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928Y1 - 전기 누전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누전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928Y1
KR200208928Y1 KR2020000018550U KR20000018550U KR200208928Y1 KR 200208928 Y1 KR200208928 Y1 KR 200208928Y1 KR 2020000018550 U KR2020000018550 U KR 2020000018550U KR 20000018550 U KR20000018550 U KR 20000018550U KR 200208928 Y1 KR200208928 Y1 KR 200208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building
short circuit
power fail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기
이철근
Original Assignee
최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기 filed Critical 최용기
Priority to KR2020000018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9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928Y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에 의한 누전시 사용자에게 바로 통보해줄 수 있어 전기에 의한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기 누전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전반(2)과, 상기 분전반(2)을 통해 건물 내부로 흘러 건물 내부에서 사용토록 형성된 콘센트부(11)와, 상기 콘센부(11)의 과전압시 분전반(2)이 자동적으로 차단됨과 동시에 작동되는 콘센트 릴레이부(21)와,상기 콘센트 릴레이부(21)의 작동시 정전됨을 감지하는 정전감지부(26)와, 상기 정전감지부(26)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기 누전 경보장치{ELECTRIC LEAKAGE ALARM APPARATUS}
본 고안은 전기 누전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에 의한 누전시 사용자에게 바로 통보해줄 수 있어 전기에 의한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기 누전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는 전기의 누전이나, 전기난로, 전자렌지의 과열 등에 의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그 중에서도 전기의 누전이나 합선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화재의 발생시에 이를 대처하기 위해 가정집, 빌딩 등의 건물 천정에는 화재를 알려주는 감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화재에 사용되는 센서는 화재시의 열을 감지하거나, 화재시 뿜어져 나오는 연기 등을 감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건물에 설치된 화재 경보 센서 등은 화재가 발생된 후에 바로 울리지 않고 어느정도의 열 또는 연기가 발생되었을 경우에 작동되기 때문에 대형화재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석유난로, 커피포트, 전기난로, 전자렌지 등의 열기기 등이 과열되면 바로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재 경보 센서 등은 고가의 장비로 많은 비용이 들뿐만 아니라, 설치시에도 어려운 점과 많은 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소방규제 시설이 아닌 일반 주택 및 일반 건물에는 안전시설(경보)이 미비하여 사고유발이 불가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등이나, 가열기 등의 합선이나, 누전의 발생시 사용자에게 바로 위험을 알릴 수 있는 전기 누전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기 누전 경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전기 누전 경보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분전반 7: 신호발생부(경광등 사이렌 발생부)
11: 콘센트부 21: 콘센트 릴레이부
26: 정전감지부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기 누전 경보기장치를, 분전반과, 상기 분전반을 통해 건물 내부로 흘러 건물 내부에서 사용토록 형성된 콘센트부와, 상기 콘센트부의 과전압시 분전반이 자동적으로 차단됨과 동시에 작동되는 콘센트 릴레이부와, 상기 콘센트 릴레이부의 작동시 정전됨을 감지하는 정전감지부와, 상기 정전감지부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구성된 본 고안의 전기 누전 경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기 누전 경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전기 누전 경보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고안의 전기 누전 경보장치는 외부측의 전압이 인입되는 선부분에 간단하게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는 분전반(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건물의 외부측에서 건물의 내부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건물의 여러 장소에서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분전반(2)을 통해 여러개의 콘센트부(11)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콘센트부(11)에 사용자가 필요한 가전제품 등을 꽂아서 사용하면 된다.
상기 콘센트부(11)에 꽂아 사용하던 가전제품 등에 과부하나 누전이 발생될 경우에 작동되는 콘센트 릴레이부(21)가 분전반(2)에 형성된다.
상기 콘센트부(11)에 연결된 콘센트 릴레이부(21)는, 가전제품 등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있을때 바로 분전반(2)의 전력을 차단하고, 상기 분전반(2)의 전력이 차단됨과 동시에 콘센트 릴레이부(21)가 작동된다.
상기 콘센트 릴레이부(21)가 작동되면, 상기 콘센트 릴레이부(21)에 연결되어 있는 정전감지부(26)을 작동시킨다.
상기 정전감지부(26)는, 콘센트 릴레이부(21)에 의해 작동됨과 동시에 정전감지부(26)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발생부(7)를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현재의 상황을 통보해 준다.
상기 신호발생부(7)는, 설치되는 건물 등의 상황에 맞도록 소리를 발생시키는 사이렌부(36)를 형성하거나, 빛을 발산하는 원거리 경광등(32)이 설치된다.
