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275B1 -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275B1
KR100234275B1 KR1019970036883A KR19970036883A KR100234275B1 KR 100234275 B1 KR100234275 B1 KR 100234275B1 KR 1019970036883 A KR1019970036883 A KR 1019970036883A KR 19970036883 A KR19970036883 A KR 19970036883A KR 100234275 B1 KR100234275 B1 KR 100234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rack
tape
edit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015A (ko
Inventor
최경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6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275B1/ko
Publication of KR1999001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기록/재생 장치에서의 LP 모드 편집을 실행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개의 SP 헤드와 1개의 LP 헤드를 상호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고, 헤드 선택 제어 신호에 의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헤드로 선택되는 드럼 어셈블리, 편집하고자하는 신호를 변조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편집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낸 신호를 기록을 위한 전류 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록 변환부, 상기 LP 모드 편집 시에 상기 드럼 어셈블리의 2개의 SP 헤드 중에서 하나의 SP 헤드와 상기 LP 헤드를 기록용 헤드로 선택하기 위한 헤드 선택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 중에서 편집하고자 하는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편집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부, 상기 LP 모드 편집 실행 직전의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테이프 속도 제어부 및 상기 트랙에서의 헤드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는 트랙킹 제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의 속도 및 상기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서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LP 모드 편집 후의 트랙의 불연속성 및 트랙 내에서의 오디오 영역과 비디오 영역이 어긋나지 않게 하여 못쓰는 트랙의 발생을 막아 저렴한 가격으로 LP 모드 편집을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
본 발명은 영상/음성 신호 편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비디오 기록/재생 장치에서의 LP 모드 편집을 실행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CR은 표준 모드인 SP 모드(Standard Play mode) 이외에 기록매체에 기록시키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LP 모드(Long Play mode)를 이용하여 기록한다. NTSC 방식(525/60Hz)에서의 SP 모드의 테이프 주행 속도는 18.831/1.001 mm/sec 이고, LP 모드의 테이프 주행 속도는 12.568/1.001 mm/sec이다.
그리고, 원칙적으로 기록되는 모드에 따라서 SP 모드로 기록하는 경우에는 트랙 피치가 LP 모드로 기록될 때보다 넓기 때문에 헤드 폭이 비교적 넓은 SP 전용 헤드를 이용하여 기록한다. 그리고 LP 모드로 기록하는 경우에는 기록되는 트랙 피치가 SP 모드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사용되는 헤드 폭도 SP 헤드에 비하여 좁게 설정된 LP 전용 헤드를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재생 시에는 SP 전용 헤드를 이용하여 LP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를 재생시키는 경우에도 아지므스 각도 때문에 인접하는 트랙의 간섭을 크게 받지 않으면서도 재생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록된 테이프를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에, SP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를 SP용 헤드로 편집하는 경우나, LP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를 LP용 헤드로 편집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SP 헤드를 이용하여 LP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를 편집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의 기록/재생 장치 중의 채널프로세싱 블록을 도시한 것으로서, 기록 시에는 변조부(71)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채널의 특성에 맞게 변조하여 기록 증폭부(72)에 의하여 증폭된 후에 헤드를 통하여 테이프에 기록된다.
그리고, 재생 시에는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드럼 어셈블리(73)를 구성하는 헤드에 의하여 픽업된 후에 로타리 트랜스를 거쳐 재생 증폭기(74)에 의하여 증폭된다. 그리고 나서 자동 트랙킹 제어부(76)는 재생 증폭기(74)의 출력을 입력하여 트랙킹에 필요한 정보를 서보/시스템 제어부(77)로 출력한다. 그러면 서보/시스템 제어부(77)는 자동 트랙킹 제어부(76)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헤드가 테이프의 지정된 트랙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게 테이프의 속도를 제어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SP용 헤드로 LP 모드 편집을 실행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트랙의 구성도이다.
