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382B1 - 진공 청소기용 여과백 홀더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용 여과백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382B1
KR100233382B1 KR1019970024856A KR19970024856A KR100233382B1 KR 100233382 B1 KR100233382 B1 KR 100233382B1 KR 1019970024856 A KR1019970024856 A KR 1019970024856A KR 19970024856 A KR19970024856 A KR 19970024856A KR 100233382 B1 KR100233382 B1 KR 100233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g
vacuum cleaner
holder
board member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499A (ko
Inventor
정진방
Original Assignee
정진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방 filed Critical 정진방
Priority to KR1019970024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382B1/ko
Publication of KR19990001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36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로부터 먼지등 이물질이 가득찬 여과백을 인출하는 경우, 여과백 홀더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단하여 여과백 내부에 포집된 먼지등 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용 여과백 홀더에 관한 것으로, 일정두께를 가지는 한 장의 카드보드를 동일한 형상과 넓이로 삼등분하여 절곡 중첩시키도록 하고, 그중 일등분에 2개의 절단선을 절단시켜 차단판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여과백 홀더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의 집진실내에서는 강력한 흡인력으로 외부의 공기와 함께 먼지등 각종 이물질을 흡입하여 흡입된 먼지등 각종 이물질은 포집하면서도 공기는 통과시켜 배출 되도록 하는 여과백이 비치된다.
상기 여과백은 먼지등 이물질이 걸러짐과 동시에 이를 수용하면서도 공기가 통과되도록 필터 역할을 하는 백(bag)본체에 외부로부터 공기와 먼지등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관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중앙에 개구부가 천공된 카드보드로 이루어지는 홀더가 부착되는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여과백은 진공청소기내의 집진실에 삽지되어 비치되어 사용되어 지는 것이고, 여과백 내부에 먼지등 이물질이 가득차면 이를 교체하여야 하는 것이며, 먼지등 이물질이 가득찬 여과백을 진공청소기의 집진실로부터 분리할 때 사용자의 부주의나 여과백에 가해지는 작은 충격에도 여과백 내의 먼지등 이물질이 홀더의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어 진공청소기 내부는 물론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과백을 분리할 때 많은 주의를 요할 뿐만 아니라 다시 재청소를 하여야 하는 불편이 뒤따르는 것이었으며, 특히 여과백 내에서 번식된 세균으로 인하여 인체의 건강을 해칠수도 있는 것이며, 여과백을 수거하여 폐기처리하는 이송과정에서도 이의 먼지등 이물질이 유출됨으로써 2차적인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었다.
첨부도면 제1도에는 종래의 구성을 보인 여과백이 도시되어 있고, 이의 구성은 홀더(1)본체에 구비된 삽지구(2)에 결각부(4)가 형성된 차단판(3)이 삽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여과백은 차단판(3)을 상부로 당길 때 차단판(3)이 삽지구(2)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고, 특히 결각부(4)가 곡선을 이루면서 움직이기 때문에 차단판(3)이 홀더(1)에 밀착 되어지지 않고, 결각부(4)가 삽지구(2)에 걸려 차단판(3)이 잘 당겨지지 않는 등 효과적인 차단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먼지등 이물질이 가득찬 여과백을 교체할 때 홀더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는 차단판으로 개구부를 차단하여 여과백 내부의 먼지등 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진공청소기 내부는 물론이고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용 여과백 홀더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한 장의 카드보드를 동일한 형상과 넓이로 삼등분 하여 절곡중첩 시키도록 하고, 그 중 일등분에 2개의 절단선을 절단시켜 차단판이 형성 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여과백 홀더 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전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절곡 중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제4도는 본 발명이 절곡 중첩된 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이 진공 청소기내에 삽지되는 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이 진공 청소기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여과기 홀더 10,20,30 : 보드부재
