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025B1 -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025B1
KR100231025B1 KR1019960036085A KR19960036085A KR100231025B1 KR 100231025 B1 KR100231025 B1 KR 100231025B1 KR 1019960036085 A KR1019960036085 A KR 1019960036085A KR 19960036085 A KR19960036085 A KR 19960036085A KR 100231025 B1 KR100231025 B1 KR 100231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oor
grill
ai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491A (ko
Inventor
방용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6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1025B1/ko
Priority to US08/850,822 priority patent/US5862673A/en
Priority to IDP971555A priority patent/ID17936A/id
Priority to JP9193963A priority patent/JPH10105210A/ja
Priority to CN97104667A priority patent/CN1101011C/zh
Priority to IT97RM000516A priority patent/IT1294253B1/it
Publication of KR1998001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팬과, 흡입구를 통해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그릴과, 토출구를 통해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도어와, 상기 흡입그릴 및 토출구도어를 개폐하도록 정,역구동하는 그릴모터 및 도어모터와, 공기조화기의 운전 및 정지신호를 입력하는 운전조작수단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운전조작수단으로부터 운전 및 정지신호가 입력되면 시간을 카운터하여 소정시간을 경과하였을 때 상기 압축기, 실내팬, 그릴모터 및 도어모터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으로, 잦은 ON/OFF에 따른 부하의 반복구동을 방지하여 소음발생을 줄임은 물론, 부하와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종래에 의한 토출구가 열린 상태에서의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에 의한 토출구가 닫힌 상태에서의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흡입구와 토출구가 닫힌 상태에서의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요구성부분의 분리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의 제어블록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그릴모터구동수단의 상세한 회로도.
제9a도 내지 제9c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흡입구 7 : 토출구
9 : 상하풍향날개 11 : 좌우풍향날개
13 : 토출구도어 21 : 도어모터
31 : 그릴모터 34 : 흡입그릴
100 : 전원수단 102 : 운전조작수단
104 : 제어수단 106 : 실내온도감지수단
108 : 도어모터구동수단 110 : 도어개폐감지수단
112 : 그릴모터구동수단 114 : 그릴개방감지수단
116 : 루버모터구동수단 118 : 상하루버모터구동부
119 : 상하루버모터 120 : 좌우루버모터구동부
121 : 좌우루버모터 122 : 압축기구동수단
124 : 팬모터구동수단 126 : 표시수단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잦은 ON/OFF에 따른 부하의 반복구동을 방지하여 상기 공기조화기를 보호하는 공기조화기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다수의 흡입구(3)가 형성된 흡입그릴부재(5)가 실내기본체(1;이하, 본체라 한다)의 전면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전면상부에는 상기 흡입구(3)을 통해 흡입되어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7)에는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상하풍향날개(9)와 좌우로 조절하는 좌우풍향날개(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7)의 내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에 도시되지 않은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원활하게 실내로 공급되도록 상기 토출구(7)를 개방시키고, 공기조화기의 운전대기중에는 상기 토출구(7)를 통해 본체(1)내부로 먼지나 이물질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구(7)를 폐쇄시키는 토출구도어(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전면에는 실내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내장물을 보호하는 커버부재(15)가 교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15)의 하측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와 운전의 시작/정지, 상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 풍향 등을 조절하는 조작부(17)가 구비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도어(13)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1)의 전면상부에 고착된 지지부재(19)와, 상기 지지부재(19)에 의해 고착되어서 상기 토출구도어(13)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기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도어모터(21)와, 상기 도어모터(21)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상기 도어모터(21)의 축(22)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23)과, 상기 피니언(23)의 회전시에 이에 연동되어 상기 토출구도어(13)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피니언(2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랙(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상하풍향날개(9)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1)의 내측에 설치된 루버모터(27; 예를 들면, 스텝핑모터)와, 상기 루버모터(27)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다수개의 상하풍향날개(9)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다수의 링크부재(2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조작부(17)를 조작하여 원하는 운전모드를 선택한 다음 운전/정지키(이하, 운전키라 한다)를 온시키면, 도어모터(21)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서 도어모터(21)의 축(22)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23)이 이에 연동되어 랙(25)을 따라 하방으로 회전되어 랙(25)과 결합된 토출구도어(13)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토출구(7)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토출구(7)의 상하부 소정위치에 부착된 도어개폐 센서에서 토출구(7)가 완전히 개방되었다고 감지되면, 도어모터(21)가 정지하면서 도시되지 않은 실내팬이 회전하여 흡입구(3)를 통해 실내공기가 본체(1)내로 흡입되고,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도시되지 않은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내에 흐르는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열교환된다.