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989B1 - 게임 장치 - Google Patents

게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989B1
KR100227989B1 KR1019960003847A KR19960003847A KR100227989B1 KR 100227989 B1 KR100227989 B1 KR 100227989B1 KR 1019960003847 A KR1019960003847 A KR 1019960003847A KR 19960003847 A KR19960003847 A KR 19960003847A KR 100227989 B1 KR100227989 B1 KR 100227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display
display means
control circuit
p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969A (ko
Inventor
도모야 다까스기
마사오 요시모또
마사요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이리마지리 쇼우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엔터프라이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마지리 쇼우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엔터프라이제스 filed Critical 이리마지리 쇼우이치로
Publication of KR960030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9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6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on the game controller or outside a game boo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8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assessing skills or for ranking players, e.g. for generating a hall of f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1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using an additional display connected to the game console, e.g. on the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흥분도가 높은 게임 장치를 제공한다.
몸체(1)의 마주하는 2면에 상호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즉, 각면에는 각각 게임의 내용을 표시하는 비디오 모니터(2)와, 게임에 관한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 패널(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면에는 각각 게임의 효과음을 내기 위한 스피커(4) 및 동전 투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각면에는 해당 면의 플레이어가 대전에 있어 승리하고 있는 때에 대전 결과를 표시하는 제2의 표시부(6)와, 이긴 사람수를 숫자로 표시하는 제3의 표시부(7)와, 특정 시점 이후의 최고 이긴 사람수를 보유하는 보유

Description

게임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게임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게임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게임 장치의 표시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게임 장치의 표시 제어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비디오 모니터
3 : 조작 페널 4 : 스피커
5 : 동전 투입구 6 : 제2의 표시부
7 : 제3의 표시부 8 : 제4의 표시부
11 : 게임 처리 회로 12 : 비디오 회로
13 : 표시 제어 회로 14 : 백업용 배터리
15 : CPU 16 : ROM
17 : RAM 18 : I/O 포트
19 : 포토커플러 20 : 드라이버
21,22,23 : LED 표시장치 24 : SSR
25 : 램프
본 발명은 흥분도가 높은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게임 장치 중 근년에 대표적인 것은 비디오 게임이다. 비디오 게임은 컴퓨터 그래픽스에 의한 등장물(인물이나 탈 것 등, 이하「캐릭터」라고 함)을 묘사하고, 플레이어가 조이스틱(joystick)이나 버튼 등의 입력 장치를 조작하여 캐릭터를 조작하여 전투에서의 승리 등 소정의 과제에 도전하는 것이다. 비디오 게임은 케릭터의 동작의 재미있음이나 다양성이 호평을 받고 있으며 오락실이나 가정등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근년 대전형의 게임 장치가 증가되고 있다. 대전형의 게임 장치는 복수개의 입력 장치의 세트를 가지며, 화면에도 복수개의 캐릭터가 등장한다. 각 캐릭터는 플레이어의 입력 장치의 지시대로 행동하기 때문에, 각 플레이어는 자기의 캐릭터를 조작하여 전투나 자동차 경주(car race)에 도전한다.
