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777B1 - 낚싯대용 릴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777B1
KR100235777B1 KR1019960058644A KR19960058644A KR100235777B1 KR 100235777 B1 KR100235777 B1 KR 100235777B1 KR 1019960058644 A KR1019960058644 A KR 1019960058644A KR 19960058644 A KR19960058644 A KR 19960058644A KR 100235777 B1 KR100235777 B1 KR 100235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spool
base
piece
ratche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386A (ko
Inventor
류우이찌 오오무라
Original Assignee
오오무라 류이치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무라 류이치,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무라 류이치
Publication of KR97002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5Ratchet-type dri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모드 변환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삭막하고 더구나 조립정밀도를 높이는 목적이고, 베이스(1)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된 실감는 스풀(4)과 실감는 스풀의 보스(7)의 선단에 고정된 랏체트 기어(9)와 베이스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상기 랏체트 기어와 결합하는 랏체트편(28)과, 이 랏체트편에 랏체트기어와 맞물리는 위치로의 이동력을 부세하기 위한 크릭 용수철(10)과 랏체트편의 한쪽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멈추게하는 것으로 실감는 스풀의 역전을 선택적으로 저지하는 모드 변환기구(33)를 구비하고 랏체트편에 접촉 이간을 자제하게 접촉되는 작용팔(36)과 이 작용팔을 이동하기 위한 조작부(38)가 금속판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변환레버(34)와 이 변환레버를 회동자재하게 지지한 레버 지지축(43)의 2개의 부재만으로 모드 변환기구를 구성하였다.

Description

낚싯대용 릴
제1도는 전체의 사시도이며, 제1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의 낚싯대용 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와는 다른 방향에서의 본 전체의 사시도.
제3도는 베이스측의 기구와 실감는 스풀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베이스의 일부를 절제한 상태를 요부 확대 사시도.
제5도는 제7도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한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Ⅶ-Ⅶ선을 따라 절단한 확대 단면도.
제8도는 역전저지 모드에 있어서 요부의 정면도.
제9도는 랏체트편이 맞물리지 않는 위치에 온 상태의 요부 단면도.
제10도는 변환레버와 랏체트편을 확대한 사시도.
제11도는 변환레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2도는 종래의 낚싯대용 릴의 일예를 도시하는 요부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낚싯대용 릴 2 : 베이스
3 : 실감는 스풀 9 : 랏체트 기어
10 : 탄발수단 28 : 랏체트편
33 : 모드 변환기구 34 : 변환레버
36 : 작용부 38 : 조작부
43 : 지지 부재
본 발명은 낚싯대용 릴에 관한 것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베이스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된 실감는 스풀과 이 실감는 스풀과 일체로 회전하는 랏체트기어와 상기 베이스에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탄발수단에 의하여 상기 랏체트 기어와 맞물리는 위치로의 이동력이 부세되는 랏체트편과 이 랏체트편의 한쪽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것으로 실감는 스풀의 역전을 저지한 역전 모드와 그 저지를 해제한 역전가능 모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모드 변환기구를 갖춘 낚싯대용 릴에 관하여 모드 변환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삿감할 수 있고 또한 이 부품 상호간의 위치관계를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낚싯대용 릴을 제공하고자 한다.
낚싯대용 릴의 일종으로 이른바 편 축받이 타입의 것이 있어, 이 종류의 릴은 기본적으로 낚싯대의 부착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된 실감는 스풀과 이들 베이스와 실감는 스풀과의 사이에 마련된 랏체트 기구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릴이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국 실공소 26-1768호 공보, 일본국 실공소 55-41077호 공보, 일본국 실공소 33-4576호 공보, 일본국 실공소 53-9198호 공보등이 있다.
