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541B1 - 콘센트 및 연장코드 - Google Patents
콘센트 및 연장코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35541B1 KR100235541B1 KR1019950035807A KR19950035807A KR100235541B1 KR 100235541 B1 KR100235541 B1 KR 100235541B1 KR 1019950035807 A KR1019950035807 A KR 1019950035807A KR 19950035807 A KR19950035807 A KR 19950035807A KR 100235541 B1 KR100235541 B1 KR 1002355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erature
- outlet
- plug
- receiving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with thermal interru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접속플러그(P)의 접속핀(L)을 받는 핀(4)을 내장한 콘센트 본체(3)와 상기 콘센트 본체(3)의 받는 핀(4)사이에 출몰가능하게 돌출하는 보호관(9)에 봉입된 서미스터(7)와 상기 서미스터(7)를 상기 콘센트 본체(3)로부터 돌출하도록 작동하는 코일 스프링(13)과 상기 받는 핀(4)으로의 전력을 공급상태, 차단상태로 하는 릴레이(14)와, 상기 서미스터(7)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릴레이(14)를 동작시켜서 받는 핀(4)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상태로 하는 제어회로(19)와, 상기 서미스터(7)의 출력이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출력하는 제어회로(19)의 출력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부저(23)를 구비한 콘센트로, 트래킹등에 의해 서미스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접속플러그로의 급전을 차단하는 동시에 접속플러그가 설정온도 이상이 된 것을 경보기로 통보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콘센트를 표시하는 개략구성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
제3도는 이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콘센트를 표시하는 개략구성도.
제4도는 이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
제5a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형태인 콘센트의 외관을 표시하는 핀(pin)측에서 본 사시도.
제5b도는 제5a도의 콘센트의 핀측에서 본 사시도.
제6도는 이 발명의 제4실시형태인 콘센트를 표시하는 개략구성도.
제7도는 이 발명의 제5실시형태인 콘센트를 표시하는 개략구성도.
제8도는 이 발명의 제5실시형태인 콘센트를 벽에 설치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
제9도는 이 발명의 제6실시형태인 콘센트 및 연장코드를 표시하는 개략도.
제10도는 이 발명의 제7실시형태인 콘센트를 표시하는 개략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콘센트 본체 4 : 받는 핀
7 : 서미스터 9 : 보호관
13 : 코일스프링 14 : 릴레이
19 : 제어회로 23 : 부저
이 발명은 관상어용 수조의 조명구, 기타 여러 가지의 플러그와 콘센트와의 접촉부분의 온도를 검출해서 온도신호를 출력하거나, 온도신호에 따라 하류측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콘센트 및 연장코드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 플러그에서 발화하는 일이 있으므로 플러그로부터의 급전을 차단하는 전기기기의 안전장치를 구비한 플러그가 제안되어 있다.
이런 전기기기의 안전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 4-11858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센트의 핀과 플러그의 플러그날과의 접촉불량 등에 의해 플러그내의 온도가 정상이상으로 상승하면, 온도승온방지장치가 작동해서 플러그로부터의 급전을 차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플러그내의 온도가 정상이 아니게 상승하므로서, 플러그에서 발화해서 화재가 일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종래의 전기기기의 안전장치는 급전에 의해 플러그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검지하고, 이 검지한 온도가 설정온도이상이 되면 플러그로부터의 급전을 차단하는 온도승온방지장치가 플러그속에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작은 플러그중에 온도승온방지장치를 조립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해진다.
또, 플러그나 콘센트의 절연물에 트래킹이 발생해서 이 트래킹의 진행에 의해 플러그나 콘센트의 온도가 이상적으로 상승해도 이 트래킹에 의한 온도상승을 검지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한 것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감온소자를 스페이스적으로 여유를 갖고, 조립해 넣을 수 있으며, 확실하게 플러그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고, 트래킹등에 의해 온도가 설정온도이상이 되면, 접속플러그로의 급전을 차단하는 동시에 접속플러그가 설정온도 이상이 된 것을 경보기로 알려주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관한 콘센트는 접속플러그의 한쌍의 접속핀을 받는 한쌍의 핀을 내장한 콘센트 본체와, 이 콘센트 본체의 핀 사이에 출몰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는 감온소자와, 이 감온소자를 콘센트 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핀접속 콘센트로부터 전력공급을 받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거나, 건축물의 옥내배선으로부터 직접 전력공급을 받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핀으로의 전력을 공급상태, 차단상태로 하는 스위치 회로와 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설정온도이상이 되면, 스위치회로를 동작시켜서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회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어회로의 동작을 해제하는 복귀수단을 설치하거나, 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설정온도 이상이 된 제어회로의 출력에 의해 동작하는 경보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핀보다도 하류측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를 설치하고, 제어회로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도, 스위치회로를 동작시켜서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고,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도 경보기를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다른 발명에 관한 콘센트는 피접속 콘센트의 한쌍의 피접속핀에 한쌍의 핀이 접속되는 플러그와, 이 플러그의 플러그 케이스에 설치되고, 핀과 핀사이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감온소자와, 플러그에 코드를 통해서 접속되고, 접속플러그의 한쌍의 접속핀을 받는 한쌍의 핀을 내장한 콘센트 본체와, 이 콘센트 본체의 받는 핀 사이에 출몰 가능하게 돌출하는 제2감온소자와, 이 제2감온소자를 콘센트 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제1감온소자를 핀 사이에 출몰가능하게 작동부재로 작동시켜 돌출시키거나 플러그를 콘센트 본체에 일체적으로 설치해도 된다.
또, 받는 핀으로의 전력을 공급상태, 차단상태로 하는 스위치 회로와, 제1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제1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또는 제2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제1설정온도미만의 제2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회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어회로의 동작을 해제하는 복귀수단을 설치하거나, 제1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제1설정온도 이상이 된 제어회로의 출력, 또는 제2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제2설정온도이상이 된 제어회로의 출력에 의해 동작자는 경보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받는 핀보다도 하류측의 누설전류로 검출하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를 설치하고, 제어회로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의 누전신호가 공급되었을 때도,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고,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의 누전신호가 공급되었을 때도 경보기로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또 다른 발명에 관한 콘센트는 접속플러그의 한쌍의 접속핀을 받는 한쌍의 받는 핀, 접속플러그를 통해서 공급되는 온도신호를 중계하는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내장한 콘센트 본체와, 받는 핀으로의 전력을 공급상태, 차단상태로 하는 스위치 회로와,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통해서 공급되는 온도신호에 따라서 검출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콘센트 본체의 받는 핀 사이에 출몰가능하게 돌출하는 감온소자와, 이 감온소자를 콘센트 본체에서 돌출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설치하고, 제어회로는 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도,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피접속 콘센트로부터 전력공급을 받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거나, 건축물의 옥내배선으로부터 직접 전력공급을 받는 것으로 하거나, 제어회로의 동작을 해제하는 복귀수단을 두거나, 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설정온도이상이 된 제어회로의 출력에 의해 동작하는 경보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받는 핀보다도 하류측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를 설치하고, 제어회로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되었을 때도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고,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도 경보기를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또 다른 발명에 관한 콘센트는 피접속 콘센트의 한쌍의 피접속 받는 핀에 한쌍의 핀이 접속되는 플러그와, 이 플러그의 플러그 케이스에 설치되고, 핀 사이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감온소자와, 플러그에 코드를 통해서 접속되고, 접속플러그의 한쌍의 접속핀을 받는 한쌍의 받는 핀, 접속플러그를 통해서 공급되는 온도신호를 중계하는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내장한 콘센트 본체와, 받는 핀으로의 전력을 공급상태, 차단상태로 하는 스위치 회로와, 제1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제1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또는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통해서 공급되는 온도신호가 제1설정온도미만의 제2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제1감온소자를 핀사이에 출몰가능하게 작동부재로 작동시켜 돌출시키거나, 콘센트 본체의 받는 핀사이에 출몰가능하게 돌출하는 제2감온소자와, 이 제2감온소자를 콘센트 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설치하고, 제어회로는 제2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제2설정온도이상이 되었을 때도,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플러그를 콘센트 본체에 일체적으로 설치하거나, 제어회로의 동작을 해제하는 복귀수단을 두거나, 제1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제1설정온도 이상으로 된 제어회로의 출력 또는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통해서 공급되는 온도신호, 제2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의 한쪽이 제2설정온도 이상이 된 제어회로의 출력에 의해 동작하는 경보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받는 핀보다도 하류측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를 두고 제어회로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되었을 때도,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고,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도 경보기를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술한 콘센트로 이용하는 연장코드는 한쌍의 접속핀을 갖는 동시에 콘센트의 온도신호 중계수단과 접속가능한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갖는 연장 플러그와, 한쌍의 접속핀을 받는 핀사이에 출몰가능하게 돌출하는 감온소자, 이 감온소자를 돌출시키도록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갖는 연장 플러그받이와, 이 연장플러그받이의 받는 핀과 연장 플러그의 접속핀을 접속하는 급전선로와 연장플러그받이의 감온소자와 연장플러그의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접속하는 신호선로를 구비한 것이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 기타의 특징은 첨부한 도면에 따라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하게 한다.
