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883B1 -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 Google Patents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883B1
KR0136883B1 KR1019950006765A KR19950006765A KR0136883B1 KR 0136883 B1 KR0136883 B1 KR 0136883B1 KR 1019950006765 A KR1019950006765 A KR 1019950006765A KR 19950006765 A KR19950006765 A KR 19950006765A KR 0136883 B1 KR0136883 B1 KR 013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voice
unit
ke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430A (ko
Inventor
윤만희
Original Assignee
윤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4107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3688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윤만희 filed Critical 윤만희
Priority to KR1019950006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883B1/ko
Publication of KR960035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재생, 되감기, 빨리감기, 녹음, 포즈, 정지동작등의 통상의 기능을 갖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종래의 카세트 레코더 작동을 위한 통상기능입력부(a)와, 문장선택, 반복횟수, 자동반복, 1대1대화①, 1대1대화②, 한문장반복, 구간반복등의 특수기능입력부(b)로 구성되는 기능입력부(1)와, 상기 기능입력부의 키작동에 의해서 테이프를 구동하고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테이프구동 및 출력부(2)와, 상기 테이프로 부터의 음성출력신호를 소정시간 연속적으로 기억 및 소거하는 음성신호 메모리부(3)와, 상기 기능입력부로 부터의 특수기능입력에 의해서 음성신호메모리부(4)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 컴퓨터(4)와, 상기 출력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카세트테이프 구동부 및 음성신호 메모리부에 대체해서, 음성메모리카드 구동부가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의 기능입력부의 구성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의 1:1 대화기능 ①의 동작 흐름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의 1:1 대화기능 ②의 동작 흐름도이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기능입력부2 : 테이프 구동 및 출력부
3 : 음성신호 메모리부4 : 마이콤
5 : 스피커6 : 마이크
10 : 키입력부20 : 콘솔
30 : 무녹음 간격 설정부40 : 마이크
50 : 마이크 증폭부60 : 재생/녹음부
70 : 음성 검출부80 : 출력 증폭부
90 : 스피커100 : 헤드폰
110 : 콘솔 인터페이스부120 : 마이콤
130 : 데크 구동부140 : 테이프 속력 조절부
150 : 데크부160 : 표시부
본 발명은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필수적인 반복청취 기능을 자동화하고, 한문장 또는 여러문장을 자동으로 반복하여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고, 테이프의 재생속도를 조절할 수가 있고, 무녹음 부위의 간격을 설정할 수가 있고, 동시 녹음이 가능하며, 어학 실습실 단말기로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어학용 카세트 테이프를 녹음하고 재생하여 청취하게 될때, 어학실습에 필수적인 반복청취기능을 가지고 있는 센텐스 백(Sentence back)이라는 별도의 버튼을 매번 동작시켜야만 원하는 문장을 반복 청취할 수가 있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녹음된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 청취하면서 발음을 따라 연습하려 할 때, 카세트 테이프의 진행이 너무 빠르기 때문에 모든 문장을 따라서 발음하거나 응답할 시간적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한 문장을 청취하고 난 다음에 정지버튼의 조작으로 카세트 테이프를 정지시켰다가 자신의 발음이 끝나게 되면 다시 플레이(재생) 버튼을 조작하여 청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권리를 획득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033290호(원출원일자: 서기 1985년 6월 18일)의 어학용 카셋트의 문장 자동선택 반복장치와, 동 제031287호(출원일자: 서기 1986년 4월 4일)의 어학용 카셋트의 문장 자동선택 반복장치와, 동 제079271호(출원일자: 서기 1991년 11월 21일)의 어학실습기능을 갖는 오디오 시스템등에서, 기능키를 조작하게 되면 테이프의 무녹음 부위를 검출하여 문장을 나눈 뒤에 테이프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자동으로 감아가면서 일정한 한문장 또는 여러문장을 선택적으로 반복해서 청취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도, 단일문장이거나 비교적 문장이 짧은 경우에는 단시간내에 되감기 및 반복재생이 가능하지만, 긴문장 또는 여러문장의 반복청취시에는 테이프를 되감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되어 대기시간이 길어지게 됨에 따라서 학습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장치는, 데크의 모터 스피드를 조절하여 테이프의 재생속도를 가감할 수 없기 때문에 어학용 테이프를 재생할 때 사용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속도로 청취할 수 없고, 무녹음 부분의 간격이 기준치보다 짧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구분해서 듣기를 원하는데도 문장으로 분리되지 않거나, 무녹음 부분의 간격이 기준치보다 긴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문장으로 분리되고, 어학 실습실에서 콘솔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등 어학 학습에 필요한 각종의 사용자 편의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수적인 반복청취 기능을 자동화하고, 한문장 또는 여러문장을 자동으로 반복하여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고, 테이프의 재생속도를 조절할 수가 있고, 무녹음 부위의 간격을 설정할 수가 있고, 동시 녹음이 가능하며, 어학 실습실 단말기로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재생, 되감기, 빨리감기, 녹음, 포즈, 정지동작등의 통상의 기능을 갖는 카세트 테이프레코더에 있어서,