제12도는 일본국 실공소 26-1768호 공보에 기재된 낚싯대용 릴의 요부를 도시한 것으로 실감는 스풀의 역전을 선탠적으로 저지하기 위한 모드 변환 기구를 갖추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a)는 낚싯대에 부착되는 베이스, (b)는 베이스 (a)의 중심에서 돌출한 지지축이고, 이 지지축(b)에 도시하지 않는 실감는 스풀이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그 중심부에서 돌출한 도시하지 않은 보스의 선단에 랏체트 기어(c)가 부착되어 있다. (d)는 둥근 가락지 모양을 한 크릭 용수철이고, 그 부착부(e)가 베이스 (a)에 고정되어 이 부착부 (e)와 반대위치가 떨어져 없으므로 좌우 2개의 용수철 팔(f, f)을 가지고 있다. (g)는 그 상부가 베이스(a)에 회전자재하고 또 상하 방향으로 이동자재하게 지지된 랏체트편이고, 실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그 잘룩한 중간부가 상기 용수철 팔(f, f)의 탄성단부(h, h)에 의하여 집혀 맞물린 위치와 그 보다 어느 정도 위로 치우친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맞물리지 않는 위치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맞물리는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그 선단의 맞물림부(i)가 랏체트 기어(c)와 맞물린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랏체트 기어(c)의 회전에 따라 랏체트편(g)이 거의 좌우 방향으로 압착되며 그와 같이 압착됨에 따라 랏체트편(g)에는 맞물림 위치로 되돌아 가려는 복귀력이 축척되어 그것에 따라 랏체트 기어(c)의 이빨이 하나하나 랏체트편(g)과 맞물린다.
(j)는 모드 변환기구이며 베이스(a)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된 지지축(k)과, 베이스(a)의 안쪽에 위치하여 일단부가 상기 지지축(k)에 고정된 역방지팔(1)과 베이스(a)의 외측에 위치하여 그 일단이 상기 지지축(k)에 고정된 조작팔(m)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역방지 팔(1)과 조작팔(m)은 지지축(k)을 통하여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조작팔(m)은 베이스(a)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크릭스 톱수단에 의해 파선으로 나타내는 역방지 해제 위치와 2점쇄선으로 나타낸 역방지 위치의 두 위치에서 크릭스 톱이 걸리게 된다.
그래서 조작팔(m)이 역방지 위치에 와 있는 역전저지 모드에 있어서는 역방지 팔(1)의 선단이 랏체트편(g)에 좌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있으므로 이 랏체트편(g)이 좌측으로 회동하는 것이 저지되며 따라서, 이 모드에 있어서는 랏체트 기어(c) 및 도시하지 않은 실감는 스풀은 도면을 향하여 시계 도는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가 있다. 또, 조작팔(m)이 역방지 해제 위치로 이동되면 역방지 팔(1)이 상기 랏체트편(g)에서 어느정도 떨어지므로 이 랏체트편(g)의 움직임을 멈추게 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모드에 있어서는 실감는 스풀은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낚싯대용 릴에는 몇가지 문제가 있다.
즉, 모드 변환기구(j)가 지지축(k), 역방지 팔(1) 및 조작팔(m)이라고 하는 3개의 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수가 많고 그 만큼 생산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 역방지 팔(1)과 조작팔(m)은 그 위치관계가 정확하게 규정된 상태로 결합되어야 하므로 이를 역방지 팔(1)과 조작팔(m)은 지지축(k)을 통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가끔 위치관계가 미묘하게 스치게 된다. 이 때문에 그 결합에 특별한 지그가 사용되거나 귀챦은 조정을 하는 등의 작업을 부득이해 왔다.
그래서 본 발명의 낚싯대용 릴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랏체트편에 접촉과 이간이 자유롭게 접촉되는 작용부와 이 작용부를 이동하기 위한 조작부가 일체로 형성된 변환레버와 이 변환레버를 회동자재하게 지지한지지 부재의 두 부재만으로 모드 변환기구를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낚싯대용 릴에 있어서는 모드 변환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그 만큼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 서로간의 위치관계가 정확하게 규정되어야 할 작용부와 조작부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위치관계는 변환레버의 설계 내지 가공에 있어서 정밀하게 구현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 필요로 하던 특별한 지그나 조정작업은 불필요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낚싯대용 릴의 상세한 것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따라 설명한다.