이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콘덴서를 표시하는 개략구성도, 제1도에서, 1은 플러그를 표시하고, 코드(2)로 후술하는 받는 핀(4), 제어회로(19)에 접속되어 있다.
3은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수지제의 콘센트 본체를 표시하고, 접속플러그(P)의 접속플러그 케이스 0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갖는 수지제)에 설치된 한쌍의 접속핀 L를 받는 한쌍의 받는 핀(4)이 내장되고, 후술하는 서미스터(7)를 봉입한 보호관(9)의 턱부(10)가 맞닿은 단부(6)를 가진 관통공(5)이 받는 핀(4)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7은 감온소자로서의 서미스터를 표시하고, 리드선(8)으로 후술하는 제어회로(19)의 온도비교부(20)에 접속되어 있다.
9는 서미스터(7)를 봉입한 보호관을 표시하고, 절연재로 구성되고, 관통공(5)의 단부(6)에 맞닿는 턱부(10)가 설치되어 있다.
11은 콘센트 본체(3)의 관통공(5)의 후단부분에 돌려서 맞추거나, 용착된 관통공(12)을 갖는 환상의 스토퍼를 표시하고, 관통공(12)내에 보호관(9)이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3은 보호관(9)의 턱부(10)와 스토퍼(11)사이에 장전된 작동부재로서의 코일스프링을 표시하고, 보호관(9)의 턱부(10)를 관통공(5)의 단부(6)에 맞닿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호관(9)의 턱부(10)가 관통부(5)의 단부(6)에 맞닿은 상태에서 보호관(9)의 선단은 콘센트 본체(3)로부터 약 7mm가량 돌출한다.
14는 스위치 회로로서의 릴레이를 표시하고, 코일(15)이 비통전 상태에서는 플러그(1)로부터의 전력을 받는 핀(4)에 공급하는 공급상태가 되고, 코일(15)이 통전상태에서는 플러그(1)로부터의 전력을 받는 핀(4)에 공급하지 않는 차단상태가 되도록 접편(16)이 전환되는 것이다.
17은 정상상태를 표시하는 녹색램프를 나타내고, 플러그(1)로부터 받는 핀(4)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점등하는 것이다.
18은 이상상태를 표시하는 적색램프를 표시하고, 플러그(1)로부터 받는 핀(4)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점등하는 것이다.
19는 제어회로를 표시하고, 예를 들면 100℃로 설정된 설정온도와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를 비교해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면 정상온도신호를 출력하고,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가 설정온도이상이 되면, 이상온도신호를 출력하는 온도비교부(20)와, 이 온도비교부(20)가 이상온도 신호를 출력하면 릴레이(14)의 코일(15)에 통전해서 여자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부(21)와, 온도비교부(20)가 이상온도신호를 출력하면, 경보기로서의 부저(23)를 명동상태로 제어하는 부저제어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인 콘센트(31)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고, 제1도와 같은 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2도에서 콘센트(31)는 4개의 플러그 P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1도에 표시한 받는 핀(4) 및 서미스터(7)를 봉입한 보호관(9)을 갖는 콘센트 본체(3)가 4조 설치되어 있다.
C는 벽 W에 배치된 콘센트를 표시하고, 콘센트(31)에 코드(2)를 통해서 접속된 플러그(1)가 접속되는 것이다.
41은 관상어용 수조를 표시하고, 물, 자갈, 수초등을 넣는 동시에 금붕어 또는 열대어등의 관상어를 넣어서 관상하는 것이다.
42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기를 표시하고, 내장한 펌프로 관상어용 수조(41)내의 물을 순환시켜서 여과하는 것이며, 여과기(42)의 펌프에 접속된 플러그(43)(P)가 콘센트(31)에 접속되어 있다.
44는 관상어용 수조(41)의 상부에 놓여진 조명구를 표시하고, 관상어용 수조(41)의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형광등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형광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기 위한 스위치(45)가 설치되고, 플러그(46)(P)가 콘센트(31)에 접속되어 있다.
47은 에어펌프를 표시하고, 플러그(48)(P)가 콘센트(31)에 접속되고, 파이프(49)를 통해서 접속된 에어스톤(50)으로부터 기포를 발생시켜서 물에 공기를 용해시키는 것이다.
51은 온도설정기를 표시하고, 플러그(52)(P)가 콘센트(31)에 접속되어, 수조(41)의 바닥에 있는 히터(도시않음)를 제어해서 수조(41)내의 물의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 각 플러그(43),(46),(48) 및 (52)는 접속플러그(P)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콘센트(31)에 접속된 플러그(1)를 콘센트 C에 접속하는 동시에 각 플러그(43),(46),(48) 및 (52)를 콘센트(31)에 접속하면, 각부는 동작하고, 스위치(45)를 조작해서 관상어용 수조(41)내를 조명해서 관상어를 관상한다.
이와 같이 각 플러그(43),(46),(48) 및 (52)를 콘센트(31)의 콘센트 본체(3)에 각각 접속할 때,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서미스터(7)를 봉입한 보호관(9)이 콘센트 본체(3)로부터 돌출해 있으므로, 각 플러그(43),(46),(48) 및 (52)의 접속핀(L)이 받는 핀(4)에 꽂히면 각 플러그(43),(46),(48) 및 (52)는 코일스프링(13)의 작동력에 반해서 보호관(9)을 밀어넣으므로, 선단이 접속핀(L)사이에 맞닿은 상태에서 보호관(9)은 후퇴한다.
그리고, 콘센트(C)로부터 콘센트(31)에 전력이 공급되고, 콘센트(31)로부터 각부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나, 각 플러그 (43),(46),(48) 및 (52)와 콘센트(31)와의 접촉부분의 온도가 온도비교부(20)의 설정온도미만이면, 보호관(9)에 봉입된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도 설정온도미만이 되고, 온도비교부(20)는 정상온도신호를 출력하므로, 릴레이제어부(21)는 코일(15)에 통전하지 않고, 접편(16)은 제1도의 실선상태가 되어 녹색램프(17)가 점등한다.
이와 같이 점등된 녹색램프(17)는 각 플러그 (43),(46),(48) 및 (52)와 콘센트(31)와의 접촉부분이 온도비교부(20)의 설정온도 이하인 것을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플러그(46)와 콘센트(31)의 접촉부분에 트래킹이 발생해서 온도가 상승하고, 또는 과부하로 플러그(46)가 콘센트(31)와의 접촉부분의 온도가 상승해서 온도비교부(20)의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도 설정온도 이상이 되어, 온도비교부(20)는 이상온도 신호를 출력하므로, 릴레이 제어부(21)는 코일(15)에 통전하고 접편(16)을 제1도의 점선의 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각 플러그 (43),(46),(48) 및 (52)에의 전력이 차단되는 동시에 적색램프(18)가 점등하게 되므로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와 콘센트(31)의 접촉부분이 온도비교부(20)의 설정온도 이상이 된 것을 표시한다.
