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047B1 - 클러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047B1
KR100227047B1 KR1019910016611A KR910016611A KR100227047B1 KR 100227047 B1 KR100227047 B1 KR 100227047B1 KR 1019910016611 A KR1019910016611 A KR 1019910016611A KR 910016611 A KR910016611 A KR 910016611A KR 100227047 B1 KR100227047 B1 KR 100227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ntrol device
support member
clutch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662A (ko
Inventor
로뻬즈카를로스
바셰르미셸
마르띠네꼬랄르
Original Assignee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filed Critical 레메이르 마르
Publication of KR920006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9/00Clutches with mechanically-actuated clutching me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023/123Clutch actuation by cams, ramps or ball-screw mechanisms

Abstract

클러치 해제 베어링(5)과 같은 작동부재를 조종하기 위한 클러치 제어 메카니즘은 지지부재(7)와, 관형 구동부재(8)와, 장착수단(90)(97)(98)을 갖는 관형 피동부재(9)와,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8)와 상기 피동부재(9) 사이에 있는 나선형 경사식 캠 수단(92)(81)(94)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 클러치 해제 베어링을 끼워맞추기 위해서는 그것을 간단히 축방향 위쪽으로 제공하는 것만으로 되고; 클러치 해제 베어링의 사이즈가 피동부재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그리고 메카니즘의 사이즈가 전체적으로 작아진; 상기와 같은 유형을 갖는 클러치 제어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착수단은 제1 슬리브(9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리브(90)는 작동부재(5)의 내부를 관통하기에 적합하고 캠(81, 92, 94 등)중 하나를 내부에 달고 있기에도 적합한 반면, 상기 구동부재(8)는 상기 슬리브(90)의 내부를 관통하고 그 나머지 캠을 달고 있으며, 상기 슬리브(90)가 외측 반경방향 플랜지(98)를 갖고, 상기 반경방향 플랜지(98)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5)에 대한 접촉부로서의 역할을 하고 지지부재(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클러치 제어 장치
제1도는 자동차의 기어박스(gear box)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2) 방향에서 본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3-3선 부분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와 동일한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그 제어 장치의 축방향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제4도와 유사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제4도와 유사한 도면.
제7도는 벨로우즈가 없는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제1도의 화살표(2) 방향에서 본 정면도.
제8도는 제1도의 8-8선 단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제4도의 볼 재순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전개도.
제11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4, 제5, 제6 및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각기 도시하는, 제4도와 유사한 도면.
제15도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 피동 부재의 장착수단의 절반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축방향 부분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화살표(16) 방향에서 본 부분 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슬리브에 대한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어박스 케이싱 2 : 기어박스
4 : 클러치 제어 장치 5 : 클러치 해제 베어링
7 : 지지 부재 8 : 관형 구동 부재
9 : 관형 피동 부재 91, 92, 94 : 캠 수단
90, 97, 98 : 장착수단
본 발명은 클러치용 제어 장치, 특히 자동차 클러치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클러치의 클러치 해제 장치에 작용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작동 부재를 조종하기 위한 클러치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어 장치를 외부 고정형 구조체에 고착시키기 위한 지지 부재와; 병진운동이 방지되도록 고착되어 있고, 제어수단의 작용이 가해지기에 적합하며,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 베어링 수단에 의해서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관형 구동 부재와; 병진운동 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 회전방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회전운동은 방지되도록 고착되며, 작동 부재에 작용하기에 적합한 관형 피동 부재와; 상기 피동 부재가 작동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장착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피동 부재사이에 나선형 보상 경사부를 갖는 캠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클러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미국 특허 제 4,934,503 호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바, 그것은 단일 모듈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특허에 있어서, 피동 부재는 조립체의 축을 향해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랜지 또는 반경방향 판재를 그 내주연부에 갖고 있으며, 상기 판재위에는 특수 링에 의해서 작동 부재(즉, 클러치 해제 베어링)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한 배열에는 조립동작을 보상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을 제어 부재의 피동 부재에 단순히 축방향으로 끼우는 것만으로는 작동 부재를 조립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상기 피동 부재가 클러치 해제 베어링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의 사이즈가 바람직하지 않게 제한되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또한, 전체 배열의 반경 방향 사이즈는 비교적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결점을 극복하여, 반경방향 사이즈를 감소시키는 한편, 작동 부재의 조립작업을 단순화시키고, 또한 클러치 해제 베어링의 반경방향 사이즈도 제한하지 않을 뿐 아니라 또다른 장점도 제공하는 신규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명세서의 서두에 한정된 종류의 제어 장치에서, 장착수단은 축방향으로 배향된 제1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리브는 상기 작동 부재의 내부로 관통시키기에 적합하고 그 내부에 상기 캠 수단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기에 적합하며;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로 관통되고, 상기 캠 수단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하며; 상기 슬리브는 외향으로 돌출된 제1 반경방향 플랜지를 지지하며, 상기 제1 플랜지는, 첫째는, 상기 작동 부재에 대한 접촉 부재로서 작용하기에 적합하고, 둘째는, 상기 회전방지 수단을 통해서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작동 부재(클러치 해제 베어링)를 단순히 축방향 위쪽으로 설치함으로써 그것을 끼워맞출수 있게 하고, 또한 그것의 사이즈가 상기 장치의 피동 부재에 의해 제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반경방향으로 및 축방향으로 더 박형화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 장치는 사이즈가 상이한 작동 부재, 즉 클러치 해제 베어링과 관련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상기 장착수단은 장착용 노우즈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동 부재는 또한 단순해지고 전보다 중량이 가벼워지며 관성도 감소되어, 상기 장치의 제어에 대한 정밀성도 향상될 뿐 아니라 그 반응 시간도 단축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도 단순해 진다. 게다가, 구동 부재의 안쪽에 장애물이 없으므로, 차량의 기어박스의 입력축과 같은 부품들이 구동 부재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부재와 협동하기 위해 구동 부재의 슬리브가 밀봉수단을 지지하고 있으며, 지지 부재를 벨로우즈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밀봉수단을 지지하고 있으며, 지지 부재를 벨로우즈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강성 하우징 부재로 구성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것은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를 모두 먼지 등과 같은 불순물의 침투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제어 장치의 유효수명을 증가시킨다.
