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509B1 - 전자 무접점식 오일버어너용 연소안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무접점식 오일버어너용 연소안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509B1
KR910005509B1 KR1019890006977A KR890006977A KR910005509B1 KR 910005509 B1 KR910005509 B1 KR 910005509B1 KR 1019890006977 A KR1019890006977 A KR 1019890006977A KR 890006977 A KR890006977 A KR 890006977A KR 910005509 B1 KR910005509 B1 KR 910005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isplay circuit
oil
igni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772A (ko
Inventor
정인태
Original Assignee
정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태 filed Critical 정인태
Priority to KR1019890006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509B1/ko
Publication of KR90001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9/00Safety arrangements
    • G05B9/02Safety arrangements electr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무접점식 오일버어너용 연소안전 제어장치
도면은 본 발명 장치의 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정류회로부 4 : 화염검출 표시회로부
6 :
Figure kpo00001
전원제어회로부 8 : 모우터 제어표시 회로부
10 : 경보출력 표시회로부 12 : 점화기 제어 표시 회로부
14 : 오일밸브 제어 표시 회로부 16 : 재착화 제어 회로부
본 발명은 무접점식 전자 릴레이를 이용한 오일버어너용 연소 안전제어장치로, 좀더 상세하게로는 오일버어너의 모우터, 송풍기(Blower), 오일밸브, 경보기등의 모든 작동출력을 반도체소자를 사용하여 무접점으로 제어되게 한 것에 의해, 오일 버어너 제어장치의 고장 발생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버어너 사용자들에게는 편리성과 안전성을 부여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외에서 제작되어 널리 알려진 오일 버어너용 제어 및 보호장치들은 모두 접점식의 릴레이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인해, 오래 사용하면 할수록 보일러실내에서 발생되는 습기와 유독성개스로 인해 릴레이 접점 부위의 심한 부식을 초래케하는 결과로 되며, 또한 교류전력을 유통 또는 차단시키는 릴레이의 접탈(接脫)작용은 아크방전 발생원인으로 되어 릴레이의 접점부위를 소손(燒損)시키는 결과로 되기 때문에 결국에는 오일 버어너 제어장치의 고장 발생 및 수명단축의 주인자(因子)로 작용하였다.
또, 1단(Stage)릴레이의 경우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인한 고장으로 1차 착화과정에서 착화가 안되면 즉시 수동리셋 대기상태가 되므로 그때마다 일일히 사람이 보일러실에 직접 내려가서 리셋하여 버어너 제어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이루어지게 해야만 한다고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2단 릴레이의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 이유로 고장이 발생되면 상기 릴레이는 1차 착화가 이루어지지 않을시 계속하여 착화 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릴레이의 접점부위가 소손되어 버어너 제어장치에 고장이 발생된다고 하는 결점 및 전력과 열손실도 많다고 하는 결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오일버어너용 제어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키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접점부위의 부식이나 소손등이 전연 발생치 않도록 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전력 및 연료손실이 전연없이 항상 안정하게 작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고장없이 보다 오래동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한 잇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류전원을 항시 정전압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공급해주는 정류회로부와, 화염검출과 아울러 작동표시를 알려주는 화염 검출 표시회로부와, 상기 화염 검출표시 회로부의 화염검출소자가 비정상 위치에 있을 때 그 회로부의 릴레이에 의해
