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431B1 -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431B1
KR100235431B1 KR1019920012875A KR920012875A KR100235431B1 KR 100235431 B1 KR100235431 B1 KR 100235431B1 KR 1019920012875 A KR1019920012875 A KR 1019920012875A KR 920012875 A KR920012875 A KR 920012875A KR 100235431 B1 KR100235431 B1 KR 100235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water supply
washing
set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405A (ko
Inventor
정인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2001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5431B1/ko
Publication of KR940002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적 세탁시간을 설정해주는 전자동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수소요시간에 따른 최적 세탁시간을 설정하고 표시하여 주는 최적 세탁시간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타이머에서 현재의 시간(ti)을 읽고 세탁조에 급수를 하는 급수과정과(101단계∼105단계), 급수과정에서 급수완료후 타이머에서 급수완료시간(tf)을 읽고 급수시작시간(ti)과의 차(t)를 검출하는 급수소요 시간 산출과정과(106단계∼109단계), 급수소요시간 산출과정에서 산출된 급수소요시간(t)을 평균급수수압에서의 급수소요시간(T)과 비교하고 급수소요시간이 평균급수소요시간(T)보다 작거나 같은 급수시작시간대간의 시간간격(tm)을 기준시간(30)과 비교하는 비교과정과(110단계∼114단계), 비교과정에서 비교된 급수소요시간이 평균급수소요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급수시작시간대간의 시간간격(tm)중 최적의 세탁시간대를 설정하는 설정과정(115단계∼119단계)으로 이루어져서 급수로 인한 세탁시간증대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방법
본 발명은 최적 세탁시간대를 설정해주는 전자동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루 24시간 중에서 최소의 급수소요시간에 따른 최적 세탁시간대를 설정하여 세탁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루 중에서 여러가구에서 동시에 물을 사용하는 시간에는 급수 수압이 큰 폭으로 떨어진다. 상기 급수 수압은 급수소요시간과의 관계에서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급수수압이 떨어졌을때 급수소요시간은 길어지게 되고, 따라서 전체 세탁시간이 길어지면서 소요되는 전력량이 많아지게 된다.
그래서 하루 24시간 중에서 급수에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해서 최적세탁시간대를 검출하여, 그 시간대에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탁시간을 설정해 놓으면, 사용자가 부재중인 경우에도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서, 사용되는 전력량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방법을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자동 세탁기는 급수 수압을 감지하여 수위를 센싱하는 압력센서(1)와, 모터(3)의 온/오프 시 발생하는 역기전력으로부터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센서(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세탁기는 급수 수압에 관계없이 세탁조(6)에 세탁물(7)을 투입하면, 포량 센싱수위까지 압력센서(1)가 감지하며, 급수 후 포량센서(2)에서 포량을 감지하고 감지 포량에 따라 재급수가 필요하면 압력센서(1)의 체크에 의해 추가 급수를 한 후, 세탁이 진행되었다.
즉, 종래의 세탁기는 급수수압에 관계없이 세탁을 진행함에 따라서 물 사용량이 많은 시간대에 세탁이 이루어지는 경우 급수소요시간이 길어져서 전체 세탁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세탁시간과 비례하여 소요되는 전력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루 24시간 중에서 최소의 급수소요시간에 따른 최적 세탁시간대를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최적의 세탁시간대를 알려줌과 동시에 세탁시간의 증대로 인한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세탁기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최적 세탁기간대 설정을 위한 동작 흐름도.
제3도는 24시간 동안의 세탁시간대와 급수소요시간 관계도.
제4도는 급수수압과 급수소요시간 관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력센서 2 : 포량센서
3 : 모터 4 : 클럭치
5 : 취부구 6 : 세탁조
7 : 세탁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방법은, 세탁조에 급수를 시작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 의한 급수가 완료되는데 소요되는 급수완료소요시간을 산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산출된 급수완료소요시간을 기설정된 평균급수소요시간과 비교하여, 급수완료소요시간이 평균급수소요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시간대를 검출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조건이 적어도 2번 연속해서 만족하기까지 제1단계 내지 제3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제1급수시작시간과 제2급수시작시간의 시간차가 소정시간 이내에 포함될 때, 상기 제1급수시작시간과 제2급수시작시간 사이의 시간대를 최적의 세탁시간대로 설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을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일반적으로 물의 사용량이 가장 많은 시간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전 10시에서 오후 2시 사이이다.
