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107B1 -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107B1
KR100238107B1 KR1019970081961A KR19970081961A KR100238107B1 KR 100238107 B1 KR100238107 B1 KR 100238107B1 KR 1019970081961 A KR1019970081961 A KR 1019970081961A KR 19970081961 A KR19970081961 A KR 19970081961A KR 100238107 B1 KR100238107 B1 KR 100238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odium
parts
pulp
dissoc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1677A (ko
Inventor
박광만
이종필
윤건영
최병학
Original Assignee
차동천
한솔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동천, 한솔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차동천
Priority to KR1019970081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107B1/ko
Publication of KR19990061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5/00Other processes for obtaining cellulose, e.g. cooking cotton linters ;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cellulose-containing starting materials
    • D21C5/02Working-up wast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9/00After-treatment of cellulose pulp, e.g. of wood pulp, or cotton linters ; Treatment of dilute or dewatered pulp or process improvement taking place after obtaining the raw cellulosic material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D21C9/10Bleaching ;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펄프 제조를 위한 해리공정에서 일반적으로 탈묵제와 함께 과산화수소와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방알코올 탈묵제와 함께 아황산나트륨(Na2SO3) 또는 중아황산나트륨(NaHSO3), 그리고 차아황산나트륨(Na2S2O4)을 사용하여 알칼리 영역이 아닌 중성 영역에서 해리시킴으로써 펄프의 황변 현상에 의하여 백색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펄프 제조를 위한 해리공정에서 일반적으로 탈묵제와 함께 과산화수소와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방알코올 탈묵제와 함께 아황산나트륨(Na2SO3) 또는 중아황산나트륨(NaHSO3), 그리고 차아황산나트륨(Na2S2O4)을 사용하여 알칼리 영역이 아닌 중성 영역에서 해리시킴으로써 펄프의 황변 현상에 의하여 백색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 자원보호의 관점에서 재생펄프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데, 재생펄프의 제조공정은 일반적으로 해리, 조선, 탈묵, 정선, 농축 및 숙성의 6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공정은 고지를 펄퍼에서 약품과 기계적 작용으로 처리하여 섬유상으로 분리하는 해리공정으로서, 인쇄잉크를 섬유에서 박리·분산하며, 계면활성제인 탈묵제를 투입하는 공정이다. 제 2 공정은 고지에 함유된 철편, 돌, 플라스틱 등 큰 이물질을 클리너 등의 설비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조선공정이다. 제 3 공정은 섬유에서 박리분산된 잉크를 부상처리기, 세정기를 이용하여 계외로 제거하는 탈묵공정이다. 제 4 공정은 펄프에 함유된 점착성 물질, 큰 잉크입자 같은 미세 이물질을 스크린과 클리너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정선공정이다. 제 5 공정은 표백효율을 증대하기 위하여 펄프농도를 1 ∼ 30%로 압착농축하는 농축공정으로서 폴리디스크필터와 스크류 프레스 등을 사용한다. 제 6 공정은 백색도 상승을 목적으로 주로 과산화수소와 규산나트륨과 같은 표백약품을 이용하여 고온에서 섬유의 발색단을 제거하는 숙성공정이다.
