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469B1 -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469B1
KR100237469B1 KR1019970057224A KR19970057224A KR100237469B1 KR 100237469 B1 KR100237469 B1 KR 100237469B1 KR 1019970057224 A KR1019970057224 A KR 1019970057224A KR 19970057224 A KR19970057224 A KR 19970057224A KR 100237469 B1 KR100237469 B1 KR 100237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ell
optical subscriber
data
subscrib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422A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70057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469B1/ko
Publication of KR1999003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57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04J2203/0058Network management, e.g. Intelligent nets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가입자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광가입자시스템(FLC-C: Fiber Loop Carrier-Curb)에서 시스템을 제어하고 랜(LAN)과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Main Control Unit)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분산되어 위치하는 다양한 가입자들을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ATM교환망, 공중전화망, 및 전용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광가입자시스템에 있어서, 셀버스에 연결되어 IPC셀 및 OAM 셀을 ATM방식으로 접속하기 위한 ATM정합부(250); IPC와 명령 입출력을 위한 직렬 데이터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직렬 통신부(240);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함과 아울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10); 망관리시스템과 접속되어 광가입자시스템에 대한 관리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랜정합부(220); 디지털 채널 접속(DCC)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통신부(230);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어 공통버스(208,209)를 통해 상기 각 부들을 제어하고, 상기 ATM정합부(250)를 통해 송수신되는 IPC셀과 OAM 셀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부(20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제어장치는 광가입자시스템의 각종 보드들을 제어하고 관리하여 광가입자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용 및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 ( A main control unit of fiber loop carrier - curb system )
본 발명은 다양한 가입자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광가입자시스템(FLC-C: Fiber Loop Carrier-Curb)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가입자시스템에서 시스템을 제어하고 랜(LAN)과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Main Control Uni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입자망은 가입자 댁내에 설치되어 있는 가입자 단말을 통신망에 접속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데, 아날로그 음성서비스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일반주거용 가입자를 위해서는 2선 혹은 4선의 동선 케이블(TP)을 가입자망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오늘날에는 정보사회의 진전에 따라 고속 데이터 서비스와 영상통신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광대역의 가입자망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광대역의 가입자망을 구축하기 위한 가입자 접속기술은 기존의 유선선로를 이용하는 ADSL, HDSL과,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가입자망 기술(FTTH 혹은 FTTC), 가입자 선로를 무선으로 제공하기 위한 무선가입자망(WLL: Wireless Local Loop) 등이 있다. 여기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가입자망은 DLC(Digital Loop Carrier)시스템이 발전된 FLC(Fiber Loop Carrier)시스템으로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FLC시스템은 ATM기술과 광네트워크유니트(ONU:Optical Network Unit)를 이용한 FLC-C로 점차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가입자시스템를 구현함에 있어서 가입자시스템은 유지보수 및 운용을 편리하게 하고, 설치공간의 최소화, 소모전력 절감 등을 위하여 감시제어기능이 요구됨과 아울러 컴퓨터망(NMS)과의 접속이 요구된다. 즉, 광가입자시스템는 음성 및 DS0, DS1N, DS1E, DS3급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망관리장치들과의 연동이 가능해야 하므로 이러한 광가입자시스템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 및 운용하기 위하여 주제어장치가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광가입자시스템에 있어서 각 보드들을 제어하고 시스템을 운용 및 유지보수하기 위한 주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분산되어 위치하는 다양한 가입자들을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ATM교환망, 공중전화망, 및 전용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광가입자시스템에 있어서, 셀버스에 연결되어 IPC셀 및 OAM 셀을 ATM방식으로 접속하기 위한 ATM정합부; IPC와 명령 입출력을 위한 직렬 데이터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직렬 통신부;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함과 아울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망관리시스템과 접속되어 광가입자시스템에 대한 관리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랜정합부; 디지털 채널 접속(DCC)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어 공통버스를 통해 상기 각 부들을 제어하고, 상기 ATM정합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IPC셀과 OAM 셀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가입자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프로세서부 210: 메모리부
220: 랜정합부 230: 디지털 통신 정합부
240: 직렬통신부 250: ATM정합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가입자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제어장치를 도시한 세부 블록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가입자시스템는 전화국사 등에 설치되어 ATM망, PSTN망, 전용선망 등에 연결되는 호스트 디지탈 터미널(HDT:100)과, 가입자측에 분산되어 위치하며 상기 호스트 디지탈 터미널과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다수의 광 네트워크 유니트(ONU: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HDT:100)은 ATM교환망(12)과 ATM송수신유니트(ATRU)를 통해 STM-4(약 622Mbps) 혹은 STM-1(약 155Mbps) 레벨로 접속되고, 공중전화망(14)과 DS1E유니트를 통해 DS1(약 1.544Mbps) 혹은 DS1E(약 2.048Mbps) 레벨로 접속되며, 전용망(16)과 DS1L유니트를 통해 DS1 레벨로 접속된다.