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부로 안내되어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데, 상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하풍향날개(9) 및 좌우풍향날개(11)의 풍향각도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풍향이 조절되면서 실내공기조화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상하풍향날개(9)의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방법은, 먼저 조작부(17)에 구비된 상기 상하풍향날개(9) 동작용 키를 온하면, 루버모터(27)가 구동되면서 다수의 링크부재(29)가 연동 작동하여 상하풍향날개(9)가 상하로 스윙하고, 키를 다시 온하면 루버모터(27)가 오프되면서 상하풍향날개(9)가 정지하는 동작에 따라 토출공기의 풍향을 상하로 조절하였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정상운전시에 운전키를 오프시키면, 도어모터(21)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피니언(23)이 이에 연동되어 랙(25)을 따라 상방으로 회전되어 토출구도어(13)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토출구(7)를 폐쇄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운전키의 온/오프에 따라 도어모터(21), 압축기, 실내팬 등의 부하가 무조건 구동하므로, 사용자의 실수나 또는 어린이의 장난으로 ON/OFF동작이 빈번하게 이루어질 경우에는 부하의 반복적인 구동으로 인한 소음발생은 물론, 부하의 수명이 단축되고, 나아가 제품(set)자체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잦은 ON/OFF에 따른 부하의 반복구동을 방지하여 소음발생을 줄임은 물론, 부하와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팬과, 흡입구를 통해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그릴과, 토출구를 통해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도어와, 상기 흡입그릴 및 토출구도어를 개폐하도록 정,역구동하는 그릴모터 및 도어모터와, 공기조화기의 운전 및 정지신호를 입력하는 운전조작수단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운전조작수단으로부터 운전 및 정지신호가 입력되면 시간을 카운터하여 소정시간을 경과하였을 때 상기 압축기, 실내팬, 그릴모터 및 도어모터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은, 운전조작수단으로부터 운전 및 정지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신호판별단계와, 상기 신호판별단계에서 운전 및 정지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별되면 신호입력시간을 카운터하여 소정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는 시간판별단계와, 상기 시간판별단계에서 신호입력시간이 소정시간을 경과하였다고 판별되면 그릴모터 및 도어모터를 정,역구동하여 흡입그릴 및 토출구도어를 개폐하는 흡입구/토출구개폐단계와, 상기 시간판별단계에서 신호입력시간이 소정시간을 경과하였다고 판별되면 압축기 및 실내팬을 온/오프 구동하여 공조운전을 온/오프하는 운전 온/오프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명기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하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에 흡입구(3)를 통해 실내공기가 원활하게 흡입되도록 상기 흡입구(3)를 개방시키고, 공기조화기의 운전대기중(비가동시)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본체(1)내부로 먼지나 이물질등이 유입도지 않도록함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위하여 상기 흡입구(3)를 폐쇄시키는 개폐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은(30)은 그릴모터(31)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피니언(32)과, 상기 피니언(32)의 일측에 기어 물림되어 상기 피니언(3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하로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드부재(33)와, 상기 슬라이드부재(33)가 직선운동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운동하여 상기 흡입구(3)를 개폐시키는 복수개의 흡입그릴(34)과, 상기 흡입그릴(34)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그릴(34)을 회전가능케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그릴(34)이 개폐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개폐수단(30)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시키도록 일자형상의 열교환기(3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37)의 상부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37)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도록 실내팬모터(39)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블로워팬(41;이하, 실내팬이라 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내팬(41)의 외측에는 상기 실내팬(41)을 카바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토출구(7)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부재(43)가 설치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그릴(34)의 양측에는 상기 흡입그릴(34)을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힌지축(34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34a)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33)의 일측에 형성된 슬롯홈(33a)에 의해 회전되는 돌기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35)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그릴(34)의 힌지축(34a)이 회전가능케 고정되는 고정홈(3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35a)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브재(33)가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돌기부(34b)가 회전운동하도록 원호를 이루는 가이드홀(3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부재(33)의 일측에는 상기 피니언(32)과 기어물림 되도록 기어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에서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회로블록도를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수단(100)은 교류전원단(101)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운전조작수단(102)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와 상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강풍, 약풍, 미풍 등) 및 희망온도(Ts;이하, 설정온도라 한다)를 선택하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함은 물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작신호 및 운전정지신호를 입력하도록 운전/정지키(이하, 운전키라 한다)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104)은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써, 이 제어수단(104)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시작/운전정지신호에 따라 상기 토출구도어(13)를 개폐하는 도어모터(21) 및 흡입그릴(34)을 개폐하는 그릴모터(31)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그릴모터(31)의 닫힘구동시간을 카운터하여 상기 흡입그릴(34)의 폐쇄동작을 제어한다.
