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661A - 컴팩트형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 Google Patents

컴팩트형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661A
KR20180031661A KR1020180031660A KR20180031660A KR20180031661A KR 20180031661 A KR20180031661 A KR 20180031661A KR 1020180031660 A KR1020180031660 A KR 1020180031660A KR 20180031660 A KR20180031660 A KR 20180031660A KR 20180031661 A KR20180031661 A KR 20180031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ring
inner ring
ring flange
flange
rac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철환
박우현
Original Assignee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코리아(유) filed Critical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to KR1020180031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1661A/ko
Publication of KR2018003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3/14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 F16C19/163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1/00Apparatus or articles in engineering in general
    • F16C2361/43Clutches, e.g. disengaging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8Details or arrangements of seal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3/8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경면에 외륜궤도가 형성되며 축 방향 일측에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외륜플랜지를 구비한 외륜부재와; 외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륜궤도와 마주하는 내륜궤도를 가지며 축 방향으로 외륜플랜지가 형성뙨 쪽에서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내륜플랜지를 구비하는 내륜부재와; 상기 내륜부재의 내륜궤도와 외륜부재의 외륜궤도 사이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전동체와; 상기 내륜부재와 외륜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케이지와; 상기 내륜부재에 접착되며 외륜부재를 향하여 돌출된 하나 이상의 씰립을 가지는 씰링부재로 이루어진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컴팩트형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Clutch Release Bearing Of Compact Type}
본 발명은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봉 장치의 조립 공정이 생략되고, 조립 불량 문제가 감소할 수 있으며, 그리스 주입량이 증가할 수 있어 베어링 수명도 연장되는 컴팩트형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조립체는 페달을 밟았을 때 릴리즈 포크에 의하여 변속기 입력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중인 릴리즈 레버를 눌러 동력을 차단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클러치의 격판과 같은 클러치 해제장치의 내면에 견인 작용하도록 배열된 작동요소들이 구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조립체(1)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조립체는 슬리브(2)와,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1)으로 구성된다.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1)은 환형플랜지(4)와 원통형 부분(3)을 구비한 슬리브(2)에 설치된다.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1)은 케이지(8) 내에 유지된 전동체인 볼(7)이 구름 접촉을 하는 내륜 궤도(6)가 형성되고 튜브나 금속 시트로 제조된 내륜 부재(5)를 구비한다.
상기 내륜 부재(5)는 축 방향 일측에서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되어 환형 플랜지(4)의 전면(4a)과 접하는 내륜플랜지(10)를 가진다. 축 방향 타측에도 반경 방향 외향 연장된 플랜지(9)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1)은 박형으로, 금속 시트 등으로 제조되며 외륜 궤도(12)가 형성된 외륜 부재(11)를 가진다. 상기 외륜 부재(11)는 슬리브(2)에 의해 지지된 베어링 조립체가 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클러치 장치의 다이어프램 스프링(14)의 표면과 접촉하는 외륜플랜지(13)를 구비한다.
상기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1)은 외륜 부재(11)에 고정된 제1 쉴드 부재(15)에 의해 다이어프램 스프링(14) 방향의 개구부로 이물이 침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축 방향 타측의 외륜 부재(11)에 고정된 제2 쉴드 부재(16)에 의해 다이어프램 스프링(14)의 반대 쪽의 개구부로 이물이 침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환형플랜지(4)는 작은 외경을 갖는데 이는 내륜 부재(5)의 내륜플랜지(10)와 접촉하는 동안에, 상기 내륜 부재(5)에 의해 방사상으로 둘러싸이며 전동체(7)와 동일한 방사상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자동정렬 및 슬리브(2)에 대해 내륜 부재(5)를 축 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는 슬리브(2)의 원통형 부분(3) 주위에 배열되며 내륜 부재(5)의 내륜플랜지(10)와 외륜 부재(11)의 외륜플랜지(13)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자동정렬부재(17)는 고리형상 모양이고, 돌출부로부터 방사상 부분(18)과, 절단에 의한 원주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탄성 탭(19)으로 구성되고 축 방향으로 굽힘 가능하며, 내륜 부재(5)의 내륜플랜지(10)에 대향하여 지지한다. 탄성탭(19)은 만곡형상으로 내륜 부재(5)와 접하는 볼록면을 구비하고 접촉점에서 과도한 마모를 방지한다. 자동정렬부재(17)는 방사상 부분(18)의 주변부로부터 외륜 부재(11)의 외륜플랜지(13)를 향하여 연장되는 튜브 형상인 림(20)을 포함한다. 축 방향 림(20)은 자동정렬부재가 외륜 부재(11)에 꼭 맞게 되는 길이로 주어질 수 있다. 축 방향 림(20)은 양호한 축 방향 강성을 방사상 부분(18)에 제공한다.
