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082B1 -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082B1
KR100234082B1 KR1019970009857A KR19970009857A KR100234082B1 KR 100234082 B1 KR100234082 B1 KR 100234082B1 KR 1019970009857 A KR1019970009857 A KR 1019970009857A KR 19970009857 A KR19970009857 A KR 19970009857A KR 100234082 B1 KR100234082 B1 KR 100234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drive
drive unit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4172A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9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082B1/ko
Publication of KR1998007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00Suspensions with rigid connection between axle and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46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moving together with the vehicle body, i.e. moving independently from the wheel ax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휘일과 상기 구동휘일의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프레임에 현가지지하는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기 프레임에 승강회동 가능하게 연결지지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무인반송차가 곡선주행을 하는 경우에도 구동부에 하중이 고르게 작용하여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
본 발명은,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동휘일과 상기구동휘일의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프레임에 현가지지하는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2는 무인반송차의 캐스터휘일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무인반송차의 캐스터휘일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는, 무인반송차의 프레임(10)의 각 모서리에 현가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캐스터휘일(63)을 배치하고, 중앙의 양측에는 구동모터(41)와 감소기(미도시) 및 구동휘일(42)이 결합된 구동부(40)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무인반송차에 하중이 가해지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이 캐스터휘일(63)에 가해지고, 이는 캐스터로드(62)에 부착된 탄성고무(64)가 지지판(65)에 접촉되어 탄성변형됨으로써, 하중이 프레임(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무인반송차에 가해진 하중은 각 캐스터휘일(63)에 고르게 분포되고, 구동휘일(42)에도 하중이 고르게 작용한다.
한편,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인반송차 현가장치의 구동부 영역의 정면도이다. 전술한 무인반송차의 하중분포상태는 직선주행상태에서만 유지되는 것이고, 무인반송차가 곡선주행을 하는 경우에는 원심력으로 인하여 선회중심의 바깥쪽 구동휘일에 하중이 집중된다. 이때, 구동부(40)는, 도 5와 같이, 브라켓(12,13)과 지지판(11)에 의해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어, 부가적인 하중이 직접 구동부(40)에 전달되므로, 구동휘일(42)을 포함한 구동부(40) 전체에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반송차가 곡선주행을 하는 경우에도 구동부에 하중이 고르게 작용하도록 하여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1도는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
제2도는 무인반송차의 캐스터휘일의 정면도.
제3도는 무인반송차의 캐스터휘일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반송차 현가장치의 구동부 영역의 정면도.
제5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인반송차 현가장치의 구동부 영역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20 : 힌지부
30 : 지지부 40 : 구동부
50 : 탄성지지부 51 : 고정축
52 : 코일스프링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동휘일과 상기 구동휘일의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프레임에 현가지지하는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기 프레임에 승강회동 가능하게 연결지지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의 힌지는 레이디얼베어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레이디얼베어링의 내축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레이디얼베어링의 하우징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자유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코일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고정축은 상기 지지부의 자유단부를 상하 유동가능하게 구속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는, 캐스터휘일 및 구동부 등의 기본적인 구성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고, 본 발명의 특징은 구동부의 현가장치에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현가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반송차 현가장치의 구동부 영역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반송차의 구동부의 현가장치는, 무인반송차의 프레임(10)과, 구동모터(41)와 구동휘일(42)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40)와, 하단에 구동부(40)가 지지되는 판상의 지지부(30)와, 지지부(30)를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20)와, 지지부(30)를 프레임(10)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5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지지부(30)의 일측에는 탄성지지부(50)에 지지되기 위한 홀(32)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힌지부(20)에 지지되기 위한 브라켓(31)이 결합되어 있다.
힌지부(20)는 레이디얼베어링으로 구성된 것으로, 레이디얼베어링의 하우징(21)은 프레임(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고, 내측레이스에 삽입되는 내축(22)은 지지부(30)의 브라켓(31)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레이디얼베어링의 하우징(21)을지지부(30)에 결합시키고 내축(22)을 프레임(10)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여도 힌지부(20)는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고, 프레임(10)에 결합된 피봇과 피봇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에 지지부가 결합된 레버로 힌지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탄성지지부(50)는 프레임(10)에 고정되는 고정축(51)과 지지부를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52)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축(51)은 프레임(10)의 상단면에 결합된 지지브라켓(15)의 상부 하단에 부착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지부(30)의 일측에 형성된 홀(32)을 관통하여 있고, 하단은 반경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52)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고정축(51)에 삽입되어 하단이 지지부(30)의 상단에 놓여져 있고 상단에는 고정축(51)이 놓여져 있다.