상기 피동 부재는 구동 부재에 의해 해제된 추가 공간을 이용하여, 모양이 직선형인 적어도 하나의 접선방향 텅을 통해 지지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일련의 재순환형 볼을 포함하고 있는, 나선형 경사부의 유형을 갖는 캠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이들 캠 수단은 베어링 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다른 여러가지 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이하의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것으로, 단지 예시하는 것 뿐이다.
우선, 제1도를 참조하면, 자동차 클러치용 제어 장치(4)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어 장치(4)는 작동 부재(5)를 조종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상기 작동 부재는 클러치 해제 요소에 작용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클러치 해제요소는 격판(6)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어 장치(4)는 지지 부재(7), 관형 구동 부재(8)와 관형 피동 부재(9)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 부재(5)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클러치 자체의 클러치 해제 장치의 일부인 격판(6)의 단부들에 작용하도록 배열된다. 일 변형예로서는, 이러한 클러치 해제 장치가 클러치 해제 레버와 나선형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해제 베어링(5)은 이들 레버상에서 작동한다. 상기 지지 부재는 베이스(70)를 갖는, 적당한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하우징(7)을 포함하는 바, 상기 베이스는 두개의 조임용 이어(ear ; 78, 78')를 구비한다. 각 조임용이어(78, 78')는 구멍(77, 77')을 각기 갖고 있는데, 그 구멍을 통해 조임용 나사를 통과시켜서, 본원에서는 제1도에서 도면부호(2)로 나타낸 기어박스로 구성된 외부 고정형 구조체에 하우징을 고착시키고 있다.
제1도를 다시 참조하면, 기어박스(2)는 기어박스 케이싱(1)과, 관형 구동 부재(8)의 내부속으로 연장되어 있는 주 피동축(3)을 갖는다. 상기 관형 구동 부재는 적절한 제어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제어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바, 상기 제어 수단은 본 실시예에서는 제 7 도의 안내용 외장(14)을 갖는 보든 케이블(Bowden cable ; 10)(제4도 및 제7도 참조)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7도는 하우징(7)의 일부인 관형 터널(79)도 도시한다. 케이블(10)은 터널(79) 속으로 연장되고, 그 외장(14)의 단부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터널(79)내에 형성되어 있는 숄더에 장착된다. 피동 부재(8)는 병진 운동을 방지하도록 보유되며,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세그먼트의 형태를 갖는 작동부(11)를 갖는다. 케이블(10)은 작동 세그먼트(11)에 권취되고, 상기 세그먼트는 하나의 일반적인 원주방향 홈을 갖는다. 페룰(ferrule ; 100)은 미국 특허 제 4,934,503 호의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같이 케이블(10)의 자유단에 고착되고, 작동 세그먼트(11)의 상기 홈의 말단에 박혀 있으며, 또한 상기 작동 세그먼트(11)는 페룰(100)과 맞물릴 수 있는 반경방향 홈(101)도 갖고 있다.
관형 구동 부재(8)는 지지 부재(7)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부재(7)에 의해 지지된 베어링 수단(80 ; 제4도)을 통해 장착된다. 상기 관형 피동 부재(9)는 이와는 반대로 지지 부재(70)에 대해 회전운동은 방지하도록 고착되나 병진운동은 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회전 방지는 지지 부재(7)에 의해 지지된 회전 방지수단(12, 13 ; 제7도)에 의해서 수행된다. 피동 부재(9)는 작동 부재(5)에 작용하도록 배열된다. 나선형 보상 경사부를 갖는 캠 수단(92, 81, 94)은 구동 부재(8)와 피동 부재(9) 사이를 연결시킨다.
