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122B1 - 재단기에 있어서 피재단재의 이상검출장치(被載斷材 異常檢出裝置) - Google Patents

재단기에 있어서 피재단재의 이상검출장치(被載斷材 異常檢出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122B1
KR100229122B1 KR1019920015136A KR920015136A KR100229122B1 KR 100229122 B1 KR100229122 B1 KR 100229122B1 KR 1019920015136 A KR1019920015136 A KR 1019920015136A KR 920015136 A KR920015136 A KR 920015136A KR 100229122 B1 KR100229122 B1 KR 100229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cutting
cut
abnormality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치 이마이
도시로오 오오찌
Original Assignee
시마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28249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90506B2/ja
Application filed by 시마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시마 마사히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122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상편에 재단지지면을 형성한 재치대에 피재단재를 올려 놓아 고정하고, 재단지지며의 상부에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자재로 되는 캇타나이프를 배치하고, 상기 재단지지면상에 재치한 피절단재를 캇타나이프로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해가면서 재단지지면의 길이방향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향하여 이동하도록 한 재단기에 있어서, 피재단재의 재단시에 하면이 피절단재의 상면에 당접하는 캇타나이프를 승감습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나이프 지지체를 설하고, 이 나이프지지체에 또는 나이프지지체의 외주근방부에 적어도 캇타나이프의 재단진행방향 하수측의 생지의 볼록부를 검출하는 이상검출기를 설함과 아울러 이상검출기는 상·하로 변위하는 가동부재와 이 가동부재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지부재와로 이루어지는 피재단재의 이상검출 장치이다.

Description

재단기에 있어서 피재단재의 이상검출장치(被栽斷材 異常檢出裝置)
제 1 도는 실시예 1 에 관한 재단기의 개략사시도
제 2 도는 실시예 1 에 관한 재단기의 개략측면도
제 3 도는 실시예 1 에 관한 캇타장치부분 개략측면도
제 4 도는 실시예 1 에 관한 캇타장치부분 개략정면도
제 5 도는 실시예 1 에 관한 요부분해 사시도
제 6 도는 실시예 2 에 관한 캇타장치부분 개략측면도
제 7 도는 실시예 2 에 관한 캇타장치부분 개략정면도
제 8 도는 실시예 2 에 관한 캇타장치부분 개략 횡단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흡인박스 4 : 재단지지면
5 : 강모체 6 : 피재단재
7 : 흡인덕트 8 : 흡인장치
9 : 흡인식재치대 10 : 캇타장치
12 : X측 방향이동부 15 : 치차
16 : 이동용나이프 부착 벨트 18 : 전동모터
19 : 출력축 20 : 구동용 나이프 부착벨트
21 : 캇타 22 : 가이드 브릿지
24 : 기진수단(起塵手段) 25 : 재단 나이프 방향제어부
27 : 나이프지지체 29 : 가동부재
30 : 검지부태 31 : 환상부
32 : 습동안내부 33 : 접촉판부
34 : 스프링계합부 36 : 인장스프링
38 : 긴 구멍 39 : 브라켓
40 : 롯드 45 : 지지프레임
46 : 브라켓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재단 지지면에 재치된 피재단재를 캇타나이프로 소망하는 형상으로 재단할 때에 피재단재의 비정상적인 볼록부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치로서는 특공소55-4535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찌그러짐이 있는 장소를 재단할 경우와 찌그러짐이 없는 장소를 재단할 경우에는 캇타나이프에 작용하는 하중이 다르고, 이 하중의 변동에 따라 캇타나이프이 탄성변형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캇타나이프의 탄성변형에 의해 찌그러짐과 이상현상을 검출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되어왔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것에는 이상이 있는 피재단재 부분을 캇타나이프로 재단하고, 캇타나이프가 탄성변형 하므로써 비로써 이상이 있는 것을 절단해야만 이상이 검출된다는 점에서 이상이 있는 피재단재부분을 미연에 보정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단 이상이 검출하면 그 부분에서 재단한 피재단재는 사용할 수가 없으므로 회수율이 악화되고 생산성도 저하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그때문에 재단코스트와 재단된 피재단재의 가격이 급등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면에 재단지지면(裁斷支持面)을 형성한 재치대에 피재단재를 재치하여 고정하고, 재단지지면의 상부에 임의방향으로 자유로이 되는 캇타나이프를 배치하고, 상기 재단지지면상에 재치한 피절단재를 캇타나이프로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하면서 재단지지면의 길이 방향의 일방향으로 부터 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한 재단기로서, 피재단재의 재단시에 하면이 피절단재의 상면에 당접하는 캇타나이프을 승강습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나이프지지체(刀支持體)를 설치하고, 이 나이프지지체에 또는 나이프지지체 외주근방 부분에 적어도 캇타나이프의 재단진행방향 하수측(下手側)의 생지(生地)가 불룩올라옴을 검출하는 이상검출기를 설함과 어울러, 이상검출기는 상, 하로 변위하는 가동부재(可動部材)와, 이 가동부재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지부재와로 이루어지는 피재단재의 이상검출장치가 제공된다.
