4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Q41∼Q44가 도통 또는 차단된다.
예를 들어 PD1,2의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SWO1만 "H" 상태이고, 나머지 SWO2∼SWO4는 "L" 상태이면 Q41만 도통되고 나머지 Q42∼Q44는 차단 상태가 된다. 따라서 연산 증폭기(A2)의 이득은 R41, R42 및 R45의 저항값에 따라서 결정된다. 즉, 이 때의 이득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된다.
-[(R45/R41)×VPD1] + [(R45/R42)×VPD2]
다른 예로서, SWO2만 "H" 상태이면 이득은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된다.
-[(R46/R41)×VPD1] + [(R46/R42)×VPD2]
따라서 연산 증폭기(A2)의 이득은 저항 R45∼R48의 값을 각각 달리하면 이득 제어 신호 SWO1∼SW04에 따라서 원하는 이득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제3증폭기(23) 또한 위에서 설명한 제2증폭기(22)와 동일한 원리로 동작된다.
도 3의 가산기(24)는 입력 신호 PDO1과 PDO2가 동시에 입력될 때 PDO1과 PDO2의 신호가 합하여 지고 R31, R32 및 R34의 값에 따라서 이득이 결정된다.
다음으로 제어부(220)의 세부 회로인 도 6의 동작을 도 7의 논리 상태표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스위칭 신호 MSW1은 재생되는 디스크의 종류가 DVD이면 "L", CD-ROM이면 "H" 상태의 논리값을 갖는다. 그리고 MSW2는 단면 디스크이면 "L", 양면 디스크이면 "H" 상태를 갖게 설정한다. 그리고 DVD 모드의 종류에 따라서 GSW1의 논리 상태를, CD-R0M의 모드에 따라서 GSW2가 논리 상태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DVDS 상태 즉, 재생되는 디스크가 단면의 DVD인 경우에는 스위칭 신호 MSW1, MSW2의 논리 상태가 모두 "L"가 된다. 따라서 도 6의 논리 회로에서 이득 제어 신호 SWO1만 "H" 상태가 되고 나머지 출력 SWO2∼SW04는 모두 "L"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 4에서 Q41만이 도통된다. 그리고 만일 R41과 R45의 저항값을 동일하게 하면 증폭도는 1이된다. 즉, 이득은 0㏈를 갖게된다.
또 다른 예로 링 타입으로 CD를 재생시키는 경우, MSW1과 GSW2의 논리 상태는 모두 "H"로 설정된다.
그러면 도 6의 논리 회로도에서 SWO4만 "H" 상태로 출력된다. 따라서 이 이득 제어 신호는 도 4에서 Q44를 도통시켜 R41 및 R42와 R48의 저항값에 의하여 이득이 결정된다. 그리고 도 5에서는 Q52만이 도통되어 R51 및 R52와 R55의 저항값에 의하여 이득이 결정된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하여 재생되는 기록매체의 종류 및 재생 모드에 따라서 각기 다른 이득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픽업의 종류 및 모드에 따라서 이득값을 다르게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형태의 기록매체를 하나의 제품에서 호환성 있게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복수의 기록매체를 재생시키는 재생장치의 이득 선택 장치에 있어서,재생하는 기록매체의 종류 및 사양을 결정하는 복수의 스위칭신호들을 논리 게이트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재생장치에 적합한 이득값을 발생시키기 위한 이득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 및
    복수의 연산 증폭기 및 스위칭 수단의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산 증폭기의 제1입력 단자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기록매체에서 픽업되는 신호들은 각각 저항 소자를 통하여 상기 연산 증폭기의 제2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 단자는 각각 저항 소자를 통하여 상기 이득 제어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상기 스위칭 수단의 입(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입)력 단자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증폭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선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선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선택 장치.
KR1019960046331A 1996-10-16 1996-10-16 이득선택장치 KR100238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331A KR100238207B1 (ko) 1996-10-16 1996-10-16 이득선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331A KR100238207B1 (ko) 1996-10-16 1996-10-16 이득선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532A KR19980027532A (ko) 1998-07-15
KR100238207B1 true KR100238207B1 (ko) 2000-01-15

Family

ID=1947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331A KR100238207B1 (ko) 1996-10-16 1996-10-16 이득선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2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073B1 (ko) * 2001-01-05 200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의 광검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707A (ko) * 1985-07-05 1987-03-17 지. 어빈 로버트 회로의 응답과 이득을 독립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연산증폭기
KR900003859A (ko) * 1988-08-23 1990-03-27 안시환 영상녹화 재생기기의 영상신호 입출력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707A (ko) * 1985-07-05 1987-03-17 지. 어빈 로버트 회로의 응답과 이득을 독립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연산증폭기
KR900003859A (ko) * 1988-08-23 1990-03-27 안시환 영상녹화 재생기기의 영상신호 입출력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532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49729B2 (ja) 磁気記録再生回路
JP2889803B2 (ja) レベル設定回路
KR100238207B1 (ko) 이득선택장치
EP0834873B1 (en) Recording or playback device for optical information carriers having a servo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treating error signals in such a device
KR930003079A (ko) 광 기록 재생 시스템의 스핀들 모터 제어회로
KR100432601B1 (ko) 오디오와 비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장치
JP4566893B2 (ja) 受光増幅回路、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260435B1 (ko) 광디스크디펙존재시서보보상방법및장치
US5337201A (en) Information signal output apparatus with amplitude control having selected speed response
KR100243163B1 (ko) 광디스크 재생장치
JPH0614268Y2 (ja) 特性可変増幅回路
JPS61158042A (ja) トラツキング制御回路
JPH1128331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0142292B1 (ko) 콤팩트디스크롬(cdrom)의 잡음제거장치
JPH06274890A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230229B1 (ko) 광디스크장치의 재생신호증폭기
JP3439125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トラック飛び検出回路
KR100990101B1 (ko) 포커스 에러신호의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
KR20030067250A (ko) 기록 매체의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방법
JP2907776B2 (ja) 再生信号増幅装置及び中心値信号生成回路
TWI296409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beam power output levels in optical drive
KR19980010628U (ko) 오토 체인저 시스템에서 재생되는 cd의 종류에 따른 재생 속도 지원 장치
JPH02113437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サーボagc回路
KR960011877A (ko) 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포커싱 서보회로
KR19990070108A (ko)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서보 아날로그 입력단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