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763B1 -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 Google Patents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763B1
KR102236763B1 KR1020190020559A KR20190020559A KR102236763B1 KR 102236763 B1 KR102236763 B1 KR 102236763B1 KR 1020190020559 A KR1020190020559 A KR 1020190020559A KR 20190020559 A KR20190020559 A KR 20190020559A KR 102236763 B1 KR102236763 B1 KR 102236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temperature
housing
overheat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210A (ko
Inventor
도승현
Original Assignee
(주)미도아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도아트웍스 filed Critical (주)미도아트웍스
Priority to KR102019002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76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는, 플러그 소켓과 전원스위치와 전등 소켓 중 어느 하나가 내장된 하우징; 상기 플러그 소켓 또는 전원스위치 또는 전등 소켓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전선 및 제2 전선;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경보장치; 상기 경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전선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1 분기전선; 상기 제2 전선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2 분기전선; 상기 제1 전선 또는 제2 전선에 장착되어 상기 플러그 소켓 또는 전원스위치 또는 전등 소켓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 상기 제1 분기전선 또는 제2 분기전선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내측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Complex control electric supplier with fire sensitivity}
본 발명은 전기플러그나 전원스위치나 전등이 체결되는 전류공급기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과열 발생 시 전자적으로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고 화재 발생 시 전원을 기계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기제품을 사용할 때 플러그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건물의 벽면에 매립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통상의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접속할 수 있는 소켓이 2개 마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전기제품 예컨대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청소기, TV 등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멀티탭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멀티탭은 다수의 전기제품을 동시에 연결함은 물론 벽 매입형 콘센트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곳에서도 전기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플러그 연결선이 다양한 길이를 가지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콘센트는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플러그 소켓과, 이 플러그 소켓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할 수 있는 접지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접지스위치는 가전제품을 쓰지 않을 때 멀티탭의 플러그 소켓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사용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복수의 플러그 소켓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할 수 있도록 접지스위치가 플러그 소켓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멀티탭이 상용화되어 있다.
한편, 감전사고나 누전에 의한 화재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 건물 내에는 누전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누전 차단기는 누전 발생시 다운되면서 누전이 발생된 부분으로 인가되는 전기가 차단되도록 전기 분전반 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콘센트는 과부하 및 단락이 발생할 때에만 접지스위치가 동작하여 단순히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전원만을 차단하게 되므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원이 차단되지 않고 계속해서 공급되므로 더 큰 화재를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명기구 등과 같은 전기기기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과열이나 누전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때에는 상기 언급한 콘센트주변뿐만 아니라 전원스위치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센트나 전원스위치는 전기 사용량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과열이 되는 경우 이를 외부로 알려주는 기능이 없으므로, 과열에 의한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자동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콘센트나 전원스위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과열 시 전원이 자동으로 즉각 차단되므로, 수행 중이던 작업을 저장할 시간이 없어 작업데이터를 날리게 되는 문제나 조명장치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화재 발생 시 제어부가 회로 구성상에서 전류공급을 차단하는 전자제어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화재가 발생하여 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경우 전류공급이 차단되지 아니하여 대형 화재로 번지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KR 20-0443235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과전류에 의해 과열되었을 때 이를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고, 화재가 발생하여 각종 전자장치가 손상되더라도 전원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어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는, 플러그 소켓과 전원스위치와 전등 소켓 중 하나가 내장된 하우징; 상기 플러그 소켓 또는 전원스위치 또는 전등 소켓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전선 및 제2 전선;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경보장치; 상기 경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전선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1 분기전선; 상기 제2 전선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2 분기전선; 상기 제1 전선 또는 제2 전선에 장착되어 상기 플러그 소켓 또는 전원스위치 또는 전등 소켓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 상기 제1 분기전선 또는 제2 분기전선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내측 온도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측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과부하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는 상기 내측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과부하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과열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플러그 소켓 또는 전원스위치 또는 전등 소켓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는 상기 내측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과열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화재온도인 경우 상기 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측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측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과부하신호와 과열신호와 화재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경보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측 온도센서는 일면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측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내측공간과, 상기 내측공간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구비하며, 상기 통기공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와 상기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는 상기 내측공간에 장착된다.