피동 부재(9)는 장착수단(90, 98)을 구비하고 있는 바, 상기 장착수단(90, 98)은 클러치 해제 베어링(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장착수단은 축방향으로 배향되고 클러치 해제 베어링(5)의 안쪽에 연장되어 있는 제1 슬리브(90)를 포함한다. 상기 캠 수단(81, 92, 94)의 일부는 상기 제1 슬리브(90)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 부재(8)는 슬리브(90)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캠 수단의 다른 부분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90)는 횡방향 외부 돌출형 제1 반경방향 플랜지(98)에 이어져 있는 바, 상기 제1 반경방향 플랜지(98)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5)에 대한 축방향 접촉부로서 작용하도록 배열되며, 회전방지 수단(12, 13)을 통해서 지지 부재(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플랜지(98)는 조립체의 축선으로 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피동 부재(9)의 장착수단(90, 98)은 클러치 해제 베어링의 장착 노우즈(mounting nose)를 함께 구성한다. 상기 구동 부재(8)는 기어박스의 주 피동축(3)을 둘러싸고 있으며, 축과 부재사이에는 좁은 간극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축은 부재를 축방향으로 통과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부재(8)의 보어는 상기 축(3)의 직경에 따라 달라진다.
이제, 제 4, 5, 6 도 및 제11도 내지 제15도를 참조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환형 장착수단(90, 98)은 축방향 단면으로 보면 전체적으로 반전된 L자 형상을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상기 제1 플랜지(98)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슬리브(90)와 일체이며(제4도 참조), 서로 정반대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그 플랜지의 외주연부로부터 돌출해 있는 두개의 러그(97)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회전 방지 수단은 적어도 두개의 접선방향 텅(12, 13)의 형태로 존재하며, 상기 텅들은 서로 협력하여 작용하고 제2도,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러그(97)에 의해 고착된다. 상기 텅(12, 13)은 직선형이지만, 미국 특허 제 4,934,503 호의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유사한 곡선형이 아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각 텅(12, 13)은 러그(97)중 하나와, 하우징(70)에 의해 지지된 두개의 고정핀(71 ; 제3도 참조)중 각 1개에 각기 리벳으로 박음으로써 그의 각 단부에서 고착된다. 선택적으로는 나사조임 패스너나 이와 유사한 다른 적당한 수단에 의해 텅(12, 13)을 고착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물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텅(12, 13)은 탄성이며, 러그(97)를 통과하는 직경의 양쪽에서 그와 직각으로 서로 평행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고정 핀(71)은 이어(78, 78')내에 형성되며, 상기 이어는 텅(12, 13)을 각기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이 파져 있다. 이러한 배열예는 특히 구동 부재(8)가 제1 슬리브(90)의 내부를 관통한다는 사실로 인해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피동 부재(9)는 회전을 방지하도록 고정되며, 텅(12, 13)은 그들이 정확한 반력(reaction force)을 발휘할 수 있는 우수한 상태로 작동하고 실질적인 길이를 갖는다.
제4도에 있어서, 러그(97)는 플랜지(98)의 주요 부분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약간 오프셋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 하나의 텅(12)과 단 하나의 텅(13)만이 있으나, 단일 텅(12, 13)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각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텅(12, 13)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은 사실상 축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지지 부재(7)의 베이스(70)를 향해서 축방향으로 반력을 가한다. 텅(12, 13)은 또한 베이스(70)를 향해서 축방향으로 그들의 나선형 보상 경사부를 갖는 캠 수단을 통해 구동 부재를 변환시킨다. 따라서 구동 부재(8)는 모든 상황에서 병진운동이 방지되도록 고착된다.
슬리브(90)안쪽에 지지되어 있는 것은 링(91)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저마찰 계수의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링(91)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으며, 세개의 홈(93)이 형성된다. 상기 링(91)은 슬리브(90) 물질은 팽경(upsetting)시켜 형성되는 보유 요소(99 ; 제4도)에 의해서 슬리브(90)내에 유지된다. 따라서, 링(91)은 보유 요소(99)에 의해 형성된 숄더와, 조립체의 축선을 향하도록 편향되어 있고 플랜지(98)를 갖는 단부와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는 그 단부가 슬리브(90)의 일부인 반경 방향 플랜지 사이에 포획된다.
상기 링(91)은 또한 세개의 나선형 경사부를 갖는다. 이와 유사하게, 제1 슬리브(90)는 링(91)을 보상하는 세개의 나선형 경사부(92' ; 제9도 참조)를 갖는다. 슬리브(90)의 경사부(92')는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상기 링(90)은 또한 세개의 홈(92)도 갖는다. 따라서, 링(91)과 슬리브(90)사이에는 제 4 도에 도시된 한 세트의 볼(94)에 대한 순환 채널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열에는 제9도 및 제10도의 전개도에 보다 명백히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링(91)은 제1 슬리브(90) 및 볼(94)과 함께 슬리브 너트를 형성한다.
