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360B1 -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360B1
KR100236360B1 KR1019910008787A KR910008787A KR100236360B1 KR 100236360 B1 KR100236360 B1 KR 100236360B1 KR 1019910008787 A KR1019910008787 A KR 1019910008787A KR 910008787 A KR910008787 A KR 910008787A KR 100236360 B1 KR100236360 B1 KR 100236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rvo
signal processing
supplied
disk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8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705A (ko
Inventor
노리오 니시다
가쯔히로 나까노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10020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10Track finding or aligning by moving the head ; Provisions for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track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e.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8Speed 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08Track changing or selec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21/081Access to indexed tracks or parts of continuous track
    • G11B21/083Access to indexed tracks or parts of continuous track on discs
    • G11B21/085Access to indexed tracks or parts of continuous track on discs with track following of accessed par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9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disks
    • G11B5/59605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Abstract

본 발명은 섹터 서보 방식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서 간흠적으로 재생되는 서보용의 신호가 공급되어, 헤드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서보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서보 신호 처리 회로에 대해, 신호 처리를 하고 있지 아니하는 기간중은, 클럭 신호의 공급을 정지하거나, 혹은 주파수를 저감시킨 클럭 신호를 공급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DSP 에 대한 클럭 신호의 공급에 대해서 설명을 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자기헤드 5 : 자기디스크
9 : 서보 존 검출회로 10 : DSP
17 : 플립플롭 18 : 스위치
CLK : 클럭신호 ZS : 서보 존
ZD : 데이타 존 T1 내지 T4 : 기간
D1,D2 : 데이타 RL,RH,SL,SH : 신호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특히 섹터 서보 방식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서보 신호 처리 회로에 대해, 신호 처리를 하고 있지 아니한 기간중은, 클럭 신호의 공급을 정지하거나, 혹은 주파수를 저감시킨 클럭 신호를 공급하도록 하므로서, 서보 처리 회로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서보 신호에 의거해서, 헤드의 이동 제어를 하는 방식의 하나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소화 58-62870호 공보에 개시되는 섹터 서보 방식이 있다.
이 섹터 서보 방식은, 자기 디스크 위에 동일한 각도 간격의 방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서보 신호 기록 영역에서 간헐적으로 얻어지는 서보 신호를 서보 신호 처리 회로로 처리하므로서, 자기 헤드의 시크동작 트랙킹 동작등의 제어 동작을 하는 것이다.
상기한 서보 신호 처리 회로는, 종래, OP 앰프 등의 아나로그 회로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런, 최근에서는, 기록의 고밀도화,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고도의 제어 기술이 요구되도록 되어오고 있다. 이와 같은 고도의 제어 기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사용한 고속 디지탈 연산 처리가 필요로 된다.
그런데, DSP는, 고속의 연산 처리를 행하여, 또한 게이트 규모의 점에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예를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내의 회로 전체에 대해서 점하는 비율이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소비전력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DSP의 소비전력이 크다는 것은, 즉,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소비전력이 크다는 것으로 된다.
금후의 경향으로서, 소형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휴대하기가 자유로운 퍼스널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등에, 보다한층,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서보 신호 처리회로, 구체적으로는 DSP의 저소비 전력화가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디스크 형상 기록매체에서 간헐적으로 재생되는 서보용의 신호가 공급되어, 헤드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서보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서보 신호 처리 회로에 대해, 신호 처리를 하고 있지 아니하는 기간중은, 클럭 신호의 공급을 정지하거나, 혹은 주파수를 저감시킨 클럭 신호를 공급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서 간헐적으로 재생되는 서보용의 신호를 처리하는 서보 신호 처리 회로에 대해, 신호 처리를 하고 있지 아니한 기간중은, 클럭 신호의 공급을 정지하거나, 혹은 주파수를 저감시킨 클럭 신호를 공급한다.
클럭 신호의 공급이 정지되거나, 혹은 주파수의 저감된 클럭 신호가 공급되면, 서보 신호 처리회로는, 신호 처리의 결과로서의 데이타는 보존하는 것의, 신호 처리 동작은 정지한다.
따라서, 서보 신호 처리 회로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가 있어, 이 결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서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의 예로서 자기 디스크를 설명하고 있다.