종래의 카세트 레코더 작동을 위한 통상기능입력부와, 문장선택, 반복횟수, 자동반복, 1대1대화①, 1대1대화②, 한문장반복, 구간반복등의 특수기능입력부로 구성되는 기능입력부와,
상기 기능입력부의 키작동에 의해서 카세트 테이프를 구동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테이프 구동 및 출력부와,
상기 카세트 테이프로부터의 음성출력신호를 소정시간 연속적으로 기억 및 소거하는 음성신호메모리부와,
상기 기능입력부로부터의 특수기능입력에 의해서 상기 음성신호메모리부에 기억된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마이콤과,
상기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구성은,
상기 카세트테이프 구동부 및 음성신호 메모리부에 대체하여 음성메모리카드구동부가 사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또다른 구성은,
리모콘 신호와 키보드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입력부와,
카세트 테이프의 무녹음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신호를 제공하는 무녹음 간격 설정부와,
사용자가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서 입력시키기 위한 음성입력수단과,
상기한 음성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증폭 및 조정하여 출력하는 음성 증폭부와,
좌측음성신호와 우측음성신호를 조정하면서 카세트 테이프에 저장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시킨 뒤에 좌우 밸런스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재생/녹음부와,
상기한 음성 증폭부와 재생/녹음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음성 검출부와,
상기한 음성 증폭부와 재생/녹음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면서 볼륨 및 베이스/트레블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출력 증폭부와,
상기한 출력 증폭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수단과,
상기한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 되감기, 빨리감기, 녹음, 포즈,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면서, 문장선택, 반복횟수, 자동반복, 1대1대화①, 1대1대화②, 한문장반복, 구간반복, 동시녹음, 무녹음 간격 설정, 어학실 단말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한 마이콤이 콘솔과 인터페이스되어 선생님 호출, 학생 모니터링, 강의 선택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콘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한 마이콤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가 구동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데크 구동부와,
상기한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속력을 설정하기 위한 테이프 속력 조절부와,
상기한 데크 구동부와 테이프 속력 조절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를 구동하는 데크부와,
상기한 마이콤의 동작상태, 문장 선택수, 문장반복 횟수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의 구성 회로도이고,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의 기능입력부의 구성도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의 구성은, 재생(play), 되감기(rewind), 빨리감기(fast forward), 녹음(record), 포즈(pause), 정지(stop) 동작등의 통상의 기능을 갖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카세트 레코더 작동을 위한 통상기능입력부(a)와, 문장선택, 반복횟수, 자동반복, 1대1대화①, 1대1대화②, 한문장반복, 구간반복등의 특수기능입력부(b)로 구성되는 기능입력부(1)와, 상기 기능입력부(1)의 키작동에 의해서 테이프를 구동하고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테이프구동 및 출력부(2)와, 상기 테이프구동 및 출력부(2)로부터의 음성 출력신호를 소정시간 연속적으로 기억 및 소거하는 음성신호 메모리부(3)와, 상기 기능입력부(1)로부터의 특수기능입력에 의해서 음성신호메모리부(4)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마이콤(4)과, 상기 출력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부(3)는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부(3)에 기억된 음성신호는 문장단위로 구별되어 기억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마이콤(4)은, 음성신호 메모리부(3)에 기억된 음성신호에서, 기능입력부(1)의 특수기능중 문장선택키에 의해 지정된 문장수만큼, 반복횟수키에 의해 지정된 횟수로 반복해서 출력한다.
상기 마이콤(4)은,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부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기능입력부의 특수기능중 자동반복키에 의해서, 지정된 문장수만큼 반복해서 출력한다.