상기 피동 부재(9) 자체는 나사형 튜브의 형태로서, 비드의 오목측부에 나선형 나사산을 가지며, 이 나사산은 볼(94)의 형상에 적합한 것이다. 나사산(81)은 이 실시예에서는 세부분으로 형성되는 바, 이들 세부분은 서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것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볼(94)에 대한 재순환수단이 제공된다.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면, 볼(94)은 나선형 나사산(81)과, 슬리브(90)의 나선형 경사부(92')와 그리고 링(91)의 나선형 경사부와 협동하여 반환부(92, 93)로 반송시킨 후 재순환시킨다. 따라서 대단히 많은 숫자의 볼을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구동 부재(8)에 의해 피동 부재(9)를 효과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돕는다. 관형 구동 부재(8)는 피동 부재의 장착수단(90, 98)과 같이 반전된 L자형 단면을 갖고 축방향으로 배향된 슬리브(82)도 갖는다. 상기 슬리브(82)는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본원에서는 제2 슬리브로서 나타내고자 한다. 상기 제 2 슬리브(82)는 부재(8)의 일반적인 횡방향 연장부(83)에 이어지고, 그 연장부는 본원에서는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2 반경방향 플랜지로서 나타내고자 한다. 제 2 반경 방향 플랜지(83)는 베어링 수단(80)과 협동하고 작동부, 즉 작동 부재(11)도 지지하고 있을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베어링 수단(80)은 사선방향 접촉형 볼 베어링의 형태를 갖는 바, 그 내에 포함되어 있는 힘은 반경방향 부품과 축방향 부품을 다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 세그먼트(11)는 제 2 플랜니(83)위에 주조된다.
베어링(80)의 내측 링(84)은 증가되는 두께를 갖는 부분(76)안쪽으로 위치되고, 상기 부분(76)은 하우징(7)의 베이스(70)로 부터 돌출하고, 베어링의 외측 링은 플랜지(83)내에 형성된다. 베어링(80)을 밀봉시킬 목적으로 제2 플랜지(83)의 외주연부와 돌출부(76) 사이에 좁은 통로가 제공되고, 구동 부재, 그리고 그에 따른 제1 플랜지(98)를 갖는 제 1 슬리브(90)는 판금을 프레스하여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하우징(7)은 간략화되고 내부 슬리브도 없다. 세그먼트(11)는 제2 플랜지(83)에 외팔보식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제1 플랜지(98)와 평행하다. 제4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제2 플랜지(83)는 러그(97)의 외주연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세그먼트(11) 안쪽에서 연장되며, 플랜지(83, 98)는 서로 평행하고 조립체의 축선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90)는 그 자유단에서(즉, 플랜지(98)의 반대쪽에서) 밀봉 링(96 ; 제4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밀봉 링(96)은 절곡부의 보유 링(95)에 의해서 슬리브(90)의 외주연부로 강제 압입함으로써 그 외주연부에 유지시킨다. 밀봉형 보유 링(95)은 그것을 통과하고 있는 제2 슬리브(82)와 협동하여 밀봉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밀봉 링(96)이 보유되도록 한다. 따라서 바로 이때 완전한 밀봉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같이 클러치 해제 베어링인 이 실시예의 작동 부재(5)는 미국 특허 제 4,852,710 호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종류의 것이다. 이러한 해제 베어링은 회전형 내측 링을 비회전형 외측 링과 함께 포함하고 있는 바, 상기 회전형 내측 링은 격판(6)의 핑거와 협동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비회전형 외측 링은 조립체의 축선을 향해서 배향되어 있고 제1 플랜지(98)와 협동하기에 적합한 반경방향 플랜지를 갖는다.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링(51)은 해제 베어링(5)의 내측 링과 그 외측 링의 반경방향 플랜지 사이의 간극내에 장착된다. 상기 탄성 링은 2면 형상이고, 적어도 하나의 태브를 가지며, 슬리브(90)에 형성되어 있는 원주방향 홈(제4도)에 한정된 숄더를 그 태브에 의해서 내리누름으로써, 해제 베어링(5)의 비회전형 외측 링의 반경 방향 플랜지를 제1 반경방향 플랜지(98)쪽으로 바이어스 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상기에 언급한 미국 특허 제 4,852,710 호를 참조하면, 이러한 배열에 대해 보다 상세히 나타나 있는 바, 그 조립은 클러치 해제 베어링(5)을 하우징 부재(7)의 베이스(70)로 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슬리브(90)에 간단히 축방향으로 끼움으로써 노우즈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의 클러치 해제 베어링이 보유되며, 자동으로 정렬된다. 물론, 선택적인 배열예로서, 미국 특허 제 3,416,637 호의 명세서(특히 제 2 도 및 제 3 도 참조)와 미국 특허 제 4,852,710 호의 명세서(제7도 참조)에 개시된 바와같은 회전형 외측 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장착수단은 미국 특허 제 4,852,710 호의 제7도와 같이 U자형 단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변형예에서, 해제 베어링의 내측 링을 슬리브(90)에 강제 압입하여 고정하고, 그 슬리브는 회전가능한 해제 베어링의 외측 링과 함께 보유 링(95)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갖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경우에 미국 특허 제 4,934,503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배열예와 비교해 볼때 간단해졌으며, 단순한 축방향 끼움 동작만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피동 부재(9)의 장착수단에 장착할 수 있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의 사이즈도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이어(78, 78')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70)를 갖고 주변 플랜지도 가지며 축방향으로 배향되고 기어박스(2)로 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있는 지지 하우징(7)은 벨로우즈(73)에 의해 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4 도 참조). 축방향과 반경방향 양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공간을 벨로우즈(73) 안쪽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우징 부재(7)의 주변 플랜지의 자유단에 립(lip ; 72)을 형성시킨 다음,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벨로우즈(73)의 단부(74)를 상기 립에 압입하여 결합하고 있다. 상기 벨로우즈(73)는 제1 반경방향 플랜지(98)와 러그(97)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바깥쪽으로 꺾인 반경방향 단부(75)를 가지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클러치 해제 베어링의 비회전형 외측 링의 외주연부와 협동한다. 외측 링이 회전가능한 경우인 선택적인 배열예에 있어서, 벨로우즈의 단부(75)는 제1 반경방향 플랜지(98)의 외주연부와 협동하거나, 또는 그 플랜지(98)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축방향 연장식 환형 플랜지부와 협동한다.