도면중에 (1)은 낚싯대용 릴이다. (2)는 낚싯대용 릴(1)의 베이스이며 원형의 얕은 접시 모양을 하고 있다. (3)은 베이스(2)의 중심부에서 전방(제1도에서 오른편으로 기운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한다)을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한 지지축이다.
(4)는 거의 드럼형을 한 실감는 스풀이고 두 개의 플랜지(5, 5)의 외직경은 베이스(2)의 내경과 거의 같고, 그 바퀴통(6)의 일단면은 개구(6a)되어 있다. (7)은 상기 바퀴통(6)과 일체로 형성된 원통모양의 보스이고 바퀴통(6)의 폐색벽(6b)의 중심부에서 일단측을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되어 그 선단은 바퀴통(6)의 내부공간에서 약간 밖으로 나온 곳까지 연장되어 있다.
(8)은 금속제의 베어링 슬리브이며 그 대부분은 상기 보스(7)의 구멍에 안으로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은 베어리 슬리브(8)는 실감는 스풀(4)을 성형할 때에 인서트 성형법에 의하여 마련된다.
그리고 이 베어링 슬리브(8)에 상기 지지축(3)이 회전자재하게 삽통되어 그것에 의하여 실감는 스풀(4)이 베이스(2)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된다.
(9)는 랏체트 기어이고 뒤에 설명하는 랏체트편과 협동하여 실감는 스풀(4)의 회전에 크릭스 톱을 걸거나 한쪽방향으로의 회전중지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 릿체트 기어(9)는 실감는 스풀(4) 직경의 거의 4분의 1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평 기어 모양을 하고 있고 그 중심부의 삽통공(9a)이 형성되어 이 삽통공(9a)의 지름은 상기 베어링 슬리브(8)의 외경과 거의 같게 되어 있다.
이 랏체트 기어(9)의 한쪽면의 중앙부에는 얕은 원형 요입부(9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통공(9b)에 상기 베어링 슬리브(8)의 선단부가 원형 요입부(9b)와 반대측으로부터 삽통되고 또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선단부의 삽통공(9a)에서 돌출한 부분(8a)(이하 「접합부」라고 함)이 지름이 확대되듯이 접합된다. 이로인하여 랏체트 기어(9)의 중앙부가 베어링 슬리브(8)의 접합부(8a)에 의하여 보스(7)의 선단면에 압착된다.
그리고 랏체트 기어(9)가 실감는 스풀(4)에 고정된다.
상기 접합부(8a)는 랏체트 기어(9)의 원형 요입부(9b)에 수납되도록 위치한다.
(10)은 상기 베이스(2)에 지지된 크릭 용수철이고 뒤에 설명하는 랏체트편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그 각부가 합성수지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크릭 용수철(10)은 전체적으로 보아 둥근 띠 모양을 하고 있으며 둘레방향의 일부가 떨어져서 없으므로 각각이 거의 반원 활모양을 그리듯이 연장되는 좌우대칭형의 2개의 용수철 팔(11, 11)이형성되어 이들 용수철 팔(11, 11)이 연속하는 부위(12)가 부착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용수철팔(11, 11)은 그 선단부가 거의 좌우방향으로 변위하는 탄발적 가요성을 갖는다.
또한 용수철 팔(11, 11)의 폭은 부착부(12)에 근접함에 따라 넓게 되도록 되어 있고 부착부 (12)는 이 크릭 용수철(10)중에서 제일 폭이 넓게 되어 있다.
(13, 13)(제4도 참조)은 용수철 팔(11, 11)의 선단부에서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한 작은 돌기(이하 「끼워집는 부」라고 함)이다.
상기 부착부(12)의 전면 중간부에는 상하방향(제1도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을 위쪽으로 함)으로 연장되는 폭이 넓은 안내홈(14)이 형성되어 이 안내홈(14)과 대응한 위치의 상단부를 제외하는 부분에는 하단이 개구한 절제(15)가 형성되어 있다.