Figure kpo00002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지며, 화염검출소자가 정상 위치에 있을때에는
Figure kpo00003
전원을 각 회로부에 공급해주는
Figure kpo00004
전원 제어회로부와, 모우터 작동의 제어 및 작동유무를 알려주는 모우터 제어 표시회로부와, 점화기 작동의 제어 및 작동유무를 알려주는 점화기 제어 표시회로부와, 오일밸브 작동제어 및 작동유무를 알려주는 오일밸브 제어 표시회로부와, 착화 운전후 착화가 안되면 재착화되도록 상기 점화기와 오일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재착화제어 회로부와, 상기 모든 작동이 안될 시 경보음 출력과 아울러 경보등을 점등하여 표시해주는 경보 출력표시회로로 구성하여, 오일버어너가동시 화염검출 소자가 정위치에서 이탈되어 이미 광선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오일 버어너의 작동이 안되게 하고, 정상일때는 오일버어너 시동시 먼저 버어너의 송풍기만 가동되게 하여 수초(약 7초)간 화싱(火室)내의 개스를 배출되게 함과 아울러, 얼마후(약 5초 경과류) 점화기의 가동방전을 시작되게 하여 방전 단자에 부착된 가연물질 등을 연소시켜 제거하면서 수초후(대략 2초) 오일밸브를 작동되게 하여 수초간(대략 13초) 착화를 시도하며, 종합하여 수초동안(약 20초) 착화가 이루어지지를 않아 화염검출소자의 화염검출이 없으면 모우터와 송풍기만 계속 가동되게 하면서 몇초(약 1초)내에 자동적으로 재착화 운전으로 리셋되어 전출(前述)한 착화 과정으로 전환되게 함과 아울러, 재차 수초간(약 20초) 상기한 착화 운전 순서를 반복되게 하는데, 총합하여 수초(약 42초)간의 2회 착화시도 기간중에도 착화가 안되면 오일버어너의 전 작동이 중지되고 경보음 출력 및 경보등이 점등되면서 수동 리셋 대기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착화과정 운전중에 착화가 실행되면 점화기만 수초(약6초)간 방전이 지속되다가 작동이 중지되고 모우터 및 송풍기와 오일밸브만 작동이 유지되어 연소운전이 계속되게 한다. 그러나, 정상적인 오일버어너의 연소 작동중에도 온도제어 스위치에 의한 제어없이 화염이 소거되면 상기한 바처럼, 최초 오일버어너 시동시와 같이 수초(약 42초)간 2회의 착화시도 운전과정이 반복되고, 그레도 착화가 안될시에는 모든 작동이 중지됨과 아울러 경보등의 점등 및 경보를 출력하며 수동리셋 대기 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외에 그 밖에 다른 잇점은 첨부한 도면 설명에 의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의 회로 구성도(1)를 대별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원을 항시 정전압 직류전압으로 정류하여 공급해주는 정류회로부(2)와, 화염검출과 아울러 작동유무표시를 알려주는 화염검출 표시회로부(4)와, 상기 화염검출 표시회로부(4)에의 화염검출소자(FD)가 비정상 위치에 있을 때 그 회로부(4)의 릴레이(RY)에 의한 제어로
Figure kpo00005
전원공급이 중단되어지며, 상기 화염 검출소자(FD)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에는
Figure kpo00006
전원을 각 회로부에 공급해주는
Figure kpo00007
전원제어회로부(6)와, 모우터(M)작동의 제어 및 작동유무 상태를 알려주는 모우터 제어 표시회로부(8)와, 상기 회로작동이 안될시 경보음 출력과 동시에 경보등을 점등되게 하여 표시해주는 경보출력 표시회로부(10)와, 점화기(IG)의 작동제어 및 작동유무상태를 알려주는 점화기 제어 표시회로부(12)와, 오일밸부(OV)작동 제어 및 작동유무 상태를 알려주는 오일 밸브 제어 표시회로부(14)와, 착화 운전후 착화실행이 안되면 재 착화되도록 상기 점화기(IG)와 오일브(OV)의 작동을 제어하는 재착화 제어회로부(16)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 각 회로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정류 회로부(2)는 콘덴서(C1) 및 전해 콘덴서(C2)(C3), 다이오우드(D1) 및 제너다이오우드(ZD). 저항(R1)(R2)을 전원단자(1,2)에 연결 접속하여 구성되며, 그 정류회로부(2)는 전원단자(1,2)에 접속시킨 온도제어스위치(TS)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교류전원(AC)를 정전압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후술하는 각 제어회로부에 공급되게 한다.
정전압 직류전원의
Figure kpo00008
측 접지(GND)는 전원단자(2)의 교류전원선(L2)에 공공접지되며, 상기 회로는 100V와 200V 교류전원에 적용가능하다.
화염검출 표시회로부(4)는 전해콘덴서(C8), 발광다이오우드(E5), TR(Q6), 저항(R12)(R13)(R16), 릴레이(RY), 가변저항(VR)을 화염검출소자(FD)를 접속시킨 접속단자(7)(8)에 연결하여 구성되며, 오일버어너 가동전에 화염검출소자(FD)가 정상위치에서 이탈되어 외부광선을 이미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TR(Q1), 저항(R6), 타이머(T1)를 연결접속하여 구성한
Figure kpo00009
전원제어회로부(6)를 상기 릴레이(RY)의 단자(NC1)로 제어하여서 공급하고 있던 IC전원단자(V+)에
Figure kpo00010
전압을 차단하므로서 본 발명 장치에 따른 상기 회로의 전체작동을 중지케 한다.
