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604B1 - 시트벨트 홀딩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홀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604B1
KR100233604B1 KR1019970040374A KR19970040374A KR100233604B1 KR 100233604 B1 KR100233604 B1 KR 100233604B1 KR 1019970040374 A KR1019970040374 A KR 1019970040374A KR 19970040374 A KR19970040374 A KR 19970040374A KR 100233604 B1 KR100233604 B1 KR 100233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negative pressure
piston
vehicle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447A (ko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0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604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2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hav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충돌이나 급 제동시에, 리트랙트 상부의 시트벨트를 홀딩 시킴으로써, 시트벨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벨트 홀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감속도량과, 에어 백의 작동과, 차량이 가속됨을 감지하는 센서부(10)와; 피스톤(11)의 헤드부에 리트랙트(5) 상부의 시트벨트(B)가 관통되며, 상기 리트랙트(5) 상부에 설치되는 실린더(40)와; 상기 피스톤(41)의 왕복에 따라 상기 헤드부를 관통한 시트벨트(B)가 선택적으로 홀딩 되도록 상기 헤드부 주변에 장착되는 홀딩 브래킷(50)과; 입력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시트벨트(B)가 상기 홀딩 브래킷(50)에 홀딩 되도록 상기 피스톤(41)을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그리고, 상기 센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전자제어유니트(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트벨트 홀딩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급 감속시 이를 감지하고 시트벨트를 홀딩 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벨트 홀딩장치(Seat Belt Holding System for Car)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시트벨트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트의 일측에는, 하부에 장착된 고정부(1)로 부터 연장된 시트벨트(B)가 앵커 플레이트(3)를 통과하여 하부의 리트랙터(5)에 소정의 힘으로 감겨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와 앵커 플레이트(3) 사이에 걸쳐지는 시트벨트(B)의 일단에는, 시트벨트의 텅(Tongue)(2)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시트의 타측에는, 상기 텅(2)과 결합되는 버클(2')이 벨트(B')에 의해 하부에 장착된 고정부(1')와 연결된다. 또한 번호 6은 필라 트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트벨트는, 에어백(air bag)장치와 함께 차량의 대표적인 안정장치로서, 차량의 충돌이나 급 제동시, 벨트의 풀림 속도가 일정이상이면 원심력으로 상기 리트랙터에서 더 이상의 풀림을 로킹 시킴으로써 탑승객의 상체가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차량의 충돌유형이나, 급 제동되는 속도에 따라 리트랙터에서 벨트가 풀리는 속도도 다양함으로 모든 충돌리나 급 제동시에 리트랙터가 항상 시트벨트를 로킹 시킨다고 보장할 수 없으며, 차량의 충돌이나 급 제동시에 리트랙트가 시트벨트를 로킹 시키지 못할 경우, 탑승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쏠리게 되어 크래쉬 패드나 핸들에 부딪치게 됨으로써, 탑승자가 상해를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충돌이나 급 제동시에, 리트랙트 상부의 시트벨트를 홀딩 시킴으로써, 시트벨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벨트 홀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차량의 시트벨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리트랙트 6 : 필러 트림
10 : 센서부 20 : 전자제어유니트
30 : 엔진 부압부 31 : 릴레이
32 : 체크 밸브 33 : 연결관
40 : 실린더 41 : 피스톤
42 : 리턴스프링 50 : 홀딩 브래킷
B : 시트벨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감속도량과, 에어 백의 작동과, 차량이 가속됨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피스톤의 헤드부에 리트랙트 상부의 시트벨트가 관통되며, 상기 리트랙트 상부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의 왕복에 따라 상기 헤드부에 관통한 시트벨트가 선택적으로 홀딩 각도를 상기 헤드부 주변에 장착되는 홀딩 브래킷과; 입력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시트벨트가 상기 홀딩 브래킷에 홀딩 되도록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그리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전제제어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홀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홀딩장치에 관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부(10), 전자제어유니트(20), 실린더(40), 홀딩 브래킷(50) 및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10)는, 차량의 감속도량을 감지하는 감속도 감지센서(11)와, 에어 백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에어 백 작동감지센서(12)와, 차량이 가속됨을 감지하는 엑셀레이터 작동감지센서(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40)는, 헤드부에 연통된 삽입홀(41a)이 형성된 피스톤(41)과 리턴 스프링(42)을 갖으며, 시트벨트(B)의 리트랙트(5)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장착되는데, 이때, 리트랙트(5) 상부의 시트벨트(B)가 상기 삽입홀(41a)에 관통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피스톤(41)의 왕복에 따라 상기 삽입홀(41a)에 관통된 시트벨트(B) 부분이 좌우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딩 브래킷(50)은 상기 피스톤(41)의 로드 상하면에 인접하게 장착됨으로써, 이 홀딩 브래킷(50)의 중앙부를 통하여 상기 피스톤(41)이 왕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41)의 헤드부가 상기 홀딩 브래킷(50) 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삽입홀(41a)을 관통한 시트벨트(B)의 상하 부분이 상기 피스톤(41)의 헤드부와 함께 홀딩 브래킷(50) 사이에 홀딩 됨으로써, 시트벨트(B)의 풀림이 로킹 되도록 구성된다. 