(16, 16)은 부착부(12)중 상기 안내홈(14)의 좌우 양옆에 형성된 구멍이다.
그리고 부착부(12)의 후면중 상기 안내홈(14)의 좌우 양측부와 거의 대응한 위치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는폭인 2개의 홈(17, 17)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좌우 양옆에는 거의 반원 모양을 한 위치결정 돌부(18, 18)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의 전면(2a)의 하단부에는 위쪽을 향하여 개구한 그모양을 한돌조(19)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좌우 양옆에는 거의 반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위치결정 돌조(20, 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 돌조(20, 20)는 그 안쪽에 상기 크릭 용수철(10)의 위치결정 돌부(18, 18)가 따로따로 꼭 맞게 수납되는 크기를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 돌조(20, 20)의 안쪽 위치에 삽통공(21, 21)이 형성되어 있다.
(22)는 상기 그모양 돌조(19)로 둘러싸인 위치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긴 긴구멍이다.
상기 크릭 용수철(10)은 다음과 같이하여 베이스(2)에 부착된다. 즉, 크릭 용수철(10)의 위치결정 돌부(18, 18)가 상기 위치결정 돌조(20, 20)의 안쪽에 수납되고 상기 그모양 돌조(19)의 좌우 양측부가 크릭 용수철(10)의 홈(17, 17)에 따로따로 수납되어 이 상태에서 크릭 용수철(10)의 구멍(16, 16)과 베이스(2)의 삽통공(21, 21)에 따로따로 일치한다. 그리고 이들 구멍(16, 16)과 삽통공(21, 21)에 단붙임 리베트(23, 23)가 뒤쪽에서 삽통되어 그 전단부가 압착 결합된다. 이로인하여 크릭 용수철(10)의 부착부(12)가 베이스(2)에 고정된다.
그래서 크릭 용수철(10)의 베이스(2)에 있어서 위치 및 자세는 위치결정돌부(18, 18)가 위치결정 돌조(20, 20)에 꼭 맞게 수납됨에 따라 정밀하게 규정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3)은 앞쪽에서 보아 크릭 용수철(10)의 안쪽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다.
(24)는 베이스(2)의 전면(2a)에 형성된 기어받이 돌조이며 앞쪽에서 보아 지지축(3)을 중심으로한 원환상으로 연장되어 그 직경은 상기 랏체트 기어(9)의 톱니 밑둘레판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25)는 락편이며 실감는 스풀(4)이 지지축(3)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락편(25)은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판모양을 하고 제3도 및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반부는 측방에서 보아 거의 八모양으로 굴곡하듯이 쳐서 나와 있다.
그리고 이 락편(25)은 크릭 용수철(10)의 상기 안내홈(14)에 수납됨과 동시에 베이스(2)의 긴구멍(22) 및 크릭 용수철(10)의 절제(15)를 이동자재하고 삽통된 조작축(26)의 전단부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락편(25)이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자재하도록 설치된다.
(27)은 상기 긴구멍(22)내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이고 이 코일 스프링(27)의 압착력에 의하여 락편(25)으로 위쪽으로의 이동력이 부세된다.
실감는 스풀(4)이 지지축(3)에 지지된 상태는 상기 락편(25)에 의하여 유지된다. 즉, 축받이 슬리브(8)에 지지축(3)을 삽통하면서 실감는 스풀(4)을 베이스(2)를 향하여 밀어 부치면 랏체트 기어(9)의 후면의 원형 요입부(9b)의 주위가 베이스(2)에 형성된 상기 기어받이 돌조(24)에 접촉한다(제7도 참조). 이 때 락편(25)은 랏체트 기어(9)에 의하여 일단 아래쪽으로 압착되어 이 랏체트 기어(9)가 기어받이 돌조(24)에 접촉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랏체트 기어(9)가 락편(25)에서 벗어나 그것에 의하여 아 락편(25)이 위쪽으로 되돌아 간다. 이것에 의하여 락편(25)의 상반부가 랏체트 기어(9)의 외주부에 전방에서 겹쳐지도록 위치하므로 실감는 스풀(4)이 지지축(3)에서 빠지는 것을 저지당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실감는 스풀(4)이 베이스(2)에 회전자재하게 유지되어 이 상태에서 실감는 스풀(4)의 개구면이 베이스(2)에 의하여 폐색된다.
