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277B1 -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277B1
KR100234277B1 KR1019970040348A KR19970040348A KR100234277B1 KR 100234277 B1 KR100234277 B1 KR 100234277B1 KR 1019970040348 A KR1019970040348 A KR 1019970040348A KR 19970040348 A KR19970040348 A KR 19970040348A KR 100234277 B1 KR100234277 B1 KR 100234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roller
photosensitive belt
rotat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424A (ko
Inventor
김호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0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277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감광벨트의 심(seam)부 위치를 감지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심부 위치 감지장치는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롤러, 전사백업롤러 및 스티어링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폐곡선을 이루도록 그 양단부가 겹쳐 결합됨으로써 형성된 심부를 가지는 감광벨트와, 심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심부 위치 감지수단을 포함하며, 이 심부 위치 감지수단은 심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감광벨트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된 랙기어부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감광벨트의 회전에 따라 랙기어부를 만날때마다 단속적으로 회전되는 피동기어와, 피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심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본 발명은 감광벨트를 채용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감광벨트의 심(seam)부 위치를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매체로 감광벨트(20)가 채용되는 경우, 이 감광벨트(20)는 그 제조 공정상 띠형 감광벨트(20)의 양단부(20a)(20b) 일부를 서로 겹쳐서 결합시킴으로써 폐곡선을 이루도록 한다. 그러므로 감광벨트(20)에는 그 양단부(20a)(20b) 일부가 겹쳐져 이루어진 심부(21)가 생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광벨트(20)는 구동롤러(1)에 의해 회전되며, 전사백업롤러(3) 및 스티어링롤러(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1), 전사백업롤러(3) 및 스티어링롤러(5)는 시계방향으로 대략 삼각형을 이루도록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된다.
한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감광벨트(20)에 건조롤러(2) 및 전사롤러(7) 등이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롤러(2) 및 전사롤러(7) 등이 심부(21)를 만나게 될 때 상기 건조롤러(2) 및 전사롤러(7) 등을 감광벨트(2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심부(21) 위치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는 감지센서(5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롤러(2)는 구동롤러(1)에 대향되며, 상기 전사롤러(7)는 전사백업롤러(3)에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서 이 인쇄기가 구동되면 먼저 감광벨트(20)를 회전시키면서 심부 감지센서(50)로 심부(21)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 심부(21)가 일정한 위치에 오도록 하여 심부(21)의 초기 위치를 설정한다. 그런 다음 감광벨트(20)가 회전되는 시간을 거리로 환산하여 감광벨트(20)의 회전에 따른 심부(21)의 위치를 계산한다.
그러므로 심부(21)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심부(21)가 건조롤러(2) 또는 전사롤러(7)에 가까워지면, 이 건조롤러(2) 또는 전사롤러(7)를 감광벨트(20)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감광벨트(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심부(21) 위치에서 전사롤러(7)를 감광벨트(20)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심부(21)의 계단부(22)에 부착된 토너가 전사롤러(7)에 전사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인쇄의 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심부(21) 위치를 한바퀴 단위로 감지하므로, 이 감광벨트(20)가 한바뀌 회전되는 동안에 생길 수 있는 감광벨트(20)의 미끄러짐이나 회전 속도의 불안정으로 인해 심부(21)의 위치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심부(21) 위치에 영상이 기록될 수 있으며, 심부(21)가 도달되는 적절한 시간에 전사롤러(7)를 감광벨트(20)로부터 이격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이 심부(21) 위치에 기록된 영상과 심부(21)의 계단부(22)에 통상적으로 부착되는 토너가 함께 용지(8)에 인쇄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심부(21)가 도달되는 적절한 시간에 건조롤러(2) 및 전사롤러(7)를 감광벨트(20)로부터 이격시키지 못하게 되어 감광벨트(20)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접촉식으로 심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적절한 시간에 전사롤러 및 건조롤러를 감광벨트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도록 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심부 위치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심부 위치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심부 위치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감지센서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 위치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구동롤러 3...전사백업롤러
5...스티어링롤러 20...감광벨트
21...심부 100...랙기어부
100a...기어니 110,210,310...피동기어
120,220...감지센서 130,230,330,430...가변저항기
140,240,340,440,540...회로부 410...중계기어