상기 마이콤(4)은,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부(3)에 기억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기능 입력부(1)의 특수기능중 1대1대화①키에 의해서 선정된 문장단위로 출력하고, 상기 문장출력에 대응하여 외부 마이크(6)를 통한 응답입력이 있을시에만 다음 문장출력이 수행되도록 한다. 제 3 도는 상기 1:1 대화① 기능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마이콤(4)은,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부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기능입력부(1)의 특수기능중 1대1대화②키에 의해서 선정된 문장단위로 출력하고, 상기 문장출력에 해당하는 시간 또는 그이상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음 문장이 출력되도록 한다. 제 4 도는 상기 1:1 대화② 기능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마이콤(4)은, 기능입력부(1)의 특수기능중 한문장 반복키에 의해서,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부(3)에 기억된 음성신호중 마지막으로 기억된 문장을 반복해서 출력한다.
기능입력부(1)의 특수기능중 구간반복키에는 시작점 및 끝점키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콤(4)은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부(3)에 기억된 음성신호중 상기 구간 반복키에 의해서 시작점 및 끝점 설정에 의한 구간만큼을 연속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능입력부(1)의 특수기능 입력키에 의해 동작되는 특수기능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제 5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는, 상기 테이프 구동 및 출력부(2)와 음성신호 메모리부(3)에 대체하여, 음성메모리 카드구동부(7)가 사용되며, 음성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단일문장 또는 복수의 문장으로 선택하여 반복재생이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마이콤(4)은, 기능입력부(1)의 특수기능중 문장선택키에 의해 지정된 문장수만큼, 반복횟수키에 의해 지정된 횟수로 음성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반복해서 출력한다.
상기 마이콤(4)은 상기 음성 메모리카드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기능입력부(1)의 특수기능중 자동반복키에 의해서 지정된 문장수만큼 연속해서 반복해서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마이콤(4)은 상기 음성 메모리카드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기능입력부(1)의 특수기능중 1대1대화①키에 의해서 단일문장 단위로 출력하고, 상기 문장출력에 대응하여 외부마이크(6)를 통한 응답입력이 있을시에만 다음 문장출력이 수행되도록 한다. 제 3 도는 상기 1:1 대화① 기능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마이콤(4)은, 기능입력부(1)의 특수기능중 1대1대화②키에 의해서, 상기 음성 메모리카드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단일문장 단위로 출력하고, 상기 문장출력에 해당하는 시간 또는 그이상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후에 다음 문장이 출력되도록 한다. 제 4 도는 상기 1:1 대화② 기능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마이콤(4)은, 기능입력부(1)의 특수기능중 한문장 반복키에 의해서, 상기 음성 메모리카드에 기억된 음성신호중 마지막으로 기억된 문장이 반복해서 출력되도록 한다.
기능입력부(1)의 특수기능중 구간반복키에는 시작점 및 끝점키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콤(4)은 상기 구간 반복키에 의해서 상기 음성메모리카드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시작점 및 끝점설정에 의한 구간만큼 연속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능입력부(1)의 특수기능 입력키에 의해 동작되는 특수기능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제 6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의 구성은, 리모콘부(11)와 키보드부(12)를 포함하고 있는 키입력부(10)와, 무녹음 간격 설정부(30)와, 마이크(40)와, 마이크볼륨조정 가변저항(VR11)을 포함하며 상기한 마이크(4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 증폭부(50)와, 좌측음성 신호조정 가변저항(VR12)과 우측음성신호조정 가변저항(VR13)과 좌우밸런스조정 가변저항(VR14)을 포함하고 있는 재생/녹음부(60)와, 상기한 마이크 증폭부(50)와 재생/녹음부(6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음성 검출부(70)와, 볼륨조정가변저항(VR15)과 베이스/트레블 조정 가변저항(VR16)을 포함하며 상기한 마이크 증폭부(50)와 재생/녹음부(6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출력 증폭부(80)와, 상기한 출력 증폭부(8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90) 및 헤드폰(100)과, 상기한 마이크 증폭부(50)와 재생/녹음부(6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콘솔 인터페이스부(110)와, 상기한 키입력부(10)와 무녹음 간격 설정부(30)와 음성 검출부(70)와 콘솔 인터페이스(110)에 연결되어 있는 마이콤(120)과, 상기한 마이콤(12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데크 구동부(130) 및 테이프 속력 조절부(140)와, 상기한 데크 구동부(130)와 테이프 속력 조절부(14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데크부(150)와, 상기한 마이콤(12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표시부(16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동작이 시작되면, 마이콤(120)은 데크 구동부(13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데크 구동부(130)에 의해서 데크부(150)에 장착되어 있는 카세트 테이프(도시되지 않음)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카세트 테이프가 구동되면, 재생/녹음부(60)의 재생/녹음헤드(도시되지 않음)는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들임으로써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뒤에 이를 음성 검출부(70)와 출력 증폭부(80)와 콘솔 인터페이스부(110)로 출력한다.