대전형의 게임 장치의 전형은 2 사람이 대전하는 것으로서, 일예로는 한 대의 몸체의 양면에 각각 같은 모양의 입력 장치와 표시 화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
그런데 대전형의 게임 장치에서 플레이어(player)가 희망하고 가장 흥분하는 것은 1 사람으로도 많은 다른 사람과 대전하여 이겨 가는 것이다. 그렇지만, 대전형 게임에서 어느 플레이어가 몇 명을 이겨나가고 있는지를 외관상 일견하여 아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플레이어 본인은 계속하여 이겨나가도 큰 달성감을 얻어 흥분을 고조시키는 일은 어렵고, 또한 주위의 관중도 플레이어의 기량을 직감할 수 없기 때문에 도전 의욕이 자극되는 일이 없고, 게임에 참가하는 등을 하여 흥분을 얻는 것은 적었다. 이 때문에, 흥분도가 높은 게임 장치의 등장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햐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흥분도가 높은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레이어의 기량을 객관적으로 표시하는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플레이어가 대전하는 일이 있는 게임을 행하기 위한 게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의 내용을 표시하는 제1의 표시 수단과, 상기 대전에서의 대전 결과를 표시하는 제2의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의 표시 수단은 상기 제1의 표시 수단과는 별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1의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게임에서 어떤 플레이어가 이겨 나가고 있는 경우, 제1의 표시 수단과는 다른 제2의 표시 수단에 해당 플레이어가 이겨 나가고 있는 취지의 대전 결과의 표시가 행해진다. 이 대전 결과 표시는 이겨 나가고 플레이어 본인에 달성감을 주어 흥분도를 높이는 것과 동시에 관중의 도전 의욕을 자극하여 게임 참가를 촉진하여 게임의 흥분도를 높인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긴 사람수를 표시하는 제3의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3의 표시 수단에 이긴 사람수가 표시되어, 이긴 사람수는 플레이어의 기량에 대해 수치가 뒷받침된 객관적 평가를 부여한다. 이 때문에, 플레이어 본인의 달성감과 흥분도가 증대하는 것과 함께, 관중도 플레이어의 우수함을 수치에 의해 객관적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도전 의식을 자극하여 흥분도가 증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특정 시점 이후의 최고 이긴 사람수를 갱신보유하여 표시하는 제4의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최고 이긴 사람수를 갱신보유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플레이어와 관중 모두에 대해 최고 이긴 사람수 갱신으로의 도전 의욕을 자극하여 한층 흥분도를 높인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플레이어가 대전하는 일이 있는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게임 처리 회로를 구비하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의 내용을 표시하는 제1의 표시부와, 상기 대전에서의 대전 결과를 표시하는 제2의 표시부와, 상기 제2의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 제어 회로와 상기 게임 처리 회로는 별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처리 회로와 제2의 표시부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회로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게임 처리 회로를 교환함으로써 많은 종류의 게임에서 대전 결과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전에서의 이긴 사람수를 표시하는 제3의 표시부가 표시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의 표시부 및 제3의 표시부라고 하는 다른 표시를 행하는 복수개의 표시부를 1개의 표시 제어 회로에 의해 통일적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처리효율의 향상이나 게임 장치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특정 시점 이후 최고 이긴 사람수를 갱신보유하여 표시하는 제4의 표시부가 표시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의 표시부, 제3의 표시부 및 제4의 표시장치라는 다른 표시를 행하는 복수의 표시장치를 1개의 표시 제어 회로에 의해 통일적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처리 효율의 향상이나 게임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제1 실시예의 구성
본 실시예는 제1항 내지 제6항, 제10항 내지 제18항에 대응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흥분도가 높은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플레이어의 기량을 객관적으로 표시하는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우선 제1도는 본 실시예의 게임 장치(이하「본 장치」라고 함)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즉, 본 장치는 동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의 마주하는 2면에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즉 각면에는 각각 게임의 내용을 표시하는 비디오 모니터(2)(상기 제1의 표시 수단에 상당함)와, 게임에 관한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 패널(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면에는 각각의 게임의 효과음을 내기 위한 스피커(4) 및 동전 투입구(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면에는 당해 면의 플레이어의 대전 결과를 표시하는 제2의 표시부(6)과, 이긴 사람수를 숫자로 표시하는 제3의 표시부(7)과, 특정 시점 이후 최고 이긴 사람수를 보유갱신하여 표시하는 제4의 표시부(8)을 갖는다. 이들 제2의 표시부(6), 제3의 표시부(7) 및 제4의 표시부(8)은 비디오 모니터(2)와는 별도로 구성되어 비디오 모니터(2)의 윗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 중, 대전 결과를 표시하는 제2의 표시부(6)은 반투명의 적색의 합성 수지로 속이 비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이기고 있는 중에 점멸하는 램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의 표시부(6)에는 이기고 있는 중에 점등하는 「승리자」의 문자가 부착되어 있다. 이 문자는 LED 표시장치나 전자 발광으로 구성하면 된다. 또한, 제3의 표시부(7)에는 이긴 사람수를 표시하기 위한 2열의 LED 표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2도는 본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본 장치는 동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ROM에 저장죈 프로그램과 RAM상에 설치된 작업 영역을 이용하여 조작 패널(3)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근거하여 게임 내용을 처리하는 게임 처리 회로(11)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게임 처리 회로(11)은 동전 투입구(5)에 설치된 동전 셀렉터(coin selector)(5a)로 부터 투입 신호가 송신된 때에 게임을 시작하고, 게임 종료시에는 어느 플레이어가 승자인지를 나타내는 승패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게임 처리 회로(11)에는 비디오 회로(12)를 경유하여 비디오 모니터(2)가 접속되어 있으며, 게임 처리 회로(11)이 결정한 표시 내용이 비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비디오 모니터(2)로 영상 출력된다.