디지털 VCR에서는 10개의 트랙으로 한 프레임의 화면을 구성하는데, LP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의 트랙 구성을 보면 트랙 피치(Tp)가 6.67㎛이고, 트랙 번호는 T0∼T9가 반복되며, T0∼T9가 한 프레임을 구성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SP 헤드로 LP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를 편집할 경우 오버라이트(OVERWRITE)되는 상태를 보면 LP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의 트랙 피치가 6.67㎛인데 비하여 SP 헤드의 폭(Tw)이 10㎛ 이상이기 때문에,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시작 이전 프레임의 마지막 트랙은 반정도가 지워지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을 구성하는 첫 번째 트랙 T0부터는 트랙 피치 Tp(6.67㎛) 만큼을 남기고 T1 트랙이 오버라이트되고, T1 트랙은 T2 트랙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Tp(6.67㎛) 만큼만 남기고 오버라이트된다. 이에 따라서 편집 마지막 트랙은 다음에 오버라이트되지 않으므로 SP 헤드 폭에 해당하는 10㎛ 이상의 트랙이 존재하게 되어, 이로 인하여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마지막 트랙의 다음 프레임의 첫 트랙이 반정도 지워진 상태로 남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SP 헤드로 LP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를 편집할 경우 트랙의 불연속이 발생되고, 편집 부분 이전 프레임의 마지막 트랙과 편집 부분 이후 프레임의 첫 트랙을 못쓰게 되어 결과적으로 편집 부분의 이전 프레임과 편집 부분 이후의 첫 프레임을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5d는 비디오 신호만을 편집하는 경우의 트랙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해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만을 편집할 경우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 내에서 두 영역이 서로 어긋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만일 2개의 LP 전용 헤드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작은 드럼에 채널의 수가 2개 증가되어야 하는 기술적인 어려움과 자재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LP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를 편집하는 경우 편집 부분의 이전 프레임과 편집 부분 이후의 첫 번째 프레임이 못쓰게 되는 것을 개선하는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도 1b 는 LP 모드로 기록된 트랙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트랙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도 3b는 파이롯트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도 4c는 도 3a, 도 3b에 도시된 파이롯트 주파수의 출력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SP 헤드로 LP 모드 편집을 실행할 경우의 트랙의 기록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LP 모드 편집 실행 시의 트랙의 기록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a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드럼 어셈블리에서의 헤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 어셈블리의 헤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채널 프로세싱블록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1a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드럼 어셈블리의 로타리 트랜스 채널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 어셈블리의 로타리 트랜스 채널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a)-(c)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 어셈블리의 헤드 스위칭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a),(b)는 본 발명에 의한 SP 모드 기록/재생/편집 시의 헤드 스위칭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a),(b)는 본 발명에 의한 LP 모드 편집 시의 헤드 스위칭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a)는 본 발명에 의한 LP 모드 편집 시의 데이터 저장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b),(c)는 본 발명에 의한 LP 모드에서의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편집 시의 각 채널의 편집 제어 신호의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d),(e)는 본 발명에 의한 LP 모드에서의 오디오 신호 편집 시의 각 채널의 편집 제어 신호의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f),(g)는 본 발명에 의한 LP 모드에서의 비디오 신호 편집 시의 각 채널의 편집 제어 신호의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a, 도 16b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 어셈블리의 로타리 트랜스 구성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LP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에 있어서, 2개의 SP 헤드와 1개의 LP 헤드를 상호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고, 헤드 선택 제어 신호에 의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헤드로 선택되는 드럼 어셈블리, 편집하고자하는 신호를 변조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편집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낸 신호를 기록을 위한 전류 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록 변환부, 상기 LP 모드 편집 시에 상기 드럼 어셈블리의 2개의 SP 헤드 중에서 하나의 SP 헤드와 상기 LP 헤드를 기록용 헤드로 선택하기 위한 헤드 선택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 중에서 편집하고자 하는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편집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부, 상기 LP 모드 편집 실행 직전의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변경시켜 헤드의 트랙이 편집 시작 직전의 트랙에서의 중첩 기록되는 양을 줄이기 위한 테이프 속도 제어부 및 상기 LP 모드 편집 실행 시 트랙에서의 헤드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는 트랙킹 제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의 속도 및 상기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서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는 편집할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부(801), 변조된 신호를 저장하는 제1,2메모리(802,803), 기록할 신호를 전류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하는 제1,2기록 변환부(804,805), 드럼 어셈블리(806), 드럼 어셈블리의 회전 속도 및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서보부(807), 입력 명령에 상응하여 각 블록들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808), 키 입력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데이터 양식으로 변환시키는 인터페이스부(809), 재생 신호를 증폭시키는 재생 증폭부(810), 재생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재생 등화부(811), 헤드가 테이프의 지정된 트랙을 정확히 추적하도록 제어하는 자동 트랙킹 추적부(812), 헤드에 대한 테이프의 상대 속도를 제어하는 테이프 속도 제어부(813)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디지털 브이씨알의 LP 모드 사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는 LP 모드로 기록할 경우에 형성되는 트랙 규격과 트랙 내의 데이터 규격을 나타낸 것으로서,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의 LP 모드의 트랙 피치(Tp)는 6.67㎛이고, 재생 각도(θ)는 9.16120그리고 테이프 주행 속도는 PAL 방식의 626/50Hz 시스템의 경우는 12.568mm/sec이고, NTSC 방식의 525/60Hz 시스템의 경우는 12.568/1.001mm/sec이다.
