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552B1 - 확축샤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확축샤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552B1
KR100226552B1 KR1019970039007A KR19970039007A KR100226552B1 KR 100226552 B1 KR100226552 B1 KR 100226552B1 KR 1019970039007 A KR1019970039007 A KR 1019970039007A KR 19970039007 A KR19970039007 A KR 19970039007A KR 100226552 B1 KR100226552 B1 KR 100226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plit
groove
expansion shaf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450A (ko
Inventor
요시히도 하시가와
Original Assignee
하시가와요시히도
가부시기가이샤니혼가이하쓰콘설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시가와요시히도, 가부시기가이샤니혼가이하쓰콘설탄트 filed Critical 하시가와요시히도
Priority to KR1019970039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552B1/ko
Publication of KR1999001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3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actuated by use of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21Multiple web rol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4Interior-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9Supporting means for several rolls
    • B65H2301/41398Supporting means for several rolls juxtaposed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에 그의 표면에 마찰에 의한 흠집과 누르는데 따른 문양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일정의 권취장력을 부여할 수 있고 특히 권취장치의 앞측에 장력부여장치와 늘어짐을 수용하기 위한 루프피트의 설비를 하지 않고 권취설비의 간략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팽축대체 및 분할압압편을 사용하는 것에 따른 결점을 해소하고자 하며 그 해결수단으로 확축샤프트(3) 외주에 복수의 분할권취링(4)을 착탈이 자유롭게 체결하고 확축샤프트(3)의 외주면(3a)에는 저부를 향하여 확대되는 방향으로 경사된 양측면을 가지고 있고, 또한 그 양측면과 저부에서 대칭으로 각도를 이룬 축심방향으로 긴홈(5)이 형성되고, 그 홈(5)에 끼워 맞추어 홈 밑의 양측면의 각도보다 작은 경사각도를 갖는 탄성체로 형성된 저부경사플랜지면(6b)을 갖는 긴러그(6)가 출몰 미끄럼출몰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확축 샤프트(3)의 끝에서 상기 홈(5) 저부로 통하는 유체통로(7)가 설치되었으며 확축샤프트(3)의 회전토크는 유체압으로 각 분할권취링(4)의 내주면(4a)을 압압하는 긴러그(6)를 개재하여 각 분할권취링(4)에 전달시킨다.

Description

확축(擴縮)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帶板) 권취장치(券取裝置)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표시한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의 축심방향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표시한 확축 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의 측단면도.
제3a,b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표시한 작용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표시한 확축 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를 장비한 권취설비의 계략 측면도.
제5도는 종래의 권취설비의 계략적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
2 : 대판 2a : 스릿트대판
3 : 확축사프트 4 : 분할권취링
4a : 내주면 5 : 홈
5a : 경사결합면 6 : 긴 러그(lug)
6a : 선단측 6b : 저부경사플랜지면
6c : 후단면 7 : 유체통로
7a : 유체통로홈 7b : 유체도입구
7c : 회전연결구 7d : 유체통로관
7e : 유체압조정변 7f : 유체압공급기
8 : 고정축받침 9 : 구동기
10 : 되감는기구 11 : 안내로울러
12 : 스릿터 13 : 자동후퇴식분리기가이드
50 : 권취장치 51 : 장력부여장치
52 : 루프피트(pit)
본 발명은 폭이 넓은 대판(帶板)을 그 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조(複數條)로 절삭(threading)하여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으로 재단 분할한 후에 각 스릿트대판을 권취하는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에 있어서 특히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을 권취할 때 그 과정에 특별한 설비를 설치하지 않고 각 스릿트대판의 권취되는 두께의 직경의 차에 기인하는 권취 장력(張力)의 불균형을 조정하여 균일한 권취장력을 주어서 여러가닥으로 권취할 수 있는 확축 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넓은 대판의 단면은 완전하게 평면이 되지 않고 중앙이 두껍고 양단이 얇게 되어 있어 이를 스릿팅하면 대판의 중앙부와 양단부가 스릿트후의 각 스릿트 대판의 판두께에 편차가 생긴다.
그리하여 이들의 각 스릿트 대판을 공통의 권취드럼에 의하여 권취하면 판두께가 두꺼운 스릿트대판은 얇은 것보다 권취직경이 크게 되어, 중앙부와 양단부에 있어서 각 스릿트대판의 권취속도에 차가 발생하여 권취드럼에 권취되는 각 스릿트대판의 권취장력이 불균형 상태로 된다.
그 결과 권취드럼에 권취된 양단부의 스릿트대판은 중앙부에 비하면 유연하게 권취되고 권취드럼에서 빼냈을때 텔레스코프(telescope) 형상으로 되거나 타원으로 찌그러져서 되감거나 혹은 운반등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스릿팅되어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에 재단 분할되는 설비에 있어서는 두껍게 권취되는 직경의 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늘어지기 시작한 부분에 스릿트대판에 간격유지기(spacer)인 소편(小片)을 장입(裝入)하여 두껍게 권취되는 직경의 차를 흡수하거나 스릿트대판을 권취장치에 공급하는 과정에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장치가 설치되어서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은 이 장치로 소정의 권취장력이 부여된 후 공통의 권취드럼으로 권취되고 있다.