또한, 본 장치는 승리 표시와, 이긴 사람수와, 최고 이긴 사람수에 관한 처리와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회로(13)을 구비한다. 이 표시 제어 회로(13)은 게임 처리 회로(11)과는 별개의 기판상에 구성되어 있다. 표시 제어회로(13)은 게임 처리 회로(11)이 발생하는 승패 신호를 수신하여 이긴 사람수나 최고 이긴 사람수를 갱신한다. 그리고, 제2의 표시부(6)을 통하여 대전결과인 승리 표시를 제3의 표시부(7)을 통해 이긴 사람수의 표시를 제4의 표시부(8)을 통해 최고 이긴 사람수의 표시를 행한다. 또한, 최고 이긴 사람수는 배터리(14)에 의해 백업되어 있기 때문에, 게임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어 다시 투입한 경우에도, 차단 전의 최고 이긴 사람수가 유지된다.
또한, 제2의 표시부(6) 및 표시 제어 회로(13)이 상기 제2의 표시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제3의 표시부(7) 및 표시 제어 회로(13)이 상기 제3의 표시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제4의 표시부(8), 표시 제어 회로(13) 및 배터리(14)가 상기 제4의 표시 수단을 구성한다.
게다가, 상기의 표시 제어 회로(13)의 회로 구성의 일예를 제3의 회로 블럭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즉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15)에는 표시 제어용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16)과,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RAM)(17)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CPU(15)에는 I/O포트(18)을 거쳐 포토커플러(19)와 드라이버(20)이 접속되어 있다. 포토커플러(19)는 표시 제어 회로(13)과 게임 처리 회로(11)을 결합하는 결합기이다. 드라이버(20)은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된 표시부 구동용의 회로이다. 이 드라이버(20)에는 1 플레이어(1P) 및 2 플레이어(2P)에 대응시켜 제2의 표시부(6)의 문자 표시용의 LED 표시장치(21), 제3의 표시부(7)인 2열의 LED 표시 장치(22), 제4의 표시부(8)인 2열의 LED 표시 장치(2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버(20)에는 SSR(24)가 접속되고, 이 SSR(24)를 거쳐 제2의 표시부(6)의 램프(25)가 도시하지 않은 교류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이 SSR(24)는 드라이버(20)의 구동 신호에 근거하여 램프(25)와 교류 전원과는 접속을 절환시키는 반도체 릴레이(relay)이다.
(2) 제1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실시예의 작용은 이하와 같다. 우선, 제4도는 본 장치의 표시 제어 회로(13)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장치에서는, 백업용 배터리(14)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RAM내에 최고 이긴 사람수가 기억되어 있다. 이 최고 이긴 사람수는 통상은 게임 장치의 제조 후로부터의 것이지만, 소정의 조작으로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표시 제어 회로(13)는 우선 게임 장치로서의 전원 투입시에 이 최고 이긴 사람수를 판독하여 제4의 표시부(8)에 디지탈 표시한다(단계 31). 그리고, 게임 처리 회로로부터의 승패 신호를 기다려 수신한다(단계 32).
본 장치에서는 컴퓨터를 상대로 하는 1 플레이어 모드와, 타인과 대전하는 2플레이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어느 모드에서도 비디오 모니터에 게임의 내용이 표시된다. 2 플레이어 모드에서는 어느 쪽인가의 플레이어가 대전에서 승리하고 있는 때는 승리하고 있는 플레이어 쪽의 제2의 표시부(6)에 「승리자」의 문자가 점등하고, 동시에 승리 표시 램프가 점멸을 계속한다. 또한, 제3의 표시부(7)에 그 플레이어가 이긴 사람수가 표시된다. 이들 동작은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즉, 게임 처리 회로(11)는 게임의 승패가 날 때마다 승패 신호를 발생한다. 승패 신호는 어느 플레이어가 이겼는지를 나타내는 디지탈 신호이다. 표시 제어 회로(13)는 승패 신호가 나타내는 승자가 이기고 있는 플레이어인 경우(단계 33), 이긴 사람수가 증가(1 가산)되고(단계(34), 제3의 표시부(7)의 사람수 표시가 갱신된다(단계 35). 또한, 이와같이 승리를 반복하여 이긴 사람수가 최고 이긴 사람 수를 초과하게 되면(단계 36) 최고 이긴 사람수가 그 시점의 최고 이긴 사람수로 치환되어 갱신되고(단계 37), 제4의 표시부의 최고 이긴 사람수 표시도 곧 바로 갱신된다(단계 38).