또, 이상온도 신호가 공급된 부저제어부(22)는, 부저(23)를 명동시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와 콘센트(31)의 접촉부분이 온도 설정부(20)의 설정온도 이상이 된 것을 경보를 발해서 통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서미스터(7)를 봉입한 보호관(9)을 콘센트에 배치하였으므로, 서미스터(7)를 스페이스적으로 여유를 갖고 조립할 수가 있다.
그리고, 서미스터(7)를 보호관(9)에 봉입하였으므로, 서미스터(7)가 손상되는 것을 보호관(9)에 의해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보호관(9)을 코일스프링(13)으로 작동시켜 콘센트 본체(3)로부터 돌출시켰으므로, 접속핀(L)이 완전히 꽂히지 않아도 보호관(9)을 통해서 서미스터(7)를 접속 플러그(P)에 접촉시킬 수가 있으므로 확실하게 접속 플러그(P)의 온도를 검출할 수가 있다.
또, 트래킹 또는 과부하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고, 온도가 온도비교부(20)의 설정온도이상이 되면, 제어회로(19)는 릴레이(14)를 동작시켜서 접속플러그(P)로의 급전을 차단하는 동시에, 접속 플러그(P)와 콘센트와의 접촉부분이 설정온도 이상으로 된 것을 부저(23)를 올려서 X통보한다.
따라서, 트래킹 또는 과부하에 의해 콘센트와 접속 플러그(P)의 접촉부분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 대응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 플러그(P)로부터 발화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제3도는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콘센트(31A)를 표시하는 개략구성도이고,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에서 R는 벽등에 설치된 피접속 콘센트를 표시하고,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수지제의 피접속콘센트 케이스(H)와, 이 피접속 콘센트 케이스(H)에 내장되고 전력이 공급되어 있는 한쌍의 피접속 받는 핀(B)으로 구성되어 있다.
1A는 플러그를 표시하고,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수지제의 플러그 케이스(24)와 이 플러그 케이스(24)에 설치되고 피접속 콘센트(R)의 피접속 받는 핀(B)에 접속되는 한쌍의 핀(25)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핀(25)은 코드(2)로 상술한 받는 핀(4), 제어회로(19A)에 접속되어 있다.
26은 제1감온소자로서의 서미스터를 표시하고, 플러그 케이스(24)에 피접속콘센트 케이스(H)와의 대향면측의 온도가 검출될 수 있도록 매설되고, 리드선(27)으로 제어회로(19A)의 온도비교부(20A)에 접속되어 있다.
제2감온소자로서의 서미스터(7)는 리드선(8)으로 제어회로(19A)의 온도비교부(20A)에 접속되어 있다.
14는 릴레이를 표시하고, 코일(15)이 비통전상태에서 플러그(1A)로부터의 전력을 받는 핀(4)에 공급하는 공급상태가 되도록 접편(16)이 전환되고, 코일(15)이 통전상태에서 플러그(1A)로부터의 전력을 받는 핀(4)에 공급하지 않는 차단상태가 되도록 접편(16)이 전환되는 것이다.
17은 정상상태를 표시하는 녹색램프를 표시하고, 플러그(1A)로부터 받는 핀(4)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점등하는 것이다.
18은 이상상태를 표시하는 적색램프를 표기하고, 플러그(1A)로부터 받는 핀(4)에 전력이 공급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점등되는 것이다.
19는 제어회로를 표시하고, 예를 들면 이 실시형태의 콘센트의 정격전류가 15A인 경우, 120℃로 설정된 제1설정온도와 서미스터(26)의 검출온도를 비교해 서미스터(26)의 검출온도가 제1설정온도미만이면, 정상온도 신호를 출력하고, 서미스터(26)의 검출온도가 제1설정온도이상이 되면, 이상온도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100℃로 설정된 제2설정온도와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를 비교해,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가 제2설정온도 미만이면, 정상온도신호를 출력하고,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이상온도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비교부(20A)와 이 온도비교부(20A)가 이상 온도신호를 출력하면 릴레이(14)의 코일(15)에 통전해서 여자상태로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부(21)와, 온도비교부(20A)가 이상온도 신호를 출력하면 부저(23)를 명동상태로 제어하는 부저제어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제4도는 이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콘센트(31A)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고, 제1도∼제3도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4도에서 콘센트(31A)는 4개의 플러그(P)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3도에 표시한 받는 핀(4) 및 서미스터(7)를 봉입한 보호관(9)을 갖는 콘센트 본체(3)가 4조 설치되어 있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피접속 콘센트(R)로부터 콘센트(31A)에 전력이 공급되고 콘센트(31A)로부터 각부로 전력을 공급하게 되나 핀(25)사이의 플러그 케이스(24)의 온도가 온도비교부(20A)의 제1설정온도미만이면, 서미스터(26)의 검출온도도 제1설정온도 미만이 되고, 각 플러그(43),(46),(48) 및 (52)에서 접속핀(L)사이의 접속플러그 케이스(0)의 온도가 온도비교부(20A)의 제2설정온도 미만이면, 보호관(9)에 봉입된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도 제2설정온도 미만이 되어, 온도비교부(20A)는 정상온도 신호를 출력하므로, 릴리에 제어부(21)는 코일(15)에 통전하지 않고, 접편(16)은 제3도의 실선상태가 되며, 녹색램프(17)가 점등된다.
이와 같이 점등한 녹색램프(17)는 각 플러그 케이스(24)(0), 콘센트 본체(3) 및 피접속 콘센트 케이스(H)의 온도가 대응하는 제1 또는 제2설정온도 미만인 것을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어 플러그 케이스(24)에 트래킹이 발생해서 온도가 상승하고, 또는 과부하로 플러그 케이스(24)의 온도가 상승해서 제1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서미스터(26)의 검출온도도 제1설정온도 이상이 되고, 또는 플러그(46)의 접속플러그 케이스(0)에 트래킹이 발생되어 온도가 상승하며, 또는 과부하로 플러그 케이스(0)의 온도가 상승해서 제2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도 제2설정온도 이상으로 되며, 온도비교부(20A)는 이상온도 신호를 출력하므로 릴레이 제어부(21)는 코일(15)에 통전하고, 접편(16)을 제3도의 점선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각 플러그 (43),(46),(48) 및 (52)로의 전력이 차단되는 동시에 적색램프(18)가 점등되므로서, 트래킹 또는 과부하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것을 표시한다.
또, 이상온도신호가 공급된 부저 제어부(22)는 부저(23)를 명동시켜, 트래킹 또는 과부하가 발생한 것을 경보를 발해서 통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서미스터(26)를 플러그 케이스(24)에 매설하고, 서미스터(7)를 봉입한 보호관(9)을 콘센트 본체(3)에 설치하였으므로, 각 서미스터(26)(7)를 스페이스적으로 여유를 갖고 조립해 넣을 수가 있다.
그리고, 서미스터(26)를 플러그 케이스(24)에 매설하고, 서미스터(7)를 보호관(9)에 봉입하였으므로 서미스터(26)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서미스터(7)가 손상되는 것을 보호관(9)에 의해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서미스터(26)를 플러그 케이스(24)에 매설하였으므로, 플러그 케이스(24)의 온도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또, 보호관(9)을 코일스프링(13)으로 작동해서 콘센트 본체(3)로부터 돌출시켰으므로 접속핀(L)이 완전히 꽂히지 않아도 보호관(9)을 통한 서미스터(7)를 각 플러그(P),(43),(46),(48) 및/또는 (52)에 접촉시킬 수가 있으므로 각 플러그(P)(43),(46),(48) 및/또는 (52)의 온도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그리고, 트래킹 또는 과부하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고, 각부가 대응하는 제1 또는 제2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제어회로(19A)는 릴레이(14)를 동작시켜, 각 플러그(P),(43),(46),(48) 및 (52)로의 급전을 차단하는 동시에 트래킹 또는 과부하가 발생한 것을 부저(23)에 명동시켜서 통보한다.