530,630,730...영구자석 550,650,750...코일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롤러, 전사백업롤러 및 스티어링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폐곡선을 이루도록 그 양단부가 겹쳐 결합됨으로써 형성된 심부를 가지는 감광벨트와; 상기 심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심부 위치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부 위치 감지수단은, 상기 심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감광벨트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된 랙기어부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랙기어부를 만날때마다 단속적으로 회전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심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롤러, 전사백업롤러 및 스티어링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폐곡선을 이루도록 그 양단부가 겹쳐 결합됨으로써 형성된 심부를 가지는 감광벨트와; 상기 심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심부 위치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부 위치 감지수단은, 상기 심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감광벨트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된 랙기어부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랙기어부를 만날때마다 단속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구동롤러 및 백업 전사롤러에 도달되기 전의 위치에서 각각 심부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상기 스티어링롤러와 구동롤러 사이 및 상기 구동롤러와 전사백업롤러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피동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피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심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채용되어 심부 위치를 감지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심부 위치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과 동일 참조부호는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심부 위치 감지장치는 심부(21)를 가지는 감광벨트(20)와, 상기 심부(21)의 위치를 감지하는 심부 위치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심부 위치 감지수단은 상기 감광벨트(20) 상에 마련된 랙기어부(100)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부(100)에 의해 회전되는 피동기어(110)와, 심부(21)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랙기어부(100)는 상기 감광벨트(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심부(2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이 랙기어부(100)는 상기 감광벨트(20)의 폭방향 가장 자리(20c)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랙기어부(100)의 기어니(100a)는 상기 피동기어(11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감광벨트(20)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2는 상기 랙기어부(100)가 3개의 기어니(100a)로 이루어진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피동기어(110)는 상기 감광벨트(20) 일측에 이 감광벨트(2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감광벨트(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랙기어부(100)를 만날때마다 이 랙기어부(100)의 기어니(100a)에 맞물림으로써 단속적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랙기어부(100)의 기어니(100a)가 감광벨트(20)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경우, 랙기어부(100)가 없는 영역에서 상기 피동기어(110)는 상기 감광벨트(20)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랙기어부(100)와 피동기어(110)와의 맞물림에 의해 심부(21)의 초기 위치가 결정되고, 이 심부(21) 초기 위치로부터 감광벨트(20)가 회전되는 시간을 거리로 환산하여 감광벨트(20)의 회전에 따른 심부(21)의 위치를 계산함으로써 스티어링롤러(5)와 구동롤러(1) 사이에 설치되는 현상기(60)로부터 심부(21)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영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피동기어(110)는 상기 심부(21)의 초기 위치로부터 현상기(60) 까지의 거리가 가능하면 짧도록 전사백업롤러(3)와 스티어링롤러(5) 사이의 감광벨트(20)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동기어(110)가 이와 같이 설치되는 경우, 심부(21) 초기 위치와 현상기(60) 까지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감광벨트(20)의 미끄러짐이나 회전 속도의 불안정으로 인해 심부(21) 위치에 영상이 형성되는 오동작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동기어(110)는 스티어링롤러(5)와 구동롤러(1) 사이 및/또는 구동롤러(1)와 전사백업롤러(3) 사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피동기어(110)는 심부(21)가 구동롤러(1) 또는 전사백업롤러(3)에 도달되기 전단계에서 이 심부(21)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감광벨트(20)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구동롤러(1) 및/또는 전사백업롤러(3)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심부(21)가 도달되는 적절한 시간에 건조롤러(2) 및/또는 전사롤러(7)를 감광벨트(20)로부터 정확히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저항기(130)와 회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저항기(130)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피동기어(110)의 회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가변저항기(130)의 저항 가변단자(미도시)에 상기 피동기어(110)의 회전축(113)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피동기어(110)가 회전될 때마다 상기 저항 가변단자가 회동되고 이에 의해 상기 가변저항기(130)에서 저항변화가 발생된다.