그래서 이 시간대가 급수로 인한 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며, 따라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소요시간과 반비례관계를 갖는 급수수압도 상기 시간대에서 가장 떨어진다.
이와 상대적으로 새벽 시간대와 저녁 시간대는 급수로 인한 시간이 가장 작게 소요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고지대 등과 같이 급수수압이 낮거나 또는 급수수압이 변동이 심할 경우에는 상기 특성도와 같이 이루어지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 변화가 발생된다.
즉, 본 발명은 이러한 변화에 관계없이 급수수압이 높은 시간대를 찾고, 이 시간대를 최적 세탁시간대로 설정하고자 한다.
우선, 급수소요시간이 평균급수수압에서 급수소요시간(T)보다 작거나 같은 횟수(K) 및 급수소요시간이 평균급수소요시간(T) 보다 작거나 같은 급수시작 시간대간의 시간간격(tm)이 30분 이하인 횟수(N)를 "0"으로 초기화한다(제101단계).
상기 제101단계 후, 타이머에서 현재시간(ti)를 읽어서 메모리장치에 현재 시간(ti)을 저장한다(제102,103단계).
상기 제103단계 후, 세탁조에 급수를 시작하고, 센서에서 급수완료감지가 될 때까지 급수를 계속한다(제104,105단계).
상기 제105단계에서 세탁조 특정부위까지 급수가 완료되어 센서에서 급수 완료감지가 검출되었을 때, 타이머에서 현재시간(tf)을 읽어서 메모리장치에 저장한다(제106,107단계).
상기 제107단계에서 급수완료시간(tf)을 저장 후, 메모리장치에 저장된 급수시작시간(ti)과 급수왈료시간(tf)을 읽어내어 급수소요시간(t)을 산출해 낸다(제108,109단계).
상기 제109단계에서 산출한 급수소요시간(t)을 평균급수수압에서 급수소요시간(T)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비교하고, 평균급수수압에서 급수소요시간(T)보다 현재 검출된 급수소요시간(t)이 많이 소요되었을 때 제102단계로 귀환하여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제110단계).
상기 제110단계에서 급수소요시간(t)이 평균급수수압에서 급수소요시간(T)보다 작거나 같을 때, 이러한 횟수(K)가 2회 이상 될 때까지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제112단계).
그리고 2회 이상 되었을 때,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된 급수 시작 시간대는 적어도 2개(ti,ti')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두 개의 급수시작시간대(ti,ti')의 시간간격(tm)을 산출하고(제113단계), 상기 제113단계에서 산출된 시간간격(tm)이 기준시간(30분) 이하인지를 비교하여, 기준시간(30분)보다 많이 소요되었을 때 제102단계로 귀환하여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을 위한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제114단계).
다음, 상기 제114단계에서 급수시작 시간대간의 시간간격(tm)이 기준치(30분) 이하일 때, 상기 급수시작시간(ti,ti')과 급수시작 시간대 간의 시간간격(tm)을 저장한다(제115단계).
상기 제115단계 후, 급수소요시간이 평균급수소요시간(T) 보다 작거나 같은 급수시작 시간대 간의 시간간격(tm)이 30분 이하인 횟수(N)를 "1" 증가시키고 증가된 횟수(N)가 "2"이상 인지를 비교한다(제116,117단계).
상기 제117단계 후, 증가된 횟수(N)가 "2"미만일 때 제102단계로 귀환하여 상기 동작을 반복해서 횟수(N)가 "2" 이상이 되도록 한다.
상기 제116단계까지 수 회 반복 후, 제117단계에서 급수소요시간이 평균 급수수압보다 작거나 같은 급수시작 시간대 간의 간격(tm)이 30분 이하인 횟수(N)가 "2" 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횟수(N)가 "2" 이상이 되기까지 메모리장치에 저장된 급수시작 시간대간의 시간가격(tm) 중 최소값을 선택한다(제118단계).