이 경우 인접 트랙과는 약 4.05us 또는 170bits 정도의 차로 어긋나 있으며, 이것으로 알 수 있는 것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LP 모드의 트랙 피치(Tp)보다 큰 폭을 가진 헤드로 편집할 경우, 오디오 신호 편집 시에는 인접 트랙의 오디오 영역은 트랙의 형상이 바뀌지만 비디오 영역은 그 전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비디오 신호 편집 시에는 비디오 영역은 트랙의 형상이 바뀌지만 오디오 영역은 그 전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편집을 하게 되면 편집된 트랙에서 오디오 영역과 비디오 영역이 서로 어긋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4a 내지 도 4c는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의 트랙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롯트 프레임(Pilot Frame) 구성과 헤드가 트랙을 읽고 있을 때 위치에 따라서 출력되는 파이롯트 주파수(F0, F1, F2)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트랙킹을 실행한다. 즉, 헤드가 F0 트랙을 읽고 있을 때, F0의 트랙 규격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고, F0 인접 트랙 F1과 F2의 트랙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헤드가 정확히 F0의 트랙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F1과 F2 주파수의 출력 레벨이 같아 지도록 테이프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정상적인 트랙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가 F1 트랙을 읽고 있을 때는 F1 트랙 규격과 동일하게 F1 주파수에서 최대 레벨이 되도록 테이프의 속도를 제어하고, 헤드가 F2 트랙을 읽고 있을 때는 F2 트랙 규격과 동일하게 F2 주파수에서 최대 레벨이 되도록 테이프의 속도를 제어하여 트랙킹을 맞춘다.
그리고 LP 편집 모드에서의 세부적인 트랙킹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자동 트랙킹 추적부(812) 및 서보부(807)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채널 프로세싱 블록(8000)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2개의 SP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의 드럼에서의 헤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SP 헤드와 1개의 LP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의 드럼에서의 각 헤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2개의 SP 헤드 즉, SP(-), SP(+)는 1800의 각도를 갖는 드럼의 위치에 부착되며, 본 발명에 의하여 추가되는 1개의 LP 헤드인 LP(+)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에 의한 드럼의 위치에 부착시킨다.
Tp = (Tw-sp-Tp)/2 + Tp×ψ/180 + H
여기서, Tp : LP 모드 기록 시의 트랙 피치
Tw-sp : SP 헤드의 트랙 폭
ψ : SP(-) 헤드와 LP 헤드 사이의 각도
H(단차) : SP(-) 헤드 기준으로 LP(+) 헤드의 높이를 나타낸다.
일 예로서 Tp=6.67㎛, H=0, Tw-sp=Tp×2로 결정한 경우에는 수학식 1의 계산에 의하여 ψ=900가 되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LP 헤드가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스위칭 신호는 SP(-) 헤드와 SP(+) 헤드는 서로 1800의 위상차를 갖고, SP(-) 헤드와 LP(+) 헤드는 900의 위상차를 갖게 된다.
그러면, 각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LP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를 SP(-) 헤드와 SP(+) 헤드를 이용하여 재생하던 도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편집키가 입력되면, 인터페이스부(809)는 입력된 편집 명령의 입력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부(808)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808)는 편집 명령을 분석하여 오디오 신호만의 편집인지, 비디오 신호만의 편집인지 그렇지 않으면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함께 편집하는 명령인지를 판단하여 도 15(a)-(g)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집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와 더불어 도 1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모드에서 사용될 헤드를 SP(-) 헤드와 LP(+) 헤드로 선택하고 이에 따른 헤드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킨다.
