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830B1 -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가스공급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가스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830B1
KR100227830B1 KR1019960055034A KR19960055034A KR100227830B1 KR 100227830 B1 KR100227830 B1 KR 100227830B1 KR 1019960055034 A KR1019960055034 A KR 1019960055034A KR 19960055034 A KR19960055034 A KR 19960055034A KR 100227830 B1 KR100227830 B1 KR 100227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rocess chamber
vacuum
valve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466A (ko
Inventor
이수봉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5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830B1/ko
Publication of KR1998003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8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2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공정챔버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플렌지와 가스배기부사이에 가스공급부를 연결구비하여 원활한 가스의 흐름이 이루지도록 개선시킨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스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정챔버를 소정의 진공분위기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정챔버로 공급되는 가스를 배기시키는 가스배기부가 상기 공정챔버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플렌지와 연결구비되는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스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챔버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는 상기 가스배기부와 상기 플렌지사이에 연결구비되어 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불량의 원인을 제거하고 또한 안정적인 공정수행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스공급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스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정챔버(Process Chamber)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플렌지(Flange)와 가스배기부사이에 가스공급부를 연결구비하여 원활한 가스(Gas)의 흐름(Flow)이 이루지도록 개선시킨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가스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이퍼(Wafer) 상에 막을 적층하는 공정, 불순물을 확산,주입시키는 공정 또는 웨이퍼 상의 막질을 식각(Etching)하는 공정 등은 대부분 진공상태에서 공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정수행에 적합한 소정의 진공상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스의 공급 및 배기를 개폐하는 밸브(Vavle) 그리고 가스의 공급 및 배기를 유도하는 연결관(Pipe) 등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진공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1은 종래의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먼저, 공정챔버(1)를 소정의 진공분위기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공정챔버(1)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2)가 공정챔버(1)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플렌지(3)의 하단부에 연결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가스공급부(2)는 제 1 밸브(20), 제 1 연결관(22) 및 제 2 밸브(24), 제 2 연결관(26)으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한 가스배기부(4)는 공정챔버(1)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플렌지(3)의 상단부에 연결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가스배기부(4)는 공정챔버(1) 양단부의 플렌지(3)와 연결구비되는 제 1 고진공밸브(40), 제 1 진공연결관(41) 및 제 2 고진공밸브(42), 제 2 진공연결관(43) 그리고 제 1 진공연결관(41) 및 제 2 진공연결관(43)을 하나로 통합연결하는 제 3 고진공밸브(44) 및 제 3 진공연결관(45)으로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플렌지(3)는 공정챔버(1)의 교체작업시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가스공급부(2)와 가스배기부(4)가 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위치하여 가스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연결구비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시스템은 빈번한 공정챔버(1)의 교체작업으로 인하여 플렌지(3) 부분의 마모와 가스공급부(2) 및 가스배기부(4)와 연결되는 부분 등이 마모로 공정수행시 소정의 진공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였다.