도 1에 있어서, HDT(100)는 2개의 ATRU(101-1,1-1-2)와, 8개의 DS1E(102-1 ∼ 102-8), 하나의 DS1L(103), 8개의 OTRU(104-1∼104-8) 및 하나의 주제어장치(MCU:110)가 셀버스(105)를 통해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하나의 OTRU(104-1∼104-8)에는 2개의 ONU(121∼121-16)가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제어장치(MCU:110)는 수요밀집형 광가입자시스템인 FLC의 호스트 디지탈 터미널(HDT:100)에 실장되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 제어, 광네트워크유니트(ONU:120)와의 통신기능 및 망관리시스템(NMS)과의 통신기능을 제공한다. 주제어장치(MCU:110)는 HDT(100)에 접속되는 모든 유니트들에 대해 IPC셀을 이용하여 각 유니트 및 포트의 프로비젼, 유니트의 장애검출 및 복구, 성능 감시, 절체, 루프백(loopback) 등의 시스템 관리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며, OAM셀을 이용하여 ONU(120)와의 통신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주제어장치(MCU:110)는 LAN을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망관리시스템(NMS)와 통신할 뿐만 아니라 전면에 설치된 직렬통신포트(RS232C포트)를 이용하여 HDT 및 ONU의 유지보수 전반에 관한 각종 명령어를 입력하게 하고 시스템 상태를 출력하게 하는 등 전반적인 관리 및 제어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주제어장치(MCU:110)는 ATRU(101-1,101-2)로부터 추출된 192 Kbps의 디지털 채널 접속(DCC) 채널 처리기능 및 V.24 인터페이스에 의한 X.25 접속포트 및 병렬 텔리메트리에 의한 장애집중관리장치(FADP)와의 경보 송수신기능, 직렬 텔리메트리 기능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제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버스(도1의 105)에 연결되어 IPC셀 및 OAM 셀을 ATM방식으로 접속하기 위한 ATM정합부(250); IPC와 명령 입출력을 위한 직렬 데이터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직렬통신부(240);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함과 아울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10); 망관리시스템과 접속되어 광가입자시스템에 대한 관리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랜정합부(220); 디지털 채널 접속(DCC)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통신부(230);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어 공통버스(208,209)를 통해 상기 각 부들을 제어하고, 상기 ATM정합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IPC셀과 OAM 셀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부(200)로 구성된다.