따라서, 트리캥 또는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대응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가 있어, 부하로의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기 때문에, 각 플러그 (1A),(P),(43),(46),(48)(52)의 각핀(25),(L)사이의 온도가 저하하고, 콘센트 본체(3)의 받는 핀(4)사이의 온도가 저하하므로, 각 플러그(1A),(P),(43),(46),(48),(52) 콘센트 본체(3)에서 발화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제5a,b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형태인 콘센트의 외관을 표시하는 핀측으로 부터의 사시도, 받는 핀측으로 부터의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이 제3실시형태의 콘센트(31b)는 제2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1A)를 콘센트 본체(3)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이다.
이 제3실시형태의 콘센트(31B)의 동작, 작용효과등은 제2실시형태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1실시형태의 콘센트도 플러그(1)를 콘센트 본체(3)에 일체적으로 설치해도 된다.
제6도는 이 발명의 제4실시형태인 콘센트(31A)를 표시하는 개략구성도이고, 제3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6도에서, 61은 플러그를 표시하고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수지제의 플러그 케이스(62), 이 플러그 케이스(62)에 설치되고, 피접속 콘센트(R)의 피접속 받는 날(B)에 접속되는 한쌍의 핀(63), 후술하는 서미스터(66), 보호관(68), 스토퍼(70), 코일스프링(72)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핀(63)은 코드(2)로 받는 핀(4), 제어회로(19A)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플러그 케이스(62)에는 서미스터(66)를 봉입한 절연재의 보호관(68)에 설치된 턱이진 부분(69)이 맞닿은 단부(65)를 갖는 관통공(64)이 핀(63)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감온소자로서의 서미스터(66)는 리드선(67)으로 제어회로 (19A)의 온도비교부(20A)에 접속되어 있다.
또, 플러그 케이스(62)의 관통공(64)의 후단부분에 나사로 맞추거나 용착된 관통공(71)을 갖는 환상의 스포터(70)는 관통공(71)내에 보호관(68)이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작동부재로서의 코일스프링(72)은 보호관(68)의 턱이진 부분(69)과 스토퍼(70)사이에 장전되어 보호관(68)의 턱이진 부분(69)을 관통공(64)의 단부(65)에 맞닿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또, 보호관(68)의 턱이진 부분(69)이 관통공(64)의 단부(65)에 맞닿은 상태로 보호관(68)의 선단은 플러그 케이스(62)로부터, 예를 들어 약 7mm정도 돌출한다.
이 제4실시형태의 콘센트(31A)의 동작 작용은 제2실시형태와 같이 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의하면 서미스터(66)를 봉입한 보호관(68)을 플러그 케이스(62)에 설치하고, 서미스터(7)를 봉입한 보호관(9)을 콘센트본체(3)에 배치하였으므로, 각 서미스터(66),(7)를 스페이스적으로 여유를 갖고 조립해 넣을 수가 있다.
그리고, 서미스터(66),(7)를 보호관(68),(9)에 봉입하였으므로, 서미스터(66),(7)가 손상되는 것을 보호관(68),(9)에 의해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보호관(68)을 코일스프링(72)으로 작동해서 플러그 케이스(62)로부터 돌출시켜 보호관(9)을 코일스프링(13)으로 작동시켜 콘센트 본체(3)로부터 돌출시켰으므로, 각 핀(63),(L)이 완전히 꽂히지 않아도 보호관(68),(9)을 통한 서미스터(66),(7)을 피접속 콘센트(R), 접속플러그(9)에 접속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피접속콘센트(R), 접속플러그(P)의 온도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또,트래킹 또는 과부하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고 각부가 대응하는 제1 또는 제2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제어회로(19A)는 릴레이(14)를 동작시켜, 접속플러그(P)로의 급전을 차단하는 동시에, 트래킹 또는 과부하가 발생한 것을 부저(23)를 명동시켜서 통보한다.
따라서, 트래킹 또는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 대응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가 있고, 부하로의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기 때문에, 각 플러그(61),(P)의 각 핀(63),(L) 사이의 온도가 저하하고, 콘센트 본체(3)의 받는 핀(4)의 사이의 온도가 저하하므로, 각 플러그(61),(P), 콘센트 본체(3) 및 피접속 콘센트케이스(H)로부터 발화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61)를 콘센트 본체(3)에 일체적으로 설치해도 된다.
제7도는 발명의 제5실시형태인 콘센트를 표시하는 개략구성도, 제8도는 제7도에 표시한 제5실시형태인 콘센트를 벽에 배치한 상태의 외관사시도이고, 제1도∼제6도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들 도면에서, 28은 옥내 배선등에서 분배전 된 교류전원, 31C는 건축물내의 벽 W에 배치된 콘센트를 표시하고, 이 콘센트(31C)는 교류전원(28)으로부터 코드(2)를 통해서 전력공급을 받는 것이다.
80은 제어회로를 표시하고, 예를 들면 100℃에 설정된 설정온도와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를 비교해서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면, 정상온도 신호를 출력하고,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이상온도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비교부(81)와, 이 온도 비교부(81)의 출력을 보존하는 보존회로(82)와, 이 보존회로(82)로부터의 이상온도 신호에 의해 릴레이(14)의 코일(15)에 통전해서 여자상태로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부(83)와, 온도 비교부(81)로부터의 이상온도신호에 의해 부저(23)를 명동상태로 제어하는 부저제어부(84)와, 보존회로(82)의 보존상태를 해제하고 접속플러그 P로의 급전을 가능케 하는 동시에 부저(23)의 명동을 정지시키는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으로서의 리세트 스위치(85)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술한 각 실시형태와 다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 콘센트 본체(3)의 한쌍의 받는 핀(4)에는 교류전압이 상시 인가되어 있다.
우선, 트래킹 또는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 되고, 온도비교부(81)는 정상온도신호를 보존회로(82)에 출력하며, 보존회로(82)는 정상온도신호를 릴레이 제어부(83) 및 부저제어부(84)에 출력하므로 릴레이 제어부(83)는 코일(15)에 통전하지 않고, 접편(16)은 제7도의 실선상태가 되며, 녹색램프(17)를 점등시켜서 접속 플러그(P)로의 급전이 가능한 것을 표시한다.
그러나, 트래킹 또는 과부하가 발생해서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온도비교부(81)은 이상 온도신호를 보존회로(82)에 출력하고, 보존회로(82)는 이상온도신호를 릴레이 제어부(83) 및 부저제어부(84)에서 출력하므로, 릴레이 제어부(83)는 코일(15)에 통전하고, 접편(16)을 제7도의 점선의 상태로 전환하며, 접속 플러그(P)로의 전력이 차단되는 동시에 적색램프(18)가 점등하므로서 트래킹 또는 과부하가 발생한 것을 표시한다.
또, 이상온도신호가 공급된 부저제어부(84)는 부저(23)를 명동시켜 트래킹 또는 과부하가 발생한 것을 경보를 발해서 통보한다.
여기서, 제어회로(80)에 리세트 스위치(8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트래킹 또는 과부하가 발생했을 때, 대응조치를 취한 후 스위치(85)를 조작하므로서 보전회로(82)의 보존상태가 해제되고, 접속플러그(P)로의 급전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부저(23)는 명동을 정지한 상태로 복귀한다.
즉, 상술한 각 실시형태의 콘센트에 있어서는 당해 콘센트로의 급전계를 차단하므로서 제어회로(19),(19A)를 복귀시킬 수가 있으나, 이 제5실시형태에 관한 콘센트(31B)에 있어서는 급전계를 차단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복귀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또, 보존회로(82)로서 RS-플립 플롭등의 2상태 택일 회로를 사용하고 리세트 스위치(85)의 "온"조작에 의해 어스접속되는 신호전위를 부논리로서 리세트 단자에 공급하는 등, 보존회로(82)나 리세트 스위치(85)는 공지기존의 논리회로등으로 여러 가지로 구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복귀수단을 설치하면 트래킹 또는 과부하가 발생한 콘센트의 급전계를 차단하기 위해 일부러 콘센트의 접속원에 가서 콘센트를 빼버리는 번잡성이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복귀시킬 수가 있다.