벨로우즈의 두단부(74, 75)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나 서로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고, 하우징(7)은 작동 세그먼트(7)와 그 관련 케이블(10)을 밀봉시키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제어 장치는 단일 조립체로서, 불순물, 먼지 등이 그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4도는 격판(6)이 취할 수 있는 여러가지 형상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그 형상은 각기 다른 시간에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클러치(도시되지 않음)가 미는 식(pushed type)이므로, 클러치 해제 베어링(5)으로 구성되어 있는 작동 부재에 의해 격판(6)의 핑거의 단부에 추력을 가함으로써, 클러치의 마찰 디스크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클러치의 가압판과 반동판 사이에 보통 파지되어 있는 클러치 라이닝상의 파지를 해제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클러치를 해제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모든 것은 구성이 간단한 구동 부재(8)를 케이블(10)로 회전운동하도록 작동시켜서, 피동 부재(9)를 경사식 나선형 캠 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즉, 병진 운동으로)대체하는 것이다. 그 때 피동 부재(9)는 격판(6)에 추력 모드로 작용된다.
상술된 장치의 관성이 저감되고, 또한 축방향 공간이 제1 플랜지(98)와 제2 플랜지(83) 사이에 유용하게 만들어진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5도를 이하에서 참조한다. 제5도에 있어서, 제 1 도 내지 4 도에 나타나 있는 부품중 일부는 그 번호에 100 을 더하여 참조번호로 나타내었다.
제5도에 있어서, 베어링 수단(180)은 두개의 니들 베어링(185, 18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베어링은 한세트의 니들 롤러를 각기 갖고 있다. 베어링(185)은 축방향 하중을 받고 있으며, 다른 베어링(186)은 반경방향 하중을 받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지지 부재(70)의 두께(176)내에서 고정되어 있는, 이들 두 베어링의 공통적인 내측 베어링 링(184)은 한 세트의 니들 롤러(185, 186)에 대한 구름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제 2 반경방향 플랜지(183)와 제 2 슬리브(182)는 이와 유사하게 니들(185, 186)을 각기 수용하여 양 베어링의 외측 링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2 플랜지(183)는 꾸불꾸불한 형상으로서 그 외측 단부를 하우징(7)의 베이스(70)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시킴으로써, 케이블(10)에 대해 안내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작동요소(111)를 제 2 플랜지(183)에 외팔보식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배열예는 텅(12, 13)에 의존해서 피동 부재(9)를 회전이 방지되도록 유지해야 하는 필요성을 없앤다. 이 텅은 이용가능한 공간에 따라서 케이블(10) 및 터널(79)의 연장부가 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 6 도를 참조하면, 두개의 구름 베어링을 제공하는 대신, 이 두개의 베어링을 모양이 환형이고 일반적으로 반전된 L자형 단면을 가지며 적절한 감마 물질(anti-friction material)로 이루어진 단일 베어링(280)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상기 베어링(280)은 지지 부재(270)에 고정되어 있는 부재(284)와 제2 반경방향 플랜지(이 실시예에서는 참조번호 283 으로 나타냄)사이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경사식 나선형 보상 캠 수단에 대해 여러 가지 많은 가능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 11 도를 참조하면, 캠 수단은 나선형 돌출부(192)로 구성되며, 이 나선형 돌출부들은 서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제1 슬리브(참조번호 190으로 나타냄)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부재(19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피동 부재(9)는 돌출부(192)와 협동시키기 위한 나선형 보상 홈(181)을 갖는다. 상기 부재(191)는 플라스틱과 같은 적당한 감마 물질로 제조하고 제1 슬리브(190)위에 주조함으로써, 이것이 두개의 물질 또는 복합 슬리브 너트를 형성하도록 하며, 구동 부재(8)의 제2 슬리브(참조번호 282로 나타냄)는 돌출부(192)를 수용하기 위해 나선형 튜브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단면이 사다리꼴이다. 따라서, 제11도에 있어서는 제4도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돌출부(192)와 보상홈(181)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나선형 각을 갖는 단 하나의 돌출부와 단 하나의 홈을 제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제 12도를 참조하면, 제 1 슬리브 너트(290)는 저마찰 계수의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동 부재(8)내에 형성되어 있는 보상홈(181)에 항상 결합하고 있는 돌출부(29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동 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3 도에 있어서는, 제 2 슬리브(382)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마찰 계수의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링(48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바, 그 링내에는 제 4 도의 나선형 나사산(81)의 기능에 대응하는 나선형 홈(38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리브(190)는 제 11 도에서와 같이 저마찰 계수의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고 돌출부(392)를 구비한 부재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392)는 홈(381)과 협동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링(482)은 보스(483)를 지지하고 있으며, 그 보스(483)는 슬리브(382)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484)과 결합해서 슬리브를 적소에 유지시킨다.