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와 상기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의 동작을 감지하여, 과부하신호와 과열신호와 화재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송신기는 과열 및 화재 발생에 관계없이 24시간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과열 및 화재가 발생하지 아니한 정상상태일 때에는 정상신호를 송신하고, 내측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과부하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과부하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내측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과부하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과열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과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내측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과열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화재온도인 경우에는 화재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를 이용하면, 과전류에 의해 과열되었을 때 이를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고, 화재가 발생하여 각종 전자장치가 손상되더라도 전원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어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제2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제3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제4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제5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제2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는 전기콘센트나 전원스위치나 조명장치와 같이 전류 공급을 위한 전기부품의 일종으로서, 단순히 전류 공급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과열 시 이를 외부로 알림으로써 빠른 상황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우려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가 전기콘센트인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상기 플러그 소켓(110)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전선(210) 및 제2 전선(220)과,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는 경보장치(300)와, 상기 경보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1 전선(21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어부(400)에 연결되는 제1 분기전선(211)과, 상기 제2 전선(22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어부(400)에 연결되는 제2 분기전선(221)과, 상기 제1 전선(210) 또는 제2 전선(220)에 장착되어 상기 플러그 소켓(110)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310)와,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내측 온도센서(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전기플러그가 체결되는 플러그 소켓(110)과, 상기 플러그 소켓(110)에 삽입된 전기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제1 단자홀(121) 및 제2 단자홀(122)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 소켓(110)에 삽입 장착된 전기플러그는 한 쌍의 단자가 상기 제1 단자홀(121) 및 제2 단자홀(122)에 삽입되어 제1 전선(210) 및 제2 전선(220)으로부터 전류를 전달받게 된다.
상기 내측 온도센서(510)는 제1 전선(210) 및 제2 전선(220)을 통해 과전류가 공급되거나 접촉부에 쇼트가 발생하여 하우징(100) 내부가 과열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우징(100) 내부(더 명확하게는 플러그 소켓(110) 주변이나 제1 단자홀(121) 및 제2 단자홀(122) 주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보장치(300)는 과열 및 화재 발생 시 이를 외부로 알리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경광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보장치(300)는 본원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경보장치(300)의 작동원리 및 내부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 소켓(110)이나 단자홀 등에 과부하가 걸려 하우징(100) 내부가 과열되는 경우, 상기 내측 온도센서(51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과열온도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내측 온도센서(510)로부터 과열온도신호를 전달받았을 때 경보장치(300)로 작동신호를 인가하게 되어 상기 경보장치(300)는 경보음 또는 경광(警光)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310)는 과열 시 전원을 차단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제2 전선(220) 중 상기 제2 분기전선(221)이 분기된 지점보다 상기 제2 단자홀(122)과 가까운 지점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100)이 상기 과부하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과열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었을 때(과열된 상태) 전기플러그로 더 이상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상기 제2 전선(220)을 단선시킨다.
따라서 콘센트가 과열되어 하우징(100)이 녹거나 화재의 우려가 있는 경우, 상기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310)는 전기플러그로의 전원공급을 중단시킴으로써,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310)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플러그 소켓(110)으로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제어부(400)가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제어부(400)가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면 제어부(400)와 연관된 회로기판이나 전선 등이 손상되었을 때 플러그 소켓(110)으로의 전원 차단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대형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는 전원 차단이 제어부(400)에 의해 전자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310)에 의해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바, 화재 발생 시에도 전원차단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센트의 과열에 의한 화재가 아니라 외부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310)는 전기플러그로의 전류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대형 화재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3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열에 의해 전류 및 신호 전달을 온/오프시키는 열감응형 스위치의 일종으로서, 이와 같은 바이메탈스위치는 본원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하게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310)의 내부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콘센트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하우징(100)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가열되어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310)가 작동하는 경우 제1 단자홀(121) 및 제2 단자홀(122)로 인가되는 전원은 차단되지만 제어부(400)로 인가되는 전원은 차단되지 아니하게 되는바, 상기 제어부(400)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화재가 더욱 커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상기 하우징(100)이 상기 과열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화재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었을 때에는 제어부(400)로 인가되던 전원마저 끊어지도록, 상기 제1 분기전선(211)을 단선시키는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320)는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310)와 마찬가지로 외부 온도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기전선(211)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100)이 사전에 설정된 화재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었을 때 상기 제1 분기전선(211)을 단선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분기전선(211)이 단선되면, 제어부(400)로 전달되던 전류가 차단되므로 화재가 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제어부(400)로 전달되던 전류가 차단되면 경보장치(300)의 동작은 오프된다.
