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779B1 -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779B1
KR100428779B1 KR10-2002-0009318A KR20020009318A KR100428779B1 KR 100428779 B1 KR100428779 B1 KR 100428779B1 KR 20020009318 A KR20020009318 A KR 20020009318A KR 100428779 B1 KR100428779 B1 KR 100428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port
interface
interprocesso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510A (ko
Inventor
박성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9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779B1/ko
Publication of KR20030069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11Switch interfaces, e.g. port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4Address processing for routing
    • H04L45/745Address table lookup; Address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식 전송모드 교환기 시스템의 IPC 경로구성에 있어서 시스템을 보다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한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인 프로세서간 통신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개의 포트, 및 주변 프로세서와의 통신 경로로 사용되는 단일의 포트를 갖춘 프로세서간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셀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라우팅 테이블; 및 상기 송수신되는 셀을 상기 라우팅 정보에 근거하여 스위칭하는 송수신 로직을 구비함으로써, 외부 선로의 영향없이 교환기 내부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시스템 구성이 간편해지고 보다 안정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An interface apparatus for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교환기 시스템에서 프로세서간의 효율적인 통신 경로를 제공하도록 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교환을 위한 대형 시스템은 크고 작은 프로세서와 기능 구현을 위한 보드로 구성되고, 이러한 프로세서들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각 프로세서간에는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경로가 존재하고, 그 통신 경로를 통해 각 통신 블록들을 제어하여 전체 시스템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로세서의 종류로는 크게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와 주변 프로세서(Peripheral Processor)로 구성된다. 그 메인 프로세서는 모든 주변 프로세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전달하고, 각 블록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관리한다. 그 주변 프로세서는 각각의 기능 구현을 위하여 구성된 디바이스 또는 블록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메인 프로세서는 하위 주변 프로세서와 데이터 및 명령 전달을 위하여 통신 경로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프로세서간의 통신을 IPC(Inter-Processor Communication)라고 한다. 그 IPC를 위하여 종래의 시스템은 보드 내부에 별도의 통신을 위한 블록을 구성시키고, 또한 각 프로세서를 연결하기 위해 부가적인 연결 장치를 이용한다.
종래의 IPC경로는 백보드(backboard)를 통하여 구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 백보드의 회로가 복잡해지고 노이즈에 의한 신호의 왜곡이 불안정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다른 방식으로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더넷(ethernet)과 같은 외부 라인을 통하여 구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 군(10) 및 주변 프로세서 군(20, 30)의 일단은 각각 이더넷에 연결되고, 그 메인 프로세서 군(10) 및 주변 프로세서 군(20, 30)의 타 단은 각각 스위치(40)에 연결된다.
도 1에서와 같이 IPC 경로로서 이더넷을 이용할 경우는 백보드를 이용하는 종래의 구성보다는 회로의 복잡성과 노이즈의 영향을 줄여 보다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으나, 각 프로세서 군마다 IP망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네트워크의 자원을소모하며,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가중될 경우 중요한 IPC 데이터가 소실되거나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비동기식 전송모드 교환기 시스템의 IPC 경로구성에 있어서 시스템을 보다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한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로세서간 경로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프로세서간 인터페이스와 외부 포트와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의 상세한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구성에 적용되는 프로세서간 통신 셀의 흐름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 프로세서 군 12 : CPU
14, 24, 28 : 버퍼 16 : VPI 라우팅 테이블
18 : 송신 로직부 20, 30 : 주변 프로세서 군
22 : 수신 로직부 26 : 스위치 포트
32 : 포트 로직부 34 : 프로세서 포트
40, 50 : 스위치 42 : 광 드라이버
44 : 광 모듈 46 : 시리얼 데이터 링크 드라이버
60 : IPC 인터페이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는, 메인 프로세서간 통신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개의 포트, 및 비동기식 전송모드 교환기의 스위치에 연결되어 주변 프로세서와의 통신 경로로 사용되는 단일의 포트를 갖춘 프로세서간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셀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라우팅 테이블; 및 상기 송수신되는 셀을 상기 라우팅 정보에 근거하여 스위칭하는 송수신 로직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프로세서간 인터페이스와 외부 포트와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프로세서간의 통신을 원할하게 수행시켜 주는 프로세서간 인터페이스(이하, IPC 인터페이스라 함; 60)의 일단에는 메인 프로세서간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개의 포트가 구성되고, 그 IPC 인터페이스(60)의 타단에는 ATM교환기의 스위치에 연결되어 주변 프로세서와의 통신경로로 사용하기 위한 한 개의 포트가 구성된다.