수산화나트륨, 탈묵제 등 펄핑시 투입되는 약품, 펄핑농도, 펄핑시 수소이온 농도 및 기계적 교반 등에 의하여 고지에서 박리되는 잉크의 크기에 따라서 제거될 수 있는 잉크의 양이 달라진다. 탈묵에 사용되는 약품은 해리시 잉크의 박리 향상 목적으로 사용되는 수산화나트륨과 계면활성제와 박리된 잉크를 계외로 제거하는 탈묵제 및 재생 펄프의 품질 즉, 백색도 향상을 위한 표백제가 있다. 잉크의 박리 목적으로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함으로서 해리시 pH는 알칼리 영역이며, 이로 인하여 펄프의 황변 현상에 의하여 백색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해리공정시 섬유에서 박리된 잉크는 탈묵공정에서 사용되는 부상처리기에서 제거되는데, 이때 유입되는 기포의 양, 크기 등에 의하여 탈묵효율이 좌우되고 기포에 부착되는 잉크의 크기 및 펄핑시 투입되는 탈묵제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주된 잉크제거 공정인 부상처리 공정에서 효율적으로 제거가능한 잉크의 크기는 20 ∼ 100 ㎛인데 비하여, 신문고지 탈묵시 펄핑후의 잉크 크기는 0.1 ∼ 100 ㎛정도로 다양하여 작은 잉크입자들은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상기의 재생펄프의 제조공정 중 탈묵제는 펄핑시 섬유에서 잉크를 박리하고 분산시켜 탈묵공정시 사용되는 부상처리기에서 기포와 함께 잉크를 포집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실제로 펄핑과정에 탈묵제를 투입하면, 계면장력의 차이로 인한 잉크에 대한 침투도의 차이에 의하여 동일한 고지를 사용하여도 다른 크기의 잉크로 박리되어 백색도 차이가 발생한다. 특히, 최근에는 인쇄방식이 신문용지의 경우는 옵셋잉크 인쇄방식으로, 그리고 복사지 등은 용융잉크 인쇄방식으로 전환되면서 섬유로부터 잉크의 박리가 어려워 난탈묵고지의 증가로 고지 품질은 악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잉크의 박리성이 우수하고 탈묵효율이 우수한 새로운 재생펄프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재생펄프의 제조시 해리에 사용되는 약품으로는 잉크의 바인더를 검화, 박리하기 위한 수산화나트륨과 계면활성제, 수산화나트륨에 의한 황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과산화수소, 그리고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억제, 안정화시키는 규산나트륨과 금속이온봉쇄제가 있다.
해리시 수산화나트륨의 역할은 잉크 바인더의 검화와 섬유의 팽윤성을 유도하여 섬유로부터 잉크의 박리를 촉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리그닌 내의 발색단이 형성되어 펄프의 백색도가 하락하는 황변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여 백색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많은 재생펄프 공장에서는 과산화수소를 사용하고 있거나 해리의 중성 영역으로의 유도를 시도하였지만, 고지의 중성 해리는 섬유의 팽윤성 하락으로 다량의 미해리물이 발생하고 섬유에서 잉크의 박리가 불량한 단점이 있어 상업화가 곤란하였다.
해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약품은 주로 잉크의 박리, 분산이 주목적이며, 이때 사용되는 수산화나트륨에 의하여 재생 펄프는 일반적으로 알칼리 공정으로 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계면활성제인 탈묵제도 알칼리 영역에 적합한 지방산 형태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표백 방법도 알칼리 영역에서 효율이 높은 과산화수소가 이용되고 있다.
알칼리 공정과 대비하여 중성 공정은 섬유의 팽윤성 부족으로 미해리물이 다량 발생되고, 잉크의 박리가 불량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초기 백색도가 높고, 점착성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고, 폐수의 부하가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현재까지는 수산화나트륨을 대체할 약품의 발견이 실현되지 않아 중성 공정에 의한 재생펄프의 생산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종래의 재생펄프의 제조를 위한 해리공정에서 수산화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대체약품 개발에 주력하였고, 그 결과 수산화나트륨 대신에 아황산나트륨 또는 중아황산나트륨으로 대체 사용함으로써 알칼리 영역이 아닌 중성 영역에서 해리공정을 수행하여 초기의 백색도를 상승시키고, 이로써 과산화수소가 아닌 차아황산나트륨에 의한 표백에 의해서도 동등 이상의 품질을 얻을 수 있음을 알게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해리공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온 수산화나트륨과 과산화수소의 사용을 배제하고 대신에 아황산나트륨 또는 중아황산나트륨, 그리고 차아황산나트륨을 대체 사용하여 생산비용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산화나트륨, 탈묵제 및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해리과정에 있어서, 상기 해리과정에서는 수산화나트륨을 대신하여 아황산나트륨(Na2SO3), 중아황산나트륨(NaHSO3)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과산화수소를 대신하여 차아황산나트륨(Na2S2O4)을 사용하는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특징은 아황산나트륨 또는 중아황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섬유의 팽윤성을 증가시키고, 탈묵제로서 잉크의 박리성이 우수한 지방알코올을 사용하여 중성영역에서 해리함으로써 백색도를 증가시키고, 기존의 후단 표백제로 과산화수소를 대신에 차아황산나트륨을 해리시 동시에 투입함으로써 재생펄프의 생산 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재생펄프의 제조방법 중 해리공정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리공정에서는 신문고지, 잡지고지, 백상고지, 색상 백상고지, 복사용지 등의 재생고지의 펄퍼에 화학약품 및 탈묵제를 첨가하여 해리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특징적으로 화학약품으로서 종래에 사용되던 수산화나트륨을 대신하여 아황산나트륨 또는 중아황산나트륨을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고, 과산화수소에 의한 표백 대신에 차아황산나트륨을 사용한다.