실내온도 감지수단(106)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로 실내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공조운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r)를 감지하고, 도어모터구동수단(108)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한 운전시작신호 및 운전정지신호의 입력시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토출구(7)를 개폐하는 토출구도어(13)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도어모터(21)를 구동제어한다.
또한, 도어개폐 감지수단(110)은 상기 도어모터구동수단(108)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토출구도어(13)의 개폐위치에 따라 상기 토출구(7)가 개폐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그릴모터구동수단(112)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한 운전시작신호 및 운전정지신호의 입력시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흡입구(3)를 개폐하는 흡입그릴(34)을 이동시키도록 그릴모터(31)를 구동제어하는 것으로써, 이 그릴모터구동수단(112)은 상기 제어수단(104)의 출력단자(P1, P2)로부터 출력되는 하이레벨의 열림 및 닫힘제어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C(113)와, 상기 인버터IC(113)에 의해 반전된 로우레벨의 열림제어신호 출력시에 상기 그릴모터(31)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전원수단(5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12V)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릴레이(RY1)와 상기 인버터IC(113)에 의해 반전된 로우레벨의 닫힘제어신호 출력시에 상기 그릴모터(31)가 역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전원수단(5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12V)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릴레이(RY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릴개방감지수단(114)은 상기 그릴모터(31)의 구동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33)의 상승위치에 따라 상기 흡입그릴(34)이 흡입구(3)를 개방하였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또, 루버모터구동수단(116)은 상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방안 전체에 골고루 확산되도록 토출공기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조절하는 것으로써, 이 루버모터구동수단(116)은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하풍향날개(9)가 상·하향으로 이동하도록 상하루버모터(119)를 구동하는 상하루버모터구동부(118)와,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좌우풍향날개(11)가 좌우로 이동하도록 좌우루버모터(121)를 구동하는 좌우루버모터구동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구동수단(122)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 및 상기 실내온도 감지수단(106)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압축기(123)를 구동제어하고, 팬모터구동수단(124)은 상기 열교환기(37)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송풍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실내팬모터(39)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41)을 구동시킨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표시수단(126)은 상기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선택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와 설정온도(Ts) 및 실내온도(Tr)를 표시함은 물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9a도 내지 제9c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써, 제9a도 내지 제9c도에서 S는 스텝(SEEP)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동작설명을 위한 초기조건으로서 흡입구(3)와 토출구(7)는 폐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수단(100)에서는 교류전원단(101)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 및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S1에서는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어수단(104)에서 입력받아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운전조작수단(102)을 조작하여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와 설정온도(Ts)를 입력한다음 운전키를 누르면,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으로부터 운전선택신호 및 운전시작신호(이하, 운전신호라 한다)가 제어수단(104)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스텝S2에서 제어수단(104)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으로부터 운전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운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공기조화기를 운전대기상태로 유지하면서 스텝S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2에서의 판별결과, 운전신호가 입력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3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내장되어 있는 타이머에 의해 운전신호가 입력된 시간을 카운터한다.
이때, 스텝S4에서는 상기 제어수단(104)에서 카운터한 시간이 소정시간(부하의 빈번한 ON/OFF구동을 방지하기위한 최소시간, 약3초)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3으로 복귀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스텝S3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4에서의 판별결과,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운전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된 상태라고 판단하여 스텝S5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폐쇄되어 있는 흡입구(3)을 개방하도록 출력단자(P1)를 통해 하이레벨(High level)의 제어신호를 그릴모터구동수단(112)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04)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하이레벨(High level)의 열림제어신호가 인버터IC(113)를 통해 로우레벨(Low level)로 반전되고,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12V)에 의해 릴레이(RY1)가 구동하여 릴레이(RY1)의 접점(RY1c)이 폐쇄된다.