또한 가스의 공급 및 배기가 플렌지(3) 부분에서만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온으로 공정이 수행되는 공정챔버(1)의 복사열 및 미반응 가스의 잔류 등으로 파우더(Pawder)가 형성되어 공정수행시 불량을 초래하였고, 한편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진공시스템의 빈번한 유지보수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진공시스템은 공정수행시 불량의 원인유발을 제공하고, 유지보수로 인한 진공시스템의 가동효율을 저하시켜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시스템의 원활한 가스의 흐름을 통하여 생산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스공급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의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스공급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 : 공정챔버 2, 6 : 가스공급부
3, 8 : 플렌지 4, 7 : 가스배기부
20, 24, 60, 64 : 밸브 22, 26, 62, 66 : 연결관
40, 42, 44, 70, 72, 74 : 고진공밸브
41, 43, 45, 71, 73, 75 : 진공연결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은, 공정챔버를 소정의 진공분위기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정챔버로 공급되는 가스를 배기시키는 가스배기부가 상기 공정챔버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플렌지(Flange)와 연결구비되는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정챔버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는 상기 가스배기부와 상기 플렌지사이에 연결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공급부는 가스의 공급을 개폐하는 제1, 제2 밸브 및 가스의 공급을 유도하는 제 1, 제 2 연결관으로 연결구비되어, 상기 제 1 연결관에는 제 1 밸브가 제 2 연결관에는 제 2 밸브가 동일라인 상으로 연결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정챔버는 저압확산용 챔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의 가스공급방법은, 공정챔버를 소정의 진공분위기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정챔버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 1 밸브, 제 1 연결관 및 제 2 밸브, 제 2 연결관으로 구비되는 가스공급부가 상기 공급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하여 제 1 고진공밸브, 제 1 진공연결관, 제 2 고진공밸브, 제 2 진공연결관 및 상기 제 1, 제 2 진공연결관을 하나로 연결시키는 제 3 고진공밸브, 제 3 진공연결관으로 구비되어 상기 공정챔버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플렌지와 제 1 진공연결관 및 제 2 진공연결관이 연결되는 가스배기부사이에 연결구비되는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의 가스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챔버로 공급되는 가스가 원활하게 배기되도록 상기 가스공급부의 제 1 밸브가 오픈(Open)되면, 상기 가스배기부의 제 2 고진공밸브 및 제 3 고진공밸브가 오픈되고, 상기 제 2 밸브 및 제 1 고진공밸브는 클로져(Close)되며, 상기 가스공급부의 제 2 밸브가 오픈되면, 상기 가스배기부의 제 1 고진공밸브 및 제 3 고진공밸브가 오픈되고, 상기 제 1 밸브 및 제 2 고진공밸브는 클로져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정챔버는 저압확산용 챔버로 구비되어 가스의 공급이 수행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스공급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공정챔버(5)는 저압확산용 공정챔버로서 먼저, 공정챔버(5)를 소정의 진공분위기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공정챔버(5)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6)가 구비된다.
여기서 가스공급부(6)는 제 1 밸브(60), 제 1 연결관(62) 및 제 2 밸브(64), 제 2 연결관(64)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공급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한 가스배기부(7)는 제 1 고진공밸브(70), 제 1 진공연결관(71) 및 제 2 고진공밸브(72), 제 2 진공연결관 그리고 제 1 진공연결관(71) 및 제 2 진공연결관(73)을 하나로 통합연결하는 제 3 고진공밸브(74) 및 제 3 진공연결관(75)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각각의 고진공밸브(70, 72, 74)는 0.001Torr의 흡입력에서도 개폐작동이 이루지고, 또한 순간적으로 개폐가 되도록 하는 일정압력을 가지는 용수철이 내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플렌지(8)는 공정챔버(5)의 교체작업시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가스공급부(6)와 가스배기부(7)가 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위치되도록 연결구비하여 가스의 원활한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공정챔버(5)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플렌지(8)의 상단부 각각에 가스배기부(7)의 제 1 진공연결관(71) 및 제 2 진공연결관(73)을 각각으로 연결구비시킨 후 제 3 진공연결관(75)으로 제 1, 제 2 진공연결관(71, 73)을 하나로 통합하여 연결구비시킨다.
그리고 가스공급부(6)는 각각으로 연결구비되는 제 1 진공연결관(71) 및 플렌지(8) 그리고 제 2 진공연결관(73) 및 플렌지(8)사이에 연결구비된다.
여기서 제 1 진공연결관(71) 및 플렌지(8)사이에는 제 1 연결관(62)을 제 2 진공연결관(73) 및 플렌지(8)사이에는 제 2 연결관(66)을 연결구비시킨다.
또한 가스공급의 개폐를 위하여 제 1 연결관(62)에는 제 1 밸브(60)를 제 2 연결관(66)에는 제 2 밸브(64)를 동일 라인(Line)으로 하여 구비시킨다.
그리고 가스배기의 개폐를 위하여 제 1 진공연결관(71)에는 제 1 고진공밸브(70), 제 2 진공연결관(73)에는 제 2 고진공밸브(72) 그리고 제 3 진공연결관(75)에는 제 3 고진공밸브(74)를 연결구비시킨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진공시스템은 공정수행시 먼저, 가스의 공급을 위하여 제 1 밸브(60)만 오픈(Open)시키고, 제 2 밸브(64)는 클로져(Close)시킨다.