한편, 도 1에서는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320)가 제1 분기전선(211)에 장착되는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2 분기전선(221)이 단선되는 경우에도 제어부(400)로의 전류 인가가 차단되므로, 상기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320)는 제2 분기전선(221)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는, 하우징(100)의 과열에 의한 화재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발생된 화재까지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측 온도센서(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외측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과부하신호와 과열신호와 화재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경보장치(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보장치(300)는, 외측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과부하온도 이상인 경우 과부하 알람을 출력하고, 외측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과열온도 이상인 경우 과열 알람을 출력하며, 외측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화재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화재 알람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전기 과부하에 의한 화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하우징(100)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도 화재 발생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화재진압이나 대피를 보다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는 과부하 및 과열되었을 때 이를 외부로 알리면서 전류를 차단시킨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는데,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과부하 및 과열을 빠르게 인지할 수 없어 즉각적인 대처가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른 방에서 이어폰을 끼고 음악을 듣거나, 외출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경보장치(300)가 큰 경고음을 출력하더라도 사용자는 이를 인지할 수 없으므로, 갑작스런 전원차단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이나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는 과부하 및 과열 시 이를 사용자에게 보다 확실하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400)와 상기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310)와 상기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320)의 동작을 감지하여, 과부하신호와 과열신호와 화재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기(6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기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될 수도 있고 통합 모니터링장치 등과 같은 별도의 수신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로 과열신호와 화재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600)가 추가로 구비되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과부하 및 과열을 빠르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송신기(6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매립되면, 상기 송신기(600)에서 출력된 신호가 정상적으로 송신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가 벽면에 매립되는 수직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송신기(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10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송신기(600)가 벽면에 매립되더라도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면 상기 송신기(600)는 제어부(400)와 일체로 제작되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신기(600)는 과열 및 화재 발생에 관계없이 24시간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과부하 및 과열, 화재가 발생하여 경보장치(300)가 작동할 때에만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송신기(600)가 24시간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면, 과열 및 화재가 발생하지 아니한 정상상태일 때에는 정상신호를 송신하고 과열 및 화재가 발생한 때에는 이상신호를 송신하는바,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주변을 24시간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상기 송신기(600)가 과열 및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만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면, 송신기(600) 작동에 소요되는 전원을 줄일 수 있어 유지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제3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제4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는 외부 화재를 보다 빠르게 감지할 수 있도록 외측 온도센서(520)가 하우징(10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외측 온도센서(520)가 직접 외부로 노출되면 외부 충격이 인가되거나 빗물 등이 유입되었을 때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 온도센서(520)는 직접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면서도 외기와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온도센서(520)가 장착되는 내측공간(130)과, 상기 내측공간(130)을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132)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측 온도센서(520)가 하우징(100) 내부의 내측공간(130)에 설치되면, 외부 충격이나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으면서, 외기와 직접 연통되므로 외부 화재를 보다 빠르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외부 빗물이나 이물질이 통기공(132)을 통해 내측공간(130)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대한 막을 수 있도록, 상기 통기공(132)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플러그 소켓(110)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플러그 소켓(110) 대신 전원스위치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 내에 전원스위치가 장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 전선 및 경보장치(300), 스위치, 제어부(400)의 배치구조 및 기능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는 외부 화재 발생 시 각 바이메탈스위치(310, 320)들이 보다 빠르게 감지할 수 있도록 외기와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310)와 상기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320)가 상기 내측공간(13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바이메탈스위치(310, 320)들이 설치된 내측공간(130)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면, 외부 화재 발생 시 화재열이 통기공(132)을 통해 내측공간(130)으로 유입되어 각 바이메탈스위치(310, 320)들이 보다 빠르게 가열되므로, 상기 경보장치(300)는 외부 화재 발생 즉시 경보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제5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는, 전등(10)이 장착되는 전류공급기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등(1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에 전등 소켓(1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0)에 백열구 전등(10)이 결합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하우징(100)에는 삼파장 전등이나 형광등, LED등이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에 전등 소켓(140)이 구비되면, 전등(1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하우징(100) 중 전등 소켓(140)이 형성되는 구조 이외에 나머지 부위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플러그 소켓