그리고 메모리부(210)는 롬(ROM:211), 비휘발성램(NVRAM:212), DRAM(213), DRAM 제어 및 중재기(214)로 구성되고, 랜정합부(220)는 랜제어기(222), 이더넷인터페이스(221)로 구성되며, 디지털 통신부(230)는 LAP-B 제어기(231), LAP-D 제어기(232,233)로 구성된다. 직렬통신부(240)는 MFP1(241), MFP2(242), MFP3(243)로 구성되고, ATM정합부(250)는 셀버스 스위치(CUBIT:251,252), 수신FIFO(255,256), 변환테이블램(TRAM:253,254)으로 구성된다. 프로세서부(200)는 도시되지 않은 클럭발생기, 리셋회로 등과 함께 어드레스 디코더(207), 레지스터부(205)를 포함하며, 주제어장치에 의한 동작 상태는 디스플레이부(206)에서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이들 각부는 데이터버스(208) 및 어드레스버스(209)를 통해 프로세서(200)와 연결되고, 필요에 따라 버퍼(201, 202, 203, 204)가 사용되어 구동능력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데이터 전송을 버퍼링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제어장치에서 전체 데이터의 흐름은 크게 랜 데이터, IPC & OAM 데이터, OS, DCC채널, 직렬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이더넷 포트를 통해 이더넷 인터페이스(221)로 입력되는 랜 데이터는 이더넷 인터페이스(220)에서 물리계층의 기능이 처리되고, 랜제어기(22)에서 매체억세스제어(MAC)계층의 기능이 처리된 후 랜제어기(22)의 DMA기능에 의해 메모리부의 DRAM(213)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랜(LAN)을 통해 입력된 랜 데이터를 DRAM(213)에 저장한 후 랜제어기(222)가 프로세서부(200)로 인터럽트를 띄어주면, 이에 따라 프로세서부(200)는 DRAM(213)에 저장된 해당 랜 데이터를 읽어 처리한다. 반면, 랜 데이터를 송신시에는 프로세서부(200)가 송신할 랜 데이터를 DRAM(213)에 기록한 후 랜제어기(222)의 특정 레지스터를 셋팅한다. 랜제어기(222)는 특정 레지스터가 셋팅되면, DRAM(213)에 저장된 랜 데이터를 읽어와 이더넷 인터페이스(221)를 통해 랜(LAN)측으로 전송한다.
IPC & OAM 데이터는 ATM정합부(250)를 통해 셀버스측으로 송수신되는데, 셀버스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는 셀버스 스위치(251,252)를 거쳐 수신FIFO(255,256)에 라이트되고, 셀버스 스위치(251,252)가 이를 프로세서(200)에 인터럽트로 알리면 프로세서(200)가 수신FIFO(251,25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간다. 셀 송신시에는 프로세서(200)가 공통버스(208,209)를 통해 셀버스 스위치(251,252)로 송신할 데이터를 직접 전달하면 셀버스 스위치(251,252)가 변환테이블램(253,254)을 이용하여 라우팅 헤더를 부착하여 셀버스측으로 송신한다. 이때 셀버스 스위치(251,252)는 사용자 포트와 프로세서 포트를 구비하고 있는데, IPC셀의 송신 및 OAM셀의 송신은 프로세서 포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IPC셀의 수신은 사용자 포트에 연결된 수신FIFO(255,256)를 통해 이루어지며, OAM셀의 수신은 사용자 포트 혹은 프로세서 포트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IPC 데이터는 셀버스측과 다른 직렬통신경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는데, 이 직렬통신경로는 클럭(CLK)유니트와의 통신시 및 셀버스상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에 다른 유니트들과의 IPC통신시에 사용된다. OS 및 DCC채널 데이터는 LAP-B 제어기(231), LAP-D 제어기(232,233)의 DMA기능을 통해 처리되며, 직렬 데이터는 RS232C, TBOS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다.
도 2에서 메모리부(210)의 롬(ROM:211)은 512K바이트 플래시 메모리 8개로 구현되어 최대 4 M바이트까지 확장 가능하고, DRAM(213)은 32M바이트 DRAM모듈 4개로 구성되어 128 M바이트까지 확장 가능하며, 비휘발성램(NVRAM:212)은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각종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32K바이트의 용량으로 구현된다.