승패 신호가 나타내는 승자가 이기고 있는 쪽이 아닌 때는(단계 33), 지고 있는 쪽의 램프가 소등되고(단계 39), 진 쪽의 사람수 표시도 소등된다(단계 40). 이에 반해, 이긴 쪽의 램프는 점등되고(단계 41), 이긴 사람수가 1로 초기화되고나서(단계 42) 이긴 쪽의 사람수 표시가 제3의 표시부(7)에 점등된다(단계 43).
게다가, 표시 제어 회로(13)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즉, 게임 처리 회로(11)로부터의 승패 신호는 포토커플러(19), I/O 포트(18)을 거쳐 CPU(15)로 보내진다. CPU(15)로 부터는 ROM(16)에 저장된 표시 제어용의 프로그램에 따라 승패 신호에 대응한 드라이버(20)으로의 표시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드라이버(20)으로부터는 표시 제어 신호에 대응한 구동 신호가 LED 표시 장치(21, 22, 23)에서는 각각의 구동 신호에 따른 표시가 행해진다. SSR(24)는 구동 신호에 따른 절환 동작을 행하기 위해 램프(25)가 점등점멸한다. 또한, 이긴 사람수, 최고 이긴 사람수의 관리는 RAM(17)에서 행해진다.
또한, 전원 투입 후 최초의 승패 신호를 받은 때도 단계(39)로부터 단계(43)의 처리가 행해지지만, 이때는 진 쪽에 관한 표시의 소등은 쓸데없는 동작이지만, 그 이외의 처리가 최초의 승자에 대해 표시를 점등시키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승리 표시의 개시는 소정의 사람수(예를 들면 3명) 연속하여 승리한 때에 처음으로 개시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승리 표시와 사람수 표시는 언제 소등되도록 하여도 좋고, 예를 들어 게임에 이긴 후 소정의 허용 시간내에 다음 플레이를 위한 동전을 넣지 않는 경우에, 플레이어가 교체한 것으로 하여 표시를 취소(cancel)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게임 장치에서는, 플레이어가 이기고 있는 경우, 제1의 표시 수단인 비디오 모니터(2)와는 별도의 제2의 표시부(6)에 당해 플레이어가 이기고 있는 취지의 승리 표시가 행해진다. 이 승리 표시는 이기고 있는 플레이어 본인에 달성감을 주어 흥분도를 높이는 것과 함께 관중의 도전 의욕을 자극하여 게임 참가를 촉진하여 게임의 흥분도를 높인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리 표시가 램프의 점멸 및 문자의 점등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플레이어나 관중의 시각을 자극하여 흥분도를 높인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의 표시부(6)제3의 표시부(7) 및 제4의 표시부(8)는 비디오 모니터(2)보다도 윗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리 표시가 눈에 띄어 플레이어나 관중의 주의를 끌어 흥분도가 상승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3의 표시부(7)에 이긴 사람수가 표시되고, 이긴 사람수는 플레이어의 기량에 대해서 수치로 뒷받침된 객관적 평가를 부여한다. 이 때문에, 플레이어 본인의 달성감과 흥분도가 증대하는 것과 함께 관중도 플레이어의 우수성을 수치에 의해 객관적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도전 의욕을 자극하여 흥분도가 증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긴 사람수가 숫자로 표시되기 때문에, 이긴 사람수가 증가하여도 사람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최고 이긴 사람수가 갱신보유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플레이어와 관중 쌍방에 대해서 최고 이긴 사람수 갱신으로의 도전 의욕을 자극하여 한층 흥분도를 높인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게임 장치는 소위 대전형의 게임 장치이고, 이와 같은 게임 장치에서는 마주하는 각각의 면의 플레이어가 정면으로 대전하는 위치를 잡는다. 그리고, 각각의 면에서 제2, 제3 및 제4의 표시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대전하는 각 플레이어의 전투 의욕은 한층 자극을 받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실익이 특히 크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LED 표시 장치(21, 22, 23), 램프(25)라고 하는 종류가 다른 다수의 표시 장치의 작동을 표시 제어 회로(13)에 의해 통일적으로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처리 효율의 향상이나 게임 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게임 처리 회로(11)과 표시 제어 회로(13)은 포토커플러(19)에 의해 연결된 별개의 회로이다. 따라서, 게임 처리 회로(11)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와 표시 제어 회로(13)을 동작시키는 신호와의 정합성이 취해져 있으면, 게임 처리 회로(11)만을 다른 게임 처리 회로(11)로 교환함으로써 여러 가지 종류의 게임에서 이긴 사람수 표시, 최고 이긴 사람수 표시, 「승리자」의 문자의 점등, 승리 표시 램프의 점등점멸을 행할 수 있다.