121 : 제1 단자홀 122 : 제2 단자홀
130 : 내측공간 132 : 통기공
210 : 제1 전선 211 : 제1 분기전선
220 : 제2 전선 221 : 제2 분기전선
300 : 경보장치 310 :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
320 :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 400 : 제어부
510 : 내측 온도센서 520 : 외측 온도센서
600 : 송신기

Claims (7)

  1. 플러그 소켓과 전원스위치와 전등 소켓 중 어느 하나가 내장된 하우징;
    상기 플러그 소켓 또는 전원스위치 또는 전등 소켓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전선 및 제2 전선;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경보장치;
    상기 경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전선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1 분기전선;
    상기 제2 전선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2 분기전선;
    상기 제1 전선 또는 제2 전선에 장착되어 상기 플러그 소켓 또는 전원스위치 또는 전등 소켓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
    상기 제1 분기전선 또는 제2 분기전선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
    상기 하우징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측 온도센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내측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측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과부하신호와 과열신호와 화재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경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내측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과부하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내측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과부하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과열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가 상기 플러그 소켓 또는 전원스위치 또는 전등 소켓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내측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과열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화재온도인 경우, 상기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가 상기 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와 상기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의 동작을 감지하여, 과부하신호와 과열신호와 화재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송신기는 과열 및 화재 발생에 관계없이 24시간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과열 및 화재가 발생하지 아니한 정상상태일 때에는 정상신호를 송신하고, 내측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과부하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과부하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내측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과부하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과열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과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내측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과열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화재온도인 경우에는 화재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온도센서는 일면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측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내측공간과, 상기 내측공간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구비하며,
    상기 통기공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원라인 바이메탈스위치와 상기 경보차단 바이메탈스위치는 상기 내측공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7. 삭제
KR1020190020559A 2019-02-21 2019-02-21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KR102236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559A KR102236763B1 (ko) 2019-02-21 2019-02-21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559A KR102236763B1 (ko) 2019-02-21 2019-02-21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210A KR20200102210A (ko) 2020-08-31
KR102236763B1 true KR102236763B1 (ko) 2021-04-06

Family

ID=7223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559A KR102236763B1 (ko) 2019-02-21 2019-02-21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785B1 (ko) 2021-06-23 2021-12-17 (주)미도아트웍스 콘센트 적용이 가능한 화재 감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541B1 (ko) * 1994-10-17 1999-12-15 미노루 이치카와 콘센트 및 연장코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210B1 (ko) * 2002-05-30 2004-07-14 주식회사 디에이텍 온도 감지 및 감응형 전원접속구 및 스위치
KR100538531B1 (ko) * 2003-04-03 2005-12-22 류재준 부하전력을 측정할 수 있는 콘센트
KR200443235Y1 (ko) 2008-07-11 2009-02-02 곽창용 누전 차단기를 구비하는 멀티탭
KR101099505B1 (ko) * 2010-03-26 2011-12-27 제천시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541B1 (ko) * 1994-10-17 1999-12-15 미노루 이치카와 콘센트 및 연장코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785B1 (ko) 2021-06-23 2021-12-17 (주)미도아트웍스 콘센트 적용이 가능한 화재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210A (ko)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0306A (en) Receptacle unit and extension cord
US3872355A (en) Fire detection and projection circuit and device
KR100950285B1 (ko) 부하 자동 감지 기능이 있는 대기 전력 차단 장치, 이를 갖는 전원 콘센트 및 전원 코드 플러그
KR101951364B1 (ko) 화재감지 가능한 온도감응형 전류공급기
KR101799954B1 (ko) 과열로 인한 사고 확산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2236763B1 (ko)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KR101452434B1 (ko) 안전 케이블 릴
JP2002532769A (ja) 危険な状況にある電源を切るための方法および対応する安全装置
US20240168103A1 (en) Motor leakage current detector, devices using same and related methods
GB2504967A (en) Electrical supply unit with overheating protection measuring rate of change of temperature
WO2015189572A1 (en) Smart cut-out fuse carrier
KR20200057609A (ko) 화재감지 가능한 전자제어 전류공급기
WO2018002577A1 (en) Heat alarm integrated into a mains power plug
KR200463893Y1 (ko) 전원 및 통신선로의 복합 개폐장치
CN213717185U (zh) 一种用电保护装置
KR200445114Y1 (ko) 다수 센서와 연동되는 트립 연동단자를 내장한 누전 차단기
KR20160019657A (ko) 서지 보호기 일체형 누전 차단기
KR100341061B1 (ko) 가정 및 사무실 전기관리 시스템
KR20030096543A (ko) 전원 플러그
KR20110112754A (ko) 누설전류 차단용 멀티 콘센트 및 멀티 콘센트를 이용한 누설전류 차단 방법
KR20080105496A (ko) 콘센트
KR200391445Y1 (ko) 접지확인 기능이 있는 누전차단기
KR200283380Y1 (ko)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KR200208928Y1 (ko) 전기 누전 경보장치
KR200237086Y1 (ko) 전력차단용 이동콘센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