이 한 실시예에서는, 섹터 서보 방식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데이타 존(ZD)과 서보 존(ZS)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서 도시되는 자기 디스크(5)위에, 데이타 존(ZD)과 서보 존(ZS)이, 교대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 헤드(4)가 서보 존(ZS)위에 위치한 경우에만이 서보 신호가 재생된다.
제2도는, 서보 존(ZS)에서 재생되는 서보 신호와, 데이타 존(ZD)에서 독출되는 데이타 신호를, 시간적인 경과에 따라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간(T1)은, 자기헤드(4)가 서보 존(ZS)위에 위치하고 있는 기간이며, 기간(T2)는, 자기헤드(4)가 데이타 존(ZD)위에 위치하고 있는 기간이다. 또한, 기간(T3)은, DSP10 가 재생된 서보 신호에 의거해서 신호 처리를 하고 있는 기간이며, 기간(T4)은, DSP10 가 상술하는 신호 처리를 하고 있지 아니한 기간이다.
제1도의 구성에 있어서, 보이스 코일 모터(1)에 의해, 회전 아암(2)이 축(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기헤드(4)가, 자기 디스크(5)의 반경방향(제1도중 화살표시 R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자기 헤드(4)로부터의 재생 출력이 헤드 앰프(6)를 끼워서 단자(7), A/D 콘버터(8), 서보 존 검출 회로(9)에 공급된다. 또한, 단자(7)는, 데이타 존(ZD)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A/D 콘버터(8)에서는, 자기 헤드(4)로부터의 재생 출력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서보 신호 처리 회로로서의 DSP10 에 공급된다.
서보 존 검출 회로(9)에서는, 자기 헤드(4)로부터의 재생 출력에 의거해서, 자기 헤드(4)가 서보 존에 있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상술한 기간(T1)내에서는, 서보 존 검출 회로(9)에서, 자기 헤드(4)가 서보 존(ZS)에 들어간 것이 검출된다. 이로 인하여, 서보 존 검출 회로(9)에서 DSP10 에 대해, 자기 헤드(4)가 서보 존(ZS)에 들어간 것을 나타내는 신호(S1)가 공급된다.
한편, 상술한 기간(T2)내에서는, 서보 존 검출 회로(9)에서, 자기 헤드(4)가 서보 존(ZS)에서 나온 것이 검출된다. 이로인하여, 서보 존 검출 회로(9)에서 DSP10 에 대해, 자기헤드(4)가 서보 존(ZS)에서 나온 것을 나타내는 신호(S2)가 공급된다.
한편, 기간(T3)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럭 발생 회로(11)에서 DSP10 에 대해 소정 주파수의 클럭 신호(CLK)가 공급되기 때문에, DSP10 에서는, 재생된 서보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가 행해진다. 즉, DSP10 은, 상술한 기간(T3)에서는, 클럭 신호(CLK)의 타이밍으로 재생된 서보 신호에 의거해서, 자기헤드(4)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이것과 함께, 자기 디스크(5)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하기 위한 신호 처리가 행해진다.
이에 따라, 자기헤드(4)를 목표 트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크 동작의 제어와, 자기헤드(4)를 목표 트랙에 대해서 추종시키기 위한 트랙킹 동작의 제어를 위한 데이타(D1)가 얻어진다.
상술하는 기간(T3)에서는, DSP10 에서는 클럭 신호(CLK)의 타이밍으로, 자기 디스크(5)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하기 위한 신호 처리가 행해져, 데이타(D2)가 얻어진다.
기간(T4)은 DSP10 에 있어서 신호 처리가 행해지지 않는 기간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DSP10 에 대해서 클럭 신호(CLK)가 공급되지 아니하므로, DSP10 에서는, 기간(T3)에 있어서 신호 처리의 결과로서의 데이타(D1,D2)는 보존되는 것이나, 신호 처리의 동작은 정지한다.
따라서, 클럭 신호(CLK)가 DSP10 에 공급되지 않는 기간은, 신호 처리의 결과로서 보존되어 있는 데이타(D1,D2)에 의해, 시크 동작, 트랙킹 동작의 제어 및, 스핀들 모터(16)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제어가 행해진다.