또한, 마이크(40)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는 마이크 증폭부(50)를 거치면서 증폭된 뒤에 음성 검출부(70)와 출력 증폭부(80)와 콘솔 인터페이스부(110)로 출력된다.
사용자는 스피커(90)나 헤드폰(100)을 이용하여 상기한 출력 증폭부(8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가청신호로 변환하여 청취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마이크 볼륨조정 가변저항(VR11)을 이용하여 마이크(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가 있고, 좌우 밸런스 조정 가변저항(VR14)을 이용하여 좌측과 우측의 음성신호 크기비율을 조절할 수가 있고, 볼륨조정 가변저항(VR15)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음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가 있고, 베이스/트레블 조정 가변저항(VR16)을 이용하여 고음 및 저음의 비율을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생산과정중에는 작업자가 좌측음성신호 조정 가변저항(VR12)과 우측음성신호 조정 가변저항(VR13)을 이용하여 회로 및 기구 오차에 의한 음성신호 크기 에러를 조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마이콤(120)은, 무녹음 간격 설정부(30)에 의해 설정된 기간과 같거나 긴 무녹음 부위가 음성 검출부(70)를 통해서 검출되는 경우에 이를 문장으로 분리 한 뒤에, 키입력부(10)의 문장선택기에 의해서 지정된 문장수만큼, 그리고 반복횟수키에 의해서 지정된 횟수만큼 상기한 문장이 반복해서 출력되도록 데크 구동부(130)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테이프 속력 조절부(140)의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정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속도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무녹음 간격 설정부(30)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본인의 필요에 따라 문장을 임의의 길이로 분리할 수가 있다.
키입력부(10)의 1대1대화①키가 눌린 경우에, 마이콤(120)은 문장단위로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 뒤에, 상기한 문장출력에 대응하여 외부 마이크(40)를 통한 응답입력이 음성 검출부(70)를 통해서 입력되는 경우에만 다음 문장출력이 수행되도록 한다.
키입력부(10)의 1대1대화②키가 눌린 경우에, 마이콤(120)은 문장단위로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 뒤에, 상기한 문장출력에 대응하는 시간 또는 그이상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음 문장출력되도록 한다.
키입력부(10)의 구간반복키에는 시작점 및 끝점키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한 구간 반복키가 눌린 경우에 마이콤(120)은 상기 구간 반복키의 시작점 및 끝점 설정에 의한 구간만큼 문장이 연속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키입력부(10)의 마이크 차단키가 눌린 경우에, 마이콤(120)은 마이크 증폭부(5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마이크(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접지되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음성 검출부(70)와 출력 증폭부(80)와 콘솔 인터페이스부(11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키입력부(10)의 동시녹음키가 눌린 경우에, 마이콤(120)은 재생/녹음부(6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재생/녹음부(60)의 2 개의 소거헤드(도시되지 않음)중에서 하나만이 동작되어 소거되도록 하면서 마이크(40)로부터 마이크 증폭부(50)를 거쳐서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한 소거트랙에 기록되도록 함으로써 원래저장되어 있던 어학강의와 함께 본인의 발음연습이 동시에 기록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어학강의와 함께 본인의 발음연습이 동시저장되어 있는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하여 청취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발음연습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를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 하나씩 구비하여 어학 실습실에서 선생님이 사용하는 콘솔(20)과 연결하게 되면 어학 실습실의 단말기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본 발명의 장치를 어학 실습실의 콘솔(20)과 연결하여 단말기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각각의 본 발명의 장치는 콘솔(20)로부터 콘솔 인터페이스부(110)를 거쳐서 마이콤(120)으로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몇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질 수도 있고, 또는 콘솔(20)과 1대1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한 콘솔(20)의 제어로부터 벗어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 장치의 사용자의 발음이 마이큼(40)와 마이크 증폭부(50)를 거쳐서 콘솔 인터페이스부(110)로 전달된 뒤에 콘솔(20)로 출력됨으로써 선생님은 콘솔(20)에 연결되어 있는 헤드폰(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그룹 또는 1대1 사용자의 발음을 확인할 수가 있고, 또한 선생님의 지시사항이 콘솔(20)과 콘솔 인터페이스부(110)를 거쳐서 출력 증폭부(80)로 전달되어 증폭된 뒤에 스피커(90)와 헤드폰(100)으로 출력됨으로써 사용자는 선생님의 지시사항에 따라 학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사용자는 키입력부(10)를 이용하여 마이콤(120)을 통하여 콘솔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함으로써, 콘솔(20)로부터 제공되는 다수개의 매체로부터 출력되는 어학강의(VTR, 카세트 테이프 등등)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들을 수가 있고, 또는 선생님을 호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실시예에서, 음성신호 메모리부를 사용하므로 테이프를 전후방향으로 반복하여 돌리지 않고도 선택적으로 문장의 자동반복청취가 가능하며, 음성메모리카드 및 그 구동부를 사용함으로 인해서 카세트 테이프의 구동없이 고속으로 문장선택 및 자동반복재생이 가능하고, 필수적인 반복청취 기능을 자동화하고, 한문장 또는 여러문장을 자동으로 반복하여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고, 테이프의 재생속도를 조절할 수가 있고, 무녹음 부위의 간격을 설정할 수가 있고, 동시 녹음이 가능하며, 어학 실습실 단말기로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 문장자동 선택 반복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9)