이와같은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장치로서, 예를들면 일본특공서(特公昭)51-35458호 공보와 일본특개소(特開昭)56-136748호 공보등이 알려져 있고 또, 이들의 결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일본특개헤이(特開平) 5-104140호 공보에 출원되어 있다.
상기 일본특공소 51-35458호 공보에 표시된 장치는 스릿팅된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을 권취하기전에 바둑판모양의 스릿트를 각설(刻設)한 탄성체 표면을 갖은 조정롤(ROLL)에 접속시켜서 조정롤에 작용되는 브레이크 힘에 의하여 권취장력을 발생시켜 여러가닥의 장력 변동을 자동적으로 조절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일본특개소 56-136748호 공보에 표시된 장치는 엔드레스벨트를 이용한 것으로, 상,하에 배치된 엔드레스벨트의 서로 대향하는 외측 표면의 사이에 스릿팅된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을 통하고, 엔드레스벨트의 내측표면을 마찰편으로 압압하고 상,하의 엔드레스벨트를 스릿트대판의 표리면에 압착시켜 이동하는 스릿트대판과 일체로 엔드레스벨트를 회동되게 하여 마찰편과 엔드레스벨트의 내측표면과의 사이의 미끄럼에 의한 마찰력으로 스릿트대판에 권취장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개헤이 5-104140호 공보에 표시된 장치는 여러가닥 대판의 권취장치의 회전구동축의 외주에 분할권취(分割卷取)링을 장착하고 그리고 회전구동축에는 축심방향(軸芯方向)으로 긴홈이 형성되고 긴홈의 내부에는 내부에 유체를 넣어 유체압으로 팽축(膨縮)하는 팽축대체(膨縮袋體)와 팽축대체로 압압(押壓)되는 복수의 분할압압편이 설치되고, 유체압으로 팽축되는 팽축대체로 압압되는 분할압압편에 의하여 각 분할권취링의 내주면을 압압하여, 각 분할권취링에 권취되는 스릿트대판에 권취장력을 부여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을 권취하기전에 장력부여장치(張力付與裝置)를 설치할때는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의 표면에 마찰편을 접촉시켜서 권취장력을 제어하고 있어 대판의 재질과 표면처리의 종류에 따라서는 마찰에 의한 하자와 압압에 의한 흠집이 생겨 품질을 손상케 할 수도 있다.
방청유(防淸油)등이 도포되어 있는 대판에는 마찰계수가 적기 때문에 마찰력에 의한 권취장력을 주기 어렵고 또한 기름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는 마찰계수가 약화되어 권취장력이 불안정 상태로 되기 쉽다.
그리고 대판의 폭방향 두께는 반드시 균일하지 않으므로 스릿팅되어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으로 분할된 것을 공통의 권취드럼으로 권취하면 귄취된 두께의 직경이 차가 생기고 그에 따라 여러가닥의 권취길이에 차가 생겨 어떤 가닥은 크게 늘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와같이 발생되는 늘어짐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권취장치(50)에 권취되는 스릿트대판(2a)에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장치(51)의 전방에 늘어짐을 수용하기 위한 루프피트(52)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설비면적이 커져서 권취설비도 복잡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본특개헤이 5-104140의 공보에 표시된 장치에서는 앞의 결점을 해소하는 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팽축대체는 확축(擴縮)을 반복하는 중에 파열되기 쉽고, 유체를 넣은 팽축대체가 파열되어 내부의 유체가 스며나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긴홈에 복수의 각 분할압압편(紛割押壓片)을 이에 대응하는 각 분할권취링(紛割卷取 ring)에 합하여 배치해야 함과 동시에 마모등에 의한 분할압압편의 교환작업이 대단히 복잡하고 어렵다.
그리고 분할압압편과 팽축대체의 중간에는 분할압압편의 위치 유지를 위한 홀더가 필요하므로 귄취통, 분할압압편 및 홀더는 미리 일정한 규격으로 각 부품이 조립되어 있고, 천차만별로 변화하는 스릿트폭의 대상(帶狀)코일의 감김에 대응할 수 없다.
또한, 팽축대체와 분할압압편은 접합되지 않으므로 특히 샤프트의 하측에 위치하는 홈에 배치된 분할압압편은 그 선단이 하향의 홈의 출입구에서 돌출되고, 샤프트의 외주에 분할 권치링을 장착하거나 스릿트대판이 권취된 분할권취링을 빼낼 경우에 홈의 출입구에서 돌출된 분할 압압편의 선단이 방해가 되어 장착과 빠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또한 분할권취링이 확축형(擴縮型)일때 돌출된 분할압압편의 선단이 방해가 되어 샤프트에 장착한 후에 분할권취링을 축소할 수 없는 일이 있다.
