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712B1 -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712B1
KR100228712B1 KR1019970048623A KR19970048623A KR100228712B1 KR 100228712 B1 KR100228712 B1 KR 100228712B1 KR 1019970048623 A KR1019970048623 A KR 1019970048623A KR 19970048623 A KR19970048623 A KR 19970048623A KR 100228712 B1 KR100228712 B1 KR 100228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aussing coil
time
ray tube
cathode ray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493A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712B1/ko
Priority to US09/153,033 priority patent/US5990623A/en
Priority to JP10271407A priority patent/JP2965559B2/ja
Publication of KR19990026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4Deflection circuits ; 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9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using demagnetisation or compensation of external magnetic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음극선관의 메인전원이 턴-온된 후 디가우싱코일의 구동요구가 접수되면 디가우싱코일을 구동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메인전원이 턴-오프되어 디가우싱코일의 구동시간이 기준시간 미만이면 디가우싱코일의 구동요구를 설정함으로써, 메인전원 턴-오프시간에 무관하게 디가우싱코일을 구동한다.
따라서, 음극선관의 착자현상을 방지하고, 항상 안정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Degaussing Coil)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음극선관 주위에 장착되어 잔류자화성분을 제거하는 디가우싱코일의 동작조건을 개선하여 음극선관의 착자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이 턴-온되면, 순간적인 과전압 및 과전류로 인하여 음극선관에 착자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착자현상은 초기화면의 왜곡과 흔들림을 발생시켜, 시각적으로 불안정한 화면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불안정한 화면을 시청하는 사용자는 피로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음극선관의 초기구동시에 발생하는 착자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음극선관의 주위에 디가우싱코일을 장착하였다.
디가우싱코일은 음극선관의 초기구동시에 동기되어 소정시간만큼 동작된다. 디가우싱코일이 동작됨에 따라 음극선관에 발생한 잔류자화성분에 대하여 상반되는 극성 또는 위상의 소자전류가 발생하고, 잔류자화성분은 디가우싱코일에서 발생한 소자전류에 의해 상쇄되며,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디가우싱코일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면 디가우싱코일은 더 이상 동작되지 않으므로, 화면은 안정화된다.
디가우싱코일의 동작시간(T)은 각 제품마다 유사한 값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통상적인 경우 3초로 설정된다. 또한, 음극선관이 턴-온되어 디가우싱코일이 동작된 후, 소정시간(대략, 30분)이내에 음극선관이 턴-오프되었다가 다시 턴-온되면, 음극선관의 착자현상이 충분히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디가우싱코일은 동작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음극선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음극선관이 턴-온되었다가 디가우싱코일의 동작시간 (미리 설정된 디가우싱코일의 기준시간, 여기서는 3초로 설정되어 있음) 이전에 턴-오프되는 경우, 디가우싱코일은 정상적인 시간만큼 동작되지 않으므로 음극선관의 착자현상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못한다. 그리고, 소정시간 이내에 음극선관이 턴-온되면 디가우싱코일은 더 이상 동작되지 않으므로, 음극선관의 착자현상이 계속 잔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가우싱코일의 동작시간을 체크하여, 디가우싱코일의 동작시간이 설정된 기준시간 이하인 경우, 소정시간 이내에 음극선관이 턴-온되더라도 디가우싱코일이 재동작되도록 한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디가우싱코일 제어장치의 개략적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
도 3a 및 도 3b는 메인전원과 디가우싱코일의 동작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원부 2: 음극선관
3: 디가우싱코일 4: 디가우싱코일 구동부
5: 제어부 6: 타이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전원이 턴-오프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시간을 경과하였으면 디가우싱코일의 구동요구를 설정하고, 디가우싱코일의 구동시간이 제1 기준시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 디가우싱코일의 구동요구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설정단계에서, 디가우싱코일 구동시간을 검출하고, 디가우싱코일 구동시간 이내에 메인전원이 턴-오프되면 디가우싱코일의 구동요구를 설정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기준시간은, 디가우싱코일에서 발생된 소자전류가 음극선관의 잔류자화성분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시간을 포함한다.