또, 리세트 스위치(85)가 장난으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콘센트 본체(3)에 작은 구멍(86)을 뚫어 놓고, 이 작은구멍에 이쑤시개 등을 밀어넣어 리세트 스위치(85)를 온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 벽(W)에 설치하는 콘센트(31C)로 하였으나, 교류전원(28)부분을 통상의 플러그로 바꾸거나 플러그를 콘센트 본체(3)에 일체적으로 설치해서 일체화해도 된다.
제9도는 이 발명의 제6실시형태인 콘센트(31D) 및 연장코드(94)를 표시하는 개략구성도이고, 제1도∼제8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9도에서, 80A는 콘센트(31D)의 제어회로를 표시하고, 예를 들면 100℃로 설정된 설정온도와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 또는 후술하는 핀받이 핀(93), 리드선(8A)을 통한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를 비교해서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면, 정상온도 신호를 출력하고, 서미스터의 검출온도가 설정온도이상이 되면, 이상온도신호를 출력하는 온도비교부(81A)와, 이 온도비교부(81A)의 출력을 보존하는 보존회로(82)와, 이 보존회로(82)로부터의 이상온도신호에 의해 릴레이(14)의 코일(15)에 통전해서 여자상태로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부(83)와, 온도비교부(81)로부터의 이상온도신호에 의해 부저(23)를 명동상태로 제어하는 부저제어부(84)와, 보존회로(82)의 보존상태를 해제해서 접속플러그(P)로의 급전을 가능케하는 동시에 부저(23)의 명동을 정지시키는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으로서의 리세트스위치(85)로 구성되어 있다.
91은 콘센트 본체를 표시하고, 한쌍의 접속핀(L)을 받기 위한 한쌍의 받는 핀(4)이 내장되어 있고, 감온소자로서의 서미스터(7)를 봉입한 보호관(9)을 코일스프링등의 작동부재로 돌출방향으로 작동하고 있다.
또, 서미스터(7)로부터의 온도신호는 리드선(8)을 통해서 제어회로(80A)의 온도비교부(81A)에 공급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래킹 또는 과부하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콘센트 본체(91)에는 온도신호 중계수단으로서 한쌍의 핀 상통공(92)내에 각각 핀 받이핀(93)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각 핀받이핀(93)은 리드선(8A)을 통해서 제어회로(80A)의 온도비교부(81A)에 접속되며, 핀받이 핀(93)을 통해서 공급되는 온도신호에 따라 제어회로(80A)에 의한 트래킹, 과부하의 검출 및 급전차단처리와 통지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94는 접속플러그(P)로의 급전경로를 연장하는 연장코드를 표시하고, 연장플러그(94a)와 연장플러그받이(94b)와 연장플러그(94a)와 연장플러그받이(94b)를 접속하는 케이블(94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플러그(94a)는 한쌍의 접속핀(L)과 콘센트 본체(91)의 핀삽통공(92)에 삽통가능한 온도신호 중계수단으로서의 한쌍의 접속핀(95)을 구비하고 있다.
또, 연장플러그받이(94b)는 한쌍의 접속핀(L)을 받아들이는 한쌍의 받는핀(4)사이에 감온소자로서의 서미스터(7)를 스프링등의 작동수단으로 출몰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케이블(94c)는 연장플러그받이(94b)의 받는 핀(4)과 연장플러그(94a)의 접속핀(L)을 접속하는 급전선(96)과, 연장플러그받이(96b)의 서미스터(7)와 연장플러그(94a)의 접속핀(95)을 접속하는 온도신호선(97)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콘센트 본체(91)에 연장코드(94)를 접속하고 연장코드(94)의 연장플러그받이(94b)의 받는 핀(4)에 다른 접속플러그(P)의 접속핀(L)이 꽂히면, 연장플러그받이(94b)의 서미스터(7)가 접속핀(L)사이에 맞대어, 스프링의 작동력에 반해서 밀어넣어지고, 받는 핀(4)사이의 접속플러그 케이스(0) 또는 연장플러그받이(94b)에 트래킹 또는 과부하가 발생해서 온도가 상승하면, 이 온도상승은 연장플러그받이(94b)에 설치된 서미스터(9)에 의해 검출되며, 케이블(94c)의 온도신호선(97), 연장플러그(94a)의 접속핀(95), 콘센트 본체(91)의 핀받는 핀(93) 및 리드선(8A)을 통해서 온도비교부(81A)에 공급된다.
즉, 연장코드(94) 자체에는 트래킹 또는 과부하 발생검출기능이나 트래킹 또는 과부하검출에 따른 급전경로의 차단수단과, 통보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콘센트 본체측의 기능으로 트래킹 또는 과부하의 검출이나 급전경로의 차단이나 통보를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 온도변화에 따르는 저항변화를 서미스터등의 감온소자를 사용하므로서 온도신호는 각 감온소자로부터 개별적으로 온도비교부(81A)로 공급할 필요가 있으므로 연장코드(94)대신에 테이블탭으로 하는 경우나, 연장코드에 다시 연장코드를 접속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접속하는 감온소자의 수에 따른 온도신호선과 이를 중계하기 위한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콘센트를 구비하는 테이블탭으로 했을 때는 각 콘센트의 감온소자로부터의 신호를 플러그에 인도하기 위한 온도신호선을 4개조 필요하고, 이들 4개조의 온도신호선에 대응하는 4개조의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플러그에 설치하며, 이 4개조의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각각 접속가능하게 4개조의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콘센트 본체에 설치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제9도의 제6실시형태의 콘센트(31D)에서는 콘센트 본체(91)에 온도중계수단과, 감온소자를 함께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예를 들면 온도신호 중계수단만을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벽(W)에 설치하는 콘센트로 하였으나, 교류전원(28)부분을 통상의 플러그로 바꾸거나, 플러그를 콘센트 본체에 일체적으로 설치해서 일체형으로 해도 좋다.
제10도는 이 발명의 제7실시형태인 콘센트(31E)를 표시하는 개략구성도로, 제1도의 제1실시형태에 대응하는 것이며, 제1도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10도에서, 19B는 콘센트(31E)의 제어회로를 표시하고, 예를 들어 100℃에 설정된 설정온도와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를 비교해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가 설정온도미만이면, 정상온도신호를 출력하고, 서미스터(7)의 검출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이상온도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비교부(20)와, 이 온도비교부(20)로부터 이상 온도신호 및/또는 후술하는 누전검출부(101)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되므로서 공급된 신호를 출력하는 OR회로(102)와 이 OR회로(102)로부터 이상온도신호 및/또는 누전신호가 공급되면 릴레이(14)의 코일(15)에 통전해서 여자상태로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부(21A)와, 온도비교부(20)로부터 이상온도신호 및/또는 누전검출부(101)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되므로서, 공급된 신호를 출력하는 OR회로(103)와 이 OR회로(103)로부터 이상온도신호 및/또는 누전신호가 공급되면, 부저(23)를 명동상태로 제어하는 부저제어부(22A)와, 후술하는 누전검출소자(100A),(100B)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누전을 검출하고 누전신호를 출력하는 누전검출부(101)로 구성되어 있다.
100A, 100B는 받는 핀(4)보다도 하류측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누전검출소자를 표시하고, 누전이 발생해 있지 않을 때는 왕복의 전류가 같으므로, 전압이 유기되지 않고, 누전이 발생되면, 왕복의 전류가 같게 되지 않으므로, 전압이 유기되어서 누전신호로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영상 변류기를 사용해서 구성할 수가 있다.