모우터 제어 표시회로부(8)는 다이오우드(D6), 발광다이오드(E2), 낸드게이트(G2), TR(Q2), 저항(R7)(R9)(R18), 트라이액(S2), 타이머(T2)로 구성되어 단자(4)에 접속된 모우터(M)를 제어하는 한편 2회의 착화시도와 운전기간 42초를 관장한다.
경보출력표시회로부(10)는 다이오우드(D5), 발광다이오우드(EI), 낸드게이트(G1), 저항(R17), 트라이액(SI)으로 구성되어 각 회로부 고장시 단자(3)에 연결된 경보기(AL)를 제어한다.
점화기 제어 표시회로부(12)는 다이오우드(D8), 발광다이오우드(E4), 낸드게이트(G4), TR(Q3), 저항(R15)(R20), 트라이액(S4), 타이머(T3)로 구성되어 단자(6)에 점화기(IG)를 제어한다.
오일밸브 제어표시 회로부(14)는 다이오우드(D7), 발광다이오우드(E3), 낸드게이트(G3), TR(Q4), 저항(R19), 트라이액(S3), 타이머(T4)로 구성되어 단자(5)에 연결 접속시킨 오일밸브(OV)를 제어한다.
재착화 제어회로부(16)는 전해콘덴서(C7), 다이오우드(D3)(D4), TR(Q5), 저항(R8)(R10), 타이머(T5)를 연결 접속하여 구성되며, 상기 재착화 제어회로부(14)에 의해서 착화 운전 20초후 착화실행이 안되면 재착화 운전순서로 상기 타이머(T3)(T4)를 1초간 자동 리셋하여 점화기와 오일 밸브 제어 표시 회로부(10)(12)에의 점화기(IG) 및 오일밸브(OV)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밖에 다이오우드(D2)(D3)로는
Figure kpo00011
전압 역류방지회로를 구성하여 상기 각 제어 회로부간의 간섭을 방지토록 하며, 타이머(T1)(T2)의 작동
Figure kpo00012
전압을 릴레이(RY)의 단자(NC1)로 제어하게 하고, 단자(NO)에서 저항(R11)을 경유 점화기 제어 표시 회로부(10)를 제어하여 착화시 6초간 점화기의 방전을 지속되게 하며, 상기 다이오우드(D3)로서 다음 제어회로부의 정상작동의 간겁을 방지토록 하여 오일버어너의 정상운전을 유지하게 하는 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각 제어회로부의 다이오우드(D5)(D6)(D7)(D8)은 교류의 역류를 차단하며,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C4)(R3), (C5)(R4), (C6)(R5)는 각각 트라이액(S2)(S3)(S4)에 연결된 모우터(M), 점화기(IG), 오일밸브(OV)등의 유도부하시 써지(Surge)전압을 흡수토록한 저항과 콘덴서이며, (L1)은 교류전원선을, (RS)는 리셋 버튼 스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교류 전원선(L1, L2)을 통하여 교류전원(100 또는 200V)을 공급하면, 교류전력은 정류회로부(2)의 저항(R1), 콘덴서(C1)에 의하여 전압이 저하되고 전류가 제한되어 다이오우드(D1), 저항(R2), 전해 콘덴서(C2)(C3)에 의해 반파정류 및 평활화되고, 제너다이오우드(ZD)에 의해서 정전압으로 유지되어 상기 각 제어 회로부에 공급되는데,
Figure kpo00013
측은 교류전원선(L2)에 공동접지되고
Figure kpo00014
측은 리셋버튼 스위치(RS)를 경유하여 후술하는 제어회로부등에 각각 전달된다. 이때, 화염검출표시 회로부(4)의 화염검출소자(FD)가 정상 위치에서 이탈되어 이미 외부광선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저항(R12)으로부터 화염검출소자(FD)를 경유하여
Figure kpo00015
전압이 유통되어 저항(R16)을 지나 발광다이오우드(E5)를 점등되게 하고, 이어서 가변저항(VR) 및 저항(R13)을 경유 전해콘덴서(C8)를 충전하면서 지연되어 TR(Q6)의 베이스측에 전달되어져 상기 TR(Q6)를 "온"되게 하므로 릴레이(RY)도 "온"되어
Figure kpo00016
전원제어회로부(6) 및 모우터 제어회로부(8) 타이머(T1)(T2)의 작동 전압공급을 상기 릴레이(RY) 접점(NC1)에서 차단시키기 때문에, 상기 타이머(T1)은 작동이 안되여여
Figure kpo00017
전압을 IC전원단자(V+)에 공급하지 못하므로 모든 제어회로부는 작동이 안되며 이와 연관된 오일버어너 작동도 중단된다.