인쇄잉크를 섬유로부터 박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아황산나트륨, 중아황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섬유의 팽윤성을 증가시키는 능력이 탁월하여 수산화나트륨을 대신하여 사용하여도 동등한 효과를 얻게된다. 특히, 이들은 pH가 비교적 낮아 해리공정이 중성영역(pH 5.0 ∼ 8.0)에서 수행되므로 강알칼리에 의한 황변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초기 백색도를 상승시키며, 탈묵제로서 함께 사용된 지방알코올에 의해 고도의 인쇄잉크 박리 및 분산이 가능하다. 해리공정에서의 아황산나트륨, 중아황산나트륨은 재생고지의 펄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3.0 중량부 사용한다. 만약 그 사용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섬유의 팽윤성이 증가하지 못하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고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탈묵제로는 지방산, 지방산 비누, 지방산 유도체, 지방알코올유도체 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발포성, 포집성, 파포성에 차이점이 있으므로 적당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탈묵제로서 특히 지방알코올을 사용하는 바, 이는 중성영역에서의 잉크 박리성이 탁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방알코올 탈묵제는 재생고지의 펄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1.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백색도 상승을 목적으로 사용하던 과산화수소 대신에 차아황산나트륨을 사용함으로써 고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표백제로 사용하는 차아황산나트륨은 재생고지의 펄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2.0 중량부를 사용하되, 상기 탈묵제와 함께 사용한다. 만일 그 사용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백색도 상승효과가 없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백색도는 상승하는 대신 고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해리과정에서 킬레이트제를 재생고지의 펄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하로 투입하여 가수분해 촉매역할을 하는 중금속이온을 제거 및 봉쇄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킬레이트제로는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황산마그네슘, 규산나트륨 등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신문고지 100 중량부를 사용하고, 해리공정시 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차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올레익알코올(에틸렌옥사이드 20 ㏖%, 프로필렌옥사이드 10 ㏖% 함유) 1.0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 및 규산나트륨 1.0 중량부를 투입하고, 15% 지료농도에서 5분간 고농도해리기(대일기공사, 헬리코형태)를 사용하여 해리한 후 백색도와 미해리물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해리공정시 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차아황산나트륨 1.0 중량부, 올레익알코올(에틸렌옥사이드 20 ㏖%, 프로필렌옥사이드 10 ㏖% 함유) 1.0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 및 규산나트륨 1.0 중량부를 투입하였으며,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3
해리공정시 중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차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올레익알코올(에틸렌옥사이드 20 ㏖%, 프로필렌옥사이드 10 ㏖% 함유) 1.0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 및 규산나트륨 1.0 중량부를 투입하였으며,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4
해리공정시 중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차아황산나트륨 1.0 중량부, 올레익알코올(에틸렌옥사이드 20 ㏖%, 프로필렌옥사이드 10 ㏖% 함유) 1.0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 및 규산나트륨 1.0 중량부를 투입하였으며,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5
해리공정시 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차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올레익알코올(에틸렌옥사이드 20 ㏖%, 프로필렌옥사이드 10 ㏖% 함유) 0.2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 및 규산나트륨 1.0 중량부를 투입하였으며,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6
해리공정시 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차아황산나트륨 1.0 중량부, 올레익알코올(에틸렌옥사이드 20 ㏖%, 프로필렌옥사이드 10 ㏖% 함유) 0.2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 및 규산나트륨 1.0 중량부를 투입하였으며,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7