데이타(D1)가, D/A 콘버터(12)에 공급되어, 데이타(D2)가 D/A 콘버터(14)에 공급된다.
D/A 콘버터(12)에서는, 상술한 데이타(D1)가,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드라이버 회로(13)에 공급된다.
드라이버 회로(13)에서는, 상술하는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된 데이타(D1)에 의거해서, 보이스 코일 모터(1)를 구동 제어한다. 이에 의해, 회전 아암(2)의 자기헤드(4)가, 자기 디스크(5)상을 화살표로 표시한 R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술한 시크 동작, 트랙킹 동작등의 제어 동작이 행해진다.
D/A 콘버터(14)에서는, 상술한 데이타(D2)가,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드라이버 회로(15)에 공급된다.
드라이버 회로(15)에서는, 상술한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된 데이타(D2)에 의거해서, 스핀들 모터(16)를 구동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자기 디스크(5)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하기 위한 것이 제어된다.
다음에, DSP10 에 대한 클럭 신호(CLK)의 공급과, 클럭 신호(CLK)의 공급 정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기헤드(4)가, 제2도에 도시되는 서보 존(ZS)위에 위치하고 있는 기간(T1)에서는, 서보 존 검출회로(9)에서 DSP10 에 대해 신호(S1)가 공급됨과 함께, 플립플롭(17)의 리셋트 단자에 대해서, 서보 존(ZS)을 검출한 것을 도시하는 하이레벨(“1”)의 신호 RH가 공급된다.
또한, 이 기간(T1)에서는, DSP10에서 신호 처리가 행해지고 있으므로, DSP10에서 플립플롭(17)의 셋트 단자에 대해서, 신호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T3)인 것을 도시하는 로우레벨(“0”)의 신호(SL)가 공급된다. 또한, 이 신호(SL)는, DSP10 에 있어서 신호 처리가 종료되면, 하이레벨(“1”)의 신호(SH)로 된다.
기간(T1)에서는, 플립플롭(17)의 리셋트 단자에는 하이레벨(“1”)의 신호(RH)가 공급되어, 또한, 셋트단자에는, 로우레벨(“0”)의 신호(SL)가 공급되기 때문에, 플립플롭(17)의 출력단자로부터의 로우레벨(“0”)의 제어 신호(QL)가 스위치(18)에 공급된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되는 기간(T1)의 종료 시점에서 기간(T3)의 종료시점까지는, 자기 헤드(4)가 서보 존(ZS)상에 위치하고 있지 않고, DSP10 에 있어서 신호 처리를 하고 있는 기간이다. 따라서, 플립플롭(17)의 리셋트 단자 및 세트 단자에는, 모두 로우레벨(“0”)의 신호(RL,SL)가 공급되기 때문에, 플립플롭(17)의 출력 단자로부터는 로우레벨(“0”)의 제어 신호(QL)가, 계속해서 스위치(18)에 공급된다.
이 스위치(18)는, 상술한 제어 신호(QH,QL)에 의해 제어되어, 제어 신호(QL)의 때, 즉, 로우레벨(“0”)인 때는, 단자(18a,18b)가 접속되어, 또한, 제어 신호(QH)의 때, 즉, 하이레벨(“1”)의 때는, 단자(18a,18c)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DSP10 가 연산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T3)에서는, 플립플롭(17)의 출력 단자로부터는 로우레벨(“0”)의 제어 신호(QL)가 스위치(18)에 공급되기 때문에, 클럭 발생 회로(11)에서 공급되는 클럭 신호(CLK)가 스위치(18)를 끼워서, DSP10 에 공급된다.
클럭 신호(CLK)가 DSP10 에 공급되는 동안은, 통상 대로의 서보 신호 처리가 이루어지고, 시크 동작, 트랙킹 동작의 제어 및, 스핀들 모터(16)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제어가 행해진다.
자기 헤드(4)가, 제2도에 도시되는 데이타 존(ZD)상에 위치하고 있는 기간(T2)에는, 서보 존 검출 회로(9)에서 DSP10 에 대해 신호(S2)가 공급됨과 함께, 플립플롭(17)의 리셋트 단자에 대해서, 서보 존(ZS)이 검출되지 아니하는 것을 도시하고 로우 레벨(“0”)의 신호(RL)가 공급된다.