상기 제118단계에서 최소값으로 선택된 급수시작 시간대 간의 시간간격(tm)을 산출한 시간대, 즉 급수시작시간(ti)의 ±30분을 최적 세탁시간대로 설정하고 표시장치 상에 최적 세탁시간대를 표시한다(제119단계).
그리고 산출된 최적 세탁시간대에서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은 모터 및 구동장치를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탁기에서 예약세탁을 위한 키입력을 해놓았을 때,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서 자동으로 최적 세탁시간대가 검출되고, 상기 검출된 최적 세탁시간대에서 세탁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급수환경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므로써, 급수수압이 낮은 시간대를 피해서 효율적으로 세탁을 할 수 있으며, 급수수압변동과 제 급수수압지대에서의 장시간 급수로 인한 세탁 에러 및 급수시간 지연으로 인한 세탁시간 증대를 해결할 수 있으며, 더불어 세탁기 구동에 따른 전력소비를 줄 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세탁조에 급수를 시작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 의한 급수가 완료되는데 소요되는 급수완료소요시간을 산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산출된 급수완료소요시간을 기설정된 평균급수소요시간과 비교하여, 급수완료소요시간이 평균급수소요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시간대를 검출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조건이 적어도 2번 연속해서 만족하기까지 제1단계 내지 제3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제1급수시작시간과 제2급수시작시간의 시간차가 소정시간 이내에 포함될 때, 상기 제1급수시작시간과 제2급수시작시간 사이의 시간대를 최적의 세탁시간대로 설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 의한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은, 제1급수시작시간과 제2급수시작시간의 시간차가 소정시간 이내에 포함되는 조건을 적어도 두번 이상 만족할 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 의한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은, 상기 결정된 시간대에서 ±30분을 최적 세탁시간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방법.
KR1019920012875A 1992-07-20 1992-07-20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방법 KR100235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875A KR100235431B1 (ko) 1992-07-20 1992-07-20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875A KR100235431B1 (ko) 1992-07-20 1992-07-20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405A KR940002405A (ko) 1994-02-17
KR100235431B1 true KR100235431B1 (ko) 1999-12-15

Family

ID=1933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875A KR100235431B1 (ko) 1992-07-20 1992-07-20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5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005B1 (ko) 2019-07-16 2020-05-29 최용석 이동식 수상 낚시좌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005B1 (ko) 2019-07-16 2020-05-29 최용석 이동식 수상 낚시좌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405A (ko) 199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3802A (en) Energy usage controller for an appliance
JPH08257285A (ja) 洗濯機における洗濯時間の補償方法
US5723847A (en) Method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the remaining time in a treatment program in a household appliance and electronic control unit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0235431B1 (ko) 최적 세탁시간대 설정방법
JP4148419B2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EP1127297B1 (en) Method for estimating the duration of the interruptions in the supply from the electric mains in an electric apparatus having an electronic control, in particular a household appliance, and apparatus implementing such a method
JP4186389B2 (ja) 電気温水器
KR950007057B1 (ko) 세탁기의 세탁시간 및 수위 설정 방법
JP2002022280A (ja) 貯湯式給湯システム
KR950005176Y1 (ko) 세탁기의 동기모터 구동제어회로
JP2745735B2 (ja) 洗濯機の制御装置
KR970005465B1 (ko) 식기 세척기의 급수 수온 제어방법
KR950011601B1 (ko) 세탁기의 자동 세탁 제어방법
KR950026215A (ko) 세탁기의 전원 자동 차단 제어 회로 및 그 방법
JP3257183B2 (ja) 食器洗い機
KR950014436A (ko) 절전형 가열세탁기 및 세탁방법
KR20000043409A (ko)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KR19990038088A (ko) 식기세척기의 급수제어방법
JP2003090620A (ja) 貯湯式温水器
KR100221245B1 (ko) 세탁기의 온수 절약방법
KR0176813B1 (ko) 세탁기의 물높이 선택제어 방법
CN117329712A (zh) 热水器的控制方法、控制器、热水器和存储介质
KR0130377B1 (ko) 세탁기의 구동제어방법
KR0162359B1 (ko) 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JP3094499B2 (ja) 食器洗い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