상기 릴레이(RY1)의 접점(RY1c)이 폐쇄되면 스텝S6에서는 교류전원단(101)으로부터 교류전압이 그릴모터(31)의 권선(31a)에 인가되어 상기 그릴모터(31)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서 그릴모터(31)의 축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32)이 회전되고, 상기 피니언(32)의 일측에 기어물림된 슬라이드부재(33)가 상승되고, 슬라이드부재(33)가 상승됨에 따라 슬라이드부재(33)의 일측에 일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슬롯홈(33a)이 상승하고, 상기 슬롯홈(33a)이 상승됨에 따라 흡입그릴(34)의 돌기부(34b)가 원호형상을 한 가이드홀(35b)의 안내를 받아 회전운동되고, 상기 돌기부(34b)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34a)은 고정홈(35a)에 고정되어 축을 이룸에 따라 상기 흡입그릴(34)이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흡입구(3)을 개방시킨다.
그리고, 스텝S7에서 제어수단(104)은 폐쇄되어 있는 토출구(7)를 개방하기위한 제어신호를 도어모터구동수단(108)에 출력한다.
따라서, 도어모터구동수단(108)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도어모터(21)를 구동시킴으로써 도어모터(21)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서 도어모터(21)의 축(22)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23)이 이에 연동되어 랙(25)을 따라 하방으로 회전되어 랙(25)과 결합된 토출구도어(13)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토출구(7)를 개방시킨다.
이때, 스텝S8에서는 상기 도어모터(21)의 구동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된 토출구도어(13)의 위치를 도어개폐감지수단(110)에서 감지하고, 상기 그릴모터(31)의 구동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33)의 상승위치를 그릴개방감지수단(114)에서 감지한다.
따라서, 제어수단(104)에서는 상기 도어개폐감지수단(110) 및 그릴개방감지수단(114)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이 열렸는지를 판별하여,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이 열리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6으로 복귀하여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이 열릴때까지 도어모터(21)와 그릴모터(31)를 계속해서 구동시킨다.
상기 스텝S8에서의 판별결과,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이 열린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9로 나아가서 도어모터구동수단(108)은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도어모터(21)의 구동을 정지시켜 토출구도어(13)의 열림동작을 완료한다.
그리고, 그릴모터구동수단(112)은 제어수단(104)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로우레벨의 열림제어신호에 따라 그릴모터(31)의 구동을 정지시켜 흡입그릴(34)의 열림동작을 완료한다.
이어서, 스텝S10에서 팬모터구동수단(124)은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실내팬모터(39)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41)을 구동시킨다.
상기 실내팬(41)이 구동하면, 흡입구(3)을 통해 실내공기가 본체(1)로 흡입되기 시작하는데, 이때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r)를 실내온도감지수단(106)에서 감지한다.
이에 따라, 스텝S11에서는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106)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와 운전조작수단(102)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를 비교하여 압축기(123)의 구동조건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압축기(123)의 구동조건이라 함은, 냉방운전시에는 실내온도감지수단(106)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보다 큰 경우이고, 난방운전시에는 상기 실내온도 감지수단(106)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보다 작은 경우를 말한다.
상기 스텝S11에서의 판별결과, 압축기(123)의 구동조건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0으로 복귀하여 계속해서 실내온도(Tr)를 감지하면서 스텝S1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압축기(123)의 구동조건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12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실내온도(Tr)와 설정온도(Ts)의 차에 따라 압축기(123)의 운전주파수를 결정하여 압축기(123)를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122)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구동수단(122)에서는 제어수단(104)에서 결정된 운전주파수에 따라 압축기(123)를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123)가 구동되면, 스텝S13에서는 실내팬(41)이 구동되면서 흡입구(3)를 통해 실내공기가 본체(1)내로 흡입되고,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열교환기(37)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37)내에 흐르는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된다.
상기 열교환기(37)에서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된 공기는 상부로 이동되어 토출구(7)에 회동가능케 설치된 풍향상하조절판(9) 및 풍향좌우조절판(11)의 풍향각도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풍향이 조절되면서 실내공기조화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정상운전시에, 스텝S14에서는 운전조작수단(102)의 운전키가 오프되어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3으로 복귀하여 정상운전을 계속해서 수행하면서 스텝S13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2에서의 판별결과, 정상운전중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15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된 시간을 카운터한다.
이때, 스텝S16에서는 상기 제어수단(104)에서 카운터한 시간이 소정시간(약, 3초)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5로 복귀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스텝S15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6에서의 판별결과,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운전정지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된 상태라고 판단하여 스텝S17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압축기(123)와 실내팬모터(39)를 정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122)과 팬모터구동수단(124)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구동수단(122)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123)를 정지시키고, 팬모터구동수단(124)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실내팬모터(39)를 정지시켜 실내팬(41)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어서, 스텝S18에서 제어수단(104)은 개방되어 있는 흡입구(3)를 폐쇄하도록 출력단자(P2)를 통해 하이레벨(High level)의 제어신호를 그릴모터구동수단(112)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04)의 출력단자(P2)로부터 출력되는 하이레벨(High level)로 반전되고,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12V)에 의해 릴레이(RY2)가 구동하여 릴레이(LY2)의 접점(RY2c)이 폐쇄된다.