그러나, 반대로 화염검출소자(FD)가 정상적인 위치에 있으며 광선 검출이 없기 때문에 릴레이(RY)는 작동되지 않고, 상기 실레이(RY)의 단자(NC1)를 경유하여
Figure kpo00018
전압이 상기 전원제어회로부(6), 타이머(T1)와 모우터 제어표시회로부(8)의 타이머(T2)에 공급되기 때문에 이때 타이머(T1)은 먼저 사전 설정한 2초간 지연 작동되여 화염검출소자(FD)의 광선 검출 유·무를 확인 후 광선 검출이 없으면
Figure kpo00019
전원 제어 회로부(6)의 저항(R6)을 통한 싱크 작동으로 TR(Q1)을 "온"되게 하여 지속적인
Figure kpo00020
전압을 낸드 게이트 IC전원단자(V+)와 모우터 제어 표시회로부(8) TR(Q2)의 에미터에 부가시키어 상기 2초 지연시간 경과후
Figure kpo00021
전원제어회로부(6)의 TR(Q1)을 "온"되게 하는데, 이때 타이머(T1)의 작동 전압을 차단되게 하여도 "온"상태를 유지하여
Figure kpo00022
전압 제어회로에 계속 유통되게 한다. 한편 상기 타이머(T2)는 사전 설정한 2회의 시도운전을 42초동안 지연작동되며, 그동안 TR(Q2)를 "오프"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따라서 각 제어 표시회로부의 낸드게이트,(G2)(G3)(G4)의 입력측은 "로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반면, 상기 낸드게이트(G2)(G3)(G4)의 출력측은 "하이" 상태로 되어
Figure kpo00023
전압을 출력하기 때문에, 낸드게이트(G2)의
Figure kpo00024
출력전압은 경보출력 표시회로부(10) 낸드게이트(G1)의 입력측을 "하이"상태로 되게 하고, 상기 낸드게이트(G1)의 출력측은 "로우"상태로 되게 하여 상기 경보출력 표시회로부(10)의 작동이 안되게 함과 동시에, 모우터 제어 표시회로부(8) 낸드게이트(G2)의
Figure kpo00025
전압출력은 다이오우드(D6), 저항(18)을 경우 발광다이오우드(E2)를 점등되게 하여 작동되고 있음을 표시하여 주며, 계속하여 그
Figure kpo00026
전압출력은 트라이액(S2)의 게이트(g)에서 입력단(t1)을 경유 교류전원선(L2)에 공동으로 접지된 회로의 접지부(GND)로 유통되게 하여 상기 트라이액(S2)을 "온"되게 하고 단자(4)에서 모우터(M)을 작동되게 제어한다.
한편, 점화기 제어 표시회로부(12) 낸드게이트(G4)의
Figure kpo00027
전압출력은 타이머(T3)와 TR(Q3)의 에미터에 전달되게 하여 타이머(T3)에 사전 설정시킨 지연작동으로서 모우터(M)의 송풍기가 노(爐)내의 개스 배출 작동 시작을 5초동안 지연되게 한 후 저항(R15)을 경유하여 TR(Q3)을 "온"되게 하고, 이어서
Figure kpo00028
출력전압을 다이오우드(D8), 저항(R20)을 경유하여 상기와 같이 발광다이오우드(E4)를 점등되게 하면서 트라이액(S4)의 게이트(g)에서 이력단(t1)을 경유접지부(GND)로 유통되게 하여 상기 트라이액(S4)을 "온"되게 하고 단자(6)에 연결시킨 점화기(IG)를 작동시켜서 방전을 시작 방전단자에 부착된 이물질을 소거하며 계속 방전을 지속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낸드게이트(G4)의
Figure kpo00029
출력전압은 상기 재착화 제어회로부(16)의 다이오우드(D4)를 경유 전해 콘덴서(C7)를 충전하면서 타이머(T5)와 TR(Q5)에 작동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타이머(T5)를 사전 설정한 착화시도기간 20초간 지연작동되게 하며, 착화실패시에는 재착화 순서 자동 리셋의 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 한편, 오일밸브 제어 표시 회로부(14)의 낸드게이트(G3)의
Figure kpo00030
출력전압은 타이머(T4), TR(Q4)에 작동전압을 공급하여 타이머(T4)가 점화기(IG)작동 2초후 저항(R14)을 거쳐 TR(Q4)을 "온"되게 하고, 이어서
Figure kpo00031
전압이 다이오우드(D7), 저항(R19)을 경유 발광다이오우드(E3)를 점등표시하면서 트라이액(S3)의 게이트(g)에서 입력단(t1)을 경유 접지부(GND)로 유통되게 하여 상기 트라이액(S3)을 "온"되게 하고 단자(5)에서 오일밸브(OV)를 작동시켜 오일공급을 시작 착화 과정에 돌입되게 한다.