11,21,31 : 개구부 12,24 : 절단선
13 : 결각부 25,25′ : 절개부
26 : 차단판 27 : 걸림돌부
28,28′ : 접착편 29 : 걸림턱
B : 여과백 P : 흡입관
S : 삽지부
계속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전개 사시도로서, 이의 도면중 부호100은 여과백 홀더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여과백 홀더(100)는 일정두께를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한 장의 장방형으로 구비되어지는 카드보드로서 동일한 형상과 넓이로 삼등분되고 절곡부(40)(50)에 의하여 절곡중첩되어 동일하게 일치되는 원형의 개구부(11)(21)(31)가 중앙에 천공된 보드부재(10)(20)(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드 부재(10)는 개구부(11)와 절곡부(50)사이에 양단이 절단선(12)으로 절단되면서 개구부(11)의 지름보다 길게 칼금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결각부(13)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이의 결각부(13)는 후술하는 차단판이 당겨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보드부재(20)는 개구부(21)와 양단부(22)(22′)사이에 절곡부(50)로부터 끝단부(23)까지 절단선(24)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개구부(21)의 중심선에서 끝단부(23)의 가장자리 부근까지에 걸쳐 장방형의 절개부(25)(25′)를 형성시켜 중앙부와 중앙부의 양변부에 걸림돌부(27)가 구비되는 차단판(26)과 걸림턱(29)이 구비되는 접착편(28)(28′)으로 이루어지고 차단판(26)의 끝단 가장자리 부근에는 차단판(26)을 당기기에 용이하도록 손잡이 구멍(60)이 천공되어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곡부(40)상에는 차단판(26)의 끝단부(23) 너비 및 두께와 동일한 절개부(41)가 형성되어 짐과 동시에 이의 절개부(41)의 중간부에는 절개부(41)를 사이에 두고 보드부재(10) 및 보드부재(30)에 각각 반원홈(14)(31)이 구비되어 지며, 상기 절곡부(40)가 절곡중첩되어 동일하게 일치되는 반원홈(14)(32)에는 상기의 차단판(26)의 손잡이 구멍(6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홀더(100)를 여과백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절곡중첩시키는 과정 및 작동 상태를 살펴본다.
첨부도면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절곡 중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및 본 발명이 절곡중첩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써, 먼저 차단판(26)과 접착편(28)(28′)으로 이루어지는 보드부재(20)를 접착편(28)(28′)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절곡부(50)를 절곡시켜 보드부재(10)의 후면에 중첩시키면 중첩되는 차단판(26)의 개구부(21)와 손잡이구멍(60)은 각각 보드부재(10)의 개구부(11)와 일치되면서 반원홈(14)에 위치하게 되고, 접착편(28)(28′)은 보드부재(10)의 후면에 중첩 접착된다.
다음에는 접착편(28)(28′)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절곡부(40)를 절곡시켜 보드부재(30)를 중첩시키게 되면 이의 보드부재(30)와 접착편(29)(28′)이 접착되어 보드부재(10)(20)(30)들이 일체로 중첩됨과 동시에 개구부(11)(21)(31)가 일치되게 관통되고, 반원홈(14)(32)이 일치되는 사이에 차단판(26)의 구멍(60)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절곡중첩된 홀더(100)는 손잡이 구멍(60)을 잡고 위로 당기면 결각부(13)가 하나씩 절곡 되어지면서 차단판(26)이 상승하게 되고, 차단판(26)은 보드의 두께와 같은 공간으로만 이루어지는 보드부재(10)와 보드부재(30)의 사이에서만 상승되기 때문에 이탈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차단판(26)의 상승은 차단판(26)의 걸림돌부(27)가 접착편(28)(28′)의 걸림턱(29)에 걸려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정지 상태가 되면서 보드부재(10)의 개구부(11)와 보드부재(30)의 개구부(31)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절곡 중첩된 홀더(100)는 보드부재(30)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홀더(100)의 개구부(11)(21)(31)와 동일한 직경의 개구부를 가지는 여과백(B)에 접착되어 부착되는 것이다.