도 3은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1)의 다른 예로서,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에서 상기 제1 쉴드 부재(15)에 제1 씰부재(15a)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쉴드 부재(16)에 제2 씰부재(16a)가 결합되어 밀봉성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1)은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의 소형화 추세에 따른 컴팩트화를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밀봉의 성능도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502775호 등록특허공보 2.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180587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충분하게 컴팩트화가 가능하며, 개선된 밀봉 성능을 가지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내경면에 외륜궤도가 형성되며 축 방향 일측에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외륜플랜지를 구비한 외륜부재와; 외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륜궤도와 마주하는 내륜궤도를 가지며 축 방향으로 외륜플랜지가 형성된 쪽에서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내륜플랜지를 구비하는 내륜부재와; 상기 내륜부재의 내륜궤도와 외륜부재의 외륜궤도 사이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전동체와; 상기 내륜부재와 외륜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케이지와; 상기 내륜부재에 접착되며 외륜부재를 향하여 돌출된 하나 이상의 씰립을 가지는 씰링부재로 이루어진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내륜플랜지는 외륜부재를 향하여 볼록한 만곡부를 형성하며 절곡되어 구비되며; 상기 씰링부재는 만곡부에 접착되며 씰립은 외륜플랜지를 향하여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에서, 씰링부재는 만곡부에 접착되는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된 링상의 씰링본체와, 상기 씰링본체로부터 분지되어 외륜부재를 향하여 연장된 복수의 씰립을 가지며; 상기 씰립 중 어느 하나는 외륜플랜지의 축 방향 내면과 마주하고, 상기 씰립 중 다른 하나는 외륜플랜지 단부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에서, 외륜플랜지는 1회 이상 절곡된 형태이며, 외륜플랜지의 축 방향 내면과 마주하는 씰립의 단부는 외륜플랜지의 오목한 절곡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에서, 외륜플랜지의 축 방향 내면과 마주하는 씰립의 외경은 볼의 내접원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내경면에 외륜궤도가 형성되며 축 방향 일측에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외륜플랜지를 구비한 외륜부재와; 외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륜궤도와 마주하는 내륜궤도를 가지며 축 방향으로 외륜플랜지가 형성된 쪽에서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내륜플랜지를 구비하는 내륜부재와; 상기 내륜부재의 내륜궤도와 외륜부재의 외륜궤도 사이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전동체와; 상기 내륜부재와 외륜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케이지와; 상기 외륜부재에 접착되며 내륜부재를 향하여 돌출된 하나 이상의 씰립을 가지는 씰링부재로 이루어진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내륜플랜지는 외륜부재를 향하여 볼록한 만곡부를 형성하며 절곡되어 구비되며; 상기 씰링부재는 복수의 씰립을 구비하며, 상기 씰립은 만곡부를 향하여 돌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에서, 씰링부재는 외륜플랜지의 내면에 결합되는 링형태의 씰링본체와, 상기 씰링본체로부터 내륜부재를 향하여 돌출 분지된 복수의 씰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씰립 중 어느 하나는 내륜플랜지와 마주하고, 씰립 중 다른 하나는 만곡부를 향하여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100)은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100)을 이루는 내륜 부재(120) 또는 외륜 부재(110)에 씰링부재(160)가 접착되는 구조이므로 컴팩트화가 가능하고, 씰링부재(160)가 부착되는 부분이 곡선 부분이므로 접착이 견고해지고, 연장된 씰립(161, 163)이 볼록한 부분과 마주하므로 밀봉 성능도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장치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의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과 슬리브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의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을 도시한 반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의 변형 예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을 도시한 반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의 변형 