(3) 다른 실시예
게다가,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태양의 변경은 자유롭기 때문에 다음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3이나 제4의 표시 수단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제1의 표시 수단이나 다른 표시 수단의 종류는 자유이며, 각각 액정 표시 장치, 비디오 프로젝터, 엘렉트로루미네슨스(electroluminescence) 등 자유로운 종류의 표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의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문자는 「승리자」에는 한정되지 않고, 「승리 중」,「패자」 등의 대전 결과를 표시하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지 좋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문자 표시는 LED 표시 장치나 엘렉트로루미네슨스에 의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판에 묘사한 문자가 내부의 램프에 비춰지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3의 표시 수단은 상기 사람수를 사람수와 동수의 적 캐릭터의 표시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제7항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하면, 이의 표시에 의해 이긴 사람수를 직관적으로 동시에 현실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흥분도가 한층 높아진다.
또한, 제2제3 및 제4의 표시부는 반드시 제1의 표시 수단의 윗쪽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제2의 표시 수단이 대전 결과를 표시하는 태양은 광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소정의 표시판이 표시되거나 인형이 깃발을 흔들거나 함으로써 대전 결과를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제3의 표시 수단이 사람수를 표시하는 태양은 숫자나 적 캐릭터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단순히 원형이나 사각형을 이긴 사람수만큼 표시하는 등을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3의 표시 수단은 승리 중인 플레이어가 대전에 의하지 않은 게임을 행한 경우는 당해 게임 이전의 사람수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제8항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하면, 게임 장치의 컴퓨터를 상대로 한 승리는 승리한 사람수에 카운트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사람을 이긴 진정한 승리자 수만이 카운트되어 사람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3의 표시 수단은 승리 중의 플레이어가 대전에 의하지 않는 게임에 진 경우는 사람수를 리세트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제9항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하면, 승리 중의 플레이어가 대전에 의하지 않는 게임에 진 경우는 사람수가 리세트된다. 이 때문에, 이긴 사람수의 유지의 난이도가 향상하여 플레이어의 흥분을 한층 증대한다.
또한, 게임 처리 회로(11)로부터 표시 제어 회로(13)으로 송출되는 신호를 승패 신호로 하지않고, 각 표시부의 표시 상태에 대응한 코드 신호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6진수의 숫자 코드를 LED 표시 장치(21, 22, 23)에 표시되는 숫자 패턴이나 램프의 점등점멸 패턴에 할당해 두면, 게임 처리 회로(11)로부터 송출되는 숫자 코드에 대응하여 LED 표시 장치(21, 22, 23)에 숫자가 표시되어 램프(25)가 점등점멸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게임 장치에 있어서도 코드 신호의 정합성이 있으며, 다른 게임 처리 회로(11)에서도 사용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표시 제어 회로(13)에 범용성을 갖게할 수 있다.