한편, 탄성지지부(50)를 인장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으로 구성하여, 구동휘일(42)에 가해진 하중이 상기와 같은 탄성부재의 인장 또는 휘어짐에 의해 흡수되도록 할 수도 있고, 압축코일스프링 대신 공기스프링이나 고무 등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구동휘일(42)에 하중이 가해지면, 이 하중에 의해 코일스프링(52)이 압축되어 고정축(51)의 상단과 지지브라켓(15)을 통하여 프레임(10)에 하중이 전달되고, 이에 따른 프레임(10)과 구동부(40)의 상대위치의 변화는 힌지부(20)에서의 회동에 의해 구속된다.
따라서, 무인반송차의 선회운동에 따른 일측 구동부(40)에의 부가적인 하중은 전술한 구동부(40)의 현가장치에 의해 흡수되어, 구동부(40)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고 무인반송차의 양측의 구동부(40)에 하중이 고르게 작용하게 되며, 구동휘일(42)과 노면과의 접촉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구동부(40)에 가해지는 돌발적인 충격도 흡수되는 잇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반송차가 곡선주행을 하는 경우에도 구동부에 하중이 고르게 작용하여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구동휘일과 상기 구동휘일의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프레임에 현가지지하는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기 프레임에 승강회동 가능하게 연결지지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힌지는 레이디얼베어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레이디얼베어링의 내축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레이디얼베어링의 하우징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자유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코일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고정축은 상기 지지부의 자유단부를 상하 유동가는하게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
KR1019970009857A 1997-03-21 1997-03-21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 KR100234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857A KR100234082B1 (ko) 1997-03-21 1997-03-21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857A KR100234082B1 (ko) 1997-03-21 1997-03-21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172A KR19980074172A (ko) 1998-11-05
KR100234082B1 true KR100234082B1 (ko) 1999-12-15

Family

ID=19500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857A KR100234082B1 (ko) 1997-03-21 1997-03-21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2063A (zh) * 2016-11-10 2017-01-11 杭州南江机器人股份有限公司 一种举升旋转装置及举升运动导向机构及举升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9770A (zh) * 2017-08-17 2018-01-19 宁波市智能制造产业研究院 一种六轮agv避震底盘
CN107878138A (zh) * 2017-10-31 2018-04-06 杭州极木科技有限公司 一种重载运输平台
CN112408251A (zh) * 2019-08-21 2021-02-26 苏州华天视航智能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超薄型嵌入式agv小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2063A (zh) * 2016-11-10 2017-01-11 杭州南江机器人股份有限公司 一种举升旋转装置及举升运动导向机构及举升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172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35696A1 (fr) Ensemble comportant une roue et une suspension integree a la roue
US20030138309A1 (en) Automobile display system
KR100234082B1 (ko)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
ATE252464T1 (de) Elektrisch angetriebenes fahrzeug
CN100460306C (zh) 电梯曳引机及其制动装置
KR940008921A (ko) 이동차의 차바퀴 지지장치, 이것을 구비한 이동차 및 이 이동차를 가지는 물품 반송 시스템
CA1203125A (en) Vehicle bogie
CA1065773A (en) Suspended cable apparatus
PL365924A1 (en) Suspension device
CN101327887A (zh) 用于垂直电梯的驱动装置
JP3590423B2 (ja) リニアモータ駆動方式エレベーターのリニアモータ支持装置
CN110001410B (zh) 底盘结构和磁悬浮轨道作业车
JPH081553A (ja) ロボット搭載型無人搬送車
JP3626820B2 (ja) 無人運搬車用誘導センサの支持構造
JPH11246168A (ja) クレーン用走行装置
JPH10278802A (ja) 台車駆動装置
CN214492392U (zh) 一种底盘减震万向轮
CN209888992U (zh) 一种agv减震底盘
CN212098325U (zh) 驱动系统及自动导引运输车
JPH04242404A (ja) 無人車におけるマーク検出装置
CN219523611U (zh) 用于驱动轮的悬挂结构及行走装置
JP4297634B2 (ja) 無人搬送車
CN214296118U (zh) 消毒机器人底盘
JP7256559B2 (ja) 走行機体
CN212861697U (zh) 一种全向潜伏牵引agv的地面自适应驱动悬挂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