그리고 팽축대체에는 내부의 유체를 방출하더라도 편평하게 되지 않는 일이 있고 이때에는 팽축대체로 압압되는 분할압압편의 선단이 홈의 출입구에서 돌출된 상태로 되고 필요이상으로 분할권취링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미끄름 저항이 크게 되고 권취장력이 필요이상으로 크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의 표면에 마찰의 흠집과 눌러서 생기는 자국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소정의 권취장력을 확실히 부여할 수 있으며, 권취장치의 전방에 장력부여장치와 늘어짐을 수용하기 위한 루프피트의 설비를 요하지 않고 권취설비의 간략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팽축대체 및 분할압압편을 사용하는 것에 따라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폭이 넓은 대판을 그 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가닥으로 스릿팅하여 여러가닥의 스릿트 대판으로 재단분할한 후에 각 스릿트 대판을 권취링에 권취하는 여러가닥 대판 권력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권취장치는 확축샤프트와 그 확축샤프트의 외주에 착탈이 자유로운 권취링을 가지며, 그 권취링은 스릿트 대판의 폭과 대략 동일한 폭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링상(狀)의 분할권취링으로 구성되고 그 분할권취링의 내주면과 접하는 확축샤프트의 외주면에는 그 외주면에 출입구를 가지며, 저부를 향하여 벌어진 방향으로 경사된 양측면을 가지고 있고 또 그 양측면과 저부에서 대칭되는 각도를 이루는 축심방향(軸芯方向)으로 긴홈이 형성되어 이 홈에 끼워 맞추고 홈밑의 양측면의 각도보다 적은 경사각도를 갖은 탄성체로 형성된 저부경서 플랜지면을 갖은 긴 러그가 확축샤프트의 외주면에 출몰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확축샤프트의 끝에서 상술한 홈 저부로 통하는 유체통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유체통로를 개재하여 홈저부와 긴러그의 저부경사 플랜지면의 저면과의 사이에 압압 유체 주입시에 홈저부 양측면의 각도와 저부경사 플랜지면의 각도의 차에 의한 간격의 거리내에서 긴러그가 스트로크(stroke)되고 압압유체 방출시에 저부경사 플랜지면이 갖은 탄성에 의하여 긴러그는 스스로 복귀되어 상술한 확축샤프트의 회전토크는 유체압으로 각 분할권취링의 내주면을 압압하는 긴러그를 개재하여 각 분할권취링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폭넓은 대판을 그 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가닥으로 스릿팅하여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을 재단 분할한 후, 각 스릿트대판을 각 분할권취링에 권취하기 위하여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의 확축샤프트를 회전시키면 확축샤프트의 회전토크(torque)가 각 분할권취링의 내주면을 유체압으로 압압하는 긴러그를 개재하여 각 분할권취링에 전달시켜 분할권취링은 긴러그를 개재하여 확축샤프트와 일체로 되어 회전하여 스릿트대판은 권취를 시작한다.
그러면 모재코일을 걸은 안코일러의 브레이크와 스릿터의 절단저항(切斷抵抗)등에 의하여 권취장력이 부여되어서 늘어져 있던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은 그의 장력에 따라 분할권취링에 권취되게 된다.
그후 어느정도 스릿트대판이 권취되어 각 스릿트대판의 판두께 차와 대판의 절단면의 형상에 기인하여 권취직경에 차가 시작되고 권취직경에 비례하여 권취된 대판의 표면에서 권취링의 내주면까지의 거리의 차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권취외경이 크게 된 스릿트대판은 외경이 작은 다른 스릿트대판보다도 권취표면에서 권취링 내주면까지의 거리가 크게 되고 모멘트가 크게 되기 위하여 확축샤프트의 긴러그와 분할권취링 내주면의 마찰저항력을 이기고 미끄럼이 생긴다.
미끄럼이 생긴 스릿트대판은 이 사이에도 스릿터에서 연속적으로 재단되어 송출(送出)되므로 미끄럼이 생긴 대판 가닥의 장력F와 거리L를 곱한 모멘트가 소경(小經)스릿트대판 가닥의 모멘트와 같게 되면 분할권취링 내주면과 긴러그부분이 마찰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다시 스릿트대판을 권취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동작을 미분적으로 표현하면 위의 것을 반복하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판두께 편차와 재단면의 형상의 차이에 기인하는 각 가닥의 권취직경의 차는 대단히 적으므로 스릿트대판의 권취에 불합리가 발생하는 등 장력이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긴러그와 권취링부분의 마찰력을 될 수 있으면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권취되기 때문에 마찰계수가 안정된 동마찰(動摩擦)의 상태로 되게 확축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각 가닥이 스릿터에서 나오는 속도보다 몇 퍼센트 빨리 회전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확축샤프트에 의한 권취는 축 외주의 긴러그와 분할권취링 내주와의 마찰결합력을 이용하고 있어, 스릿트대판 권취외경이 크게됨과 동시에 긴러그 부분의 압력을 증가시켜 긴러그와 링의 마찰력을 증가하는 것에 의하여 스릿트대판의 권취의 시작부터 끝날때까지 일정한 장력으로 스릿트대판을 권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스릿트대판의 권취외경을 검출(檢出)하는 센서 가압장치의 압력조정기를 조립하여도 좋다.
이 확축샤프트는 안코일러의 폭이 넓은 대판을 끌어내고 스릿터에서 송출되는 각 가닥을 늘어지지 않게 권취장치나 권취장력은 폭 넓은 대판의 안코일러에 설치된 제동장치 또는 별도 설치한 제동장치에 의하여 부여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기재의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제 1 도는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권취장치의 축심방향의 단면도이고,
제 2 도는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권취장치의 측단면도이며,
제 3 도의 (a)(b)는 작용설명도이고,
제 4 도는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를 설비한 권취 설비의 계략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1)는 폭넓은 대판(2)을 그 대판(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가닥으로 스릿팅하여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2a)으로 재단 분할한후에 각 스릿트대판(2a)를 권취장치로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1)에는 확축샤프트(3)와 그 확축샤프트(3)의 외주에 설치된 복수의 분할권취링(4)의 요부로서 포함되어 있다.