어드레스 디코더(207)는 상위 16비트의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칩선택신호를 만들어낸다. DRAM 제어 및 중재기(214)는 도시되지 않은 어드레스 먹스부, 라스/카스신호 발생부, 리프레쉬 제어부, DTACK발생부 등으로 구성되어 DRAM(213)을 제어한다. 여기서 DRAM(213)은 프로세서부(200), 랜제어기(222), LAP-B 제어기(231), LAP-D제어기(232), LAP-D제어기(233)에 의해 공유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들이 DRAM(213)을 억세스할 경우 이를 중재하기 위한 기능이 DRAM 제어 및 중재기(214)에 구현되어 있다. DRAM 중재시의 우선순위는 프로세서(200), LAN제어기(222), LAPB제어기(231), LAPD제어기(232), LAPD 제어기(233) 순으로 할당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IPC채널은 셀버스를 이용하는 방법과, 직렬통신경로를 이용한 방법이 가능하며, 클럭 유니트(CLK UNIT)는 직렬 IPC만 가능하다. 셀버스로부터 입력되는 IPC셀은 셀버스 스위치(251,252)를 통해서 FIFO(255,256)에 저장되고, IPC셀이 수신되었음을 프로세서(200)로 인터럽트를 통하여 전달하면 프로세서는 FIFO(255,256)내의 셀을 읽어 처리한다. 반면, 주제어장치(110)로부터 타 유니트로 IPC 셀을 전송하고자할 경우, 셀버스 스위치(251,252) 내의 프로세서 포트를 통해 IPC 셀을 삽입하면, 셀버스 스위치(251,252)가 셀버스를 통해 전송한다. 직렬통신은 384Kbps의 TTL레벨로 전송된다.
ONU(도1의 120)로부터 입력되는 OAM셀은 OTRU를 통하여 셀버스에 실리게 되고, 이는 다시 주제어장치의 셀버스 스위치(CUBIT)로 수신된다. 셀버스 스위치(CUBIT:251,252) 내에는 프로세서 포트와 사용자 포트가 있는데, ONU로부터 수신한 OAM셀을 이들 포트중 어디로든지 추출이 가능하다. 사용자 포트로 추출할 경우 OAM셀의 흐름은 IPC셀의 처리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처리되며, 프로세서 포트로 추출된 셀은 셀버스 스위치(CUBIT:251,252)가 발생하는 인터럽트에 의하여 프로세서(200)가 처리하게 된다. OAM셀을 주제어장치(MCU)로부터 ONU방향으로 송신할 경우는 IPC셀의 송신과 같은 처리 경로를 거치게 된다.
직렬통신부(240)는 보드 디버깅을 위한 RS232C 인터페이스부와, TBOS를 위한 RS422 인터페이스, OS와의 접속을 위한 RS232C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들 인터페이스는 라인 드라이버와 MFP를 통해서 제공된다. MFP에서는 내부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WDT(Watch Dog Timer)를 구성할 수 있다.
랜정합부(220)는 이더넷 포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수신 데이터를 DRAM(213)에 저장하고, DRAM에 저장된 송신 데이터를 LAN측으로 전달한다. 이때, 이더넷 인터페이스(221)는 물리계층의 기능을 처리하고, LAN제어기(222)는 MAC계층의 처리를 한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로는 AUI, 10BASE-T를 지원할 수 있다.
ATM정합부(250)에서 셀버스와의 인터페이스를 살펴보면, 셀버스 스위치(CUBIT:251,252)를 사용하여 32비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물리계층쪽으로는 UTOPIA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셀버스 스위치(CUBIT:251,252)는 타 모듈로 전송하고자 하는 53바이트의 ATM셀을 변환테이블램(253,254)의 내용에 따라 12바이트의 라우팅 헤더를 부착하여 셀버스로 전송하고, 셀버스로부터 입력되는 셀에 대하여 일반 사용자 셀, OAM & IPC셀, 루프백셀을 분리한다. 만일, 일반사용자 셀(HDT-ONU간 통신셀)이면 셀버스 스위치(251,252)는 수신된 사용자 셀에서 12바이트의 라우팅 헤더를 제거한 후 사용자 포트를 통해 FIFO(255,256)로 라이트하고, OAM셀이면 프로세서 포트로 추출하며, 루프백(loopback)셀이면 셀버스 스위치(CUBIT:251,252) 내부에서 루프백하여 셀버스쪽으로 전송한다.