제14도에 도시된 또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그 구조는 제 11 도와 비교해 볼 때 역으로 된 것이다. 제 14 도에 있어서, 제 2 슬리브(582)는 서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고 나선형 경사부의 형태를 갖는 돌출부(581)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바, 그 돌출부(581)는 링(591)에 있는 보상 홈(592)과 결합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링(591)은 제 1 슬리브(190)에 고정된다. 이 배열예에 따른 복수개의 홈(592)과 돌출부(591)는 제 14 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나선형 각의 의미에 따라서, 단일 돌출부를 단일 홈과 함께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물론 상술된 여러가지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제어용 케이블(10) 대신, 상술된 미국 특허 제 4,934,503 호의 제 11 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장치에서는 제어 케이블이 로드로 대체되었으며, 이 로드는 유체 작동기의 제어를 받아서 제거되며, 제1 반경방향 플랜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변형예에서는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의 구동 부재를 맞물림 결합수단을 통해 구동시킬 수도 있다.
제 1 반경방향 플랜지가 두개의 장부(tenons)를 가지게 할 수도 있는데, 그 각 장부는 작동 부재(11)의 홈에 결합되도록 배열됨으로써, 이들 두 부품을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제4도에서 베어링(80)을 밀봉하기 위하여 부재(84)와 제2 슬리브(82)사이에 좁은 통로가 있었지만, 부재(84)와 제2 슬리브(582) 사이에 밀봉 링(710)을 제공하는 것(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음)도 가능하다. 장착수단은 U자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는데, 특히 그것이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된 경우에 그러하다. 이것은 제 12 도에서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 경우에, 제 1 반경방향 플랜지(198)는 그 외주연부에 축방향 반환부(199)를 갖는 바, 상기 반환부(199)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5)의 외측 링을 둘러싸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벨로우즈(73)는 이 반환부 또는 플랜지(199)와 협동한다.
제어 장치의 피동 부재에 포함되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의 장착수단은 제 11 도에 도시된 복합 형태로 할 수도 있으나, 제 1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관형 금속부(703)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부(703)는 반전된 L자형 단면을 가지며,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관형부(691)내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금속부(703)는 그 축방향 단부들 중 일단부에 횡방향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는 바, 그 플랜지는 관형부(691)의 횡방향 부분 안쪽에 위치되어 있으며, 관형부(691)는 금속부(703)의 단면과 결합하기 위해서 반전된 L자형 단면을 갖는다. 이를 위해서(제 15 도 및 제 17 도 참조), 금속부(703)의 각 축방향 및 반경방향 부분에는 교통 채널(701, 702)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플라스틱 물질을 금속부(703)를 가로질러 연장시켜서 금속부를 밀봉시킨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클러치 해제 베어링(5)의 외측 링의 반경 방향 플랜지(705)를 제 1 플랜지(298)와 접촉되도록 바이어스하는 링(51)이 압입되는 홈(704)을 형성하기 위해서 금속부를 가공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 제 11 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제 1 반경방향 플랜지(298)는 플라스틱 물질로 도포된다. 돌출부(692)는 아주 쉽게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네개의 돌출부(692)가 제공되는데, 각 돌출부(692)는 단면이 사다리꼴인 나선으로서, 캠 수단의 일부를 나선형 경사부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다. 이 장치에 의해서, 반경방향 플랜지(705)가 플라스틱 물질과 접촉하게 되고, 금속부내에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돌출부를 플라스틱 물질로 한다.