상기 사이렌부(36) 및 원거리 경광등(32)은 콘센트부(11)의 L1, L2, C1, C2에 사용중인 제품 등에 과전압이나, 누전시에 바로 작동되어 소리 또는 빛을 발산시키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바로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신호발생부(7)의 사이렌부(36) 또는 원거리 경광등(32) 중 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환 스위치(2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음과 잡음이 많은 장소에서는 시각적으로 통보할 수 있는 원거리 경광등(32)을 사용할 수 있고, 소리로 통보해 줄 수 있는 사이렌부(36)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사용자가 외출시에 전기 제품 등에서 누전이나 과전압 등이 발생되면 분전반(2)에서 전력이 자동적으로 차단됨과 동시에 분전반(2)에 연결된 콘센트릴레이부(21)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정전감지부(26)를 동시에 작동시킨다. 이때 정전감지부(26)는 감지됨과 동시에 송수신단부(24)로 신호를 전송해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의 단말기 등으로 신호를 바로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전감지부(26)는 외부측으로 인입되는 전력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전감지부(26)의 자체에서 신호를 직접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정전시에는 자체에 끼워져 있는 건전지 등을 이용해 신호발생부(7)의 사이렌부(36) 및 원거리 경광등(32)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분전반(2)에는 외부의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차단기 (3a),(3b), (3c),(3d) 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나 하나의 차단기 (3a),(3b),(3c),(3d)에 의해 작동되도록 콘센트 릴레이부(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단기(3a),(3b),(3c),(3d)를 통과하는 전력을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등부(10), 제 2 전등부(12), 제 1 전열부(4) 및 제 2 전열부(6)에 각각의 하나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등부 또는 전열부측 중 어느 한부분에 발생되더라도 콘센트 릴레이부(21)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릴레이(8a),(8b),(8c),(8d)가 작동되어 사용자에게 즉시 통보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전기를 이용한 석유난로, 커피포트, 전기난로, 전자렌지 및 전등 등이 연결된 콘센트부(11)의 어느 한부분에서만 누전 또는 과전압이 발생되면 콘센트 릴레이부(21)가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해 주기 때문에 매우 빠른 시간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전기 누전 경보장치에 의해 전등이나, 가열기 등의 합선이나, 누전의 발생시 사용자에게 바로 위험을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전기로 인한 화재 발생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 대형화재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분전반(2)과,
    상기 분전반(2)을 통해 건물 내부로 흘러 건물 내부에서 사용토록 형성된 콘센트부(11)와,
    상기 콘센부(11)의 과전압시 분전반(2)이 자동적으로 차단됨과 동시에 작동되는 콘센트 릴레이부(21)와,
    상기 콘센트 릴레이부(21)의 작동시 정전됨을 감지하는 정전감지부(26)와,
    상기 정전감지부(26)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신호발생부(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 누전 경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7)는 사이렌부(36) 및 원거리 경광등(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누전 경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감지부(26)에 의해 개인용 단말기로 송신이 가능한 송수신 단자부(24)을 갖도록 형성된 전기 누전 경보장치.
KR2020000018550U 2000-06-29 2000-06-29 전기 누전 경보장치 KR200208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50U KR200208928Y1 (ko) 2000-06-29 2000-06-29 전기 누전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50U KR200208928Y1 (ko) 2000-06-29 2000-06-29 전기 누전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928Y1 true KR200208928Y1 (ko) 2001-01-15

Family

ID=7305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550U KR200208928Y1 (ko) 2000-06-29 2000-06-29 전기 누전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9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810B1 (ko) 2011-11-04 2012-04-20 배재환 비상조명을 갖는 가정용 분전반의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810B1 (ko) 2011-11-04 2012-04-20 배재환 비상조명을 갖는 가정용 분전반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01206A1 (en) Power Control Apparatus
US20070090940A1 (en) Emergency power shutdown management system
CN202601991U (zh) 一种无线控制的多功能电源插线板
KR101280446B1 (ko) 과열보호 음성경보장치가 내장된 분전반/저압배전반
US20090312883A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power, water or gas supply
WO2010083839A1 (en) Fire alarm
FI105861B (fi) Menetelmä verkon sähkönsyötön katkaisemiseksi vaaratilanteessa ja vastaava turvajärjestely
JP2013149059A (ja) 電源コンセント監視システム
JP4295563B2 (ja) 電流表示装置
GB2504967A (en) Electrical supply unit with overheating protection measuring rate of change of temperature
KR200208928Y1 (ko) 전기 누전 경보장치
WO2018002577A1 (en) Heat alarm integrated into a mains power plug
JP4191983B2 (ja) 電流表示装置
WO20190177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RE DETECTION AND PREVENTION
AU2007336681B2 (en) Electric install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of an electric installation arrangement
KR102236763B1 (ko)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WO2017212231A1 (en) Fuse box temperature monitor
AU2018101001A4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larm triggered electrical supply disconnection
KR100341061B1 (ko) 가정 및 사무실 전기관리 시스템
WO2005124711A2 (en) Safety system
GB2574115A (en) A warning system for an electrical wiring enclosure
KR20080105496A (ko) 콘센트
KR200462724Y1 (ko) 전원공급 단자용 과전류 경보 장치
AU2008203195A1 (en) A power shutdown system
KR102069733B1 (ko) Led 조명기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