LAP-B제어기(23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MC68605를 사용하여 구현하며, X.25의 LAP-B 데이터를 처리하고, DMA기능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LAP-D제어기(232,233)는 MC68606을 사용하여 구현하는데, MC68606은 최대 8192개의 논리적인 링크를 처리할 수 있으며, DMA기능을 가진다. 재생기 구간 DCC채널 데이터는 프로세서와 공유하는 DRAM(213)을 이용하여 처리된다.
레지스터부(205)는 2개의 상태 레지스터와 3개의 제어 레지스터로 구성되며, 디스플레이부(206)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어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구성블록의 어드래스 맵(address map)을 살펴보면, 다음 표 1과 같이 할당되어 있다.
어드레스범위 디바이스명 비고
0000 0000~07FF FFFF 로컬 램 128MB
0800 0000~08FF FFFF NVRAM 32KB
0900 0000~093F FFFF ROM 4MB
0950 0000~0950 FFFF MFP1 직렬
0951 0000~0951 FFFF MFP2 TBOS
0952 0000~0952 FFFF MFP3 IPC
0953 0000~0953 FFFF LAN 32비트
0954 0000~0954 FFFF 상태 레지스터1 32비트
0955 0000~0955 FFFF 상태 레지스터2 32비트
0956 0000~0956 FFFF 제어 레지스터1 32비트
0957 0000~0957 FFFF 제어 레지스터2 32비트
0958 0000~0958 FFFF 제어 레지스터3 32비트
0960 0000~0960 FFFF LAP-D1 16비트
0961 0000~0961 FFFF LAP-D2 16비트
0962 0000~0962 FFFF LAP-B 16비트
0963 0000~0963 FFFF 와치독
0970 0000~0970 FFFF CUBIT1 8비트
0971 0000~0971 FFFF FIFO1 8비트
0972 0000~0972 FFFF CUBIT2 8비트
0973 0000~0973 FFFF FIFO2 8비트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어드레스 0954 0000 ∼ 0954 FFFF에 32비트의 상태 레지스터1이 할당되어 있고, 어드레스 0956 0000 ∼ 0956 FFFF에 32비트의 제어 레지스터1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태 레지스터1은 시스템에 실장되는 보드들의 전원고장과 각 보드들의 실장 및 탈장을 표시하고, 제어 레지스터1은 디스플레이부(206)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고장(FAIL), 긴급경보(CR), 주요경보(MJ), 일반경보(MN), 루프백(LB), ONU경보(RMT), 경보이력표시(HST), 가청경보차단(ACO) 등을 표시하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제어장치는 광가입자시스템의 각종 보드들을 제어하고 관리하여 광가입자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용 및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분산되어 위치하는 다양한 가입자들을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ATM교환망, 공중전화망, 및 전용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광가입자시스템에 있어서,
    셀버스에 연결되어 IPC셀 및 OAM 셀을 ATM방식으로 접속하기 위한 ATM정합부(250);
    IPC와 명령 입출력을 위한 직렬 데이터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직렬 통신부(240);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함과 아울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10);
    망관리시스템과 접속되어 광가입자시스템에 대한 관리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랜정합부(220);
    디지털 채널 접속(DCC)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통신부(230);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어 공통버스(208,209)를 통해 상기 각 부들을 제어하고, 상기 ATM정합부(250)를 통해 송수신되는 IPC셀과 OAM 셀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부(200)를 포함하는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TM정합부(250)는 라우팅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변환테이블램(253)과, 수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FIFO(255,256), 송신시 상기 프로세서부(200)가 제공하는 셀에 상기 변환테이블램(253,254)을 억세스하여 얻은 라우팅 헤더를 부착하여 셀버스측으로 송신하고, 수신셀의 라우팅 헤더를 분석하며 해당 셀을 상기 FIFO(255,256)에 저장한 후 이를 상기 프로세서부(200)에 알리는 셀버스 스위치(251,2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정합부(220)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위한 물리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221)와,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221)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210)에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부(200)로부터 송신이 요구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데이터를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221)를 통해 랜측으로 송신하는 랜제어기(2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통신부(230)는 X.25방식의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LAP-B 제어기(231)와 디지털 채널 접속(DCC) 데이터를 위한 LAP-D 제어기(232,2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