제 1 반경방향 플랜지(98)는 여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슬리브와 일체로 하는 대신, 분리시켜서 제1 슬리브 위에 예를들면 주조하거나 또는 용접하거나 주름을 잡음으로써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제 1 슬리브(90)는 합성 물질로 할 수 있으며, 제 1 반경방향 플랜지(98)는 금속으로 하거나 제 1 플랜지(90)상에서 주조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텅(12, 13)은 함께 연결하는 라인의 동일 측면상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Claims (6)

  1. 클러치의 클러치 해제 장치(6)에 작용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작동 부재(5)를 조종하기 위한 클러치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어 장치(4)를 외부 고정형 구조체(1, 2)에 고착시키기 위한 지지 부재(7)와; 병진운동이 방지되도록 고착되어 있고, 제어수단(10, 14)의 작용이 가해지기에 적합하며, 상기 지지 부재(7)에 의해 지지된 베어링 수단(80)에 의해서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관형 구동 부재(8)와; 병진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 부재(7)에 의해 지지된 회전방지 수단(12, 13)에 의해서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회전운동은 방지되도록 고착되며, 작동 부재(5)에 작용하기에 적합한 관형 피동 부재(9)와; 상기 피동 부재(9)가 작동 부재(5)를 지지하기 위한 장착수단(90, 97, 98 등등)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구동 부재(8)와 상기 피동 부재(9) 사이에 나선형 보상 경사부(92, 81, 94)를 갖는 캠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클러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90, 97, 98 등등)은 축방향으로 배향된 제 1 슬리브(9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리브(90)는 상기 작동 부재(5)의 내부로 관통시키기에 적합하고 그 내부에 상기 캠 수단(81, 92, 94 등등)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기에 적합하며; 상기 구동 부재(8)는 상기 슬리브(90)의 내부로 관통되고, 상기 캠 수단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하며; 상기 슬리브(90)는 외향으로 돌출된 제 1 반경방향 플랜지(98)를 지지하며, 상기 제1 플랜지(98)는, 우선, 상기 작동 부재(5)에 대한 접촉 부재로서 작용하기에 적합하고, 다음에, 상기 회전 방지 수단(12, 13)을 통해서 상기 지지 부재(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수단(12, 13)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두개의 결합된 직선형 텅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각 텅은 상기 제 1 반경방향 플랜지(98)에 의해 지지된 고착 러그(97)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 부재(7)의 고정핀(71)에도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두개의 고착 러그(97)는 서로 정반대로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텅(12, 13)은 상기 두개의 고착 러그(97)의 대칭 평면을 한정하는 직경으로 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7)는 상기 고정 구조체(1, 2)에 고정시키기 위한 두개의 고정용 이어(78, 78')을 가지며, 상기 이어는 상기 텅(12, 13)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이 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8)는 반전된 L자형 단면을 갖고 제 2 슬리브(82, 182 등등)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슬리브는 축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제 1 슬리브(90, 190 등등)의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캠 수단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구동 부재(8)는 제 2 반경방향 플랜지(83, 183 등등)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반경방향 플랜지는 우선, 상기 베어링 수단(80, 180 등등)과 협동할 수 있으며, 다음에 상기 제어수단(10)과 협동하기 위한 구동요소를 구성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수단은 볼의 재순환 수단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슬리브(90)에 의해 지지된 순환 홈(91)내에 장착된 볼(94)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부재(8)는 상기 볼(94)을 순환시키기 위한 나선형 홈(8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리브(90)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링(51)과 결합시키기 위한 홈을 그 내부에 갖고 있으며, 상기 탄성 링(51)은 상기 작동부(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작동 부재의 반경방향 플랜지를 상기 제 1 반경방향 플랜지(98)와 접촉되게 바이어스할 수 있도록 배열되며; 상기 지지 부재(7)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작동 부재(5)에 장착되어 있는 벨로우즈(73)에 의해 폐쇄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관형 금속부(703)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금속부(703)는 반전된 L자형 단면을 갖고, 상기 금속부(703)의 단면과 결합할 수 있는 반전된 L자형 단면을 갖는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관형부(691)내에 배치되며,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관형부는 상기 캠 수단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금속부(703)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 부분에는 교통 채널(701, 70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제어 장치.
KR1019910016611A 1990-09-25 1991-09-24 클러치 제어 장치 KR100227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0.11810 1990-09-25
FR9011810A FR2667121B1 (fr) 1990-09-25 1990-09-25 Dispositif de commande pour 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662A KR920006662A (ko) 1992-04-27
KR100227047B1 true KR100227047B1 (ko) 1999-10-15

Family

ID=940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611A KR100227047B1 (ko) 1990-09-25 1991-09-24 클러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41091A (ko)
EP (1) EP0478427B1 (ko)
JP (1) JP3227610B2 (ko)
KR (1) KR100227047B1 (ko)
DE (1) DE69105685T2 (ko)
ES (1) ES2067893T3 (ko)
FR (1) FR2667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16511U1 (de) * 1994-10-13 1996-02-08 Schulze Heuling Ulrich Fernbedienbare Kupplung
DE19547081A1 (de) * 1994-12-23 1996-06-27 Luk Lamellen & Kupplungsbau Betätigungsvorrichtung
DE19532509A1 (de) * 1995-09-02 1997-03-06 Fichtel & Sachs Ag Reibungskupplung mit mechanisch betätigtem konzentrischen Ausrücker
FR2756602B1 (fr) * 1996-11-29 1999-01-15 Skf France Dispositif debrayeur
GB2338769B (en) * 1998-04-09 2003-01-22 Luk Lamellen & Kupplungsbau Operating device for a clutch