또한, 제2 기준시간은, 디가우싱코일에서 발생된 소자전류로 인하여 소자작용이 지속되는 시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디가우싱코일 제어장치의 개략적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가우싱코일 제어장치는, 교류상용전원(AC)을 입력받아 음극선관내의 각 구성부에서 요구하는 전압레벨로 변환하는 전원부(1)와, 전원부(1)로부터 변환된 소정레벨의 전압을 인가받아 화상을 형성하는 음극선관(2)과, 음극선관(2) 주위에 장착되어 음극선관(2)에 잔류하는 자화성분을 소자하는 디가우싱코일(3)과, 디가우싱코일(3)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디가우싱코일 구동부(4)와, 메인전원 온/오프신호에 따라 전원부(1)와 디가우싱코일 구동부(4)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5)와, 시각정보를 제어부(5)에 제공하는 타이머(6)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극선관의 메인전원이 턴-온되면(S1), 제어부(5)는 디가우싱코일(3)의 구동요구가 접수되었는가를 체크한다(S2). 이 단계 2(S2)에서 디가우싱코일(3)의 구동요구가 접수되면 제어부(5)는 디가우싱코일 구동부(4)를 제어하여 디가우싱코일(3)을 구동시킨다(S3). 이와 동시에, 제어부(5)는 타이머(6)를 동작시켜 타이머(6)에 의해 검출된 디가우싱코일(3)의 구동시간을 검출하고(S4), 검출된 디가우싱코일(3)의 구동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시간(T1)을 경과하였는지 체크한다(S5).
이 단계 5(S5)에서 디가우싱코일(3)의 구동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시간(T1)을 경과하였을 경우(도 3a 참조), 이것은 디가우싱코일(3)에 의해 소자작업이 충분하게 수행된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부(5)는 디가우싱코일 구동부(4)를 제어하여 디가우싱코일(3)의 구동상태를 중지시킨 후(S6), 메인전원이 턴-오프되었는가를 체크한다(S7). 이때, 메인전원이 턴-오프되면, 제어부(5)는 타이머(6)가 메인전원이 턴-오프되는 시점으로부터 카운팅을 개시하도록 제어하고, 메인전원 턴-오프시간을 검출하며(S8), 이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시간(T2)을 경과하였는가를 체크한다(S9). 여기서, 메인전원 턴-오프시간이 제2 기준시간(T2)을 경과한 경우(도 3a 참조), 이것은 디가우싱코일(3)에 의한 소자작용이 제2 기준시간을 경과함에 따라 무효화된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부(5)는 디가우싱코일(3)의 구동요구를 설정한 후(S10), 단계 1(S1)로 귀환한다.
만약, 위의 단계 9(S9)에서 메인전원 턴-오프시간(t2)이 제2 기준시간(T2)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T2>t2)(도 3b 참조), 이것은 디가우싱코일(3)에 의한 소자작용이 잔류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부(5)는 디가우싱코일(3)의 구동요구를 접수하지 않고 단계 1(S1)로 직접 귀환한다.
한편, 위의 단계 5(S5)에서 디가우싱코일 구동시간(t1)이 제1 기준시간(T1)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T1>t1)(도 3b 참조), 이것은 디가우싱코일(3)에 의해 소자작용이 충분하게 수행되지 못한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부(5)는 메인전원이 턴-오프될 때(S11), 위의 단계 10(S10)으로 진행하여 디가우싱코일(3)의 구동요구를 설정한다.
또한, 위의 단계 11(S11)에서 메인전원이 턴-오프되지 않았다면, 제어부(5)는 위의 단계 4(S4)로 귀환하여 디가우싱코일(3)의 구동시간이 제1 기준시간(T1)을 경과할 때가지 계속 체크한다.