상기 릴레이(RY2)의 접점(RY2c)이 폐쇄되면, 스텝S19에서는 교류전원단(101)으로부터 교류전압이 그릴모터(31)의 권선(31b)에 인가되어 상기 그릴모터(31)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그릴모터(31)의 축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32)이 역회전되고, 상기 피니언(32)의 일측에 기어물림된 슬라이드부재(33)가 하강되고, 슬라이드부재(33)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33)의 일측에 일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슬롯홈(33a)이 하강하고, 상기 슬롯홈(33a)이 하강함에 따라 흡입그릴(34)의 돌기부(34b)가 원호형상을 한 가이드홀(35b)의 안내를 받아 회전운동되고, 상기 돌기부(34b)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34a)은 고정홈(35a)에 고정되어 축을 이룸에 따라 상기 흡입그릴(34)이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흡입구(3)을 폐쇄시킨다.
이때, 스텝S20에서는 상기 그릴모터(31)의 닫힘구동시간을 제어수단(104)에서 카운터하여 소정시간(흡입그릴이 닫히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실험을 통해 산출한 데이터, 약 11.5초)가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9로 복귀하여 흡입그릴(34)이 닫힐때까지 그릴모터(31)를 계속해서 구동시킨다.
상기 스텝S20에서의 판별결과,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흡입그릴(34)이 완전히 닫힌 상태라고 판단하여 스텝S21로 나아가서 그릴모터구동수단(110)은 제어수단(104)의 출력단자(P2)로부터 출력되는 로우레벨의 닫힘제어신호에 따라 그릴모터(31)의 구동을 정지시켜 흡입그릴(34)의 닫힘동작을 완료한다.
이어서, 스텝S22에서 제어수단(104)은 개방되어 있는 토출구(7)를 폐쇄하기위한 제어신호를 도어모터구동수단(108)에 출력한다.
따라서, 도어모터구동수단(108)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도어모터(21)를 구동시킴으로써 도어모터(21)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도어모터(21)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도어모터(21)의 축(22)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23)이 이에 연동되어 랙(25)을 따라 상방으로 회전되어 랙(25)과 결합된 토출구도어(13)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토출구(7)를 폐쇄시킨다.
이때, 스텝S23에서는 상기 도어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된 토출구도어(13)의 위치를 도어개폐감지수단(110)에서 감지하고, 제어수단(104)에서는 도어개폐감지수단(11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토출구도어(13)가 닫혔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23에서의 판별결과, 토출구도어(13)가 닫히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22로 복귀하여 토출구도어(13)가 완전히 닫힐때까지 도어모터(21)를 계속해서 구동시키고, 토출구도어(13)가 닫힌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24로 나아가서 도어모터구동수단(108)은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도어모터(21)의 구동을 정지시켜 토출구도어(13)의 닫힘동작을 완료한다.
한편, 상기 스텝S19~스텝S21에서의 그릴모터(31)구동과 상기 스텝S22~스텝S24에서의 도어모터(21) 구동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나, 설명하기 용이하게 편의상 임의의 순서를 부여한 것이다.