또한, 이 기간(T2)에는, DSP10에서 신호 처리가 종료되어 있으므로, DSP10에서 플립플롭(17)의 셋트 단자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처리의 종료한 것을 도시하는 하이레벨(“1”)의 신호(SH)가 공급되어 있다.
따라서, DSP10 에 있어서, 신호 처리가 이루어져 있지 아니한 기간(T4)에서는, 플립플롭(17)의 리셋트 단자에는, 로우레벨(“0”)의 신호(RL)가 공급되어, 또한, 셋트 단자에는, 하이레벨(“1”)의 신호(SH)가 공급되기 때문에, 플립플롭(17)의 출력 단자로부터는 하이레벨(“1”)의 제어 신호(QH)가 스위치(18)에 공급된다.
따라서, DSP10 가 연산처리를 행하지 않는 기간(T4)에서는, 플립플롭(17)의 출력 단자로부터는 하이레벨(“1”)의 제어 신호(QH)가 스위치(18)에 공급되기 때문에, 단자(18a,18c)가 접속된다.
스위치(18)의 단자(18c)는,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클럭 발생 회로(11)에서 공급되는 클럭 신호(CLK)는, DSP10 에 공급되지 않는다. 이 결과, DSP10 에서는, 기간(T3)에 있어서 신호 처리의 결과로서의 데이타 D1,D2는 보존되어지나, 신호 처리의 동작은 정지한다.
따라서, 클럭 신호(CLK)가 DSP10 에 공급되지 않는 기간은, 신호 처리의 결과로서 보존되어 있는 데이타(D1,D2)에 의해, 시크동작, 트랙킹 동작의 제어 및, 스핀들 모터(16)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제어가 행해진다.
이 한 실시예에 의하면, DSP10에서 신호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기간(T3)에만이 클럭 신호(CLK)가 공급되어, DSP10에서 신호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기간(T4)에서는, 클럭 신호(CLK)가 DSP10에 공급되지 않고 DSP10 의 신호 처리의 동작이 정지되어져 버리므로, DSP10 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가 있어, 이 결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 한 실시예에서는, 섹터 서보 방식의 자기 디스크(5)를 예로하여 설명을 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보 신호가 간헐적으로 얻어지는 서보방식, 예를들면, 워브링핏트가 설치되어 있는 샘플 포캣 서보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광자기 디스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래서, 이 한 실시예에서는, 서보 신호 처리 회로의 예로서 DSP10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이 되는 것은 아니고, CPU를 서보 신호 처리 회로로서 사용한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다시, 이 한 실시예에서는, 클럭 신호(CLK)의 공급을 정지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호 처리를 하고 있지 않는 기간은, 클럭 신호(CLK)의 주파수를 낮게하여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들면, 통상의 클럭 신호(CLK)의 주파수를 20㎒로 한 경우, 이 클럭 신호(CLK)의 주파수를 100㎑ 정도로 낮게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하면, 서보 신호 처리 회로가 신호 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는 기간중은, 클럭 신호의 공급을 정지하거나, 혹은 주파수를 저감시킨 클럭 신호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서보 신호 처리 회로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가 있어, 이에 따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을 단지 오프하는 것과는 달리, 신호 처리의 결과를 보존할 수가 있으므로, 서보 신호 처리 회로가 신호 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는 기간이라도, 신호 처리의 결과로서 보존되고 있는 데이타(D1,D2)에 의해, 시크 동작, 트랙킹 동작의 제어 및, 스핀들 모터(16)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제어를 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서 간헐적으로 재생되는 서보용의 신호가 공급되어, 헤드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서보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서보 신호 처리 회로에 대해, 신호 처리를 하고 있지 않는 기간중은, 클럭 신호의 공급을 정지하거나, 혹은 주파수를 저감시킨 클럭 신호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19910008787A 1990-05-30 1991-05-29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0236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40555A JP2993052B2 (ja) 1990-05-30 1990-05-30 デイスクドライブ装置
JP140555 1990-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705A KR910020705A (ko) 1991-12-20
KR100236360B1 true KR100236360B1 (ko) 2000-01-15

Family

ID=1527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8787A KR100236360B1 (ko) 1990-05-30 1991-05-29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40571A (ko)
JP (1) JP2993052B2 (ko)
KR (1) KR100236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465053T3 (da) * 1990-06-29 2002-10-07 Sony Corp Plade registrerings/reproduktionsapparatur
CA2068329C (en) * 1990-09-18 1998-10-13 Ronald James Kadlec Digital servo control system for use in disk drives
US5325349A (en) * 1991-05-29 1994-06-28 Sony Magnescale Inc. Hard disc drive and a servo signal writing apparatus