전술 확축샤프트(3)는 그 단면이, 예를들면 원형의 형상이고 전동모우터 또는 유압모우터가 설치된 감속기등으로 된 구동기(9)에 연동 및 연결되어 있다.
이 확축샤프트(3)의 외주에는 착탈이 자유로운 복수의 분할 권취링(4)이 설치되어 있어, 확축샤프트(3)는 분할권취링(4)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분할권취링(4)은 그 외주면에 스릿트대판(2a)이 직접 감기는 것이고 스릿트대판(2a)이 그 외주면에 감겨진 상태로 확축샤프트(3)에서 벗겨져서 다음 공정으로 보내진다.
또한 분할권취링(4)은 확축기능(擴縮機能)을 갖는 것도 좋으나, 본 발명의 요지에는 직접관계가 없으므로 도면상에서는 생략하였다.
분할권취링(4)의 분할수 및 폭은 스릿트대판(2a)의 폭의 크기에 의하여 적당히 변경 사용한다.
분할권취링(4)의 내주면(4a)에 접하는 확축샤프트(3)의 외주면(3a)에는 그 확축샤프트(3)의 축심방향으로 길고 평행한 홈(5)이 형성되어 있다.
주면 둘레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각 홈(5)은 확축샤프트(3)의 축심방향에 걸쳐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각 홈 (5)의 축심방향의 길이는 확축샤프트(3)의 양단을 제외한 거의 전길이에 걸쳐있다.
그리고 긴홈(5)은 확축샤프트(3)의 둘레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복수, 예를들면 실시형태의 도면에서는 4등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긴홈(5)의 축심방향의 길이는 확축샤프트(3)에 외장(外裝)된 복수의 분할권취링(4)의 합계 폭보다도 길고, 홈(5)의 양단측은 확축샤프트(3)에 외장된 복수의 분할권취링(4)의 좌우양단에서 다시 외측까지 연장설치되어 있다.
각 홈(5)은 외주면(3a)에서 중심측을 항하여 그 외주면(3a)의 출입구의 폭보다 내부가 폭이 넓은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홈(5)은 축심방향의 양단이 폐쇄된다.
이중 확축샤프트(3)의 외주면(3a)의 출입구측 홈(5)의 좌우의 홈 폭 내측면은 중심측을 향하여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5) 좌우의 홈폭 내측면은 후술의 긴러그(6)의 좌우측면과 미끄럼 이동한다.
홈(5)의 좌우의 홈폭 내측면의 저부측에는 저부를 향하여 좌우의 홈폭방향으로 넓게 벌어지면서 경사된 경사 결합면(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결합면(5a)에는 후술하는 긴러그(6)의 저부경사플랜지면(6b)이 탄성변형하여 밀접한다.
각홈(5)은 그 출입구측의 좌우 내측면 사이의 폭길이보다 저부측의 좌우내측면 사이의 폭길이가 크게 되어 있고 특히 저부측 좌우의 경사결합면(5a)은 좌우대칭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출입구측에서 저부측이 폭넓은 각홈(5)의 내부에는 축심방향으로 긴러그(6)가 유체압으로 확축샤프트(3)의 외주면(3a)에 대하여 각각 미끄럼 진퇴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각 긴러그(6)는 확축샤프트(3)에 외장된 복수의 분할권취링(4)의 합계 폭보다도 길고 홈(5)과 같은 길이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긴러그(6)는 유체압으로 미끄럼운동에 의해 출몰하여 분할권취링(4)의 내주면(4a)을 직접 압압하여 확축샤프트(3)의 회전토크를 각 분할권취링(4)에 전달함과 동시에 긴 러그(6)는 분할 권취링(4)의 내주면(4a)과의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함에 따라 지나친 회전토크의 전달을 조정하는 기능을 다하고 있다.
긴러그(6)는 그 선단측(6a)의 좌우양측면이 평행의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긴러그(6)의 선단측(6a)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예를들면 프라스틱재와 브레이크라이닝재질이 설치되어 있다. 긴러그(6)의 후측에는 그의 좌우 양측면이 후측을 향하여 넓은 방향으로 경사된 저부경사플랜지면(6b)이 설치되어 있다.
긴러그(6)와 저부경사플랜지면(6b)과는 일체로 성형되어도 좋고, 이종재질끼리 접합한 것이라도 좋다.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은 탄성재로 구성되어 있고, 압압유체의 주입에 의하여 탄성으로 변형되어 전술한 홈(5)의 경사결합면(5a)에 밀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저부경사플랜지면(6b)이 탄성으로 변형되어 내측면에 밀접되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긴러그(6) 후측의 저부경사플랜지면(6b)의 후단면(6c)를 압압하는 유체를 폐쇄하여 누출됨을 방지한다.