이어서, 스텝S25에서 제어수단(104)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운전신호가 다시 입력될때까지 공기조화기를 운전대기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스텝S2로 복귀하여 스텝S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잦은 ON/OFF에 따른 부하의 반복구동을 방지하여 소음발생을 줄임은 물론, 부하와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공기를 열고환시키도록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구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회전하는 실내팬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정,역구동하여 흡입그릴을 개폐시키는 그릴모터와, 상기 토출구를 통해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정, 역구동하여 토출구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모터와, 공기조화기의 운전 및 정지신호를 입력하는 운전조작수단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운전조작수단으로부터 운전 및 정지신호가 입력되면 시간을 카운터하여 1∼5초 경과하였을 때 상기 압축기, 실내팬, 그릴모터 및 도어모터를 구동순서에 따라 온/오프시키는 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2. 운전조작수단으로부터 운전 및 정지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신호판별단계와, 상기 신호판별단계에서 운전 및 정지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별되면 신호입력시간을 카운터하여 1∼5초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는 시간판별단계와, 상기 시간판별단계에서 신호입력시간이 1∼5초 경과하였다고 판별되면 그릴모터 및 도어모터를 정,역구동하여 흡입그릴 및 토출구도어를 개폐하는 흡입구/토출구개폐단계와, 상기 시간판별단계에서 신호입력시간이 1∼5초 경과하였다고 판별되면 압축기 및 실내팬을 온/오프 구동하여 공조운전을 온/오프하는 운전온/오프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19960036085A 1996-08-28 1996-08-28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1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085A KR100231025B1 (ko) 1996-08-28 1996-08-28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08/850,822 US5862673A (en) 1996-08-28 1997-05-02 Operational control apparatus for home applianc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IDP971555A ID17936A (id) 1996-08-28 1997-05-12 Alat kontrol operasional untuk alat-alat rumah tangga dan metoda kerjanya
JP9193963A JPH10105210A (ja) 1996-08-28 1997-07-18 家電機器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97104667A CN1101011C (zh) 1996-08-28 1997-07-29 家用设备的运行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IT97RM000516A IT1294253B1 (it) 1996-08-28 1997-08-25 Apparecchio di controllo operativo per applicazioni domestiche e metodo di controllo per ess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085A KR100231025B1 (ko) 1996-08-28 1996-08-28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491A KR19980016491A (ko) 1998-06-05
KR100231025B1 true KR100231025B1 (ko) 1999-11-15

Family

ID=1947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085A KR100231025B1 (ko) 1996-08-28 1996-08-28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62673A (ko)
JP (1) JPH10105210A (ko)
KR (1) KR100231025B1 (ko)
CN (1) CN1101011C (ko)
ID (1) ID17936A (ko)
IT (1) IT12942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849B1 (ko) 2003-04-30 2008-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외기용 루버 블레이드의 공운전장치 및 방법
KR101541916B1 (ko) * 2009-02-03 2015-08-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압축기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618B1 (ko) * 2008-03-07 201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CN102245585B (zh) 2008-12-15 2014-12-17 帝人株式会社 环状碳化二亚胺化合物
KR102611095B1 (ko) * 2022-01-20 2023-12-07 주식회사 제이디앤티 기화식 가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2633A (en) * 1966-06-13 1969-01-21 Motor Wheel Corp Delayed restarting circuit for compressor motor
US3785165A (en) * 1972-03-15 1974-01-15 E Valenzuela Air conditioner control
US4232819A (en) * 1978-07-10 1980-11-11 Sentry Controls, Inc. Control system for environmental apparatus
CN85202473U (zh) * 1985-06-23 1986-10-22 徐钦铮 电视机单钮遥控器
CN2053270U (zh) * 1989-09-04 1990-02-21 刘异德 吊扇自然风定时遥控器
CN2107094U (zh) * 1991-07-19 1992-06-10 李冀增 多功能电视机遥控器
CN2147458Y (zh) * 1993-02-22 1993-11-24 顾竹进 空调遥控定时保护器
JPH07164867A (ja) * 1993-12-16 1995-06-27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用空調装置の制御装置
US5486725A (en) * 1993-12-27 1996-01-23 Keizer; Daniel J. Security power interrup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849B1 (ko) 2003-04-30 2008-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외기용 루버 블레이드의 공운전장치 및 방법
KR101541916B1 (ko) * 2009-02-03 2015-08-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압축기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94253B1 (it) 1999-03-24
CN1101011C (zh) 2003-02-05
KR19980016491A (ko) 1998-06-05
ID17936A (id) 1998-02-12
ITRM970516A1 (it) 1999-02-25
JPH10105210A (ja) 1998-04-24
US5862673A (en) 1999-01-26
CN1175016A (zh) 1998-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588B1 (ko) 공기조화기의 개폐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194896B2 (ja) 空気調和機の開閉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0168265B1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115260B2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197683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231025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87273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00261695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25647B1 (ko) 공기조화기의 개폐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97724B1 (ko) 공기조화기의 습도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0182578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82579B1 (ko) 공기조화기의 풍량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197707B1 (ko) 공기조화기의 개폐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97693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00197722B1 (ko)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7721B1 (ko) 공기조화기의 습도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225630B1 (ko) 공기조화기의 풍량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91524B1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82580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00187279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97727B1 (ko) 공기조화기의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82554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82574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개폐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187272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72981A (ko) 공기조화기의 풍량조절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