첨부도면의 제6도 및 제7도는 본발명 여과백 홀더(100)를 진공청소기내에 삽지 및 분리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여과백(B)에 부착된 홀더(100)를 삽지부(S)에 삽지시킨 후에 흡입관(P)이 개구부(11)(21)(31)에 삽입되어 사용되어 지고, 여과백(B)에 먼지등 이물질이 가득 차면 흡입관(P)을 개구부(11)(21)(31)로부터 이탈시킨 다음에 홀더(100)의 손잡이구멍(60)을 잡고 당기면 차단판(26)은 결각부(13)가 절곡되면서 상승되어 개구부(11)(31)를 차단하게된 상태에서 여과백(B)을 삽지부(S)에서 분리시켜 인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먼지등 이물질이 가득찬 여과백의 교체시에 여과백 내부에 포집된 먼지등 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진공청소기의 내부 및 주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백내에서 번식된 세균으로부터 인체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여과백내의 먼지등 이물질의 유출차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성이 향상되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홀더가 한 장의 카드보드로서 이루어짐으로써 조립공정이 간단하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도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여과백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진공 청소기 내부로 공기와 같이 흡입되는 먼지등 이물질중 공기는 통과시키고 먼지등 이물질을 포집하는 여과백을 청소기내의 삽지구에 삽지 지지토록 하는 여과백 홀더에 있어서, 진공청소기로부터 먼지등 이물질이 가득찬 여과백을 인출하는 경우, 홀더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단하여 여과백 내부에 포집된 먼지등 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용 여과백 홀더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1. 진공청소기의 집진실내에 삽지되며 하나의 보드부재에 절단선(12)으로 절단되면서 개구부(11)(21)(31)의 지름보다 길게 칼금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결각부(13)가 구비되고 이의 결각부(13)와 절곡 중첩되는 차단판(26)을 당김에 따라 결각부(13)가 개구부(11)(21)(31)를 차단하여 먼지등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하는 여과백 홀더에 있어서, 여과백 홀더(100)는 일정두께를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한 장의 장방형으로 구비되어 동일한 형상과 넓이로 삼등분되는 보드 부재(10)(20)(30)가 절곡중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여과백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보드부재(20)의 차단판(26)과 접착편(28)(28′)을 절곡시켜 접착편(28)(28′)을 보드부재(10)의 후면에 접착시킨 다음에 보드부재(30)를 절곡시켜 접착편(28)(28′)에 첩착시켜서 차단판(26)이 보드부재(10)와 보드부재(3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중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여과백 홀더.
KR1019970024856A 1997-06-16 1997-06-16 진공 청소기용 여과백 홀더 KR100233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856A KR100233382B1 (ko) 1997-06-16 1997-06-16 진공 청소기용 여과백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856A KR100233382B1 (ko) 1997-06-16 1997-06-16 진공 청소기용 여과백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499A KR19990001499A (ko) 1999-01-15
KR100233382B1 true KR100233382B1 (ko) 1999-12-01

Family

ID=1950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856A KR100233382B1 (ko) 1997-06-16 1997-06-16 진공 청소기용 여과백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3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5655A1 (de) * 1992-02-13 1993-08-18 WOLF GmbH Staubsaugerfilterbeutel mit Verschlies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5655A1 (de) * 1992-02-13 1993-08-18 WOLF GmbH Staubsaugerfilterbeutel mit Verschliess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499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4994B2 (en) Vacuum cleaner
KR100564450B1 (ko) 진공 청소기 집진 유니트의 장착 구조
KR100512624B1 (ko) 싸이클론 집진유닛 및 집진유닛의 필터구조
GB2178949A (en) Hand-held vacuum cleaner
JP2008295605A (ja) 電気掃除機の集塵袋及びこれを装着した電気掃除機
US20050274058A1 (en) Insect trap with removable glueboard
KR100233382B1 (ko) 진공 청소기용 여과백 홀더
EP1318746B1 (en) Dust container for a vacuum cleaner
KR102501435B1 (ko) 마스크 소독기구
JP4934486B2 (ja) 電気掃除機
JP2004154578A (ja) 真空掃除機用フィルタ
JPS6054049B2 (ja) 電気掃除機の集塵フイルタ−
KR970000472Y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종이
JP5358631B2 (ja) 電気掃除機
KR20050013694A (ko) 진공 청소기 집진 유니트의 실링 구조
JPH0811106B2 (ja) 電気掃除機
JPH0871022A (ja) 電気掃除機の集塵フィルター
KR200163429Y1 (ko) 진공청소기용여과백홀더
KR200202071Y1 (ko) 진공 청소기용 필터
KR970010416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KR200151212Y1 (ko) 재사용 가능한 청소기 필터기구
JP2003310497A (ja) フィルタ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掃除機
JPS6054050B2 (ja) 電気掃除機の集塵フイルタ−
KR970005513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JPH05184498A (ja) 電気掃除機の集塵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