편집 명령 인식한 후에 변조부(801)에서 변조된 편집할 신호를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스위칭 신호에 의하여 2개의 메모리에 각 헤드의 채널 별로 저장시킨다.
위의 동작과 더불어 테이프 속도 제어부(813)는 시간 t 동안의 테이프의 평균 주행 속도(Vt)를 편집 실행 직전에 수학식 2 (525/60Hz 시스템 기준) 또는 수학식 3 (625/50Hz 시스템 기준)에 의하여 가변시켜 트랙에서의 헤드의 상대적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서보부(807)에 인가한다. 그러면, 서보부(807)은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위의 테이프 속도 제어부(813)에서 입력된 제어 신호에 의하여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LP 모드 편집 실행 직전에 변경시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이 실행 앞의 T9 트랙이 지워지지 않게 한다.
Vt = {Tp + (Tw-sp-Tp)/2} × 300/1.001/sin θ/t
Vt = {Tp + (Tw-sp-Tp)/2} × 300/sin θ/t
여기서, Tp = 테이프 상의 트랙 피치
Tw-sp = SP 헤드의 트랙 폭
θ = 트랙 각
t = 시간(속도 변화를 시작하여 속도 변화를 끝내는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1프레임 전부터 속도 변화를 시작하여 초기 위치를 맞춘다면 시간 t는 1프레임 주행 시간이 된다. 그리고 1프레임 후 즉, 편집 시작 트랙부터는 정상적인 속도를 유지한다.
위의 식에서 300/1.001 또는 300은 초당 트랙수를 의미한다.
위의 수학식 2 또는 수학식 3과 같이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변경시키는 이유는 편집 시작 시점에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P(-) 헤드의 좌측 끝이 기존에 기록된 파이롯트 프레임 0의 트랙 번호 0(T0) 트랙의 좌측 끝과 일치시키도록 헤드를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헤드의 트랙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완료한 후에 변조부(801)에 의하여 채널의 특성에 맞게 변조시킨 후에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헤드 스위칭 타이밍에 의하여 A1 트랙 데이터와 B1 트랙 데이터가 제1,2메모리에 각각 저장된 후에 A2 데이터가 제1메모리에 저장될 때 A1 데이터는 제1기록 변환부(804)를 거쳐 기록전류신호로 변환된 후에 로타리 트랜스를 거쳐 SP(-) 헤드에 의하여 테이프에 기록된다. 그리고 A1 데이터가 기록된 후 드럼이 900만큼 회전한 후에는 B1 데이터도 같은 과정을 거쳐 LP(-) 헤드에 의하여 도 15(b)-(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제어 신호에 의한 타이밍에 의하여 테이프에 기록된다.
도 15(b),(c)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함께 편집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편집 제어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그러나, 만일 오디오 신호만을 선택하여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5(d),(e)와 같은 타이밍의 편집 제어 신호에 의하여 오디오 신호만을 편집 기록시키고, 만일 비디오 신호만을 선택하여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5(f),(g)와 같은 타이밍의 편집 제어 신호에 의하여 비디오 신호와 서브 코드 신호를 함께 기록한다. 한편 편집 동안은 편집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는 재생되는데, 재생은 SP(-) 헤드와 SP(+) 헤드가 선택되어 재생 증폭부(810) 및 재생 등화부(811)를 거쳐 신호 처리 블록(도면에 미도시)에 의하여 처리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재생 증폭부(810)의 출력 신호는 자동 트랙킹 추적부(812)에 입력되어 주파수를 분석하거나, 또는 필터에 의하여 파이롯트 주파수 신호 F1, F2의 출력 상태를 검출하여 서보부(807)로 출력한다.
서보부(807)는 LP 편집 과정에서 다음 과정을 따라서 트랙킹을 실행한다.