또한, 이긴 사람수나 최고 이긴 사람수의 관리는 게임 처리 회로(11)측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와 같이, 게임 처리 회로(11)로부터 표시 제어 회로(13)으로 송출되는 신호를 코드 신호로 한 경우에는, 게임 처리 회로(11)측에서 사람수에 대응한 코드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이긴 사람수나 최고 이긴 사람수의 보유갱신은 게임 처리 회로(11)측에서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시 장치로서는 LED 표시 장치(21, 22, 23)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긴 사람수 등의 숫자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장식적인 기호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7 세크먼트, 16 세크먼트의 표시 장치나 도트 매트릭스 표시 장치를 사용한 경우에는 문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장식적인 기호나 문자를 표시하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숫자 코드를 기호나 문자로도 할당하도록 하면, 사람수 표시와 통일한 코드 신호에 의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흥분도가 높은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복수의 플레이어(player)가 대전하는 일이 있는 게임을 행하기 위한 게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의 내용을 표시하는 제1의 표시 수단; 및 상기 대전에서의 대전 결과를 표시하는 제2의 표시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2의 표시 수단은 상기 제1의 표시 수단과는 별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표시 수단은 광의 점등 또는 광의 점멸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상기 대전 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표시 수단을 상기 제1의 표시 수단보다도 윗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에서의 이긴 사람수를 표시하는 제3의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표시 수단은 상기 제1의 표시 수단보다도 윗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표시 수단은 상기 사람수를 숫자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표시 수단은 상기 사람수와 동수인 적 캐릭터의 표시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표시 수단은 이기고 있는 중인 상기 플레이어가 상기 대전에 의하지 않은 게임을 한 경우는, 상기 게임 이전의 사람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표시 수단은 이기고 있는 중인 상기 플레이어가 상기 대전에 의하지 않는 게임에서 진 경우는, 상기 사람수를 리세트(reset)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특정의 시점 이후의 최고 이긴 사람수를 갱신보유하여 표시하는 제4의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몸체의 마주보는 2면에 상기 제1의 표시 수단과; 게임에 관한 조작을 입력하는 조작 패널; 및 상기 제4의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몸체의 마주보는 2면에 상기 제1의 표시 수단과; 게임에 관한 조작을 입력하는 조작 패널; 및 상기 제3의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몸체의 마주보는 2면에 상기 제1의 표시 수단과; 게임에 관한 조작을 입력하는 조작 패널; 및 상기 제2의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14. 복수의 플레이어가 대전하는 일이 있는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게임 처리 회로를 갖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의 내용을 표시하는 제1의 표시부와; 상기 대전에서의 대전 결과를 표시하는 제2의 표시부; 및 상기 제2의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회로를 구비하되, 상기 표시 제어 회로와 상기 게임 처리 회로는 별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에서의 이긴 사람수를 표시하는 제3의 표시부가 상기 표시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특정의 시점 이후의 최고 이긴 사람수를 갱신보유하여 표시하는 제4의 표시부가 상기 표시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표시부는 상기 표시 제어 회로에 접속된 드라이버에 의해 제어되는 LED 표시 장치 또는 도트 메트릭스 표시 장치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표시부는 상기 표시 제어 회로에 접속된 드라이버에 의해 제어되는 LED 표시 장치 또는 도트 메트릭스 표시 장치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KR1019960003847A 1995-02-17 1996-02-16 게임 장치 KR100227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29650A JP2748878B2 (ja) 1995-02-17 1995-02-17 ゲーム装置
JP95-029650 1995-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969A KR960030969A (ko) 1996-09-17
KR100227989B1 true KR100227989B1 (ko) 1999-11-01

Family

ID=1228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847A KR100227989B1 (ko) 1995-02-17 1996-02-16 게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62553A (ko)
JP (1) JP2748878B2 (ko)
KR (1) KR100227989B1 (ko)
CN (1) CN1136508C (ko)
AU (1) AU714862B2 (ko)
GB (1) GB2297920B (ko)
TW (1) TW30444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4074B2 (en) 2005-09-30 2013-11-0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Advertising impression determination
WO2007130681A2 (en) 2006-05-05 2007-11-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Advertisement rotation
US7227511B2 (en) 2000-04-24 2007-06-0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activating an application in context on a remote input/output device
US6917373B2 (en) * 2000-12-28 2005-07-12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 sensitive labels for an electronic device