해리공정시 중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차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올레익알코올(에틸렌옥사이드 20 ㏖%, 프로필렌옥사이드 10 ㏖% 함유) 0.2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 및 규산나트륨 1.0 중량부를 투입하였으며,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8
해리공정시 중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차아황산나트륨 1.0 중량부, 올레익알코올(에틸렌옥사이드 20 ㏖%, 프로필렌옥사이드 10 ㏖% 함유) 0.2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 및 규산나트륨 1.0 중량부를 투입하였으며,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1
해리공정시 수산화나트륨 0.5 중량부, 과산화수소 0.5 중량부, 지방산(올레인산) 0.6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 및 규산나트륨 1.0 중량부를 투입하였으며,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2
해리공정시 수산화나트륨 0.5 중량부, 지방산(올레인산) 0.6 중량부 및 규산나트륨 1.0 중량부를 투입하였으며,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3
해리공정시 지방산(올레인산) 0.6 중량부를 투입하였으며,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4
신문고지 100 중량부를 사용하고, 해리공정시 수산화나트륨 0.5 중량부, 규산나트륨 1.0 중량부 및 지방산(올레인산) 0.6 중량부를 투입하고, 15% 지료농도에서 5분간 고농도해리기(대일기공사, 헬리코형태)를 사용하여 해리한 후 1% 지료농도에서 10분간 부상탈묵을 실시하고 30% 농도로 농축하였다. 그리고, 수산화나트륨 0.5 중량부, 규산나트륨 1.0 중량부, 과산화수소 1.5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를 투입하여 표백한 후 각각 백색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5
신문고지 100 중량부를 사용하고, 해리공정시 수산화나트륨 0.5 중량부, 과산화수소 0.5 중량부, 규산나트륨 1.0 중량부, 지방산(올레인산) 0.6 중량부 및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를 투입하고, 15% 지료농도에서 5분간 고농도해리기(대일기공사, 헬리코형태)를 사용하여 해리한 후 1% 지료농도에서 10분간 부상탈묵을 실시하고 30% 농도로 농축하였다. 그리고, 수산화나트륨 0.5 중량부, 규산나트륨 1.0 중량부, 과산화수소 1.5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를 투입하여 표백한 후 각각 백색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6
신문고지 100 중량부를 사용하고, 해리공정시 지방산(올레인산) 0.6 중량부를 투입하고, 15% 지료농도에서 5분간 고농도해리기(대일기공사, 헬리코형태)를 사용하여 해리한 후 1% 지료농도에서 10분간 부상탈묵을 실시하고 30% 농도로 농축하였다. 그리고, 수산화나트륨 0.5 중량부, 규산나트륨 1.0 중량부, 과산화수소 1.5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를 투입하여 표백한 후 각각 백색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7
해리공정시 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올레익알코올(에틸렌옥사이드 20 ㏖%, 프로필렌옥사이드 10 ㏖% 함유) 1.0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 및 규산나트륨 1.0 중량부를 투입하였으며,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8
해리공정시 중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올레익알코올(에틸렌옥사이드 20 ㏖%, 프로필렌옥사이드 10 ㏖% 함유) 1.0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 및 규산나트륨 1.0 중량부를 투입하였으며,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9
해리공정시 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올레익알코올(에틸렌옥사이드 20 ㏖%, 프로필렌옥사이드 10 ㏖% 함유) 0.2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 및 규산나트륨 1.0 중량부를 투입하였으며,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10
해리공정시 중아황산나트륨 0.5 중량부, 올레익알코올(에틸렌옥사이드 20 ㏖%, 프로필렌옥사이드 10 ㏖% 함유) 0.2 중량부, 킬레이트제(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05 중량부 및 규산나트륨 1.0 중량부를 투입하였으며,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10에서 탈묵한 펄프에 대하여 백색도 및 미해리물 여부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백색도는 해리과정, 탈묵과정 그리고 최종과정을 거친 펄프에 대하여 백색도를 미국 테크니다인(Technidyne)사의 ERIC 950을 이용하여 측정한 다음,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미해리물은 소머빌 스크린(Sommerville screen)을 이용해 걸러지는 건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구 분 백 색 도(%ISO) 미해리물(%)