첫 번째는 편집 기록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트랙킹을 오프하고 일정한 속도(LP 모드의 테이프 주행 속도)로 테이프를 주행시킨다. 두 번째는 525/60Hz 시스템이고 파이롯트 프레임 0인 경우, 트랙 번호 0, 4, 8에서는 F2 주파수의 레벨이 '0'이 되고, F1 주파수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트랙킹을 행하고, 트랙 번호 2, 6에서는 F1 주파수의 레벨이 '0'이 되고, F2 주파수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트랙킹을 실행한다. 아울러 파이롯트 프레임 1의 경우는 트랙 번호 0, 4, 8에서는 F1 주파수의 레벨이 '0'이 되도록 트랙킹을 실행하고, F2 주파수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 되도록 트랙킹을 실행하고, 트랙 번호 2, 6에서는 F2 주파수의 레벨이 '0'이 되며, F1 주파수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트랙킹을 실행한다.
이에 비하여, 625/50Hz 시스템에서는 파이롯트 프레임과 관계없이 트랙 번호 0, 4, 8에서는 F2 주파수의 레벨이 '0'이 되도록 F1 주파수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트랙킹을 실행하고, 트랙 번호 2, 6, 10에서는 F1 주파수의 레벨이 '0'이 되며, F2 주파수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트랙킹을 실행한다.
도 10, 13은 로타리 트랜스의 채널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LP 모드 편집시 SP(-)와 LP(+) 채널이 같은 시간에 사용되는 구간이 있으므로 SP(-), SP(+), LP(+) 또는 LP(+), SP(+), SP(-) 순으로 배치하는 것이 LP 모드 편집 시에 채널간의 크로스 토크(Cross Talk)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즉, SP(-)와 LP(+) 사이에 SP(+)를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위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1개의 LP 전용 헤드 추가에 의하여 편집 기록 시작 및 종료 트랙에서 기존에 기록된 트랙이 지워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드럼 어셈블리에 LP 전용 헤드를 추가하고 헤드 스위칭 신호 및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여 트랙에서의 헤드의 상대적 위치를 맞추어 줌으로써, 편집 후의 트랙의 불연속성 및 트랙 내에서의 오디오 영역과 비디오 영역이 어긋나지 않게 하여 못쓰는 트랙의 발생을 막아 간단하면서도 저렴한 가격으로 LP 모드 편집을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LP 모드로 기록된 테이프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에 있어서,
    2개의 SP 헤드와 1개의 LP 헤드를 상호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고, 헤드 선택 제어 신호에 의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헤드로 선택되는 드럼 어셈블리;
    편집하고자하는 신호를 변조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편집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낸 신호를 기록을 위한 전류 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록 변환부;
    상기 LP 모드 편집 시에 상기 드럼 어셈블리의 2개의 SP 헤드 중에서 하나의 SP 헤드와 상기 LP 헤드를 기록용 헤드로 선택하기 위한 헤드 선택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 중에서 편집하고자 하는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편집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부;
    상기 LP 모드 편집 실행 직전의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변경시켜 헤드의 트랙이 편집 시작 직전의 트랙에서의 중첩 기록되는 양을 줄이기 위한 테이프 속도 제어부; 및
    상기 LP 모드 편집 실행 시 트랙에서의 헤드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는 트랙킹 제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의 속도 및 상기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서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어셈블리는
    LP 모드 편집 시에 사용되는 채널 사이에 LP 모드 편집 시에 사용되지 않는 채널을 삽입시키는 로타리 트랜스 채널 배치를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NTSC 시스템에서의 상기 테이프 속도 제어부의 상기 LP 모드 편집 시작 전 t 시간 동안의 평균 테이프의 주행 속도 Vt는
    Vt = {Tp + (Tw-sp-Tp)/2} × 300/1.001/sin θ/t
    여기서, Tp = 테이프 상의 트랙 피치
    Tw-sp = SP 헤드의 트랙 폭
    θ = 트랙 각
    t = 시간
    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PAL 시스템에서의 상기 테이프 속도 제어부의 상기 LP 모드 편집 시작 전 t 시간 동안의 평균 테이프의 주행 속도 Vt는
    Vt = {Tp + (Tw-sp-Tp)/2} × 300/sin θ/t
    여기서, Tp = 테이프 상의 트랙 피치
    Tw-sp = SP 헤드의 트랙 폭
    θ = 트랙 각
    t = 시간
    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어셈블리의 상기 LP의 상대적 위치 θ는
    Tp = (Tw-sp-Tp)/2 + Tp×ψ/180 + H
    여기서, Tp : LP 모드 기록 시의 트랙 피치