또한 조작축(26)을 아래쪽으로 압착하면 락편(25)이 랏체트 기어(9)보다 아래쪽으로 달아나므로 이 상태에서 실감는 스풀(4)을 지지축(2)에서 뺄 수 있다.
그래서 축받이 슬리브(8)의 상기 압착결합부(8a)는 랏체트 기어(9)의 원형 요입부(9b)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베이스(2)의 앞면(2a)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특히 제7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압착결합부(8a)는 베이스(2)의 기어받이 돌조(24)의 안쪽 공간과 대향하므로 이 압착결합부(8a)가 베이스(2)에 접촉할 염려는 전혀 없다.
그래서 이 압착결합부(8a) 의 압착결합 상태 여하에 불구하고 이 압착결합부(8a)가 베이스(2)와 접촉하는 일은 없으므로 베이스(2)와 실감는 스풀(4) 사이의 대향거리는 보스(7)의 길이나 랏체트 기어(9)의 판두께등, 치수의 정밀도를 쉽게 낼 수 있는 부재의 치수만에 의하여 규정되게 되며 따라서 베이스(2)와 실감는 스풀(4)의 사이의 대향거리 또는 유격등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정밀하고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28)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랏체트편이며 상하방향으로 길게하여 그 좌우양측테의 중간부에는 반원형의 절제(29, 29)가 형성되어 이 절제(29, 29)에서 아래부분(30)(이하 「맞물림 부」라고 함)은 거의 역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31)은 베이스(2)에 형성된 긴 구멍이고 상하방향으로 길며 상기 크릭용수철(10)이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그 끼워서 집는부(13, 13)사이와 대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32)는 편축으로서 뒷부에 조작 두부(32a)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가 상기 긴 구멍(31)을 삽통하여 그 전단부가 랏체트편(28)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랏체트편(28)이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 자재하게 또 편축(32)의 축이 도는 방향으로 회전자재하게 되도록 베이스(2)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랏체트편(28)은 제5도에 도시한 맞물림 위치(제7도에서는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 즉, 그 절제부(29, 29)에 크릭 용수철(10)의 끼워서집는부(13, 13)가 결합한 위치와 제9도에 도시한 맞물리지 않는 위치(제7도에서는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 즉, 이동범위의 상단에 와서 그 맞물림부(30)의 양측테에 상기 끼워서 집는부(13, 13)가 접촉한 위치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이 이동은 편축(32)의 두부(32a)를 압착하는 것에 의하여 행해진다.
또, 랏체트편(28)이 맞물리는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그 맞물림부(30)의 선단이 랏체트 기어(9)의 톱니와 맞물린다.
상기한 바와 같이 랏체트편(28)은 그 어느 위치에 와 있는 상태라도 크릭 용수철(10)의 용수철 팔(11, 11)에 끼워서 집혀 있으므로 어느방향으로 압착되었을 때에는 랏체트 기어(9)와 맞물리는 위치로 복귀하고자 하는 복귀력이 비축된다.
그리고 랏체트편(28)이 맞물리는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 실감는 스풀(4)의 회전은 랏체트 기어(9)의 톱니가 랏체트편(28)를 용수철 팔(11, 11)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회전시키면서 행하여지므로 그 회전하는 적당한 억제력이 가하여짐과 아울러 회전을 따라 크릭음이 발생한다.
또한 랏체트편(28)이 맞물리지 않은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 있어서는 실감는 스풀(4)은 자유로히 회전할 수가 있다.
