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067B1 - 음성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음성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067B1
KR100238067B1 KR1019960026254A KR19960026254A KR100238067B1 KR 100238067 B1 KR100238067 B1 KR 100238067B1 KR 1019960026254 A KR1019960026254 A KR 1019960026254A KR 19960026254 A KR19960026254 A KR 19960026254A KR 100238067 B1 KR100238067 B1 KR 100238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function
voice
voice information
func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6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337A (ko
Inventor
조준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26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067B1/ko
Publication of KR980004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키를 가진 전자기기의 키조작이해능력에 따라 사용자간의 차이를 두어 입력키들과 관련된 키들에 대해 음성으로 안내하는 선택을 두어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안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각장애자, 초보자들이 화면이나 지면으로 된 입력장치들의 설명을 보다 쉽게 접근하기 위해 음성으로 표시하는 효과를 갖는 음성안내장치이다.

Description

음성안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안내장치를 나타내는 블럭 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키입력부 12 : 제어부
13 : 음성저장부 14 : 음성출력부
15 : 스피커구동기 16 : 스피커
본 발명은 오디오(Audio)기능을 갖춘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기기의 기능선택과 관련한 키조작방법을 음성을 통해 설명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키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음성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들, 예를 들면 VTR 또는 오디오등은 다양한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시키는 기능키들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는 키입력수단 즉, 키매트릭스 또는 리모콘을 조작하여 기능선택을 한다. 종래의 전자기기들은 선택된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문자로 나타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그림으로 표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시각장애자나 구매한 전자기기를 처음 사용해보는 초보자에게는 전자기기의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함에 있어 사용상 접근이 어렵다. 그래서, 최근에는 음성을 통해 기능설명을 안내한다. 하지만 종래 음성안내는 사용자에 대해 키조작이해능력에 차별을 두지 않아 기사용자나 기지인에게도 작동시마다 무조건 음성안내를 행하는 번거로움과 전력 낭비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키조작이해 능력에 따라 사용자간의 구분을 두어 기능수행의 번거로움과 전력 낭비를 줄이고, 특히 시각장애자들이 보다 쉽게 다룰 수 있도록 전자기기의 음성으로 작동을 유도하는 선택적 음성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전자기기의 여러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키들과, 기능키의 음성정보출력여부를 선택하는 음성정보출력키를 구비한 키입력부와, 음성정보출력키가 입력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키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 후, 재입력되는 기능키가 음성정보출력된 기능키와 동일한지에 따라 기능수행하는 제어부, 입력된 기능키의 음성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기능키들에 대항 음성정보를 저장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음성안내장치를 음성출력부로 공급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음성안내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음성안내장치의 블럭도이다.
이 장치는 다수의 키들에 대한 기능 및 그 기능과 관련한 키조작방법에 대한 음성정보 출력여부를 선택하고, 원하는 기능선택을 위한 리모콘 및 키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키입력부(11)를 구비한다. 키입력부(11)의 키입력신호를 인가받도록 연결된 제어부(102)는 키입력부(11)에서 선택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각 구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키입력부(11)의 다수 키가 갖는 기능중 기능키 설명을 위한 음성정보출력키를 온(ON)시켰을 때 키입력부(11)로부터 입력되는 기능키신호에 따른 음성정보 즉, 기능키에 대한 설명과 이 기능키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법등을 기저장시킨 ROM-IC를 사용하는 음성저장부(13)를 구비한다. 음성저장부(13)의 후단에는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스피커(16)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구동기(15)를 포함하는 음성출력부(14)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성안내장치에 대한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겠다.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녹음을 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키기능 설명을 위한 음성정보출력키를 온(on) 시키고 키입력부(11)의 기능키들 중 녹음키를 눌렀을 경우, 제어부(12)는 인가 받은 녹음기능키신호에 대한 제어신호를 음성저장부(13)에 인가하면 저장된 음성신호 중에서 현재 인가 받은 녹음기능기 신호에 해당하는 음성정보를 읽어내어 스피커(16)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4)를 제어하여 출력하라는 명령를 수행한다. 또한 출력된 음성정보가 녹음에 관련되면 제어부(12)가 녹음키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하지만, 출력된 음성정보가 재생에 관련된 내용이면 제어부(12)는 녹음에 관련된 음성정보가 나올때 까지 사용자로부터 피드백(feedback)신호를 인가 받는다.
제2도는 제1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어부(12)은 키입력부(11)로부터 다수의 키들에 대한 기능 및 그 기능과 관련한 키조작방법에 대한 음성정보출력을 선택하는 음성정보출력키가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한다(제201단계). 제어부(12)는 선택스위치가 음성을 통해 기능키들 및 키조작에 관련한 정보를 출력하는 신호이면 일정시간동안 대기상태를 유지하고(제202단계) 일정시간 경과 후 키입력부(11)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키에 대한 키입력신호를 인가받는다(제203단계). 제어부(12)는 인가 받은 기능키신호를 기능키들 및 기능키와 관련된 조작방법 정보가 기저장된 음성저장부(102)에 인가 하여 해당키에 대한 음성정보를 읽어들여 스피커구동기(15)로 인가하는 명령을 제어한다(제204단계). 제어부(102)는 해당기능키에 대한 음성정보를 인가받은 스피커구동기(15)의 음성정보를 스피커(16)로 출력시키기 위한 구동명령을 제어한다(제205단계). 제어부(12)는 구동된 스피커구동기(15)를 통해 해당 음성정보가 스피커(16)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제206단계). 제어부(12)는 키입력부(11)로부터 다시 키에 대한 신호를 받아 제203단계에서 일정시간 경과 후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키와 동일한지를 판단하고(제207단계), 동일한 키이면 키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제208단계). 제어부(12)는 사용자가 원하는 키와 동일한 키가 아니면 사용자로부터 피드백(feedback)신호를 인가 받아 제204에서 제208단계를 반복 수행시킨다. 제어부(12)는 제201단계에서 키입력부(11)로부터 음성을 통해 키기능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정보출력키가 온(ON)이 아니면 키감지대기상태를 유지하고(제209단계), 키입력부(11)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키신호를 인가받는다(제210단계). 제어부(12)는 인가받은 기능키신호에따라 키기능을 수행한다(제208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각장애자 및 초보자들이 키 및 키에 관련된 기능에 대한 설명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성안내장치는 사용자들의 키조작능력을 구분지어 다양한 키들과 관련된 키조작방법에 대해 음성으로 안내하는 선택을 주어 무조건 음성으로 안내하는 기능수행에 따른 번거로움과 전력낭비를 줄이게 하고, 시각장애자 및 초보자들이 화면이나 지면에 나타난 문자들을 대하는 것보다 음성으로 접하여 훨씬 익숙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전자기기의 음성안내장치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여러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키들과, 기능키의 음성정보출력여부를 선택하는 음성정보출력키를 구비한 키입력부; 상기 음성정보출력키가 입력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키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 후, 재입력되는 기능키가 음성정보출력된 기능키와 동일한지에 따라 기능수행하는 제어부; 입력된 기능키의 음성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기능키들에 대한 음성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음성정보를 상기 음성출력부로 공급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음성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키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 후, 재입력되는 기능키가 음성정보출력된 기능키와 동일하면,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기기를 제어하는 음성안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키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 후, 재입력되는 기능키가 음성정보출력된 기능키와 동일하지 않으면, 재입력된 기능키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음성안내장치.
KR1019960026254A 1996-06-29 1996-06-29 음성안내장치 KR100238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254A KR100238067B1 (ko) 1996-06-29 1996-06-29 음성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254A KR100238067B1 (ko) 1996-06-29 1996-06-29 음성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337A KR980004337A (ko) 1998-03-30
KR100238067B1 true KR100238067B1 (ko) 2000-01-15