KR1019970057224A 1997-10-31 1997-10-31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 KR100237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224A KR100237469B1 (ko) 1997-10-31 1997-10-31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224A KR100237469B1 (ko) 1997-10-31 1997-10-31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422A KR19990035422A (ko) 1999-05-15
KR100237469B1 true KR100237469B1 (ko) 2000-01-15

Family

ID=1952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224A KR100237469B1 (ko) 1997-10-31 1997-10-31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7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472B1 (ko) * 1999-10-25 2002-02-07 오길록 이더넷 망을 연동 망으로 하는 망정합장치들의 연동장치 및 연동방법
KR20030019835A (ko) * 2001-08-31 2003-03-07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셀버스를 이용한 에이티엠 스위칭 장치
KR100427512B1 (ko) * 2001-09-10 2004-04-30 주식회사데이콤 메트로 랜 방식을 활용한 고속 아이피 전용망
KR100527342B1 (ko) 2002-12-18 2005-1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동 광통신망을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422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5630B1 (en) Device initializing system with programmable array logic configured to cause non-volatile memory to output address and data information to the device in a prescribed sequence
JPH0748749B2 (ja) 電気通信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可変信頼性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524801B2 (ja) 通信システム
CA2031785C (en) Apparatus for programmably accessing and assigning time slots in a time division multiplexed communication system
JPH0573306B2 (ko)
US6493346B1 (en) System for providing conversion of TDM-based frame relay data in a cross-connect matrix to and from ATM data
KR100237469B1 (ko)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
KR100206465B1 (ko) 사설교환기의 종합정보통신망 접속장치 및 방법
US6178180B1 (en) Communications adapter for processing ATM and ISDN data
US4633461A (en) Switching control for multiple stage time division switch
KR19990035436A (ko) 광가입자시스템의 주제어장치
KR19980045411A (ko) Atm 교환기에서 채널별로 처리하는 프레임 릴레이 망/서비스 연동장치
KR100287418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의 주 제어장치
US5953539A (en) Service switching point having a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KR100233679B1 (ko) Atm 교환기에서 중속 가입자 정합장치
KR100353866B1 (ko)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 다중화정합모듈의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KR100252500B1 (ko) Atm 교환기의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보드에 있어서 버스 중재회로
KR100314582B1 (ko) 디스램 시스템의 가입자보드 확장을 위한 제어메시지 관리방법
KR100230837B1 (ko) 프레임 릴레이와 atm 교환기의 정합장치에 있어서 셀버스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0219214B1 (ko) Atm 교환기에서 atm 셀과 스위치 정합장치
KR100428779B1 (ko)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KR0129612B1 (ko) 집중형 광대역망 종단(b-nt)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제어하기위한 장치
KR19980054672A (ko) Atm 교환기에서 atm 계층 수신 처리장치
KR100258707B1 (ko) Atm 교환기의 스위치 네트워크 장치
KR940007985B1 (ko) Isdn 일차군 기본액세스 다중 가입자 정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