또, 누설전류 검출소자는 마치 2개로 구성된 것 같이 도시하고 있으나, 코드(2)가 상하로 분리해 있으므로, 이와 같은 표시가 되어 있다.
다음, 상기한 각 실시형태와 다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받는 핀(4)보다도 하류측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누설전류검출소자(100A),(100B)는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므로, 이 소정의 전압이 공급된 누전검출부(101)는 누전신호를 각 OR회로(102),(103)에 출력한다.
따라서, 누전이 발생했을 때도 트래킹 또는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와 같이 받는 핀(4)보다 하류측으로의 전력공급을 차단상태로 하는 동시에, 부저(23)를 명동시켜서 이상이 발생한 것을 통보할 수가 있으므로, 전기에 의한 모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대응조치를 취할 수가 있다.
이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제2∼제2실시형태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제3도, 제6도, 제7도, 제9도에 표시한 위치(a),(b)에 누설전류검출소자(100A),(100B)를 배치하고, OR회로(102),(103)를 통해서 릴레이 제어부(21),(83) 및 부저제어부(22),(84)에, 또는 OR회로를 통해서 보존회로(82)에 누전검출부(101)의 출력을 공급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OR회로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콘센트 본체(3)로부터 보호관(9)을 7mm돌출시켜, 플러그 케이스(62)로부터 보호관(68)을 7mm돌출시킨 예로 설명하였으나, 각 플러그(61),(P)의 노출한 각 핀(63),(L)의 길이의 1/10에서부터 1/2의 범위, 즉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각 플러그(61),(P)는 핀(63),(L)이 18mm정도 노출하고 있으므로, 보호관(68),(9)을 1.8mm로부터 9mm의 범위에서 플러그 케이스(62), 콘센트 본체(3)로부터 돌출시키면 각 플러그(61),(P)를 각 콘센트(R),(31),(31A)에 꽂을 때 반드시 보호관(68),(9)의 선단을 각 케이스(H),(0)에 맞대일 수가 있다.
그리고, 보호관(68),(9)의 돌출량을 상술한 범위내에서 적게하면 할수록 보호관(68),(9) 및 서미스터(66),(7)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감온소자로서 서미스터(26),(66),(7)을 예로해서 설명하였으나, 온도가 변화하므로서 출력이 변화하는 것이면 다른 것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 없다.
또, 서미스터(66),(7)을 보호관(68),(9)에 봉입한 예에서 설명하였으나, 보호관(68),(9)에 봉입할 필요가 없는 것은 보호관(68),(9)에 봉입하지 않아도 되고, 제1 및 제2감온소자가 그대로 노출된 경우 제1 및 제2감온소자를 노출한 핀(63),(L)의 길이를 1/10로부터 1/2의 범위에서 플러그 케이스(62), 콘센트 본체(3)로부터 돌출시키면 된다.
그리고, 스위치회로로서 릴레이(14)를 예로해서 설명하였으나 반도체 스위치등의 스위치라도 좋다.
또, 경보기를 부저(23)로 한 예에서 설명하였으나, 위험상태를 통보할 수 있는 경보기이면 다른 것이라도 좋다.
또, 제1설정온도를 120℃로 하고, 제2설정온도를 100℃로 한 예로 설명하였으나, 콘센트의 정격전류에 의해 각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설정온도는 각 케이스(H),(24),(62),(0), 콘센트 본체(3)의 변화온도보다 낮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1실시형태에서 콘센트를 콘센트 본체(3), 서미스터(7), 코일스프링(13)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 제2실시형태에서 콘센트를 콘센트 본체(3), 서미스터(7), 코일스프링(13), 플러그(1A)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감온소자를 콘센트에 배치하였으므로, 감온소자를 스페이스적으로 여유를 갖고 조립해 넣을 수가 있다.
그리고, 감온소자를 작동부재로 작동시켜 콘센트 본체로부터 돌출시켰으므로, 플러그 핀이 완전히 꽂히지 않아도 감온소자를 플러그에 접촉시킬 수가 있으므로 확실하게 플러그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온도에 의해 트래킹 또는 과부하를 판정하므로서 대응조치를 강구할 수가 있다.
또, 트래킹 또는 과부하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고 온도가 제어회로의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제어회로는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플러그로의 급전을 차단하므로 트래킹 또는 과부하에 의해 콘센트와 플러그의 접촉부분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 플러그 또는 콘센트가 발화하기 전에 급전을 차단할 수가 있다.
또, 제어회로는 트래킹 또는 과부하에 의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플러그가 설정온도 이상이 된 것을 경보기를 동작시켜서 통보하므로 대응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어회로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복귀수단을 설치하므로서 경보기를 멈추거나 급전을 재개시키기 위한 조작이 간단해진다.
다음 복귀수단을 설치하였으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복귀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누전을 검출해서 플러그로의 급전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전기에 의한 모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동시에 대응조치를 취할 수가 있다.
또, 검출한 온도신호를 콘센트에 전달하는 연장코드를 이용하므로서 콘센트보다 먼저에서 발생하는 트래킹 또는 과부하를 검출해서 대응조치를 취할 수가 있다.
Claims (33)
- 접속플러그의 한쌍의 접속핀을 받는 한쌍의 받는 핀을 내장한 콘센트 본체와, 이 콘센트 본체의 상기 받는 핀사이에 출몰가능하게 돌출한 감온소자와, 이 감온소자를 상기 콘센트 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구비한 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피접속 콘센트로부터 전력공급을 받는 플러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받는 핀은 전력공급을 상기 건축물의 옥내배선으로부터 직접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을 공급상태, 차단상태로 하는 스위치회로와, 상기 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스위치회로를 동작시켜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회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의 동작을 해제하는 복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출력하는 상기 제어회로의 출력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경보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는 핀보다도 하류측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도 상기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는 핀보다도 하류측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되었을 때도 상기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도 상기 경보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피접속 콘센트의 한쌍의 피접속 받는 핀에 한쌍의 핀이 접속되는 플러그와, 이 플러그의 플러그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핀사이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감온소자와, 상기 플러그에 코드를 통해서 접속되고 접속플러그의 한쌍의 접속핀을 받는 한쌍의 받는 핀을 내장한 콘센트 본체와, 이 콘센트 본체의 상기 받는 핀사이에 출몰가능하게 돌출하는 제2감온소자와, 이 제2감온소자를 상기 콘센트 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구비한 콘센트.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온소자는 상기 핀 사이에 출몰가능하게 작동부재로 작동되어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 본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을 공급상태와 차단상태로 하는 스위치 회로와, 상기 제1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제1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또는 상기 제2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제1설정온도 미만인 제2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회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의 동작을 해제하는 복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제1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출력하는 상기 제어회로의 출력신호, 또는 상기 제2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제2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출력하는 상기 제어회로의 출력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경보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받는 핀보다도 하류측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된 경우도, 상기 스위치회로를 동작시켜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받는 핀보다도 하류측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된 경우도, 상기 스위치회로를 동작시켜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된 경우도, 상기 경보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접속플러그의 한쌍의 접속핀을 받는 한쌍의 받는 핀, 상기 접속플러그를 통해서 공급되는 온도신호를 중계하는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내장한 콘센트 본체와,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을 공급상태, 차단상태로 하는 스위치 회로와, 상기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통해서 공급되는 온도신호에 따라서 검출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콘센트.