예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은 내경면에 외륜궤도(113)가 형성되며 축 방향 일측에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외륜플랜지(111)를 구비한 외륜부재(110)와, 외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륜궤도(110)와 마주하는 내륜궤도(123)를 가지며 축 방향으로 외륜플랜지(111)가 형성된 쪽에서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내륜플랜지(121)를 구비하는 내륜부재(120)와, 상기 내륜부재(120)의 내륜궤도(123)와 외륜부재(110)의 외륜궤도(113) 사이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전동체(130)와, 상기 내륜부재(120)와 외륜부재(110) 사이에 구비되는 케이지(140)와, 상기 내륜부재(120)에 접착되며 외륜부재(110)를 향하여 돌출된 하나 이상의 씰립을 가지는 씰링부재(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륜부재(110)와 내륜부재(12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륜부재(110)의 외륜플랜지(111)에 다이어프램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접하여 가압된다. 상기 외륜플랜지(111)는 만곡부를 형성하며 절곡되어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다. 상기 외륜플랜지(111)는 1회 이상 절곡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외륜플랜지(111)는 내측이 오목하게 되도록 절곡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내륜플랜지(121)는 외륜부재(110)를 향하여 볼록한 만곡부를 형성하며 절곡되어 구비된다. 상기 내륜플랜지(121)는 환형을 이룬다. 상기 씰링부재(160)는 만곡부에 접착되며 씰립(163, 165)은 외륜플랜지(111)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씰링부재(160)는 내륜부재(120)의 만곡부에 접착되는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된 링상의 씰링본체(161)와, 상기 씰링본체(161)로부터 분지되어 외륜부재(110)를 향하여 연장된 복수의 씰립(163, 165)을 가진다. 상기 씰립 중 어느 하나(163)는 외륜플랜지(111)의 축 방향 내면과 마주한다. 상기 씰립 중 다른 하나(165)는 외륜플랜지(111) 단부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씰립(163, 165)이 각각 외륜플랜지(111)의 축 방향 내면 쪽과 외륜플랜지(111) 단부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므로 내륜부재(120)와 외륜부재(110)가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상대 운동을 하여도 밀봉이 유지된다.
상기 외륜플랜지(111)의 축 방향 내면과 마주하는 씰립(153)의 단부는 외륜플랜지(111)의 오목한 절곡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밀봉 성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외륜플랜지(111)의 축 방향 내면과 마주하는 씰립(163)의 외경이 복수의 볼(130)의 내접원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씰립(163)이 축 방향으로 내륜부재(120)와 외륜부재(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100)의 다른 예는 내경면에 외륜궤도(113)가 형성되며 축 방향 일측에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외륜플랜지(111)를 구비한 외륜부재(110)와, 외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륜궤도(113)와 마주하는 내륜궤도(123)를 가지며 축 방향으로 외륜플랜지(111)가 형성된 쪽에서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내륜플랜지(121)를 구비하는 내륜부재(120)와, 상기 내륜부재(120)의 내륜궤도(123)와 외륜부재(110)의 외륜궤도(113) 사이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전동체(130)와, 상기 내륜부재(120)와 외륜부재(110) 사이에 구비되는 케이지(140)와, 상기 외륜부재(113)에 접착되며 내륜부재(120)를 향하여 돌출된 하나 이상의 씰립을 가지는 씰링부재(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씰링부재(160)는 복수의 씰립을 구비하며, 상기 씰립은 내륜부재 (120)의 만곡부를 향하여 돌출 연장된다.
상기 씰링부재(160)는 외륜플랜지(111)의 내면에 결합되는 링형태의 씰링본체(161)와, 상기 씰링본체(161)로부터 내륜부재(120)를 향하여 돌출 분지된 복수의 씰립(163, 16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씰립 중 어느 하나(165)는 내륜플랜지(121)와 마주하고, 씰립 중 다른 하나(163)는 만곡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외륜플랜지(111)는 1회 이상 절곡된 형태이며 내면에 부분적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씰링본체(161)는 외륜플랜지(111)에 접하는 부분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외륜플랜지(111)의 돌출된 부분에 접착되어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씰립의 단부는 내륜부재(120)에 접할 수도 있고, 내륜부재(120)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도면부호 151 및 153은 씰링부재(160)의 반대쪽 개구부를 밀봉하는 씰을 도시한 것이다.