    Tw-sp : SP 헤드의 트랙 폭
    ψ : SP(-) 헤드와 LP 헤드 사이의 각도
    H(단차) : SP(-) 헤드 기준으로 LP(+) 헤드의 높이
    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속도 제어부는 상기 LP 모드 편집 기록 시작 전에 상기 LP 모드 편집 첫 번째 프레임을 구성하는 첫 번째 트랙(T0)을 SP 헤드에 의하여 상기 LP 모드 편집 시작 바로 앞 프레임의 마지막 트랙과 소정의 길이 이하로 중첩하여 기록되게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가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속도 제어부에 의한 테이프의 주행 속도는 상기 헤드의 트랙 폭의 좌측 끝 또는 우측 끝을 기존에 기록된 트랙 상의 좌측 끝 또는 우측 끝에 맞추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부의 상기 트랙킹 제어는
    상기 LP 모드 편집 기록 실행 중에는 편집 시작 트랙을 제외하고는 트랙킹 제어를 오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NTSC 방식에서의 상기 서보부의 상기 트랙킹 제어는
    파이롯트 프레임 0인 경우, 트랙 번호 0, 4, 8에서는 F2 주파수의 레벨이 '0'이 되고, F1 주파수의 레벨이 소정의 레벨로 유지되도록 하고, 트랙 번호 2, 6에서는 F1 주파수의 레벨이 '0'이 되고, F2 주파수의 레벨이 소정의 레벨로 유지되도록 하고, 파이롯트 프레임 1의 경우는 트랙 번호 0, 4, 8에서는 F1 주파수의 레벨이 '0'이 되도록 트랙킹을 실행하고, F2 주파수의 레벨이 소정의 레벨로 유지 되도록 트랙킹을 실행하고, 트랙 번호 2, 6에서는 F2 주파수의 레벨이 '0'이 되며, F1 주파수의 레벨이 소정의 레벨로 유지되도록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PAL 방식에서의 상기 서보부의 상기 트랙킹 제어는
    파이롯트 프레임과 관계없이 트랙 번호 0, 4, 8에서는 F2 주파수의 레벨이 '0'이 되도록 F1 주파수의 레벨이 소정의 레벨로 유지되도록 하고, 트랙 번호 2, 6, 10에서는 F1 주파수의 레벨이 '0'이 되며, F2 주파수의 레벨이 소정의 레벨로 유지되도록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변환부는
    상기 LP 모드 편집 실행 시에 선택되는 2개의 헤드에 각각 사용되는 2개의 기록 증폭기 및 기록 버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 장치.
KR1019970036883A 1997-08-01 1997-08-01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장치 KR100234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883A KR100234275B1 (ko) 1997-08-01 1997-08-01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883A KR100234275B1 (ko) 1997-08-01 1997-08-01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015A KR19990015015A (ko) 1999-03-05
KR100234275B1 true KR100234275B1 (ko) 1999-12-15

Family

ID=1951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6883A KR100234275B1 (ko) 1997-08-01 1997-08-01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2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442B1 (ko) 2014-03-07 2017-04-11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015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0500B2 (ko)
JPH0152813B2 (ko)
JPH05135434A (ja) 編集システム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US4737865A (en) Magnetic recording editing apparatus with erase head
KR100333419B1 (ko) 회전헤드형기록/재생장치
KR100234275B1 (ko)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장치
JP2615766B2 (ja) 再生映像信号の処理装置
JP253790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5677803A (en)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signals and a signal having a repetitive frequency to a recording medium and/or for reproducing the data signals therefrom
JP3288131B2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2770534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280057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37260B1 (ko) 음성신호편집기능을 갖는 비데오테이프레코더
JP2527746B2 (ja) テ−プレコ−ダ装置
JP293996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810484B2 (ja) 回転ヘッド式デジタルオーディオテープレコーダのトラッキング制御方法
JP3160973B2 (ja) 記録再生装置
JPH0325284Y2 (ko)
KR200183501Y1 (ko) 자동검색기능을 구비한 브티알
JPH0248995Y2 (ko)
JP2785218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2585806B2 (ja)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3433516B2 (ja) 回転ヘッド型記録/再生装置
JPH05210953A (ja) 編集機能を備えた情報記録再生装置
JPH0822045B2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