한편, 재착화 제어회로부(16)의 타이머(T5)는 20초의 1차 착화기간동안 착화가 안되어 화염검출소자(FD)에서 광선 검출신호가 없어서 릴레시(RY)작동이 안되면 저항(R8)을 통하여 TR(Q5)을 "온"되게 하고, 이어서
Figure kpo00032
전압이 저항(R10)을 경유 오일밸브 제어 표시회로부(14)의 낸드게이트(G3)의 입력측으로, 그리고 다시 다이오우드(D3)를 경유 점화기 제어 표시회로부(12)의 낸드게이트(G4)의 입력측으로 각각 전달되게 하여 "하이"상태로 되게 하고, 상기 제어회로부들의 낸드게이트(G3)(G4)의
Figure kpo00033
전압출력을 중단되게 한다. 하지만, 이때 재착화 제어 회로부(16)의 타이머(T5)의 작동전원도 차단되므로 전해 콘덴서(C7)에 충전된 전압으로서 약1초 동안만 낸드게이트(G3)(G4)의 입력측을 "하이"상태로 유지케한 후, 다시 "로우"상태로 복귀되게 하므로 낸드게이트(G3)(G4)는 재차
Figure kpo00034
전압을 출력하여 타이머(T3)(T4)를 착화시도, 운전순서, 지연작동으로 자동리셋되게 한다.
그러나, 이 과정중 상기 전원제어회로부(6) TR(Q5)의
Figure kpo00035
전압출력은 다이오우드(D2)에 의하여 저지되어 모우터 제어 표시회로부(8) 낸드게이트(G2)의 입력측에는 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낸드게이트(G2)의
Figure kpo00036
전압출력에 의한 모우터(M)의 송풍기(미도시)작동은 계속된다. 재착화 시도 기간동안 상술한 바와 같이 노내의 개스배출, 점화기(IG)의 작동, 뒤이어 오일밸브(OV)의 작동을 거쳐 착화과정을 운전을 다시 20초간 반복하던중 이때도 착화가 안되면, 모우터 제어 표시회로부(8) 타이머(T2)의 42초간 지연작동 시간이 경과되기 때문에 타이머(T2)가 작동되어 저항(R7)를 통하여 TR(Q2)을 "온"되게 하고,
Figure kpo00037
전압이 저항(R9)을 경유 낸드게이트,(G2)의 입력측으로, 다시 다이오우드(D2)를 경유하여 오일밸브제어 표시회로부(14) 낸드게이트(G3) 입력측으로, 그리고 재차 다이오우드(D3)를 경유하여 점화기제어표시 회로부(12)의 낸드게이트(G4)입력측으로 각각 전달되어, 상기 낸드 게이트(G2)(G3)(G4)의 입력측을 "하이"상태로 되게 하므로 모우터(M), 점화기(IG), 오일밸브(OV)의 작동을 중단되게 함과 아울러 수동 리셋 대기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한편, 경보출력 표시회로부(10)의 낸드게이트(G1)의 입력측을 "하이"상태로 되게 하므로 낸드 게이트(G1)는
Figure kpo00038
전압을 출력하여 다이오우드(D5), 저항(R17)을 경유 발광다이오우드(E1)를 점등 표시하면서 트라이액(S1)의 게이트(g)에서 입력단(t1)을 경유 접지부(GND)로 유통되게 하여, 상기 트라이액(S1)을 "온"되게 하며 단자(3)에서 접속된 경보기(AL)를 작동되게 제어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2회의 착화시도기간 42초 이내에 착화가 되면 화염검출표시회로부(4)의 화염검출소자(FD)의 광선검출로 인한 저항 감소로 저항(R12)을 경유한
Figure kpo00039
전압을 유통시키어 저항(R16)을 거쳐 발광다이오우드(E5)를 점등표시되게 함과 동시에 가변저항(VR) 및 저항(R13)을 경유 전해 콘덴서(C8)를 충전시키며 지연되면서 TR(Q6)의 베이스측으로 전달되게 하여, 그 TR(Q6)을 "온"되게 하고 릴레이(RY)를 "온"작동되게 하므로 단자(NCI)에서
Figure kpo00040
전원제어회로부(6) 및 모우터제어표시회로부(8)의 타이머(T1)(T2)에 공급되던
Figure kpo00041