(33)은 모드 변환기구이다. 이 모드 변환기구(33)는 상기 랏체트편(28)의 한쪽 방향으로 움직임을 규제함에 따라 실감는 스풀(4)의 역전을 저지한 역전저지 모드와 그 저지를 해제한 역전가능 모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변환레버와 그것을 회동자재하게 지지한 지지축의 2개 부재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34)는 변환레버이며 그 각부가 금속판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변환레버(34)는 제5도에 도시하는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보아 거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중간부(35)와 그 오른쪽 끝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연장된 비교적 짧은 작용팔(36)과 중간부(35)의 왼쪽 끝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비교적 짧은 삽통부(37)와 이 삽통부(37)의 뒤끝에서 왼쪽으로 돌출한 조작부(38)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중간부(35)의 중앙부에는 작은 결합돌기(35a)(제10도 참조)가 뒤쪽을 향하여 두들겨 형성되어 중간부(35)와 작용팔(36)이 연속하는 모서리 부에는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또 작용팔(36)의 선단에는 거의 역 V자형을 한 결합 절제(40)가 형성되어 있다.
(41)은 베이스(2)중 상기 편축(32)이 삽통된 긴 구멍(31)에서 좌측으로 약간 사이를 둔 위치에 형성된 구멍, 또 (43)는 이 구멍(41)은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는 원호 긴 구멍이다.
그래서 변환레버(34)의 삽통부(37)는 상기 원호 긴구멍(42)이 삽통된다.
(43)은 리베트 형상의 지지축이고 그 후붸 두부(43a)가 형성되어 그 축부(43b)가 상기 구멍(41)을 회전자재하게 삽통됨과 동시에 변환레버(34)의 구멍(39)을 지나서 앞쪽으로 돌출한 부분이 압착 결합된다. 이것에 의하여 변환레버(34)가 레버지지축(42)을 통하여 베이스(2)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된다.
또한 베이스(2)의 앞면(2a)중 사기 원호 긴구멍(42)의 양단부와 따로따로 대응한 위치에는 작은 결합 요입부(44, 44)(도면에서 아래쪽의 결합요입부만 표시되어 있음)가 형성되어 있고 변환레버(34)는 그 결합 돌기(35a)가 이들 결합 요입부(44, 44)에 따로따로 결합한 2개의 위치에서 크릭 스톱에 걸리게 된다.
거기서 변환레버(34)가 제5도에 도시하는 록 해제위치 즉, 그 결합돌기(35a)가 상기 2개의 결합 요입부(44, 44)의 위쪽의 것과 결합한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는 이 변환레버(34)의 작용팔(36)은 랏체트편(28)에서 좌측에 어느정도 사이가 떨어져 있으므로 이 랏체트편(28)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일은 없다. 이 상태가 역전가능 모드이고 이 모드에 있어서, 실감는 스풀(4)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할 수가 있다.
또 실감는 스풀(4)의 역전방지는 다음과 같이 행하여 진다. 즉 랏체트편(28)이 맞물리는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변환레버(34)를 제8도에 도시하는 록 위치, 즉 그 결합돌기(35a)가 상기 2개의 결합 요입부(44, 44)의 아래쪽의 것과 결합한 위치로 이동하면 그 결합 절제(40)의 랏체트편(28)의 맞물리는 부(30)와 좌측의 절제(29)가 연속하는 모서리부에 결합되어 그것에 의하여 랏체트편(28)의 시계도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저지된다. 이 상태가 역전저지 모드이고 이 모드에서는 랏체트 기어(9)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므로 실감는 스풀(4)은 시계도는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가 있다.
또한 (45)는 그 상부가 베이스(2)의 뒷면에 고정된 부착다리이고 낚싯대용 릴(1)은 이 부착다리(45)를 통하여 낚싯대에 장착된다.