  1. 재생, 되감기, 빨리감기, 녹음, 포즈, 정지동작등의 통상의 기능을 갖는 카세트 테이프레코더에 있어서,
    종래의 카세트 레코더 작동을 위한 통상기능입력부와, 문장선택, 반복횟수, 자동반복, 1대1대화①, 1대1대화②, 한문장반복, 구간반복등의 특수기능입력부로 구성되는 기능입력부와,
    상기 기능입력부의 키작동에 의해서 카세트 테이프를 구동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테이프 구동 및 출력부와,
    상기 카세트 테이프로부터의 음성출력신호를 소정시간 연속적으로 기억 및 소거하는 음성신호메모리부와,
    상기 기능입력부로부터의 특수기능입력에 의해서 상기 음성신호메모리부에 기억된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마이콤과,
    상기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부는 램(RAM)으로 구성되며,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부에 기억된 음성신호는 문장단위로 구별되어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부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기능입력부의 특수기능중 문장선택키에 의해 지정된 문장수만큼, 반복회수키에 의해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해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부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기능입력부의 특수기능중 자동반복키에 의해서 지정된 문장수만큼 자동으로 반복해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부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기능입력부의 특수기능중 1대1대화①키에 의해서 선정된 문장단위로 출력하고, 상기 문장출력에 대응하여 외부 마이크를 통한 응답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다음 문장출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기능입력부의 특수기능중 1대1대화②키에 의해서,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부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선정된 문장단위로 출력하고, 상기 문장출력에 대응하는 시간 또는 그이상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음 문장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기능입력부의 특수기능중 한문장 반복키에 의해서,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부에 기억된 음성신호중 마지막으로 기억된 문장이 반복해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기능입력부의 특수기능중 시작점 및 끝점키가 구비되어 있는 구간 반복키에 의해서,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부에 기억된 음성신호중 시작점 및 끝점 설정에 의한 구간만큼을 연속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입력부의 특수기능입력키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테이프 구동부 및 음성신호 메모리부에 대체하여 음성메모리카드구동부가 사용되며,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단일문장 또는 복수의 문장으로 선택하여 반복재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기능입력부의 특수기능중 문장선택키에 의해 지정된 문장수만큼, 반복횟수키에 의해 지정된 횟수만큼 음성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신호가 반복해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음성신호 메모리 카드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기능입력부의 특수기능중 자동반복키에 의해서 지정된 문장수만큼 연속해서 자동으로 반복해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음성메모리카드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기능입력부의 특수기능중 1대1대화①키에 의해서 단일문장 단위로 출력하고, 상기 문장출력에 대응하여 외부마이크를 통한 응답입력이 있을시에만 다음 문장출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기능입력부의 특수기능중 1대1대화②키에 의해서, 상기 음성메모리카드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단일문장단위를 출력하고, 상기 문장출력에 대응하는 시간 또는그이상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후에 다음 문장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기능입력부의 특수기능중 한문장 반복키에 의해서, 상기 음성메모리카드에 기억된 음성신호중 마지막으로 기억된 문장이 반복해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기능입력부의 특수기능중 시작점 및 끝점키가 구비되어 있는 구간 반복키에 의해서 상기 음성메모리카드에 기억된 음성신호중 시작점 및 끝점설정에 의한 구간만큼 연속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입력부의 특수기능입력키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18. 리모콘 신호와 키보드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입력부와,
    카세트 테이프의 무녹음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신호를 제공하는 무녹음 간격 설정부와,