이 이상검출장치에서 이상검출기의 가동부재(可動部材)와 캇타나이프을 승강습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나이프 지지체로 구성한다.
또한 이상검출기의 가동부재를 나이프지지체의 외주근방부에서 상·하승강가능한 환상부재(環狀部材)로 형성할 경우도 있다.
또한, 이상검출기의 검지부재를 가동부재의 변위를 검출하는 로터리엔코더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검출기의 검지부재는 가동부재가 변위한때에 당접부재로 당접하여 도통하는 접촉식 검지부재인 것도 있다.
본 발명상의 제1실시예를 이하에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흡인식 재치대의 시-일장치를 구비한 재단기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그 측면도이고 그림중 부호1는 재단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이 재단기1는 , 배이스 프래임(base frame)2 상에 수평배치된 3개의 흡인박스3·3·3와 이 흡인박스 3위를 엔들레스로 주행하도록 배치하고, 흡인박스 3·3·3위에 재단지지면 4를 형성하는 강모체(剛毛體)5와, 상기 흡인박스 3·3·3에 의해 재단지지면 4위에 편포(遍布)와 편지(編地)등의 피재단재6를 고정하는 흡인력을 생기게 하는 흡인덕트7 및 흡인장치 8과로 형성된 흡인식 재치대9와 상기 재단지지면4의 상부에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자유롭도록 배치한 캇타장치10와로 구성된다.
상기 흡인박스 3·3·3은 재단의 유효스패이스의 길이와 폭에 합치게 한 네모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인박스 3·3·3의 폭방향 양측에는 엔들레스 체인이 배이스프래임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양측 체인의 외주에 양단이 양 체인으로 지지된 다수의 받이판이 고정되어 특공소63-28759호 공보외에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알려진 구조로 된 무한궤도상의 콘베이어를 형성하고, 각 받이판의 상면에 상기 강모체5가 나란히 되게 재단지지면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캇타장치10는 X축 방향이동부 12와 Y 축 방향구동부 13로 되고, X축 방향이동부 12는 흡인식 재치대 9의 길이방향으로 된 양단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치차 14·15에 걸쳐 이동용 나이프가 부착된 벨트16을 말아감고, 이 이동용 나이프 부착벨트 16의 일부에 블럭17의 하단부분을 연결함과 아울러 이동용 나이프 부착벨트 16가 감겨진 일단측의 치차 15와 전동모터(구도용 모터)18의 출력축 19과를 구동용 나이프 부착벨트 20로 연결하여 구성하며, 상기 구동용 모터 18의 회전방향과 속도를 제어함에 의해 이동용 나이프 부착벨트16 및 구동용 나이프 부착밸트 20에 의하여 캇타나이프 21이 X축방향, 즉 흡인식 재치대 9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Y축 방향구동부 13는 상기 흡인식 재치대 9의 폭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는 양 X축 방향 이동부 12·12 사이에 걸쳐 가이드 브릿지 22를 가설하며, Y축 방향구동용 모터(도시안됨)에 의해 캇타나이프21을 지지하는 프래임 23이 이 가이드 브릿지 22에 안내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제3도 참조)
캇타나이프 21에는 제3도및 제 4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단에 설치한 기진수단(起塵手段)24에 의해 상하고 진동되고, 기진수단24의 아랫쪽에 캇타나이프 21의 자르는 나이프부분이 항상 재단되는 방향이 되도록 제어하는 나이프방향 제어부25가 설치됨과 아울러, 나이프방향 제어부25가 또한 아랫쪽에는 캇타나이프21을 승강습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캇타나이프21이 피재단재를 재단할때에 그 하면이 피절단재6의 상면에 당접하는 나이프지지체27가 설치된다.