긴러그(6)의 후측은 저부경사 플랜지면(6b)에 의하여 좌우대칭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나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의 사다리꼴 저변의 양단의 경사각도(A)는 앞에 기술한 홈(5)의 경사결합면(5a)의 사다리형 경사각도(B)보다 조금 적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홈(5)의 저부양측면의 경사각도(B)와 저부경사 프랜지면(6b)의 경사각도(A)의 차에 의한 간격(L)의 거리내에서 긴러그(6)가 스트로크되어 그의 선단측(6a)이 홈(5)의 출입구에서 출몰되게 되어 있다.
압압유체가 방출되어 긴러그(6)가 홈(5)내에 들어간 상태에서는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의 앞측은 홈(5)의 경사결합면(5a)과의 사이에 간격(L)을 가지며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의 후측은 홈(5)의 경사결합면(5a)과 밀접되어 있어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압압유체가 주입되면 그 압력에 따라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이 홈(5)의 양측 경사결합면(5a)에 다시 강하게 눌려져서 밀봉이 유지된다.
각홈(5)의 저부측에는 긴러그(6)의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의 후단면(6c)을 홈(5)의 출입구측 방향을 향하여 누르는 유체가 주입됨에 따라 긴러그(6)는 분할권취링(4)의 내주면(4a)에 이르도록 돌출되어 누른다. 또 유체를 방출하면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은 탄성에 의해 스스로 복귀하고 긴러그(6)도 확축샤프트(3)의 외주면(3a)으로 매몰된다.
이 유체에는, 예를들면 기름, 물, 공기등이 사용된다.
확축샤프트(3)의 각홈(5)의 저부에는 유체통로홈(7a)이 각홈(5)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각홈(5) 저부의 유체통로홈(7a)에 유체통로(7) 일단측의 각 유체도입구(7b)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유체통로(7) 일단측의 각 유체도입구(7b)는 확축샤프트(3)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분리되어 있고 분리된 유체통로(7)의 각각의 일단측의 각 유체도입구(7b)가 각홈(5) 저부의 유체통로홈(7a)에 접속되어 있다.
유체통로(7)의 타단측은, 예를들면 전동모우터 또는 유압모우터가 설치된 감속기등의 구동기(9)에 연동 연결되는 확축샤프트(3)의 일단측에 연설되어 있고, 회전계수(7c)를 개재하여 유체통로관(7d)에 접속되어 있다.
유체통로관(7d)은 도중에 설치된 유체압조정변(流體壓調整弁)(7e)을 개재시켜서 유체를 확축샤프트(3)에 압송하는, 예를들면 유체압펌프 또는 공기압축기등으로 된 유체압공급기(7f)에 접속되어 있다. 유체압 펌프 또는 공기 압축기등으로 되는 상기 유체압공급기(7f)는 유체통로관(7d)의 유체압조정변(7e)를 개재하여 확축샤프트(3)의 확대, 축소, 회전토크의 조정을 행한다.
각홈(5)의 저부의 유체통로홈(7a)은 유체도입구(7b)및 유체통로(7)를 통하여 연통상태로 되어 있다.
각홈(5) 저부의 유체통로홈(7a)에 넣는 유체는 유체도입구(7b) 및 유체통로(7)을 통하여 동일한 유체압으로 되어 있으며, 각 홈(5)내의 긴러그(6)의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의 후단면(6c)을 동일한 유체압으로 압압하고, 다시 긴러그(6)을 개재하여 분할권취링(4)의 내주면(4a)를 동일한 유체압으로 압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분할권취링(4)의 내주면(4a)과 접하는 확축샤프트(3)의 외주면(3a)에는 그 확축샤프트(3)의 축심방향으로 길게 평행의 고정축수재(固定軸受材)(8)가 장착되어 있다.
고정축수재(8)는 분할권취링(4)의 회전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확축샤프트(3)의 축심방향으로 형성된 긴 요홈내에 매설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고정축수재(8)에는 예를들면, 내마모성의 플라스틱재가 사용되고 있다.
고정축수재(8)는 확축샤프트(3)의 둘레방향에 같은 간격으로 또는 둘레방향에 형성된 홈(5)과 교차되게 형성되고, 예를들면 이 실시형태의 도면에는 4등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 제 4 도는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의 권취장치를 장비한 권취설비의 계략측면도이고, 도면에 있어 2는 대판, 2a는 스릿트대판, 10은 되감는 기구, 11은 안내로울러, 12는 스릿터, 13은 자동후퇴식 쎄파레터가이드이고, 이 자동후퇴식 쎄파레터가이드(13)는 각 스릿트대판(2a)을 그 권취 가장자리(edge)를 가지런히 하여 평탄한 단면의 코일형으로 권취할 수 있다.
도면에서 볼수 있는 것과 같이 루푸피트와 장력부여장치가 불필요하므로 시설의 소요면적이 적게 되고 시설자체도 간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구성에 따라 그 작용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2a)을 권취하기전에 각 스릿트대판(2a)의 선단을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1)의 대응하는 각 분할권취링(4)에 클램프할 필요가 있으나, 이는 접착테이프에 의한 접착 분할권취링(4)의 둘레에 설치된 클램프홈등을 이용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쉽게 행한다.
그리하여 구동기(9)를 구동시켜서 확축샤프트(3)를 아주 느리게 회전개시시킨다. 아주느리게 회전하는 확축샤프트(3)의 회전토크는 각 분할권취링(4)의 내주면(4a)을 유체압에 의해 압압하는 긴러그(6)를 개재하여 각 분할권취링(4)에 전달시켜 분할권취링(4)은 긴러그(6)를 개재하여 확축샤프트(3)와 일체로 되어 회전하여 스릿트대판(2a)을 감기 시작한다.