    사용자가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서 입력시키기 위한 음성입력수단과,
    상기한 음성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증폭 및 조정하여 출력하는 음성 증폭부와,
    좌측음성신호와 우측음성신호를 조정하면서 카세트 테이프에 저장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시킨 뒤에 좌우 밸런스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재생/녹음부와,
    상기한 음성 증폭부와 재생/녹음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음성 검출부와,
    상기한 음성 증폭부와 재생/녹음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면서 볼륨 및 베이스/트레블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출력 증폭부와,
    상기한 출력 증폭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수단과,
    상기한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 되감기, 빨리감기, 녹음, 포즈,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면서, 문장선택, 반복횟수, 자동반복, 1대1대화①, 1대1대화②, 한문장반복, 구간반복, 동시녹음, 무녹음 간격 설정, 어학실 단말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한 마이콤이 콘솔과 인터페이스되어 선생님 호출, 학생 모니터링, 강의 선택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콘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한 마이콤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가 구동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데크 구동부와,
    상기한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속력을 설정하기 위한 테이프 속력 조절부와,
    상기한 데크 구동부와 테이프 속력 조절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를 구동하는 데크부와,
    상기한 마이콤의 동작상태, 문장 선택수, 문장반복 횟수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키입력부의 음성입력 차단키가 눌린 경우에, 상기한 마이콤은 음성 증폭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음성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접지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KR1019950006765A 1995-03-28 1995-03-28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KR0136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765A KR0136883B1 (ko) 1995-03-28 1995-03-28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765A KR0136883B1 (ko) 1995-03-28 1995-03-28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430A KR960035430A (ko) 1996-10-24
KR0136883B1 true KR0136883B1 (ko) 1998-05-15

Family

ID=1941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765A KR0136883B1 (ko) 1995-03-28 1995-03-28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858B1 (ko) * 2000-12-26 2004-05-24 주식회사 현대영어사 어학 학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363B1 (ko) * 1997-11-04 2001-03-02 윤만희 어학 학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858B1 (ko) * 2000-12-26 2004-05-24 주식회사 현대영어사 어학 학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430A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6883B1 (ko) 문장자동선택 반복장치
KR100275363B1 (ko) 어학 학습기
KR100866779B1 (ko) 어학 학습기의 반복 재생 방법
US5746601A (en) Audio system with language exercise function
US5087205A (en) Adjustable interactive audio training system
JP2010107926A (ja) 語学ヒアリング能力およびシャドーイング能力を向上させる学習教材及びその作成方法
KR20000059945A (ko) 디지털 음성 속도가변 재생방법을 이용한 어학 학습기
KR940007508B1 (ko) 어학실습기능을 갖는 오디오 시스템
KR100357243B1 (ko) 오디오 및 캡션데이터의 출력채널선택을 이용한학습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학습기기
KR100410863B1 (ko) 캡션카셋트플레이어에서문장단위로반복재생방법
KR0160188B1 (ko) 콤팩트 디스크의 자동반복 및 대화형 자동조정장치
JPH0728384A (ja) 語学練習機
CN1059976C (zh) 具有语言练习功能的语音复读机
JPS61103183A (ja) 語学教育装置
KR100236428B1 (ko) 반복 기능 및 대화 기능을 갖춘 cd 어학 학습기
KR100432858B1 (ko) 어학 학습기
KR19990085644A (ko) 어학학습용 매체 구동방법
JP2789607B2 (ja) 集団学習装置
KR0151657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드의 음성출력회로
JPS63148288A (ja) 発音訓練装置
KR200422569Y1 (ko) 디지털 멀티 그룹 학습기
JP2000020093A (ja) Icレコーダ
JPH06167999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H07272396A (ja) 語学用テープレコーダ
KR19980022326A (ko) 캡션 카셋트 플레이어에서 문장단위로 자동구간 반복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420

Effective date: 200009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1102

Effective date: 2001110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