상기 가변저항기(130)로는 3개의 단자를 가지는 일반적인 가변저항기(130)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가변저항기(130)의 제1, 제2 및 제3단자(132)(133)(134) 중 제1 및 제3단자(132)(134) 사이의 저항은 이 가변저항기(130)의 최대 저항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1단자(132)와 제2단자(133), 제2단자(133)와 제3단자(134) 사이의 저항값은 각각 상기 가변저항기(130)의 저항 가변단자를 조절함에 따라 가변된다.
여기서, 도 2는 상기 제1단자(132)와 제2단자(133)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하도록 된 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피동기어(110)가 회전되면, 이에 따라 가변저항기(130)의 제1 및 제2단자(132)(133) 사이의 저항값이 변화된다.
이때, 상기 회로부(140)를 상기 제1 및 제2단자(132)(133)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단자(132)(133) 사이의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면 심부(21)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롤러(5)와 구동롤러(1) 사이에 설치된 피동기어(210) 뿐만아니라, 구동롤러(1)와 전사백업롤러(3) 사이에 피동기어(310)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피동기어(210)(31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피동기어(110)와 실질상 동일하다.
이와 같이, 피동기어(310)가 설치되면 심부(21)가 구동롤러(1) 및/또는 전사백업롤러(3)에 도달되기 전의 위치에서 이 심부(21)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으므로, 감광벨트(20)의 미끄러짐이나 속도 변화 등에 관계없이 이 구동롤러(1) 및/또는 전사백업롤러(3)에 대한 심부(21)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다.
따라서, 심부(21)가 이 구동롤러(1)에 대향되게 설치된 건조롤러(2)에 가까워지면, 이 건조롤러(2)를 감광벨트(20)로부터 정확히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심부(21)가 상기 전사백업롤러(3)에 대향되게 설치된 전사롤러(7)에 가까워지면, 이 전사롤러(7)를 감광벨트(20)로부터 정확히 이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심부(21)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220) 즉, 가변저항기(230)(330) 및 회로부(240)(340)는 상기 피동기어(210)(310) 각각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회로부(240)에서 가변저항기(230)의 저항 변화가 검출되는 시간(t)은 심부(21) 초기 위치 예컨대, 상기 전사백업롤러(3)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심부(21) 위치로부터 시간이 T1 만큼 경과된 후이다. 그리고 상기 회로부(340)에서 가변저항기(330)의 저항 변화가 검출되는 시간(t)은 심부(21) 초기 위치로부터 시간이 T2 만큼 경과된 후이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1), 전사백업롤러(3) 및 스티어링롤러(5)는 T1≠T2 가 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감광벨트(20)를 한바퀴 공회전시키면서, 회로부(340)에 저항 변화를 검출하면, 심부(21)의 초기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저항기(230)(330) 및 회로부(240)(340)는 각각 도 2에서와 실질상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는 도 3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에 감지센서(220)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중계기어(410)와, 가변저항기(430)와 회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중계기어(410)는 두 피동기어(210)(310)에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동기어(210)(3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상기 가변저항기(430)는 상기 중계기어(410)의 회전축(411)에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어(410)의 회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부(440)는 상기 가변저항기(430)의 저항 변화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저항기(430) 및 회로부(44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가변저항기 및 회로부와 실질상 동일하다.
감지센서(220)가 상기한 바와 같이 구비된 경우, 감광벨트(20)의 회전에 따라 랙기어부(100)가 피동기어(210) 위치에 도달되면, 이 피동기어(210)는 랙기어부(100)의 기어니(100a)에 맞물려 회전된다. 피동기어(210)의 회전에 따라 중계기어(410)가 회전되고, 이에 의해 가변저항기(430)의 제1 및 제2단자(432)(433) 사이의 저항값이 변화된다.