제11도는 상기 변환레버(34)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변형예에 나타내는 변환레버(46)는 실감는 스풀(4)과 베이스(2)를 분리한 상태에서 조작하는 타입의 것으로서 상기 변환레버(34)의 중간부(35)에 상당하는 증간부(35')와 작용팔(36')과 마찬가지의 작용팔(36')과 중간부(35')의 위쪽테의 선단에서 돌출한 작은 손가락 걸이부(47)가 금속판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변환레버(46)의 베이스(2)로의 지지수단이나 그 기능등은 변환레버(34)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기술한 것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싯대용 릴은 베이스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된 실감는 스풀과 이 실감는 스풀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랏체트 기어와 상기 베이스에 이동자재하게 지지되어 탄발수단에 의하여 상기 랏체트 기어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력이 부세되는 랏체트편과 이 랏체트편의 한쪽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것으로 실감는 스풀의 역전을 저지한 역전저지 모드와 그 저지를 해제한 역전가능 모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모드 변환기구를 구비한 낚싯대용 릴로서 랄체트편에 접촉이간이 자재하게 접촉되는 작용부와 이 작용부를 이동하기 위한 조작부가 일체로 형성된 변환레버와 이 변환레버를 회동자재하게 지지한 지지부재의 2개의 부재만으로 모드 변환기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낚싯대용 릴에 있어서는 모드 변환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생산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 서로사이의 위치관계가 똑바로 규정되어야 할 작용부와 조작부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위치관계는 변환레버의 설계 내지는 가공에 있어서 정밀하게 구현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필요로 하는 특별한 지그나 조정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탄발수단이나 지지부재의 형태가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

  1. 베이스(2)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된 실감는 스풀(4)과 이 실감는 스풀(4)과 일체로 회전하는 랏체트 기어(9)와 상기 베이스(2)에 이동자재하게 지지되어 탄발수단(10)에 의하여 상기 랏체트 기어(9)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력이 부세되는 랏체트편(28)과 이 랏체트편(28)의 한쪽 방향으로 이동을 저지하는 것으로 실감는 스풀(4)의 역전을 저지한 역전저지 모드와 그 저지를 해제한 역전가능 모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모드 변환기구(33)를 구비한 낚싯대용 릴로서, 랏체트편에 접촉이간이 자재하게 접촉되는 작용부(36)와 이 작용부(36)를 이동하기 위한 조작부(38)가 일체로 형성된 변환레버(34)와 이 변환레버(34)를 회동자재하게 지지한 지지부재(43)의 2개의 부재만으로 모드 변환기구(33)를 구성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릴.
KR1019960058644A 1995-11-30 1996-11-28 낚싯대용 릴 KR100235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346569A JP2963649B2 (ja) 1995-11-30 1995-11-30 釣竿用リール
JP95-346569 1995-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386A KR970025386A (ko) 1997-06-24
KR100235777B1 true KR100235777B1 (ko) 1999-12-15

Family

ID=18384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644A KR100235777B1 (ko) 1995-11-30 1996-11-28 낚싯대용 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963649B2 (ko)
KR (1) KR100235777B1 (ko)
TW (1) TW355241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386A (ko) 1997-06-24
TW355241U (en) 1999-04-01
JPH09154447A (ja) 1997-06-17
JP2963649B2 (ja) 199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274475A (ja) 自転車用のギアチェンジ・ブレーキ一体型制御ユニット
KR20030063240A (ko) 낚시용 릴의 부품조립체
JP486371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3977730B2 (ja) 釣り用リール部品
JP3515880B2 (ja) 魚釣用リール
KR100330485B1 (ko) 온/오프 절환 기능을 갖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JP2007185130A5 (ko)
KR100235777B1 (ko) 낚싯대용 릴
KR100332053B1 (ko)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JP5468764B2 (ja) 魚釣用リール
US4832279A (en) Click sound generator for spinning reel
EP2090162B1 (en) Fishing spinning reel
KR100877308B1 (ko) 스피닝 릴
JP2534332Y2 (ja) 両軸受リール
JP2896877B2 (ja) 釣竿用リール
JP2585180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9132081A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のキャンセル装置
JPH09154448A (ja) 釣竿用リール
JP6335740B2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JP3860051B2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2994151B2 (ja) 逆転防止装置
JPH0623743Y2 (ja) スタータモータ装置
JP2001006495A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2005176674A (ja) 魚釣用リール
JPH03464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