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의 상기 받는 핀 사이에 출몰가능하게 돌출하는 감온소자와, 이 감온소자를 상기 콘센트 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호로는 상기 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설정온도 이상이 된 경우에도 상기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7항에 있어서, 피접속 콘센트로부터 전력공급을 받는 플러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7항에 있어서, 건축물의 벽면에 배치되고, 상기 받는 핀은 전력공급을 상기 건축물의 옥내배선에서 직접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의 동작을 해제하는 복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출력하는 상기 제어회로의 출력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경보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받는 핀보다도 하류측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도 상기 스위치회로를 동작시켜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받는 핀보다도 하류측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되었을 때도 상기 스위치회로를 동작시켜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도, 상기 경보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피접속 콘센트의 한쌍의 피접속 받는 핀에 한쌍의 핀이 접속되는 플러그와, 이 플러그의 플러그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핀 사이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감온소자와, 상기 플러그에 코드를 통해서 접속되고, 접속 플러그의 한쌍의 접속핀을 받는 한쌍의 받는 핀, 상기 접속플러그를 통해서 공급되는 온도신호를 중계하는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내장한 콘센트 본체와,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을 공급상태, 차단상태로 하는 스위치 회로와, 상기 제1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제1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또는 상기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통해서 공급되는 온도신호가 제1설정온도미만의 제2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콘센트.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온소자를 상기 핀 사이에 출몰가능하게 작동부재로 작동되어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의 상기 받는 핀 사이에 출몰가능하게 돌출하는 제2감온소자와, 이 제2감온소자를 상기 콘센트 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제2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제2설정온도 이상이 된 경우도 상기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 본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의 동작을 해제하는 복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가 제1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출력하는 상기 제어회로의 출력신호, 또는 상기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온도신호가 상기 제2감온소자로부터의 온도신호의 한쪽이 제2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출력하는 상기 제어회로의 출력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경보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받는 핀보다도 하류측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된 경우도, 상기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받는 핀보다도 하류측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누설전류 검출소자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도, 상기 스위치 회로를 동작시켜서 상기 받는 핀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누설전류 검출소자로부터 누전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도, 상기 경보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한쌍의 접속핀을 갖는 동시에 콘센트의 온도신호 중계수단과 접속가능한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갖는 연장플러그와, 한쌍의 받는 핀사이에 출몰가능하게 돌출하는 감온소자, 이 감온소자를 돌출시키도록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갖는 연장플러그 받이와, 이 연장플러그 받이와 핀과 상기 연장 플러그의 접속핀을 접속하는 급전선로와, 상기 감온소자와 상기 온도신호 중계수단을 접속하는 신호선로를 구비한 연장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4-275511 | 1994-10-17 | ||
JP27551194 | 1994-10-17 | ||
JP3472495 | 1995-02-01 | ||
JP95-34724 | 1995-02-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6020A KR960016020A (ko) | 1996-05-22 |
KR100235541B1 true KR100235541B1 (ko) | 1999-12-15 |
Family
ID=2637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35807A KR100235541B1 (ko) | 1994-10-17 | 1995-10-17 | 콘센트 및 연장코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5600306A (ko) |
EP (3) | EP0948096A1 (ko) |
KR (1) | KR100235541B1 (ko) |
DE (1) | DE69516074T2 (ko) |
MY (1) | MY112299A (ko) |
TW (1) | TW294847B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1364B1 (ko) * | 2018-11-16 | 2019-02-25 | (주)미도아트웍스 | 화재감지 가능한 온도감응형 전류공급기 |
KR20200102210A (ko) * | 2019-02-21 | 2020-08-31 | (주)미도아트웍스 |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
KR20210045734A (ko) * | 2019-10-17 | 2021-04-27 | 한국전력공사 | 콘센트와 플러그의 안전사고 방지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10036B1 (en) * | 1996-09-06 | 2001-04-03 | Gerald P. Eberle | Connector thermal sensor |
GB9619579D0 (en) * | 1996-09-19 | 1996-10-30 | Deveney John | Seaming iron |
DE29702219U1 (de) * | 1997-02-10 | 1997-06-19 | B E E M Blitz-Elektro-Erzeugnisse Manufaktur Handels-GmbH, 61191 Rosbach | Gerätesteckverbindung |
EP0982812A1 (de) * | 1998-08-18 | 2000-03-01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Elektrisches Installationsgerät mit Temperaturüberwachungseinrichtung |
US6894254B2 (en) | 2000-04-20 | 2005-05-17 | Mks Instruments, Inc. | Heater control system with combination modular and daisy chained connectivity and optimum allocation of functions between base unit and local controller modules |
US6295003B1 (en) * | 2000-05-05 | 2001-09-25 | Hsien Chung Wu | Socket having an overload indicating and warning device |
GB0018068D0 (en) * | 2000-07-25 | 2000-09-13 | Hughes Rodney W | Regulator |
AU9172801A (en) * | 2000-08-04 | 2002-02-18 | Manfred Fladung Gmbh | Electrical plug-in connector |
US6552888B2 (en) * | 2001-01-22 | 2003-04-22 | Pedro J. Weinberger | Safety electrical outlet with logic control circuit |
GB0115880D0 (en) * | 2001-06-28 | 2001-08-22 | Fileman Michael C | Fire protection |
KR20030080663A (ko) * | 2002-04-10 | 2003-10-17 | 임성호 | 납땜 인두용 전력제어 콘센트 |
US8754773B1 (en) * | 2004-02-21 | 2014-06-17 | Lee Von Gunten | Device for simulating human activity in an unoccupied dwelling |
WO2006109330A1 (en) * | 2005-04-13 | 2006-10-19 | Kem-O-Tek Italia Srl | Electronic connector protecting method |
CN2838087Y (zh) * | 2005-11-02 | 2006-11-15 | 赖丽纯 | 插座过载警示装置 |
NO324346B1 (no) * | 2006-01-05 | 2007-09-24 | Anders Sande | Temperaturvarsler for bruk i elektriske installasjoner |
US20080057767A1 (en) * | 2006-08-10 | 2008-03-06 | O'rourke Kevin | Electrical adaptor having an anchor |
US7808761B2 (en) * | 2006-08-10 | 2010-10-05 | O'rourke Kevin | Extension cord having a temperature indicator |
US7513683B2 (en) * | 2006-10-10 | 2009-04-07 | M & Fc Holding, Llc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hot socket deterioration in an electrical meter connection |
US7575467B2 (en) | 2006-12-27 | 2009-08-18 | Thomas Wilmer Ferguson | Electrically safe receptacle |
US20090167537A1 (en) * | 2007-12-28 | 2009-07-02 | Feliss Norbert A | Minimizing electrical outlet safety failures due to over temperature condition |
WO2009126247A1 (en) * | 2008-04-07 | 2009-10-15 | Technology Research Corporation | Over heating detection and interrupter circuit |
KR100987192B1 (ko) * | 2008-06-11 | 2010-10-11 | (주) 피에스디테크 | 전기접속구의 접촉불량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
US7944667B2 (en) * | 2008-06-18 | 2011-05-17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Thermal security for hybrid vehicle recharging cable plugs device and method |
US8054599B2 (en) | 2008-07-14 | 2011-11-0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power system component failure |
FR2943468B1 (fr) * | 2009-03-23 | 2011-04-15 | Schneider Electric Ind Sas | Prise electrique et alimentation sans interruption equipee d'une telle prise |
US8159803B2 (en) * | 2009-12-07 | 2012-04-17 | Ward Michael J | Heat actuated interrupter receptacle |
US8878397B2 (en) | 2010-08-31 | 2014-11-04 | Great Stuff, Inc. | Electrical cord reel with control system to limit overheating |
CN102468583A (zh) * | 2010-11-17 | 2012-05-23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控制电路 |
US8922967B2 (en) | 2011-02-10 | 2014-12-30 | Lear Corporation | Thermal protection system for electrical device |