도면 번호 7은 리트랙트(5)가 고정되는 패널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홀딩 브래킷(50)은 별도의 패널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7)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수단은,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시트벨트(B)가 홀딩 브래킷(50)에 홀딩 되도록 피스톤(41)을 당기는 수단으로서, 릴레이(31), 체크 밸브(32), 연결돤(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3)은, 엔진 부압부(30)인 흡기 다기관과 상기 실린더(40) 사이에 연결되는 관인데, 상기 엔진 부압부(30)의 부압이 상기 실린더(40) 내에 인가되면 피스톤(41)이 리턴 스프링(42)의 힘에 대항하여 당겨짐으로써, 시트벨트(B)가 홀딩 브래킷(50)에 홀딩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33)을 통하여 실린더(40)로 인가되던 엔진 부압부(30)의 부압이 해제되면 상기 피스톤(41)이 리턴 스프링(42)에 의하여 리턴 됨으로써, 홀딩 브래킷(50)에 의한 시트벨트(B)의 홀딩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크 밸브(32)는 상기 연결관(33)의 경로 상에 장착되며 소정의 전압이 입력되는 동안만 개방되어 상기 실린더(40)에 부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릴레이(31)는 전원(V)과 상기 체크 밸브(32) 사이에 결합되며,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체크 밸브(32)로 상기 전원(V)의 전압이 입력되도록 스위칭된다.
상기 전자제어유니트(20)는, 상기 센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수단으로 작동신호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감속도 감지센서(11)로부터 감지되는 감속도량의 급 감속에 해당되는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에어 백 작동감지센서(12)에 의해 에어 백이 작동됨이 감지되면, 상기 릴레이(31)로 작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피스톤(41)에 의해 시트벨트(B)가 홀딩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액셀레이터 작동감지센서(13)로부터 액셀레이터의 작동이 감지되면 차량이 다시 가속되는 것으므로, 상기 릴레이(31)로 인가되던 작동신호의 출력을 중단하여 상기 피스톤(41)이 리턴 스프링(42)에 의해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홀딩 브래킷(50)에 의한 시트벨트(B)의 홀딩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에 의하여,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중인 동안에는, 피스톤(41)의 헤드부를 관통한 시트벨트(B) 부분이 상하로 원활하게 슬라이딩함으로써, 시트벨트(B)는 종래와 같이 리트랙트(5)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리고, 차량이 급 제동되어 소정의 임계값 이상 감속되거나, 또는 차량의 충돌로 에어 백이 작동되게 되면, 상기 감속도 감지센서(11) 및 에어 백 작동감지센서(12)에 의해 이를 감지한 전자제어유니트(20)에서 릴레이(31)로 작동신호를 출력시킨다. 따라서, 상기 체크 밸브(32)가 개방되고, 엔지 부압부(30)의 부압이 실린더(40)에 인가되어 피스톤(41)이 당겨짐으로써, 피스톤(41)의 헤드부와 함께 시트벨트(B)가 홀딩 브래킷(50)에 홀딩되게 되며, 이에 따라, 시트벨트(B)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이 다시 정상적으로 가속되며 주행을 하게 되면, 상기 액셀레이터 작동감지센서(13)에 의하여 이를 감지한 전자제어유니트(20)에서 상기 릴레이(31)로 입력되던 작동신호를 중단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체크 밸브(32)로 입력되던 전압이 차단되어 체크 밸브(32)가 폐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40)로 인가되던 부압이 해제되어, 상기 피스톤(41)이 리턴 스프링(42)에 의하여 복귀됨으로써, 상기 홀딩 브래킷(50)에 의한 시트벨트(B)의 홀딩이 해제되고, 리트랙트(5)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으로 당겨지는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센서부(10)에는, 상기 엔진 부압부(30) 내의 부압을 감지하는 부압 감지센서(14)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때, 차량의 급정차 등으로 인하여, 상기 엔진 부압부(30)의 부압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로 급격히 떨어졌을 때, 상기 부압 감지센서(14)를 통하여 이를 감지한 상기 전자제어유니트(20)가 상기 릴레이(31)로 작동신호를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릴레이(20)를 통하여 전압을 인가받은 상기 체크 밸브(32)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40) 내에 순간적으로 부압이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피스톤(41)이 순간적으로 당겨지게 되며, 따라서, 상기 홀딩 브래킷(50)에 의한 시트벨트(B)의 홀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 14a는 엔진 부압부(30)의 부압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게 됨에 따라 엔진 부압부(30) 측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부압 감지센서(14)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이며, 도면 번호 14b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상기 