해리 탈묵 표백
실시예 1 51.4 - - 0.04
실시예 2 53.7 - - 0.04
실시예 3 51.2 - - 0.04
실시예 4 53.4 - - 0.04
실시예 5 51.4 60.0 - -
실시예 6 53.7 62.4 - -
실시예 7 51.1 59.8 - -
실시예 8 53.4 62.1 - -
비교예 1 48.3 - - 0.04
비교예 2 45.2 - - 0.06
비교예 3 46.7 - - 0.25
비교예 4 45.2 51.6 58.7 -
비교예 5 48.3 53.7 60.2 -
비교예 6 46.7 52.5 59.4 -
비교예 7 48.4 - - 0.05
비교예 8 48.1 - - 0.05
비교예 9 48.4 56.1 - -
비교예 10 48.3 56.4 - -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 8은 별도로 표백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표백과정을 거친 비교예 1 ∼ 10에 비하여 백색도에 있어서 보다 우수할 뿐만 아니라 미해리물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해리과정시 수산화나트륨 대신에 아황산나트륨 또는 중아황산나트륨을 사용하고, 탈묵제로 지방알코올을 사용하며, 표백제로 과산화수소 대신에 차아황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알칼리 영역이 아닌 중성 영역에서 해리함으로써 펄프의 황변현상에 의하여 백색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저비용의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경제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산화나트륨, 탈묵제 및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해리과정에 있어서, 상기 해리과정에서는 수산화나트륨을 대신하여 아황산나트륨(Na2SO3), 중아황산나트륨(NaHSO3)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과산화수소를 대신하여 차아황산나트륨(Na2S2O4)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리과정은 pH 5.0 ∼ 8.0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황산나트륨, 중아황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재생고지의 펄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3.0 중량부를 사용하고, 차아황산나트륨은 재생고지의 펄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묵제로는 지방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
KR1019970081961A 1997-12-31 1997-12-31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 KR100238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961A KR100238107B1 (ko) 1997-12-31 1997-12-31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961A KR100238107B1 (ko) 1997-12-31 1997-12-31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677A KR19990061677A (ko) 1999-07-26
KR100238107B1 true KR100238107B1 (ko) 2000-01-15

Family

ID=1953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961A KR100238107B1 (ko) 1997-12-31 1997-12-31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1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677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61608B2 (ja) 廃紙材料のインク抜き方法
US5401360A (en) Method for de-inking printed paper
JP5654617B2 (ja) 紙からのインキの除去方法
JPS63243390A (ja) 古紙を再生する方法およびプラント
JPS6261711B2 (ko)
JPH07507109A (ja) 故紙の処理方法
EP0566327B1 (en) Method of bleaching de-inked pulp
KR100238107B1 (ko)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
JPH05209383A (ja) 感圧接着紙古紙のパルプ化法
JPH09241985A (ja) 古紙の再生処理方法
JP3191828B2 (ja) 印刷古紙の脱墨漂白方法
KR100217303B1 (ko)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
US6217706B1 (en) Method of de-inking paper and other cellulosic materials
JP2005240188A (ja) 古紙パルプの製造方法及び古紙パルプ
EP1031657A1 (en) A method for bleaching secondary fibres
JPH11200269A (ja) 印刷古紙の脱墨方法
US20050145349A1 (en) Method of de-inking paper and other cellulosic materials
KR860000535B1 (ko) 신문 고지의 탈묵방법
KR860001293B1 (ko) 고지의 탈묵 방법
JP2630349B2 (ja) 再生パルプ製造方法
JPH04209880A (ja) 剥離紙古紙のパルプ化方法
KR860000534B1 (ko) 신문 고지의 탈묵방법
KR100260835B1 (ko) 고백색도 재생펄프의 제조방법
JPH0441789A (ja) 再生パルプ製造方法
KR860000154B1 (ko) 신문고지의 탈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