US7030837B1 (en) * 2000-04-24 2006-04-18 Microsoft Corporation Auxiliary display unit for a computer system
US8751310B2 (en) 2005-09-30 2014-06-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onitoring advertisement impressions
US20050153775A1 (en) * 2004-01-12 2005-07-14 Griswold Chauncey W. Multiple-state display for a gaming apparatus
JP2004147876A (ja) * 2002-10-30 2004-05-27 Aruze Corp 遊技機
JP3770497B2 (ja) * 2004-03-31 2006-04-26 任天堂株式会社 携帯ゲーム機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US8763157B2 (en) 2004-08-23 2014-06-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Statutory license restricted digital media playback on portable devices
US8626584B2 (en) * 2005-09-30 2014-01-0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Population of an advertisement reference list
US20070118425A1 (en) 2005-10-25 2007-05-24 Podbridge, Inc. User device agent for asynchronous advertising in time and space shifted media network
US8676900B2 (en) 2005-10-25 2014-03-1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Asynchronous advertising placement based on metadata
US10657538B2 (en) 2005-10-25 2020-05-1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Resolution of advertising rules
US11004089B2 (en) 2005-10-25 2021-05-1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Associating media content files with advertisements
US8769558B2 (en) 2008-02-12 2014-07-0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Discovery and analytics for episodic downloaded media
US8763090B2 (en) 2009-08-11 2014-06-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anagement of ancillary content delivery and presentation
JP5068339B2 (ja) * 2010-04-28 2012-11-07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機
JP2011239949A (ja) * 2010-05-18 2011-12-01 Taito Corp 湾曲または折曲画面を用いたゲーム機筐体構造
JP5161388B2 (ja) * 2012-06-28 2013-03-13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機
US20220305371A1 (en) * 2021-03-25 2022-09-29 Nicolas James Ingvoldstad Electronic tournament gaming tabletop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6904A (en) * 1975-02-10 1977-02-08 Felsher Edward M Display device for projecting scenes, win signals, and proportion of win signals
US4398723A (en) * 1981-01-29 1983-08-16 Marvin Glass & Associates Viewing device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US4572509A (en) * 1982-09-30 1986-02-25 Sitrick David H Video game network
JPS60180489A (ja) * 1984-02-24 1985-09-14 Fanuc Ltd 直流電動機用駆動回路
US4976438A (en) * 1989-03-14 1990-12-11 Namco Ltd. Multi-player type video game playing system
US5542669A (en) * 1994-09-23 1996-08-06 Universal Distributing Of Nevad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ly increasing the payback in a video ga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48878B2 (ja) 1998-05-13
TW304447U (en) 1997-05-01
GB2297920A (en) 1996-08-21
KR960030969A (ko) 1996-09-17
GB2297920B (en) 1999-09-22
GB9603170D0 (en) 1996-04-17
AU714862B2 (en) 2000-01-13
CN1137651A (zh) 1996-12-11
JPH08215428A (ja) 1996-08-27
AU4446496A (en) 1996-08-29
US5762553A (en) 1998-06-09
CN1136508C (zh) 200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989B1 (ko) 게임 장치
NZ335909A (en) Electronic system for operating an auxiliary incentive jackpot game at a casino blackjack table
JPH0730054Y2 (ja) パチンコ機の可変表示装置
US5384561A (en) Bristle dart electronic scoreboard
US6568683B1 (en) Games grid board-life games
US5823538A (en) Game with action-discharge
JP2003236085A (ja) 遊技機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H0363082A (ja) パチンコ機の入賞表示装置
JPH10249043A (ja) 遊技システム装置
JP6857404B2 (ja) 遊技機
JP3082266U (ja) 遊技機用データ表示装置、遊技機用データ表示装置の発光装飾部材、及び、遊技機用データ表示システム
JP5580508B2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機及びゲーム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JPH0496778A (ja) パチンコゲーム機
JP2013118966A (ja) 雀球遊技機
JP2003180994A (ja) 遊技機
JPH0724139Y2 (ja) 遊技機用表示装置
JPH059024Y2 (ko)
JPH0524384Y2 (ko)
RU1787469C (ru) Электронна игра
JP4711532B2 (ja) 遊技機
JP4148369B2 (ja) パチンコ遊技機の可変表示装置
JPH0696109A (ja) ゲーム機器装置
JP2852003B2 (ja) カードゲーム玩具
JPH0473079A (ja) 遊技機の絵柄表示部
JP2001340542A (ja) 遊技システ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