JP5934905B2 (ja) * | 2011-03-03 | 2016-06-1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電気推進車両用充電ケーブル |
WO2013022791A1 (en) | 2011-08-05 | 2013-02-14 | Great Stuff, Inc. |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cord reel |
DE102011121318A1 (de) * | 2011-12-16 | 2013-06-20 |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 Steckverbinder |
US8771005B2 (en) | 2011-12-30 | 2014-07-08 | Great Stuff, Inc. | Electrical cord with wear ring |
US8801458B2 (en) | 2012-01-03 | 2014-08-12 | Great Stuff, Inc. | Electrical cord reel with removeable cord |
CN102891410B (zh) * | 2012-10-29 | 2014-10-29 | 杭州凯特电器有限公司 | 通过温度报警保护路由器的排插 |
US8902555B2 (en) * | 2013-04-09 | 2014-12-02 | Chi Wen Cheng | Smart alarm plug, socket, wall-mounted socket or connector |
US9806515B2 (en) * | 2013-12-24 | 2017-10-31 | Nokia Technologies Oy | Protection of cables and connectors |
TWI548169B (zh) * | 2014-10-09 | 2016-09-01 | 勝德國際研發股份有限公司 | 電源延長線 |
US9564718B2 (en) * | 2014-11-17 | 2017-02-07 | Chengli Li | Power plug and power receptacle with over-temperature protection function |
US11034260B2 (en) * | 2015-03-23 | 2021-06-15 | Webasto Charging Systems, Inc. | System monitoring power connector and cable health |
CN206283054U (zh) * | 2015-09-11 | 2017-06-27 | 拉斯科运营控股有限责任公司 | 用于电源供应线的热侦测插头 |
CN105305174A (zh) * | 2015-11-16 | 2016-02-03 | 东莞崧崴电子科技有限公司 | 带过热报警装置的电源插头 |
CH711864A1 (de) * | 2015-12-15 | 2017-06-15 | Q2Power Ag | Steckdosenadapter mit Relais. |
ITUB20160712A1 (it) * | 2016-02-12 | 2017-08-12 | Tech4Sea Srl | Dispositivo di connessione elettrica subacquea |
CN106711706B (zh) * | 2017-01-16 | 2019-02-19 | 国网山东省电力公司龙口市供电公司 | 电缆连接器和电缆连接控制装置 |
CN107834310A (zh) * | 2017-11-10 | 2018-03-23 | 深圳市华思通科技有限公司 | 一种防过载超温保护插座 |
DE102017222808A1 (de) * | 2017-12-14 | 2019-06-19 |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 Lastkontaktmodul und Ladestecker |
GB201811648D0 (en) * | 2018-07-16 | 2018-08-29 | Parfitt Anthony D | Electrical safety device and system |
CN111864685B (zh) * | 2020-07-17 | 2021-08-31 | 应急管理部天津消防研究所 | 一种电缆接头消防系统及实现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20601A (en) * | 1964-05-11 | 1967-05-16 | Albert M Yankus | Combined fire sensing alarm and electric power receptacle |
GB1382242A (en) * | 1971-03-05 | 1975-01-29 | Lucas Industries Ltd | Monitoring apparatus including an electric lamp arrangement |
US3872355A (en) * | 1973-09-18 | 1975-03-18 | Gen Electric | Fire detection and projection circuit and device |
NL7506090A (nl) * | 1975-05-23 | 1976-11-25 | Koninkl Metaalfab Daalderop B | Toestelcontactstop. |
US4118690A (en) * | 1976-02-20 | 1978-10-03 | Paynton William C | Electrical hazard indicator |
US4771367A (en) * | 1987-05-04 | 1988-09-13 | High Q Manufacturing Co. | Electric plug with circuit breaker |
EP0338101A1 (de) * | 1988-04-19 | 1989-10-25 | Kistler Instrumente AG | Aufnehmer-Steckverbindung |
US4903162A (en) * | 1988-07-25 | 1990-02-20 | Kopelman Robert L | Fire-prevention electrical wiring device |
US4979070A (en) * | 1989-06-13 | 1990-12-18 | Bodkin Lawrence E | Automatic reset circuit for GFCI |
US4951025A (en) * | 1989-06-23 | 1990-08-21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Thermally monitored electrical outlet receptacle receptacle apparatus |
IT219137Z2 (it) * | 1989-11-21 | 1992-12-10 | Weber Srl | Dispositivo di connessione elettrica per un iniettore di un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i carburante per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
JPH04118581U (ja) | 1991-04-02 | 1992-10-23 | 三洋電機株式会社 | 電気機器の安全装置 |
US5188542A (en) * | 1991-12-05 | 1993-02-23 | Gray Ballman |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strain relief and mount, and overtemperature indicator |
JPH0793153B2 (ja) * | 1992-10-12 | 1995-10-09 | 株式会社四国総合研究所 | 電気設備の接続部 |
JPH0767245A (ja) * | 1993-08-27 | 1995-03-10 | Janome Sewing Mach Co Ltd | 電源供給回路の安全装置 |
JPH0765870A (ja) * | 1993-08-28 | 1995-03-10 | Suzuki Motor Corp | 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 |
-
1995
- 1995-10-12 US US08/542,319 patent/US5600306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10-13 EP EP99202355A patent/EP0948096A1/en not_active Withdrawn
- 1995-10-13 DE DE69516074T patent/DE69516074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10-13 EP EP95307275A patent/EP070849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10-13 EP EP99202356A patent/EP0948097A1/en not_active Withdrawn
- 1995-10-17 MY MYPI95003108A patent/MY112299A/en unknown
- 1995-10-17 KR KR1019950035807A patent/KR1002355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10-19 TW TW084111013A patent/TW294847B/zh active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1364B1 (ko) * | 2018-11-16 | 2019-02-25 | (주)미도아트웍스 | 화재감지 가능한 온도감응형 전류공급기 |
KR20200102210A (ko) * | 2019-02-21 | 2020-08-31 | (주)미도아트웍스 |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
KR102236763B1 (ko) * | 2019-02-21 | 2021-04-06 | (주)미도아트웍스 |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
KR20210045734A (ko) * | 2019-10-17 | 2021-04-27 | 한국전력공사 | 콘센트와 플러그의 안전사고 방지 장치 |
KR102254309B1 (ko) * | 2019-10-17 | 2021-05-21 | 한국전력공사 | 콘센트와 플러그의 안전사고 방지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69516074D1 (de) | 2000-05-11 |
US5600306A (en) | 1997-02-04 |
TW294847B (ko) | 1997-01-01 |
EP0948097A1 (en) | 1999-10-06 |
EP0948096A1 (en) | 1999-10-06 |
DE69516074T2 (de) | 2000-09-14 |
EP0708498A1 (en) | 1996-04-24 |
MY112299A (en) | 2001-05-31 |
EP0708498B1 (en) | 2000-04-05 |
KR960016020A (ko) | 1996-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35541B1 (ko) | 콘센트 및 연장코드 | |
AU2002251799B2 (en) | Safety electrical outlet with logic control circuit | |
US10816184B2 (en) | Lighting device and luminaire | |
US6766835B1 (en) | Tank monitor system | |
KR101145351B1 (ko) |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 |
AU2002251799A1 (en) | Safety electrical outlet with logic control circuit | |
JP3063053B2 (ja) | コンセント | |
US4740861A (en) | Thermal protection device for a dual input voltage lamp transformer/ballast apparatus | |
KR101452434B1 (ko) | 안전 케이블 릴 | |
KR100970843B1 (ko) | 적응형 그린 콘센트 | |
KR101000401B1 (ko) |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 |
GB2292850A (en) | A switching device | |
US5978196A (en) | Control system for thermal protection of high wattage lighting | |
KR102436651B1 (ko) | 전기 화재 초기 소화 기능과 절연상태 감시가 가능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 |
KR102236763B1 (ko) |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 |
JP2006302777A (ja) | タップコンセント | |
TWM450893U (zh) | 供電保護裝置及供電系統 | |
BR0002057A (pt) | Monitor detector de falhas em instalação de transformador de luminosos a gás neon | |
ES2384793T3 (es) | Disyuntor de a bordo con mecanismo de autorización de rearme | |
JP2002343538A (ja) | 水槽等の加熱装置 | |
US20070183476A1 (en) | Low temperature alert system | |
KR910005509B1 (ko) | 전자 무접점식 오일버어너용 연소안전 제어장치 | |
KR200296465Y1 (ko) | 누전차단기 | |
US2663859A (en) | Thermal and magnetic means of indicating temperature and electric failure | |
JPH056514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82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