계속하여 확축샤프트(3)의 외부에 설치된, 예를들면 유체압 펌프 또는 공기압축기등으로된 유체압공급기(7f)를 작동시킨다.
최초에는 최저 유체압을 발생시켜서 긴러그(6)를 압압시켜 확축샤프트(3)의 외주면(3a)을 향하여 확장시킨다.
유체압펌프 또는 공기압축기등으로된 유체압공급기(7f)가 작동하면, 유체를 유체통로관(7d)내로 압송시킨다. 압송된 유체는 유체통로관(7d)을 지나서 확축샤프트(3)의 유체통로(7)내로 압송시켜서 방사상으로 분할되는 각 유체도입구(7b)에서 각홈(5)저부의 유체통로홈(7a)에 유입된다.
유체가 각홈(5) 저부의 유체통로홈(7a)에 유입되면, 각홈(5)내의 긴러그(6)의 저부경사플랜지면(6b)의 후단면(6e)은 유입된 유체에 의하여 같은 압력으로 각각 압압된다.
각 긴러그(6)는 홈(50의 출입구측을 향하여 홈(5)의 측면에 밀접된 상태로 미끄럼 이동하면서 이동을 시작한다.
이 경우에 사다리형의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의 후부측의 양단측은 홈(5)의 사다리형 경사결합면(5a)의 후부측 양단측과 밀접되어 있으나,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의 앞측 경사각도(A)보다 경사결합면(5a)의 앞측 경사각도(B)가 크게 하고,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의 앞측과 경사결합면(5a)의 앞측은 간격(L)이 있기 때문에(제 3 도 (a)참조) 후단면(6c)을 유체로 압압시키는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은 후단면(6c)의 중앙이 돌출된 손톱형상으로 변형되고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의 앞측이 경사결합면(5a)의 앞측에 밀접하게 된다.
그리고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의 후단면(6c) 중앙이 볼록하게 변형하기 시작하면 탄성으로 변형하기 시작한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의 전면이 긴러그(6)을 전체적으로 홈(5)의 출입구측을 향하여 압출하고, 긴러그(6)의 선단측(6a)는 홈(5)의 출입구측에서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홈(5)의 출입구측을 향하여 압출되어 이동하는 각 긴러그(6)의 선단측(6a)은 홈(5)의 내측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확축샤프트(3)의 외주면(3a)에 장착된 각 분할권취링(4)의 내주면(4a)에 접하게 되며, 분할권취링(4)의 내주면(4a)을 확축샤프트(3)의 내부중심에서 외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압압한다.
가장낮은 유체압으로 긴러그(6)를 압압하여 확축샤프트(3)의 외주면(3a)에 장착되어 있는 각 분할권취링(4)에 권취장력을 발생시킨다.
그리하여 각 분할권취링(4)에 소정의 권취장력이 발생할때까지 긴러그(6)를 유체압조정변(7e)에 의하여 압압되는 유체압을 올리면서 확축샤프트(3)의 회전속도를 올리면서 각 분할권취링(4)에 권취되는 스릿트대판(2a)의 권취속도를 높인다.
유체앞펌프를 작동시켜 유체의 압력을 높이면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의 앞측은 변형되어 경사결합면(5a)의 앞측에 밀착되어 저부경사 플랜지면(6b)의 앞측 경사각도(A)와 경사결합면(5a)의 앞측 경사각도(B)와 일치되어(제 3 도 참조) 저부경사플랜지면(,6b)과 경사결합면(5a) 사이에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하여 스릿트대판(2a)를 일정한 장력으로 권취할때 필요한 권취회전력은 장력권취두께의 직경이다. 권취두께에 따라 권취회전력을 크게하지 않으면 않되나, 이것은 스릿트대판 권취외경(卷取外經)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권취두께에 따라 긴러그(6)을 압압하는 유체압을 제어하여 권취두께직경에 비례하여 크게함에 따라 간단이 조정된다.
이와같이 하여 각 분할권취링(4)의 권취회전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안코일러의 제동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스릿트대판의 권취외경의 권취두께와 판두께 편차가 있어도 소정의 권취장력으로 분할권취링(4)에 권취되게 된다.
권취회전력은 긴러그(6)를 압압하는 유체압을 조정함에 의하여 간단히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긴러그(6)을 각각 압압하는 유체는 연통상태이므로 각 긴러그(6)을 압압하는 유체압은 동일하게 되고, 각 분할권취링(4)에 대하여 같은 권취회전력을 부여하게 된다.
그리고 권취되는 스릿트대판(2a)의 권취의 처음은 강하고, 서서히 약한 장력으로 권취될때는 유체압이 일정한 것이 좋으나, 권취의 시작과 끝날때까지 동일 장력으로 권취될때에는 서서히 유체압을 올리는 방법으로 된다.