이 나이프 지지체27는 캇타장치10의 케이싱26에 입설된 가이드롯드 49·49의 기진수단24의 아랫쪽에 습동블럭50을 승강가능하게 배설하고 이 습동블럭 50에 나이프지지체27의 상단부를 지지시킨 것으로 그림외의 에어실린더로 기진수단24와 함께 승간조직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나이프지지체27의 외주에는 캇타나이프21의 재단진행방향의 하수측(下手側)의 생지(피재단재)6의 이상현상인 볼록부(盛上)를 검출하는 이상검출기 28가 설치된다. 이 이상검출기 28는 상하방향으로 변위하는 가동부재 29와 이 가동부재 29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지부재 30와로 이루어진다.
가동부재 29는 제3도내지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판으로 도우넛형상으로 형성된 환상부 31의 한쪽을 접어올리고, 습동안내부 32와, 대략 수평면의 접촉판부 33와, 스프링계합부 34와로 형성되며, 습동안내부 32는 지지프래임45로부터 수직으로 내려온 브라켓 46을 승강습동하는 리니어 베아링 47에 피스 48로 고정되고, 스프링 계합부 34와 나이프지지체 27측의 고정부분에 나착되는 스프링받이 피스 35와의 사이에 장설된 장력이 약한 인장스프링 36의 장력으로 가동부재 29가 아랫쪽으로 눌리워 부세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검지부재 30도 또한 제 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29의 윗쪽으로 피스 37와 긴구멍38과에 의해 상하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나이프지지체 27측의 고정부분에 취부된 브라켓 39와 이 브라켓 39에 나착된 침(鍼)상의 롯드40으로 되고, 이롯드 40과 가동부재 29의 접촉판부 33과의 사이의 간격 41의 미세한 조절은 브라켓 39와 롯드 40와의 나사감합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재단기에서의 피재단재의 이상검출장치는 먼저, 흡인박스 3·3·3위에 강모체 5군에 의해 형성된 재단지지면 6위에 제1도의 상측, 우측으로부터 연반기(延反耭)에 의해 소정의 매수를 적층한 상태의 편포등의 생지(피재단재)6를 공급한다.
이 때, 흡인박스 3·3·3의 흡인작용은 정지한 상태로 하고 그림외의 체인이 구동되면 강모체5를 취부한 받이판이 흡인박스 3·3·3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며, 재단지지면 4위의 재단유효 스패이스에 생지 6가 이송된다.
이와같이 하여 재단의 유효 스패이스위에 공급된 포백(布帛)6은 흡인박스 3·3·3에 흡인력이 작용되면 재단지지면 4위에 확실히 흡인고정된다.
다음, 나이프지지체 27의 하면이 생지 6의 상면에 당접하는 상태로 하고, 생지 6가 볼록부를 만들면 이상검출기 28의 가동부재 29가 상승하고, 가동부재 29가 검지부재 30에 당접하여 도통상태(道通狀態)로 될 때의 접촉판부 33와 검지부재 30의 롯드 40과의 사이 41를 설정한다. 이때 피재단재 6가 나이프지지체 27의 누름압력에 의한 내려않음등을 고려해야 한다.
그런후, 캇타장치10를 작동시켜서 포백6을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시켜가면, 캇타장치10은 구동모터 18의 구동에 의해 구동용 나이프 부착벨트 20와 이동용 나이프부착 벨트 16에 의해 X축 방향(그림 좌상으로부터 우측방향)에 소정의 속도로 이동한다.
그리고 예컨데 캇타나이프21의 재단진행방향의 하수측에 적층된 생지 6의 내부에 찌그러짐과 이중접힘 등에 의한 제 4도의 상상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지 6의 표면 6a에 볼록 올라옴 A가 있으면, 이 볼록부 A에서 이상검출기 28의 가동부재 29가 인장스프링 36의 장력에 대항하여 밀려올라가고, 밀려올라간 가동부재 29의 접촉판부 33의 상면과 검지부재 30의 롯드 40의 하단부와가 당접하여 도통상태로 되고, 생지 6에 이상이 있으면 그 부분이 재단되기 전에 검출한다.