100: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110: 외륜 부재
120: 내륜 부재 130: 전동체
140: 케이지 160: 씰링부재

Claims (8)

  1. 내경면에 외륜궤도가 형성되며 축 방향 일측에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외륜플랜지를 구비한 외륜부재와; 외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륜궤도와 마주하는 내륜궤도를 가지며 축 방향으로 외륜플랜지가 형성뙨 쪽에서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내륜플랜지를 구비하는 내륜부재와; 상기 내륜부재의 내륜궤도와 외륜부재의 외륜궤도 사이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전동체와; 상기 내륜부재와 외륜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케이지와; 상기 내륜부재에 접착되며 외륜부재를 향하여 돌출된 하나 이상의 씰립을 가지는 씰링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플랜지는 외륜부재를 향하여 볼록한 만곡부를 형성하며 절곡되어 구비되며; 상기 씰링부재는 만곡부에 접착되며 씰립은 외륜플랜지를 향하여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만곡부에 접착되는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된 링상의 씰링본체와, 상기 씰링본체로부터 분지되어 외륜부재를 향하여 연장된 복수의 씰립을 가지며; 상기 씰립 중 어느 하나는 외륜플랜지의 축 방향 내면과 마주하고, 상기 씰립 중 다른 하나는 외륜플랜지 단부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플랜지는 1회 이상 절곡된 형태이며, 외륜플랜지의 축 방향 내면과 마주하는 씰립의 단부는 외륜플랜지의 오목한 절곡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5. 제3 항에 있어서, 외륜플랜지의 축 방향 내면과 마주하는 씰립의 외경은 볼의 내접원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6. 내경면에 외륜궤도가 형성되며 축 방향 일측에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외륜플랜지를 구비한 외륜부재와; 외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륜궤도와 마주하는 내륜궤도를 가지며 축 방향으로 외륜플랜지가 형성된 쪽에서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내륜플랜지를 구비하는 내륜부재와; 상기 내륜부재의 내륜궤도와 외륜부재의 외륜궤도 사이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전동체와; 상기 내륜부재와 외륜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케이지와; 상기 외륜부재에 접착되며 내륜부재를 향하여 돌출된 하나 이상의 씰립을 가지는 씰링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플랜지는 외륜부재를 향하여 볼록한 만곡부를 형성하며 절곡되어 구비되며; 상기 씰링부재는 복수의 씰립을 구비하며, 상기 씰립은 만곡부를 향하여 돌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외륜플랜지의 내면에 결합되는 링형태의 씰링본체와, 상기 씰링본체로부터 내륜부재를 향하여 돌출 분지된 복수의 씰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씰립 중 어느 하나는 내륜플랜지와 마주하고, 씰립 중 다른 하나는 만곡부를 향하여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KR1020180031660A 2018-03-19 2018-03-19 컴팩트형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KR20180031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660A KR20180031661A (ko) 2018-03-19 2018-03-19 컴팩트형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660A KR20180031661A (ko) 2018-03-19 2018-03-19 컴팩트형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480A Division KR20180003835A (ko) 2016-07-01 2016-07-01 컴팩트형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661A true KR20180031661A (ko) 2018-03-28

Family

ID=6190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660A KR20180031661A (ko) 2018-03-19 2018-03-19 컴팩트형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16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94800A1 (en) Clutch release bearing device
US7222709B2 (en) Clutch release bearing
WO2009145216A1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
KR101852698B1 (ko) 릴리즈 베어링 및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장치
GB2139308A (en) An hydraulically actuated clutch release assembly
US4077504A (en) Self-centering clutch thrust bearing
US20120263406A1 (en) Rolling bearing, notably for a clutch release bearing device
US4433768A (en) Clutch throw-out
US11703092B2 (en) Outer contact surface element of a one-way clutch, one-way clutch including the contact surface ele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a one-way clutch
KR20180031661A (ko) 컴팩트형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KR20180003835A (ko) 컴팩트형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US4306641A (en) Noise reducing clutch disengagement
WO2009084355A1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およびこれを備える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GB2072789A (en) A sliding sleeve for a clutch release bearing assembly
JP2006194307A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及びシール部材押し込み治具
JP6818494B2 (ja) カムフォロア
CN108779812B (zh) 分离轴承
JP3648046B2 (ja) 自動調心型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US5240097A (en) Pull-type clutch
US10107339B2 (en) Clutch release bearing device
US20220242167A1 (en) Bearing device for vehicle wheel
KR20190002056A (ko)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US11215240B2 (en) Clutch release bearing device
JP2009180244A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およびこれを備える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2006009826A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