스릿트대판(2a)의 권취가 완료되어 각 긴러그(6)를 압압하는 유체를 개방하면 각 긴러그(6)은 유체압에 의한 홈(5)의 출입구를 향하여 압압되어 있던 저부경사플랜지면(6b)이 탄성에 의하여 홈의 저부측에 스스로 복귀 하므로 확축샤프트(3)의 외주면(3a)에서 돌출되어 있던 선단측(6a)은 홈(5)의 내부에 들어가고 스릿트대판(2a)이 감겨있는 분할권취링(4)은 확축샤프트(3)에서 쉽게 빼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종종 변경을 할수 있다.
이상의 기술한 바에 의하여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관한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대판권취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의 권취링을 분할 권취링으로 하여서 각 분할 권취링마다 각 스릿트대판을 권취하게 하여 특히 각 분할권취링을 일정이상의 장력이 스릿트대판에 작용하고 있을때에는 다른 분할 권취링이 권취를 계속하고 있을때에도 분할권취링이 긴러그와의 사이에서 미끄럼이 생기는 것으로 스릿트대판에 작용하는 장력이 그 이상으로 크게됨을 미연에 회피하여 다른 스릿트대판의 같은 장력으로 될때까지 기다리므로 각 분할권취링에 권취되는 스릿트대판의 권취장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2)) 종래의 장력부여장치(張力付與裝置)와 같이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의 표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마찰편등을 접촉시켜서 스릿트대판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고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권취장치의 분할권취링의 회전력을 하나하나 조정하면서 권취하는 장치이므로 여러가닥 스릿트대판의 표면에 마찰홈 및 눌러주는데 의한 문양이 생기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흠집과 문양등을 발생하기 쉬운 여러가닥 스릿트대판을 품질의 손상없이 권취할 수 있다.
(3) 종래의 장력부여장치와 같이 여러가닥스릿트대판의 표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마찰편등을 접촉시켜서 스릿트대판에 장력을 부여한 것은 아니고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의 각 분할권취링의 회전력을 하나하나 조정하면서 권취하는 장치이므로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의 표면에 방청유(防請油)등의 기름끼가 있어도 그 방청유등에 의하여 미끄럼이 생겨서 권취장력이 불안정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권취불능은 전혀없고 확실하게 소정의 권취장력을 부여하여 권취할 수 있다.
(4)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권취장치는 권취되는 여러가닥 스릿트대판의 권취장력은 스릿트대판의 재단(裁斷)전의 기판(基板)인 폭넓은 대판이 감겨진 안코일러 부분의 브레이크와 스릿터의 재단저항(裁斷抵抗)에 의하여 부여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은 별개의 장력부여장치를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의 앞측에 설치할 필요없이 그리고 늘어짐을 수용하기 위한 루프피트의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장력부여장치와 루프피트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에 의하여 설비의 소요면적을 극단으로 축소할 수 있고 설비도 간력화 할수 있다.
(5) 같은 유체압으로 압압하여 권취장력을 조정하는 구성이므로 분할권취링의 분할폭을 임의의 폭으로 설정하여 착탈하는 장치이므로 1개의 권취축에 전부를 권취할 수 있고 더욱이 유체압인 공기압을 사용함에 따라 공기압에 비례한 권취장력이 얻어지고 저장력(低張力)에 의한 권취가 쉽게 되고 다시 권취장력은 유체압으로 조정되고 모든 긴러그를 압압하는 유체는 연통되어 있으므로 압력의 조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6) 종래와 같이 유체를 팽축대체에 넣지 않았으므로 팽축대체가 파손되어 내부의 유체가 누출되는 우려도 없으며 유체압으로 긴러그를 압압 할때에는 저부경사 플랜지면이 홈의 저부를 향하여 확대되는 방향으로 경사된 양 내측면에 탄성변형하여 밀착하므로 압력이 높은 유체가 홈과 저부경사 플랜지면과의 간격에서 누출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어 유체가 누출됨에 따른 문제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7) 종래와 같이 내압식의 팽축대체가 아니고 봉형상의 긴러그이므로 수명이 길고 또한 현장에서 교환수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종래의 팽축대체는 확축을 반복하는 동안 파손되기 쉬우나 봉상의 긴러그이므로 파손의 우려도 없고 고압의 유체에 의하여 가압이 되어 큰 토크를 발생시킬수 있다.
(8) 확축샤프트 외주면에 형성된 긴홈에 종래와 같이 복수의 홀더와 분할압압편(分割압押壓片)이 배치될때에는 복수의 홀더와 각 분할압압편을 이에 대응하는 각 분할권취링에 합하여 배치 하지 않으면 안되고, 마모등에 의한 분할압압편의 교환작업이 대단히 복잡하고 까다로운데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1개의 봉상의 긴러그가 배치되므로 마모등에 의한 교환이 종래에 비하면 대단히 간단하게 된다.
(9) 종래의 팽축대체와 분할압압편은 접합이 안되어 특히 샤프트의 하측에 위치하는 홈에 배치된 분할압압편은 그 선단이 하향의 홈의 출입구에서 돌출되고, 샤프트의 외주에 분할권취링을 장착하거나 스릿트대판이 권취된 분할권취링을 빼낼 경우에는 홈의 출입구에서 돌출된 분할압압편의 선단이 방해가 되어 장착과 빼내는 것이 안될때가 있고, 또한 분할권취링이 확축형(擴縮型)일때 돌출된 분할압압편의 선단이 방해가 되어 샤프트에 장착한 후에 분할권취링을 축소할 수 없는 일이 있음에 대하여 본 발명의 긴러그는 유체를 배출하면 탄성에 의하여 스스로 복귀하여 후퇴하므로 긴러그의 선단이 홈의 출입구에서 내부에 들어가서 방해가 되는 일이 없고 샤프트의 분할권취링의 장착 및 빼내는 것이 지장없이 행해 질 수 있다.