여기서, 그 IPC 인터페이스(60)는 메인 프로세서 포트를 통해서는 시리얼 데이터 링크(serial data link)를 행하고, 한 개의 스위치 포트를 통해서는 광 인터페이스 또는 STM-1(Synchronous Transport Module level 1, 155Mbps) 인터페이스 방식에 의해 스위치와 통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로서, 각각의 주변 프로세서 군(20, 30) 사이에 스위치(50)가 설치되고, 그 스위치(50)는 IPC 인터페이스(60)를 통해 메인 프로세서 군(10)과 연결된다.
즉, 그 스위치(50)는 그 IPC 인터페이스(60)와 연계하여 주변 프로세서와 메인 프로세서간의 통신 경로 및 메인 프로세서간의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도 3의 구성을 도 1의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도 1의 종래의 구성은 이더넷을 이용하게 됨에 따라 매우 복잡한 구성인데 반해, 도 3의 구성은 회로의 복잡성에서 탈피하여 시스템 구성면 또는 운영면에서 보다 효율적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의 상세한 구성도로서, CPU(12); 그 CPU(12)와 유토피아 인터페이스(UTOPIAinterface)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선입선출(FIFO) 방식의 버퍼(14); 포트로부터 입력된 셀의 라우팅 정보(VPI값)를 저장하고 있는 VPI(Virtual Path Identifier; 가상 경로 식별자) 라우팅 테이블(16); 그 버퍼(14)로부터 출력되는 셀 및 그 프로세서 포트(34)로부터 입력되는 셀을 그 VPI 라우팅 테이블(16)의 라우팅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하는 송신 로직부(18); 스위치 포트(26)로부터 입력된 수신 데이터를 그 VPI 라우팅 테이블(16)의 라우팅 정보에 근거하여 그 버퍼(14)에게로 제공하거나 후단의 다른 선입선출 방식의 버퍼(24, 28)로 제공하는 수신 로직부(22); 그 송신 로직부(18)로부터의 셀 또는 버퍼(24)를 통한 수신 로직부(22)로부터의 셀을 후단의 스위치로 전송하고,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 프로세서로부터의 셀을 그 버퍼(24)를 통해 수신 로직부(22)에게로 전달하는 스위치 포트(26); 그 버퍼(28)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 로직부(22)로부터의 셀에 대한 출력포트를 지정하고, 메인 프로세서측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그 버퍼(28)를 통해 송신 로직부(18)측으로 제공하는 포트 로직부(32); 및 그 포트 로직부(32)로부터의 송신용 셀을 해당하는 메인 프로세서에게로 전송하고, 임의의 메인 프로세서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포트 로직부(32)에게로 전송하는 프로세서 포트(34)를 구비한다.
여기서, 그 송신 로직부(18)는 모든 셀의 송신에 대하여 스위칭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CPU(12) 및 장치 전체에 대한 제어를 담당한다.
그리고, 그 수신 로직부(22)는 모든 셀의 수신에 대하여 스위칭한다.
또한, 그 포트 로직부(32)는 다수개의 포트 드라이버(도시 생략)를 제어하는데, 그 송신 로직부(18)와 수신 로직부(22)와 연동하게 구성된다.
또, 셀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하여 셀의 흐름 사이에 선입선출 방식의 버퍼(14, 24, 28)를 구성시켰는데, 그 버퍼(14, 24, 28)에 저장되는 셀에 대한 중재(arbitration) 기능은 전적으로 송신 로직부(18)에서 담당한다.
그리고, 도 4의 구성은 효율적인 IPC경로 제공을 위하여 하드웨어적인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이피엘디(EPLD : Eras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mC로직을 사용한 분산제어 구조를 갖는다.