FR2782353B1 (fr) 1998-07-28 2000-10-13 Valeo Equip Electr Moteur Embrayage a friction portant le rotor d'une machine electr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83292B1 (fr) * 1998-07-28 2000-11-24 Valeo Embrayage a friction portant le rotor d'une machine electr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91008B1 (fr) * 1999-03-19 2001-06-01 Valeo Ensemble constitue d'un embrayage associe a une machine electr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04185B1 (fr) * 2000-01-25 2002-05-17 Valeo Embrayage a friction comportant un plateau de reaction portant un rotor d'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04184B1 (fr) 2000-01-25 2002-05-17 Valeo Embrayage a friction comportant un plateau de reaction portant un rotor d'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l'encombrement radial dudit embrayage etant reduit
DE10006160A1 (de) 2000-02-11 2001-08-30 Bosch Gmbh Robert Starter
FR2792981B1 (fr) 2000-06-29 2002-12-13 Valeo Ensemble constitue d'un embrayage associe a une machine electr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035516A1 (de) 2000-07-21 2002-01-31 Mannesmann Sachs Ag Ausrückeranordnung
FR2830589B1 (fr) * 2001-10-08 2004-04-23 Valeo Ensemble de transmission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deux embrayages et une machine electrique
FR2830590B1 (fr) 2001-10-08 2004-07-09 Valeo Ensemble de transmission comprenant deux embrayages et une machine electr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P1302688A3 (de) * 2001-10-09 2004-07-28 ZF Sachs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seinrichtung, gegebenenfalls Doppel- oder Mehrfach- Reibungskupplungseinrichtung
DE10216136A1 (de) * 2002-04-12 2003-10-23 Ina Schaeffler Kg Elektromotorische Betätigungseinrichtung
WO2014049248A1 (fr) 2012-09-25 2014-04-03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Ensemble de transmission pour vehicule automobile
FR2995834B1 (fr) 2012-09-25 2014-09-05 Valeo Equip Electr Moteur Ensemble de transmission pour vehicule automobile
FR2995833B1 (fr) 2012-09-25 2015-08-07 Valeo Equip Electr Moteur Module hybride pour ensemble de transmission de vehicule automobile
FR2995832B1 (fr) 2012-09-25 2014-09-05 Valeo Equip Electr Moteur Ensemble de transmission ayant un moyeu de rotor a flasque anti-poussiere
EP2900503B1 (fr) 2012-09-25 2018-04-25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Dispositif pour véhicule hybride avec un flasque anti-poussière entre une machine électrique et un plateau de réaction
WO2015040284A1 (fr) 2013-09-20 2015-03-26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Ensemble de transmission pour vehicule automobile
WO2015040283A1 (fr) 2013-09-20 2015-03-26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Ensemble de transmission pour vehicule automobile
WO2015040285A1 (fr) 2013-09-20 2015-03-26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odule hybride pour ensemble de transmission de vehicule automobile
DE112016001747A5 (de) * 2015-04-14 2018-01-04 Magna Powertrain Ag & Co. Kg Drehmomentübertrag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854A (en) * 1906-03-08 1907-04-16 Universal Machine Screw Company Clutch.
FR405789A (fr) * 1909-08-06 1910-01-13 Robert Frederic Collins Embrayage à friction avec dispositif de commande
US2521607A (en) * 1946-04-02 1950-09-05 Charles E Rohn Screw operated clutch
FR1467848A (fr) * 1965-12-20 1967-02-03 Ferodo Sa Butée de débrayage, et embrayage la comportant
FR2580753B1 (fr) * 1985-04-17 1989-10-27 Valeo Embrayage a commande par moteur,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607885B1 (fr) * 1986-12-05 1991-01-25 Valeo Butee de debrayage a rondelle elastique bistabl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623580B1 (fr) * 1987-11-25 1991-08-23 Valeo Dispositif de command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US4924988A (en) * 1989-01-19 1990-05-15 Tecumseh Products Company Clu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82033A (ja) 1992-10-07
DE69105685T2 (de) 1995-05-04
DE69105685D1 (de) 1995-01-19
FR2667121A1 (fr) 1992-03-27
KR920006662A (ko) 1992-04-27
FR2667121B1 (fr) 1995-04-07
JP3227610B2 (ja) 2001-11-12
ES2067893T3 (es) 1995-04-01
EP0478427A1 (fr) 1992-04-01
EP0478427B1 (fr) 1994-12-07
US5141091A (en) 199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047B1 (ko) 클러치 제어 장치
KR960005974B1 (ko) 자동차동 클러치 조종장치
US4371068A (en) Clutch release bearings
US6269926B1 (en) Friction clutch with electromechanical actuator,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US3913714A (en) Clutch release mechanism
FI71188C (fi) Friktionskoppling
US4271950A (en) Clutch mounting and actuating device
US11300170B2 (en) Spreader unit for a drum brake, comprising wear travel adjustment, and the drum brake
KR920000378B1 (ko) 클러치의 릴리즈 베아링 기구
GB2045380A (en) Clutch release bearing assembly
US4566578A (en) Clutch throw-out bearing and bearing carrier assembly
US4947975A (en) Release bearing mechanism of a clutch
US4967891A (en) Release mechanism of a clutch
US4742902A (en) Clutch release bearing and bearing carrier assembly
EP0194376A2 (en) A clutch release assembly
KR100338050B1 (ko) 클러치릴리스아셈불리
GB2045381A (en) Clutch release bearing assembly
GB2044385A (en) Clutch Release Mechanisms
US5758757A (en) Wire ring retaining collar and release device for a pull type clutch mechanism
GB2100827A (en) Clutch release bearing assembly
CN109572908B (zh) 制动装置
JP3061550B2 (ja) 自転車用ケーブルの防塵カバーシステム
KR100390253B1 (ko) 릴리스 베어링 조립체
GB2166511A (en) Improvements in clutch release mechanisms
KR20180031661A (ko) 컴팩트형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