감광벨트(20)가 더 회전되어 랙기어부(100)가 피동기어(310) 위치에 도달되면, 이 피동기어(310)는 랙기어부(100)의 기어니(100a)에 맞물려 회전된다. 피동기어(310)의 회전에 따라 중계기어(410)가 회전되고, 이에 의해 가변저항기(430)의 제1 및 제2단자(432)(433) 사이의 저항값이 변화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로부(440)에서 상기 피동기어(210)(310)의 회전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심부(21)가 구동롤러(1) 또는 전사백업롤러(3)로부터 감광벨트(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랙기어부(100)가 심부(21) 초기 위치 예컨대, 전사백업롤러(3)에서 감광벨트(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피동기어(210) 위치에 도달되는 시간을 T1 , 랙기어부(100)가 심부(21) 초기 위치로부터 피동기어(310) 위치에 도달되는 시간을 T2 라 하자. 그러면 상기 회로부(440)에서 저항 변화가 검출되는 시간(t)이 심부(21) 초기 위치로부터 T1 또는 T2 이면 상기 랙기어부(100)가 구동롤러(1) 또는 전사백업롤러(3)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도달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심부(1)가 도달되는 위치에서 건조롤러(2) 또는 전사롤러(7)를 감광벨트(20)로부터 정확히 이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동기어(210)의 위치에서 검출된 심부(21) 위치를 초기 위치로 잡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감지센서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가변저항기 대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구자석(530) 및 코일부재(550)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회로부(540)는 전류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변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영구자석(530)은 상기한 피동기어(110)(210)(310)의 회전축(113)(213)(313) 및/또는 중계기어(410)의 회전축(411)에 일체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부재(550)는 상기 영구자석(530)에 대향되게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감광벨트(20)의 회전에 따라 랙기어부(100)의 기어니(100a)와 피동기어(110)가 맞물리게 되면, 이 피동기어(1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530)이 회전되어 상기 코일부재(550)에 유도전류가 흐른다. 그러므로 상기 회로부(540)에서 상기 코일부재(550)에 흐르는 유도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심부(21)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 위치 감지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구동롤러(1)를 구동하여 감광벨트(20)가 공전(65)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감광벨트(20)가 공전되면서, 상기 랙기어부(100)가 피동기어(110)를 만나게 되면, 이 랙기어부(100)의 기어니(100a)에 맞물려 피동기어(110)는 회전되고 이에 의해 감지센서(120)에 신호(70)가 검출된다. 그러므로 상기 감지센서(120)는 이 피동기어(110)의 회전에 의해 심부(21)의 위치 즉, 심부(21)의 초기 위치 감지신호(75)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심부(21)의 초기 위치는 피동기어(110)의 설치 위치에 따라, 구동롤러(1), 전사백업롤러(3) 및/또는 스티어링롤러(5)로부터 감광벨트(2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이다.
피동기어(210)(310)가 스티어링롤러(5)와 구동롤러(1) 사이, 구동롤러(1)와 전사백업롤러(3) 사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전사백업롤러(3)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를 심부(21)의 초기 위치로 설정하면, 심부(21) 위치는 다음과 같이 감지된다.
심부(21)가 건조롤러(2)의 위치에 거의 도달되면 즉, t =T1 에서 검출신호(80)가 발생되면, 회로부(240)에서는 소정 시간후에 상기 건조롤러(2)의 이격 신호를 출력(81)한다. 그리고 이 출력신호로 소정의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건조롤러(2)를 감광벨트(20)로부터 이격(82)시킨다. 그리고 상기 심부(21)가 건조롤러(2)의 위치를 지나가면, 다시 이 건조롤러(2)를 상기 감광벨트(20)에 접촉 가능하도록 위치시킨다.
한편, 감광벨트(20)가 더 회전되어 심부(21)가 전사롤러(7)의 위치에 거의 도달되면 즉, t =T2 에서 검출신호(90)가 발생되면, 회로부(340)에서는 상기 건조롤러(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사롤러(7)를 감광벨트(20)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소정 시간후에 신호를 출력(91)한다. 그리고 이 출력신호로 소정의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전사롤러(7)를 감광벨트(20)로부터 이격(92)시킨다.