도 4에서는 프로세서 포트(34)를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 다수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그 VPI 라우팅 테이블(16)은 모든 셀의 스위칭을 위해 별도로 구성되는데, ATM 셀의 VPI값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 VPI 라우팅 테이블(16)은 구성할 포트의 개수에 따라 정해지며 CPU(12)에서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그 송신 로직부(18) 및 수신 로직부(22)는 송수신되는 셀의 VPI값을 VPI 라우팅 테이블(16)을 참조하여 스위칭함으로써 모든 프로세서간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그에 따라 그 VPI 라우팅 테이블(16)은 CPU(12)와 송신 로직부(18) 및 수신 로직부(22)가 모두 이용가능하도록 DPRAM(Dual Port RAM)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 4의 구성에 따르면, 다수의 메인 프로세서로부터 송수신되는 셀은 다수개의 프로세서 포트(34)를 통하여 상호간의 통신이 이루어지고, 메인 프로세서와 주변 프로세서간의 통신은 스위치 포트(26)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 셀의 흐름 경로를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CPU(12)에서 송신 로직부(18)를거쳐 출력되는 셀은 스위치 포트(26)의 송신부(26a)를 통해 주변 프로세서에게로 전송되거나 프로세서 포트(34)의 송신부(34a)를 통해 해당하는 메인 프로세서에게로 전송된다. 그리고, 그 스위치 포트(26)의 수신부(26b)로 입력되는 셀은 수신 로직부(22)를 통해 프로세서 포트(34)의 송신부(34a)를 매개로 하여 해당하는 메인 프로세서에게로 전송된다. 그 스위치 포트(26)의 수신부(26b) 및 프로세서 포트(34)의 수신부(34b)에 입력된 셀은 수신 로직부(22)를 통해 CPU(12)에게로 전송된다. 그 프로세서 포트(34)의 수신부(34b)에 입력된 셀은 수신 로직부(22)와 송신 로직부(18)를 거쳐 그 프로세서 포트(34)의 송신부(34a)를 통해 해당하는 메인 프로세서에게로 전송된다. 마지막으로, 그 프로세서 포트(34)의 수신부(34b)에 입력된 셀은 수신 로직부(22)와 송신 로직부(18)를 거쳐 그 스위치 포트(26)의 송신부(26a)를 통해 주변 프로세서에게로 전송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셀의 흐름은 EPLD 로직으로 구성된 분산제어 구조를 취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적인 스위칭이 구현되어 고속의 셀 스위칭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4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면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는 도 4의 스위치 포트(26)를 광 드라이버(42)와 광 모듈(44)로 대체하였고, 도 4의 프로세서 포트(34)를 시리얼 데이터 링크 드라이버(46)로 대체하였다.
이와 같은 도 6의 구성에 의해서도, 도 5에서와 같은 셀의 흐름 경로가 이루어진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선로의 영향없이 교환기 내부의 스위치를 이용함으로써 시스템 구성이 간편해지고 보다 안정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간 통신은 내부 스위치를 이용하므로 하드웨어적인 변경없이 VPI/VCI에 의한 통신경로 할당을 쉽게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스템의 구현 및 유지보수 차원에서 탁월한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4)

  1. 메인 프로세서간 통신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개의 포트, 및 주변 프로세서와의 통신 경로로 사용되는 단일의 포트를 갖춘 프로세서간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셀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라우팅 테이블; 및
    상기 송수신되는 셀을 상기 라우팅 정보에 근거하여 스위칭하는 송수신 로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테이블은 듀얼 포트 램(DPRAM)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로직에 의해 스위칭되는 셀의 흐름의 제어를 위해 버퍼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에 저장되는 셀에 대한 중재는 상기 송수신 로직중에서 송신 로직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02-0009318A 2002-02-21 2002-02-21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KR100428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318A KR100428779B1 (ko) 2002-02-21 2002-02-21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318A KR100428779B1 (ko) 2002-02-21 2002-02-21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510A KR20030069510A (ko) 2003-08-27
KR100428779B1 true KR100428779B1 (ko) 2004-04-28

Family

ID=3222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318A KR100428779B1 (ko) 2002-02-21 2002-02-21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7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510A (ko) 200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6337A (en) ATM switch interface
EP1891778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US20080144670A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a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Traffic
US7324537B2 (en) Switching device with asymmetric port speeds
JPH08265369A (ja) データ通信保進スイッチ
US7706259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redundant structure of ATCA (advanced telecom computing architecture) system via base interface and the ATCA system for use in the same
EP1428355B1 (en) Method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a time-division multiplexed communication link of a signal transfer point, and a corresponding signal transfer point
US6178180B1 (en) Communications adapter for processing ATM and ISDN data
KR100428779B1 (ko)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KR100745674B1 (ko) 다중 스위칭 포트 지원 구조의 패킷 처리장치, 방법 및 그장치를 적용한 패킷 처리시스템
KR100225519B1 (ko) 프로세서간 통신 경로 이중화 장치
KR880004661A (ko) 스위칭 시스템
KR100311228B1 (ko) 복수개의 플레인으로 구성된 셀/패킷 스위칭 시스템
JP3477686B2 (ja) 非同期転送モード光信号整合装置
KR970000069B1 (ko) 이중화된 통신용 보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팀 내부 통신망의 망 접속장치
KR100287418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의 주 제어장치
KR20020063639A (ko)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 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100270718B1 (ko) 비동기식전송모드 셀 멀티플렉싱 및 디멀티플렉싱 장치
KR100241702B1 (ko) 용량 확장형 atm 사설망 교환기
KR20070061307A (ko) 버스 및 네트워크의 복합 통신 수단을 갖는 시스템 온칩
KR100258706B1 (ko) Atm 교환기의 스위치 네트워크 장치
KR100228319B1 (ko)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의 고속 트렁크 비동기 전송모드 / 기본 속도 트렁크 인터페이스 겸용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49374A (ko) Atm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20000034424A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
KR20030019835A (ko) 셀버스를 이용한 에이티엠 스위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