(10) 종래의 확축대체에서는 내부의 유체를 방출하여도 편평하게 되지 않을때가 있고 이때에는 팽축대체로 압압된 분할압압편의 선단이 홈의 출입구에서 돌출한 상태로 되어 필요이상으로 분할권취링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미끄럼저항이 크게 되고 권취장력이 필요이상으로 크게 될 우려가 있으나 긴러그는 유체를 배출하면 탄성에 의하여 스스로 복귀되어 후퇴하므로 긴러그의 선단이 홈의 출입구에서 후퇴하여 필요이상으로 분할권취링의 내주면과 접촉함이 없이 권취장력이 필요이상으로 크게 되지도 않는다.

Claims (1)

  1. 넓은 대판을 그 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가닥으로 스릿팅한 여러가닥의 스릿트대판을 재단 분할한 후, 각 스릿트대판을 권취링에 권취하는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는 확축샤프트와 그 확측샤프트의 외주에 착탈이 자유로운 권취링을 가지며, 그 권취링은 스릿트대판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링상의 분할 권취링으로 구성되고, 그 분할권취링의 내주면과 접하는 확축샤프트의 외주면에는 그 외주면에 출입구를 가지며, 저부를 향하여 넓어진 방향으로 경사된 양측면을 갖고 또 그 양측면과 저부에서 대칭으로 각도를 이루는 축심방향에 긴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 끼워 맞추어 홈밑의 양측면의 각도보다 작은 경사각도를 갖은 탄성체로 형성된 저부경사 플랜지면을 갖는 긴러그가 확측 샤프트의 외주면에 대하여 미끄럼(출몰)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있으며, 확축샤프트의 끝부분에서 홈밑 부분에 통하는 유체통로가 설치되고 그 유체통로를 개재하여 홈밑 부분과 긴러그의 저부경사 플랜지면의 저면과의 사이에 압압유체 주입시에는 홈저부 양측면의 각도와 저부경사 플랜지면의 각도의 차에 의하여 약간의 거리내에서 긴러그가 스트로크되고, 압압유체 방출시는 저부경사 플랜지면이 갖는 탄성에 의하여 긴러그는 스스로 복귀되고, 상기 확축샤프트의 회전토크는 유체압으로 각 분할 권취링의 내주면을 압압하는 긴러그를 개재하여 각 분할권취링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축샤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
KR1019970039007A 1997-08-14 1997-08-14 확축샤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 KR100226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007A KR100226552B1 (ko) 1997-08-14 1997-08-14 확축샤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007A KR100226552B1 (ko) 1997-08-14 1997-08-14 확축샤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450A KR19990016450A (ko) 1999-03-05
KR100226552B1 true KR100226552B1 (ko) 1999-10-15

Family

ID=1951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007A KR100226552B1 (ko) 1997-08-14 1997-08-14 확축샤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65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4144A (en) * 1971-07-02 1975-09-09 Giovanni Gattrugeri Expansible mandrel
JPH05104140A (ja) * 1991-10-16 1993-04-27 Nippon Kaihatsu Consultant:Kk 多条帯板の巻取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4144A (en) * 1971-07-02 1975-09-09 Giovanni Gattrugeri Expansible mandrel
JPH05104140A (ja) * 1991-10-16 1993-04-27 Nippon Kaihatsu Consultant:Kk 多条帯板の巻取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450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0560B2 (ja) スリッター用フリクションシャフト
US5803168A (en) Tubing injector apparatus with tubing guide strips
CN101973468A (zh) 带式输送机换带装置
KR100226552B1 (ko) 확축샤후트식 여러가닥 대판 권취장치
EP1390789B1 (en) Installing an optical fibre cable in a duct
JP2961310B2 (ja) 自己拡縮シャフト式多条帯板巻取り装置
KR910005131B1 (ko) 코오드입띠형상재료의 접합장치
US5518203A (en) Rewinding shaft of slitting machine
EP0488688B1 (en) Endless belt deviation preventing unit and belt process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nit
JP2678588B2 (ja) ギア式ブランケット端縁締付装置付広巾ニッププレス装置
KR100692275B1 (ko) 슬릿 스트립의 권취장력 부여장치
US41127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hot-stretching a steel cable
JP2563020B2 (ja) 多条帯板の巻取り装置
US5913489A (en) Continuous web material turn up system and method
KR100419994B1 (ko) 섬유절단장치
GB2096101A (en) Reeling mandrel for winding split narrow strips
SU785132A1 (ru) Способ замены ленты на конвейере
JPH0871910A (ja) ワイヤソー装置
CN217050882U (zh) 一种锌带的卷绕设备
JPS63149014A (ja) 多条帯板の巻取り装置
CN2486313Y (zh) 复合纸管卷绕机
KR102214232B1 (ko) 자동 세정 맨드릴을 구비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
CN116812615B (zh) 一种塑料片材收卷设备
JP3128733B2 (ja) 切断装置
JPH05319640A (ja) 巻きスピ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