전압을 중단시키는데, 상기 타이머(T1)는 이미 2초간의 지연작동 종료로서 TR(Q1)을 "온"시킨 상태이기 때문에 TR(Q1)은 계속하여 IC전원단자(V+)에
Figure kpo00042
전압이 공급되게 하여 회로장치의 작동이 지속되게 하며, 타이머(T2)는 지연작동 42초 이내이므로 TR(Q2)는 "오프"상태를 지속되게 되여 모우터 및 오일밸브 제어 표시회로부(8)(14) 낸드게이트(G2)(G3)입력측을 "로우"상태로 유지되게 하므로 모우터(M)와 오일밸브(OV)제어회로부(8)(14)는 지속적으로 작동되어서, 버어너의 정상적인 연소운전이 지속되게 한다. 한편, 릴레이(RY)의 단자(NO)에서는
Figure kpo00043
전압이 저항(R11)을 거쳐 지연되면서 점화기 제어 표시 회로부(12) 낸드게이트(G4)의 입력측으로 전달되고, 다이오우드(D3)에 지지되어 상기 낸드게이트(G4)의 입력측만 "하이"상태로 되므로, 낸드게이트(G4)의 출력측은 착화후 전해 콘덴서(C8), 저항(R11)에 의한 지연시간 6초후
Figure kpo00044
전압출력을 중지하게 되어 점화기(IC)는 착화후 6초간 더 방전을 지속하다가 작동을 중지하고, 오일 버어너 모우터(M), 송풍기 및 오일 밸브(OV)만 작동되게 하여 연소운전을 지속되게 하여, 타이머(T1)가 제어하는 TR(Q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연시간 작동후이므로 "온"상태를 유지하며, 타이머(T2)에 의해 제어되는 TR(Q2)은 42초의 지연시간이내이므로 "오프"상태를 유지하여 다음 작동의 대기상태로 있는다.
그 밖에, 상기와 같이 오일버어너 연소작동중 온도제어 스위치(TS) 또는 정전에 의한 전원 공급 중단시에는, 전체 오일버어너의 작동은 중단된다. 또, 전원이 부가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2회의 착화시도를 행하고 그 기간 중에 착화가 되면 정상적인 연소운전을 시작한다. 그러나, 정상 연소운전중 온도제어스위치(TS) 또는 정정에 의한 교류전력의 공급중단없이 연소가 중단되면 화염검출소자(FD)의 저항증가로 릴레이(RY)는 "오프"되고 단자(NCI)에서 다시
Figure kpo00045
전압이 타이머(T1)(T2)에 전달되어 재차 지연작동을 시작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T1)는 이미 작동종료로 TR(Q1)을 "온"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있으므로 IC전원단자(V+)에는 계속
Figure kpo00046
전압이 공급되는 상태로 되며, 타이머(T2)는 2회의 착화시도기간 지연 작동을 시작하고 모우터와 송풍기는 계속 가동되면서 상기한 2회의 착화시도 운전과정을 실행한다. 그 기간중 착화가 되면 오일버어너와 오일밸브만 작동되어 정상적인 연소운전을 수행하고, 만약 2회의 착화시도 운전기간중 착화가 안되면 경보출력 표시회로부에 의해 경보등 점등 및 경보음을 출력케하고 수동 리셋 대기 상태로 되는 바, 오일버어너의 연소안전 제어기능을 다하게 작동된다. 상기한 본 발명 장치 제어회로의 작동순서, 작동시간, 착화시도회수 등은 타이머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조건에 따라 임의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버어너 연소안전 제어장치는 무접범으로 작동되게 한 것에 의해, 접범부위 손상으로 인한 고장발생율이 거의 없어 보다 오래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안전하게 버어너 연소과정을 제어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 및 연료손실의 절약과 아울러 사용자의 편리성을 함께 부여토록 한 것이다.