그러면 제 1 밸브(60)로만 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공급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하여 가스배기부(7)는 제 2 고진공밸브(72) 및 제 3 고진공밸브(74)만을 오픈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가스의 흐름은 제 1 밸브(60)를 통하여 공급되어 공정챔버(5)를 거친 후 제 2 고진공밸브(72)를 거쳐서 제 3 고진공밸브(74)를 통하여 순환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가스의 공급 및 배기가 공정챔버(5)로 순환되어 흐르기 때문에 미반응 가스의 잔류를 방지하여 파우더(Pawder)의 형성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플렌지(8) 하단부의 가스공급을 위한 연결부분이 제거되어 진공시스템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가스의 공급 및 배기를 위한 각각의 연결부분 들이 각각의 조합을 통하여 하나로 통합연결되기 때문에 빈번한 공정챔버의 교체작업에도 연결부분의 마모정도가 미미하여 공정수행시 진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안정적인 공정 및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고, 파우더와 같은 불량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불량의 원인을 제거하고 또한 안정적인 공정수행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공정챔버를 소정의 진공분위기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정챔버로 공급되는 가스를 배기시키는 가스배기부가 상기 공정챔버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플렌지(Flange)와 연결구비되는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정챔버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는 상기 가스배기부와 상기 플렌지사이에 연결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부는 가스의 공급을 개폐하는 제1, 제2 밸브 및 가스의 공급을 유도하는 제 1, 제 2 연결관으로 연결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관에는 제 1 밸브가 제 2 연결관에는 제 2 밸브가 동일라인 상으로 연결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챔버는 저압확산용 챔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5. 공정챔버를 소정의 진공분위기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정챔버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 1 밸브, 제 1 연결관 및 제 2 밸브, 제 2 연결관으로 구비되는 가스공급부가 상기 공급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하여 제 1 고진공밸브, 제 1 진공연결관, 제 2 고진공밸브, 제 2 진공연결관 및 상기 제 1, 제 2 진공연결관을 하나로 연결시키는 제 3 고진공밸브, 제 3 진공연결관으로 구비되어 상기 공정챔버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플렌지와 제 1 진공연결관 및 제 2 진공연결관이 연결되는 가스배기부사이에 연결구비되는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의 가스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챔버로 공급되는 가스가 원활하게 배기되도록 상기 가스공급부의 제 1 밸브가 오픈(Open)되면, 상기 가스배기부의 제 2 고진공밸브 및 제 3 고진공밸브가 오픈되고, 상기 제 2 밸브 및 제 1 고진공밸브는 클로져(Close)되며, 상기 가스공급부의 제 2 밸브가 오픈되면, 상기 가스배기부의 제 1 고진공밸브 및 제 3 고진공밸브가 오픈되고, 상기 제 1 밸브 및 제 2 고진공밸브는 클로져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의 가스공급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챔버는 저압확산용 챔버로 구비되어 가스의 공급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의 가스공급방법.
KR1019960055034A 1996-11-18 1996-11-18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가스공급방법 KR100227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034A KR100227830B1 (ko) 1996-11-18 1996-11-18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가스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034A KR100227830B1 (ko) 1996-11-18 1996-11-18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가스공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466A KR19980036466A (ko) 1998-08-05
KR100227830B1 true KR100227830B1 (ko) 1999-11-01

Family

ID=19482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034A KR100227830B1 (ko) 1996-11-18 1996-11-18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가스공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189B1 (ko) 2004-01-12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장치가 개선된 화상판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466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7270B1 (en) Fluid control device
JP3501524B2 (ja) 処理装置の真空排気システム
KR100697280B1 (ko) 반도체 제조 설비의 압력 조절 방법
CN113410160A (zh) 专用于零件清洁的系统
KR100271758B1 (ko) 반도체장치 제조설비 및 이의 구동방법
KR960008971A (ko) 반도체 처리장치 및 반도체 처리장치의 클리닝방법
JP2008510093A (ja) 一体型高真空ポンピングシステム
KR20010043301A (ko) 진공장치
JP5224567B2 (ja) 基板処理装置、基板処理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27830B1 (ko) 반도체 공정챔버용 진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가스공급방법
JP2000161215A (ja) 真空排気システムを備えた処理チャンバ
WO2002035590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thermique
JP2826479B2 (ja) ガス供給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KR20000003211A (ko) 로드 락 챔버의 가스 공급 시스템
KR100234531B1 (ko) 반도체 저압화학기상증착설비의 배기장치
KR20100073338A (ko) 반도체 공정챔버의 진공펌프 시스템
JP2009158527A (ja) ロードロック室を有する真空チャンバー装置
KR200244729Y1 (ko) 반도체제조용저압화학기상증착장치
JPH07206586A (ja) エピタキシャル成長装置
KR20010107138A (ko) 화학 기상 증착 장비
KR20060120324A (ko) 반도체 제조장비의 멀티챔버 장치
KR20030039452A (ko) 반도체 제조 장비의 로드락 챔버
JPS60257049A (ja) イオン源用真空排気装置
KR20010102762A (ko) 진공 시스템
JP2001190945A (ja) 半導体製造装置及び半導体製造装置に於ける排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