이 이상검출에 기하여 경보를 울리기도 하고 재단기1를 정지시키기도 함에 의해 이상부분이 재단되기 전에 고쳐지기도 하는 조치가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재단중에 캇타나이프 21가 마모되어 절단상태가 나빠지기도 하면, 접혀지기도 하여 생지 6가 충분히 잘려지지 못하고 그 일부에 주름 또는 찌그러짐이 생기기도 하고 접혀지기도 하여, 볼록부 A가 발생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하여 이상검출기28의 가동부재29가 인장스프링 36의 장력에 대항하여 밀려올라가고, 밀려올라간 가동부재 29의 접촉판부 33의 상면과 검지부재 30의 롯드 40의 하단부와가 당접하여 도통상태로 되며, 생지 6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출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시시예에서는 이상검출기 28의 가동부재 31를 환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와같이 한 형상에 한하지 않고 요컨데 캇타나이프의 진행방향 하수측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는 형상, 예컨데 캇타나이프의 진행방향으로 따라가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하에 본 발명상의 또다른 제2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 관한 재단기에서의 피재단재의 이상검출장치는 상기 실시예1의 이상검출기 28부분을 제 6도내지 제8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변경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이상검출기28는 상·하방향으로 변위하는 가동부재를 나이프지지체27로 형성하고, 나이프지지체27의 변이량을 검출하기 위해 나이프지지체27를 지지하는 습동블럭50으로부터 측면에서 볼때"L"자상의 브라켓 53을 늘여나오게 하고, 이 브라켓 53의 회전축의 피니언기어55에 치합하는 랙크 56를 케이싱 26에 고착하여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상검출장치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하면 상기 실시예1과 같이, 먼저 재단지지면6위에 연반기에 의해 소정의 매수를 적층한상태의 편포(編布)등의 생지(피재단재)6가 공급되며, 흡인박스 3·3·3에 흡인력이 작용되면 재단지지면 4위에 확고히 흡인고정된다.
다음, 나이프지지체27의 아랫면이 생지6의 상면에 당접하는 상태로 하강케 하고, 캇타장치10을 작동시켜 포백6을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하여 간다.
이 때 예컨대 캇타나이프 21의 재단진행방향의 하수측에 적층된 생지 6의 내부에 찌그러짐과 이중접힘등에 의해 제7도의 상상선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생지 6의 표면 6a에 볼록부 A가 생기면, 이 볼록부 A로 이상검출기 28의 나이프지지체 27가 밀려 올려진다. 그렇게 되면 나이프지지체 27의 상승에 따라 로타리엔코더 54의 피니언 기어 55와 이에 치합하는 랙크 56와의 사이에 상대이동이 발생되고, 피니언기어55가 회전되어 상대이동량 신호가 그림외의 제어장치에 출력된다.
이와같이 하여 제어장치에 출력된 상대이동량 신호가 소정의 값(예컨데 생지 6의 표면에 생기는 미세한 요철에 따른 상대이동량 신호값)을 넘을 때에는 이상이 생긴것이라고 판단한다. 이와같이 하여 생지 6의 이상부분이 재단되기 전에 검출한다.
이 이상검출에 기하여 경보를 올리기도 하고, 재단기 1를 정지시키기도 하여 이상부분이 재단되기 전에 고쳐지는 등의 조치가 행해진다.
또한, 재단중에 캇타나이프21이 마모되어 나이프상태가 나빠지기도 하고, 접혀지기도 하여 생지6가 충분히 잘려지지 않고 그 일부에 찌그러짐, 주름등이 생기기도 하며 접히기도 하여 볼록부 A가 발생되는 경우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이상검출기28의 가동부재 29가 상승하면 로타리 엔코더54의 피니언기어55가 회전되어 상대이동량 신호가 그림외의 제어장치에 출력된다.
이와같이 하여 제어장치에 출력된 상대이동략 신호가 소정의 값(예컨데 생지 6의 표면에 생긴 가느다란 요철에 의한 상대이동량 신호치)을 넘은 때에는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며, 생지6의 이상부분을 재단되기 전에 검출하는 것은 상기 실시예와 같다.
한편, 상기 실시예1에서는 이상검출기 28를 피재단재 6의 볼록부 A에 의해 가동부재 29가 상승한 때에 이것이 접촉식 검지부재 30로 검출되도록 하고 있으며, 접촉식 검지부재 30를 리밋트 스윗치에 의해 할 수도 있고, 또한 초음파에 의한 거리센서로 이상검출기 28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이상검출기 28를, 가동부재 29를 나이프지지체 27로 형성하고, 나이프지지체 27에 로타리엔코더 54를 고정설치하며, 로타리엔코더 54의 회전축의 피니언기어 55에 치합하는 랙크 56를 케이싱 26에 고착시켜 피니언기어 55와 랙크 56와의 사이의 상대이동으로 이상을 검출하도록 하는데, 이에 대신하여 나이프지지체 27가 상승한 때에 습동블럭 50을 습동 조작하는 그림외의 에어실린더의 변화하는 유체의 압력으로 이상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흡인식 재치대 9를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흡인식 재치대 9가 고정식의 것으로도 실시할 수가 있다.