US5345347A (en) * 1992-02-18 1994-09-06 Western Digital Corporation Disk drive with reduced power modes
JPH0821212B2 (ja) * 1992-04-20 1996-03-0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磁気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230319B2 (ja) * 1992-07-09 2001-11-19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再生装置
KR950001695A (ko) * 1993-06-18 1995-01-03 오오가 노리오 디스크 재생장치
JPH08161720A (ja) * 1994-11-30 1996-06-21 Canon Inc 再生装置
JP3591028B2 (ja) * 1995-01-25 2004-11-17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
JP3363712B2 (ja) 1996-08-06 2003-01-08 株式会社リコー 光ディスク装置
JPH1064244A (ja) * 1996-08-23 1998-03-06 Sony Corp 記録媒体、再生装置
US6038096A (en) * 1997-08-28 2000-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sector seeking method for reducing disk drive power consumption
JP3561246B2 (ja) * 2001-08-02 2004-09-02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記憶装置及びサーボ情報の位置ずれ補償方法
TWI308324B (en) * 2002-10-23 2009-04-01 Panasonic Corp Optical disc controller and optical disc device
US7089432B2 (en) * 2002-12-27 2006-08-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operating a processor at first and second rates depending upon whether the processor is executing code to control predetermined hard drive ope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7953A (ja) * 1984-03-21 1985-10-07 Hitachi Ltd 情報記録装置
JPH0743894B2 (ja) * 1986-06-30 1995-05-15 株式会社東芝 磁気記録再生装置
WO1988001785A1 (en) * 1986-08-25 1988-03-10 Sony Corporation A disc device and a disc-like recording medium
JPS63138506A (ja) * 1986-11-29 1988-06-10 Toshiba Corp フロツピ−デイスク装置のデ−タ再生回路
EP0306151B2 (en) * 1987-08-05 2002-07-03 Kabushiki Kaisha Toshiba Fast speed reproduction system for a digital disc
JPH0330521A (ja) * 1989-06-27 1991-02-08 Sony Corp ディジタル信号デコー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34778A (ja) 1992-02-05
JP2993052B2 (ja) 1999-12-20
KR910020705A (ko) 1991-12-20
US5140571A (en) 199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6360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US65016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ctuator of storage disk device
MY1177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recorded at a predetermined linear velocity on a disc-like recording medium.
JPH0311021B2 (ko)
ES8700776A1 (es) Un aparato de control de seguimiento para grabar y-o repro- ducir senales en un disco rotatorio
US7375917B1 (en) Idle seek calibration method for magnetic disk drive and magnetic disk drive with an intermission calibration
JPH03265490A (ja) 情報記録媒体円盤の記録再生機における位置検知器を有しない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の回転制御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円盤の記録再生機
MY117756A (en) Magnetic tape and a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plurality of different information signals on and from the magnetic tape.
EP0130836A2 (en) Apparatus to improve the positioning accuracy of a tracking arm
JP3191356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S59140634A (ja) 光デイスク装置の記録方式
US6115335A (en) Reproduction apparatus for disk-like recording medium
US20030133216A1 (en) Apparatus for recording or/and reproduc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reof
KR100512365B1 (ko) 서보 트랙 라이트 방법
JP3965812B2 (ja) 信号記録再生装置
JPS6212935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H07249268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H0279202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H11149716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S63146229A (ja) 光学式プレ−ヤにおけるスレツドサ−ボ回路
JPS6111967A (ja) 磁気記憶装置における記録方式
JP2004234797A (ja) ヘッド位置制御を伴うパワーセーブ方法及びディスク記憶装置
JPH0432466B2 (ko)
JPS5817667U (ja) 円盤状情報記録媒体再生装置
JPH1145495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