한편, 위의 단계 2(S2)에서 디가우싱코일(3)의 구동요구가 접수되지 않았으면, 제어부(5)는 단계 7(S7)로 직접 진행하여, 단계 7(S7) 이후의 모든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따라서, 디가우싱코일(3)의 구동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메인전원 턴-오프시간에 무관하게 메인전원이 턴-온되는 시점마다 디가우싱코일(3)을 구동함으로써, 음극선관의 착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즉, 디가우싱코일의 동작시간을 체크하여 디가우싱코일의 동작시간이 설정된 기준시간 이하인 경우, 소정시간 이내에 음극선관이 턴-온되더라도 디가우싱코일이 재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음극선관의 착자현상을 방지하고, 항상 안정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Claims (4)

  1. 음극선관의 잔류자화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에 있어서:
    메인전원이 턴-온된 후 상기 디가우싱코일의 구동요구가 접수되지 않으면, 메인전원 턴-오프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메인전원 턴-오프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디가우싱코일의 구동요구를 설정하는 제1 설정단계;
    상기 디가우싱코일의 구동요구가 접수되면 상기 디가우싱코일을 구동하는 구동단계; 및
    상기 디가우싱코일의 구동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디가우싱코일의 구동시간이 제1 기준시간 미만이면 상기 디가우싱코일의 구동요구를 설정하는 제2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설정단계에서,
    상기 디가우싱코일 구동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디가우싱코일 구동시간 이내에 상기 메인전원이 턴-오프되면 상기 디가우싱코일의 구동요구를 설정함을 더 포함하는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기준시간은,
    상기 디가우싱코일에서 발생된 소자전류가 상기 음극선관의 잔류자화성분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시간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시간은,
    상기 디가우싱코일에서 발생된 상기 소자전류로 인하여 소자작용이 지속되는 시간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
KR1019970048623A 1997-09-25 1997-09-25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 KR100228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623A KR100228712B1 (ko) 1997-09-25 1997-09-25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
US09/153,033 US5990623A (en) 1997-09-25 1998-09-15 Method for controlling degaussing coil of cathode ray tube
JP10271407A JP2965559B2 (ja) 1997-09-25 1998-09-25 消磁コイル制御方法及び消磁コイル制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623A KR100228712B1 (ko) 1997-09-25 1997-09-25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493A KR19990026493A (ko) 1999-04-15
KR100228712B1 true KR100228712B1 (ko) 1999-11-01

Family

ID=1952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623A KR100228712B1 (ko) 1997-09-25 1997-09-25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90623A (ko)
JP (1) JP2965559B2 (ko)
KR (1) KR1002287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536B1 (ko) * 2004-10-05 2007-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극선관의 디가우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8178A (en) * 1982-09-29 1984-07-03 Motorola, Inc. Logic controlled degaussing system
JP3541468B2 (ja) * 1994-12-15 2004-07-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87417A (ja) 1999-07-09
JP2965559B2 (ja) 1999-10-18
US5990623A (en) 1999-11-23
KR19990026493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80278B1 (en) CRT display unit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228712B1 (ko)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
KR100260903B1 (ko)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제어방법
JP5241179B2 (ja) 投射型表示装置
JPH06319053A (ja) X線プロテクタ装置
JPH047153B2 (ko)
US634319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3693312B2 (ja) 加速電圧制御回路
JP4222980B2 (ja) 液晶プロジェクタ
JP3953358B2 (ja) 永久磁石電動機の制御方法
EP1423992B1 (en) Circuit arrangement
JPH09266541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11318072A (ja) 交流電源のゼロクロス検出装置
JPH06110396A (ja) Crt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電源制御方法
JPH10174287A (ja) 電源バックアップ回路
JPH10327531A (ja) 電子機器
JP2602319Y2 (ja) 回路故障表示装置
KR100555342B1 (ko) 전력 구동 장치의 고장 방지방법
JPS5853449A (ja) 印字制御方式
JP2914184B2 (ja) 空気調和機の遠隔制御装置
KR970068673A (ko) 영상처리장치의 초기구동제어방법
KR970067496A (ko) CRT의 자장중화코일(degaussing coil) 소자제어방법 및 장치
EP0533140A1 (en) Degaussing circuit with delayed generation of a vertical deflection
KR960028579A (ko) 텔레비젼의 자동 디가우싱장치
JPS61109497A (ja) パルス波形駆動回路の異常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