Family

ID=1946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6254A KR100238067B1 (ko) 1996-06-29 1996-06-29 음성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346B1 (ko) * 2013-12-17 2015-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주요 기능 실행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027A (ko) * 1989-04-19 1990-11-15 최근선 음성안내 브이씨알의 오에스디에 대한 음성정보 안내시스템 및 방법
KR950013162A (ko) * 1993-10-29 1995-05-17 이헌조 텔레비젼 수상기의 음성안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027A (ko) * 1989-04-19 1990-11-15 최근선 음성안내 브이씨알의 오에스디에 대한 음성정보 안내시스템 및 방법
KR950013162A (ko) * 1993-10-29 1995-05-17 이헌조 텔레비젼 수상기의 음성안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337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9857A (en) System for facilitating the control of audio information within a word processing document with audio input
KR100238067B1 (ko) 음성안내장치
JP2005129093A (ja) 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40172144A1 (en) Parameter setting device
JP2003131681A (ja) 音声出力機能付き操作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416581B2 (ja) データ再生回路及びこれを具えた音声記録再生装置
KR100382907B1 (ko) 복사가가능한메모리내장형카세트플레이어장치및카세트테이프복사방법
JP3998219B2 (ja) 音声記憶再生装置
KR20080039704A (ko)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 및 그 제어 방법
JP2006011002A (ja) 音声応答装置、音声応答方法および音声応答プログラム
KR100557178B1 (ko) 엠피3 곡 선택재생방법
KR0136883B1 (ko)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JPH06334933A (ja) デモンストレーション機能付映像・音響機器
KR20010052131A (ko) 재생장치 및 기록재생장치
KR960003164B1 (ko) 컴팩트 디스크 그래픽스 플레이어의 간편 예약 편집방법
JP3198551B2 (ja) テレビ番組記録再生装置
KR100368109B1 (ko) 테이프재생장치의구간반복재생방법
KR200164573Y1 (ko) 재생일시지정정보저장장치
JP3498740B2 (ja) 情報再生装置および方法
KR960009632A (ko) 텔레비전의 메시지저장/재생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960012886B1 (ko) 복수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 제어장치
KR0141646B1 (ko) 오디오시스템의 전원스위칭장치
KR19980076728A (ko) 기능모드의 상세안내 출력방법 및 그 장치
JP200018754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記憶媒体
KR19990029321U (ko) 캠코더의 음성인식 및 효과음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