Claims (1)

  1. 교류전원을 항시 정전압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여 공급해주는 정류회로부(2)와, 화염검출과 아울러 작동유무표시를 하는 화염검출표시회로부(4)와, 상기 화염검출표시 회로부(4)의 화염검출소자(FD)가 비정상 위치에 있을 때 그 회로부(4)의 릴레이(RY)에 의한 제어로
    Figure kpo00047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어지며, 화염검출소자(FD)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는
    Figure kpo00048
    전원을 각 회로부에 공급해주는
    Figure kpo00049
    전원제어회로부(6)와, 모우터(M)작동의 제어 및 작동유무 상태를 표시해주는 모우터 제어 표시회로부(8)와, 상기 회로작동이 안될시 경보음 출력과 동시에 경보음을 점등하여 표시해 주는 경보출력 표시 회로부(10)와, 점화기(IG)의 작동제어 및 작동 유·무 상태를 알려주는 점화기 제어 표시회로부(12)와, 오일밸브(OV) 작동제어 및 작동유무상태를 알려주는 오일밸브 제어표시회로부(14)와, 착화운전후 착화실행이 안되면 재착화되도록 상기 점화기(IG)와 오일밸브(OV)작동을 제어하는 재착화 제어회로부(16)로 구성하여, 오일버어너의 고장극소화 및 안전연소를 극대화시킨 전자무접점식 오일버어너용 연소안전제어장치.
KR1019890006977A 1989-05-24 1989-05-24 전자 무접점식 오일버어너용 연소안전 제어장치 KR910005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6977A KR910005509B1 (ko) 1989-05-24 1989-05-24 전자 무접점식 오일버어너용 연소안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6977A KR910005509B1 (ko) 1989-05-24 1989-05-24 전자 무접점식 오일버어너용 연소안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772A KR900018772A (ko) 1990-12-22
KR910005509B1 true KR910005509B1 (ko) 1991-07-31

Family

ID=1928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977A KR910005509B1 (ko) 1989-05-24 1989-05-24 전자 무접점식 오일버어너용 연소안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5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8727B2 (en) 2009-08-19 2013-03-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manufacturing vacuum-sealing-type flexible-film primary batte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8727B2 (en) 2009-08-19 2013-03-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manufacturing vacuum-sealing-type flexible-film primary battery
US8557426B2 (en) 2009-08-19 2013-10-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acuum-sealing-type flexible-film prim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772A (ko) 199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3385A (en) Direct ignition system for gas appliance with DC power source
US5347982A (en) Flame monitor safeguard system
US4455509A (en) Intrinsically safe lighting system
US6322352B1 (en) Gas burner system
US6280180B1 (en) Method and system for igniting a burner of a gas stove
US6126435A (en) Electronic ignition system for a gas stove
US5470223A (en) Microprocessor controlled fuel and ignition control for a fuel burning device
US4111639A (en) Proven pilot fuel ignition system with sampling flame sensor
AU3310384A (en) Controller for combustible fuel burner
KR100189607B1 (ko) 연소장치
KR910005509B1 (ko) 전자 무접점식 오일버어너용 연소안전 제어장치
US4521180A (en) Laboratory burner apparatus
US3918881A (en) Fuel ignition control arrangement
KR100371224B1 (ko) 연소장치
KR102083216B1 (ko) 가스기기의 점화불량 판단장치
JPS6142164B2 (ko)
US3510237A (en) Burner ignition system
JPS6027898B2 (ja) 燃焼制御装置
KR880002075Y1 (ko) 온수 보일러의 자동 콘트롤 장치
EP0573223A1 (en) Heating appliances
US5009588A (en) Time-delay circuit for automatic shutdown of furnace systems
KR0145537B1 (ko) 점화 트랜스 불량감지방법
JPH08147051A (ja) 電源制御装置
EP0793059B1 (en) Control and monitoring equipment for gas burners
JPS636381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