엔진 부압부(30)의 부압이 기준값보다 큰 동안 상기 슬라이딩 부재(14a)가 상기 부압 감지센서(14)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시트벨트 홀딩장치에 의하여, 차량의 충돌이나 급 감속시 시트벨트를 홀딩하여 시트벨트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탑승자의 상체가 크래쉬 패드나 핸들에 부딪쳐 탑승자가 상해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홀딩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여,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의 감속도량과, 에어 백의 작동과, 차량이 가속됨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피스톤의 헤드부에 리트랙트 상부의 시트벨트가 관통되며, 상기 리트랙트 상부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의 왕복에 따라 헤드부를 관통한 시트벨트가 선택적으로 홀딩되도록 상기 헤드부 주변에 장착되는 홀딩 브래킷과; 입력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시트벨트가 상기 홀딩 브래킷에 홀딩되도록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그리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전자제어유니트;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홀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엔진 부압부의 부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이동되어 상기 시트벨트가 상기 홀딩 브래킷에 홀딩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와 엔진 부압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시트벨트의 홀딩이 해제되도록 상기 피스톤을 리턴 시키는 리턴 스프링과;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개방되도록 상기 연결관 경로 상에 장착되는 체크 밸브와; 상기 전자제유어유니트로부터 입력되는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체크 밸브가 개방되도록 상기 체크 밸브에 전압을 인가하는 릴레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홀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는 엔진 부압부의 부압을 감지하는 부압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에서는 상기 부압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부압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홀딩장치.
KR1019970040374A 1997-08-23 1997-08-23 시트벨트 홀딩장치 KR100233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374A KR100233604B1 (ko) 1997-08-23 1997-08-23 시트벨트 홀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374A KR100233604B1 (ko) 1997-08-23 1997-08-23 시트벨트 홀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447A KR19990017447A (ko) 1999-03-15
KR100233604B1 true KR100233604B1 (ko) 1999-12-01

Family

ID=1951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374A KR100233604B1 (ko) 1997-08-23 1997-08-23 시트벨트 홀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6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342A (ko) * 2001-10-22 2003-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프리텐셔너 구조
KR100482054B1 (ko) * 2001-12-13 200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경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447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41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injury after a loss of control event
WO2001096152A1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JP4056222B2 (ja) 自動車の安全ベルト配置
US6565160B1 (en) Pressure releasable vehicle pedal assembly
KR100233604B1 (ko) 시트벨트 홀딩장치
JP2003507233A (ja) エアバッグ機構における又は関する改良
JP2001122081A (ja) 乗員拘束保護システム
JP3690204B2 (ja) 車両の衝撃緩和構造
US5494313A (en) Air bag apparatus for adaptable fixation within a vehicle
KR100362115B1 (ko)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
JPH11170962A (ja) 車両用エアバッグ制御装置
KR100353942B1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탑승자 안전성 확보장치
KR0150611B1 (ko) 자동차의 추돌 경고 브레이크 장치
KR100227379B1 (ko) 차량충돌시 재떨이 격납상태 유지장치
KR0142744B1 (ko) 자동차의 충격감지 시트이동장치
KR0151579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자동 압착장치
KR0130600B1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작동후 자동제거장치
KR0123471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471033B1 (ko) 운전자보호용자동차의시트조절장치
JPH0911827A (ja) ペダル引き込み装置
KR100447317B1 (ko) 후방이동용 시트 구조
KR200152754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벨트 풀림 억제장치
KR0181845B1 (ko) 에어백의 탑승자 보호 장치
KR950006673Y1 (ko) 차량의 후면추돌감지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KR920005586Y1 (ko)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의 작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