한편, t ≠T1 이고 t ≠T2 이면, 감광벨트(20)를 더 회전시키도록 구동롤러(1)를 구동하거나 종료(93)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심부 위치 감지장치는 상기 피동기어가 전사백업롤러 일측에 설치되는 경우, 심부가 전사백업롤러에 도달되기 전의 위치에서 심부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이 검출신호로부터 전사롤러를 감광벨트로부터 정확히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동기어가 구동롤러의 일측에 더 설치되는 경우, 심부가 구동롤러에 도달되기 전의 위치에서 심부의 위치를 검출하여, 이 검출신호로부터 건조롤러를 감광벨트로부터 정확히 이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심부 위치 감지장치는 접촉식으로 심부의 위치를 감지하므로 통상의 비접촉식 감지센서에 비해 심부의 초기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제조단가가 저렴하다.
또한, 감광벨트 상에 형성된 랙기어부와 피동기어가 단속적으로 맞물리게 되므로 감광벨트의 미끄러짐이 어느 정도 방지된다.

Claims (11)

  1.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롤러, 전사백업롤러 및 스티어링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폐곡선을 이루도록 그 양단부가 겹쳐 결합됨으로써 형성된 심부를 가지는 감광벨트와; 상기 심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심부 위치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부 위치 감지수단은,
    상기 심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감광벨트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된 랙기어부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랙기어부를 만날때마다 단속적으로 회전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심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가변저항기와;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에 따른 가변저항기의 저항 변화에 따라 심부 위치를 감지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된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동기어 회전시의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코일부재와;
    상기 코일부재에 유도된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심부 위치를 감지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부의 기어니는 상기 감광벨트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기어는 상기 전사백업롤러와 스티어링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기어는 상기 전사백업롤러와 구동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기어는 상기 구동롤러와 스티어링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기어는 상기 스티어링롤러와 구동롤러 사이, 상기 구동롤러와 전사백업롤러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9.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롤러, 전사백업롤러 및 스티어링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폐곡선을 이루도록 그 양단부가 겹쳐 결합됨으로써 형성된 심부를 가지는 감광벨트와; 상기 심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심부 위치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부 위치 감지수단은,
    상기 심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감광벨트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된 랙기어부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랙기어부를 만날때마다 단속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구동롤러 및 백업 전사롤러에 도달되기 전의 위치에서 각각 심부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상기 스티어링롤러와 구동롤러 사이 및 상기 구동롤러와 전사백업롤러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피동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피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심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1 및 제2피동기어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중계기어와;
    상기 중계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어의 회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가변저항기와;
    상기 제1 및 제2피동기어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가변저항기의 저항 변화에 따라 심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1 및 제2피동기어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중계기어와;
    상기 중계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된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피동기어 회전시의 자기장 변화에 따라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코일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피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코일부재에 유도된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심부 위치를 감지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KR1019970040348A 1997-08-23 1997-08-23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KR100234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348A KR100234277B1 (ko) 1997-08-23 1997-08-23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348A KR100234277B1 (ko) 1997-08-23 1997-08-23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424A KR19990017424A (ko) 1999-03-15
KR100234277B1 true KR100234277B1 (ko) 1999-12-15

Family

ID=19518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348A KR100234277B1 (ko) 1997-08-23 1997-08-23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2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424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88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transfer belt position via stored parameters
US717757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belt-lik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EP0778152B1 (en) Jam detecting device in a laser printer
JP4113635B2 (ja) 画像形成方法及び装置
KR20010083693A (ko) 인쇄기 및 그 정착롤러 갭 조정방법
US20160124363A1 (en) Sheet length measur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34277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심부 위치 감지장치
JP487048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4205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41470A (ja) 画像形成装置
JP4298157B2 (ja) 画像形成装置
JP3760983B2 (ja) 定着装置用の清掃装置
JP3345154B2 (ja) 電子写真プリンタ
JP3890228B2 (ja) 画像形成装置
JP3405495B2 (ja) 用紙搬送装置
JPH0234372A (ja) 伝票処理装置
JP7341776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5676A (ja) 画像形成装置
JPH0413271B2 (ko)
JPS6190171A (ja) 感光ベルトの潜像位置検知方法
KR0181127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반송속도 가변회로 및 방법
JPH01265282A (ja) 電子写真記録における転写方法
US20040172214A1 (en) Using conductive nipped rollers to measure media length
JPH08314284A (ja) 画像形成装置
KR20040053675A (ko)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