Claims (5)

  1. 상면에 재단지지면을 형성한 재치대에 피재단재를 재치하여 고정하고, 재단지지면의 상부에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이 되는 캇타나이프를 배치하고, 상기 재단지지면 상에 재치된 피절단재를 캇타나이프로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해가면서 재단지지면의 길이방향의 일방으로 부터 타방으로 향하여 이동하도록 한 재단기에 있어서, 피재단재의 재단시에 아랫면이 피절단재의 상면에 당접하는 캇타나이프를 승강습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나이프지지체를 설하고, 이 나이프지지체에 또는 나이프지지체의 외주근방부에 적어도 캇타나이프의 재단진행방향 하수측의 생지(生地)의 볼록부를 검출하는 이상검출기를 설함과 아울러, 이상검출기는 상하로 변위하는 가동부재와 이 가동부재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지부재와를 구비하는 재단기에 있어서의 피재단재의 이상검출장치(被栽斷材 異常檢出裝置)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기의 가동부재가 캇타나이프을 승강습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나이프지지체(刀支持體)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재단재의 이상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기의 가동부재가 나이프지지체의 외주근방부에 상·하 승강가능한 환상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재단재의 이상검출장치.
  4. 제1항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기의 검지부재를 가동부재의 변위를 검출하는 로타리엔코더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재단재의 이상검출장치.
  5. 제1항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기의 검지부재를 가동부재가 변위한 때에 당접부재에 당접하여 도통하는 접촉식 검지 부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재단재의 이상검출장치.
KR1019920015136A 1992-06-30 1992-08-22 재단기에 있어서 피재단재의 이상검출장치(被載斷材 異常檢出裝置) KR100229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282492A JPH0790506B2 (ja) 1991-08-26 1992-06-30 裁断機における被裁断材の異常検出装置
JP4-172824 1992-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9122B1 true KR100229122B1 (ko) 1999-11-01

Family

ID=1594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136A KR100229122B1 (ko) 1992-06-30 1992-08-22 재단기에 있어서 피재단재의 이상검출장치(被載斷材 異常檢出裝置)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91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040A (ko) * 2000-07-12 2000-12-05 권영준 자동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한 스트레이트 컷팅 머신
CN110116310A (zh) * 2019-04-24 2019-08-13 宁波斯蒂罗科技有限公司 一种裁剪焊接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040A (ko) * 2000-07-12 2000-12-05 권영준 자동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한 스트레이트 컷팅 머신
CN110116310A (zh) * 2019-04-24 2019-08-13 宁波斯蒂罗科技有限公司 一种裁剪焊接装置
CN110116310B (zh) * 2019-04-24 2024-02-20 宁波斯蒂罗科技有限公司 一种裁剪焊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8079B1 (en) Sawing machine
CN102497956A (zh) 切绘机
JPH0790506B2 (ja) 裁断機における被裁断材の異常検出装置
KR101413516B1 (ko) 필름 절단 장치
JPS62259965A (ja) 製品を積み重ねるための装置
KR100229122B1 (ko) 재단기에 있어서 피재단재의 이상검출장치(被載斷材 異常檢出裝置)
KR100426596B1 (ko) 배지 적재장치
KR950000209B1 (ko) 플라스틱 재료 시트의 절단장치
US4058040A (en) Slotted worktable
KR100408658B1 (ko) 스트립 에지의 나이프 버 제거장치
KR102426928B1 (ko) 압연 시스템
JPH08301630A (ja) ガラス板折割り装置及びこれを具備したガラス板加工装置
CN113371516B (zh) 全自动堆叠装置及模切机
KR20010048999A (ko) 스트립의 표면결함 검출장치
KR100737410B1 (ko) 스트립 이송롤 표면의 금속성 칩 제거장치
US3570341A (en) Roller diecutting machine or the like
US4046300A (en) Scored glass bracket breaking apparatus
KR102241393B1 (ko) 마스크 제조장치
KR100890039B1 (ko) 크린롤 제조장치의 커팅장치
JP3149117B2 (ja) 裁断機における被裁断材の異常検出装置
KR100878669B1 (ko) 스트립 에지 스크랩 권취장치
US3502827A (en) Apparatus for detecting foreign objects in or on moving sheets
KR101488477B1 (ko) 필름 절단 장치
CN212981950U (zh) 一种全自动湿巾折叠机堆叠送料机构
KR100331966B1 (ko) 염색된 직물의 직물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