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458B1 - 믹소코크스 속의 점액세균, 이로부터 생산되는 신규 항종양활성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믹소코크스 속의 점액세균, 이로부터 생산되는 신규 항종양활성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458B1
KR100225458B1 KR1019970031242A KR19970031242A KR100225458B1 KR 100225458 B1 KR100225458 B1 KR 100225458B1 KR 1019970031242 A KR1019970031242 A KR 1019970031242A KR 19970031242 A KR19970031242 A KR 19970031242A KR 100225458 B1 KR100225458 B1 KR 100225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myxococcus
present
ethyl ace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999A (ko
Inventor
안종웅
김병섭
최상운
이명선
이미경
유시용
김성기
조광연
이정옥
노재성
Original Assignee
김충섭
한국화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섭, 한국화학연구소 filed Critical 김충섭
Priority to KR101997003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458B1/ko
Publication of KR19990008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새로운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0
또한, 본 발명은 믹소코크스 속 (Myxococcus sp.)의 점액세균으로부터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항종양제로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토양에서 분리한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생산하는 믹소코크스 속의 점액세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믹소코크스 속의 점액세균, 이로부터 생산되는 신규 항종양 활성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새로운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kpo00001
또한, 본 발명은 믹소코크스 속 (Myxococcus sp.)의 점액세균으로부터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항종양제로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토양에서 분리한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생산하는 믹소코크스 속의 점액세균에 관한 것이다.
종양 또는 암의 발병율이 증가하고 있는 현대인에게 있어서 새로운 항종양제 또는 항암제 등을 개발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각종 항종양성 물질은 그 유효성, 항종양 스펙트럼 및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보면 만족스러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소수에 불과하므로 우수한 항종양 효과가 있는 새로운 약물을 개발하는 것이 관련 제약산업 등에서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 암의 화학요법에 사용되는 약물은 기존의 항종양제의 구조를 수식한 약물과 새로이 발견된 약물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 중 새로이 발견된 물질이 더욱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탁월한 항종양 효과가 기대되는 약물을 단순히 컴퓨터 모델링 (computer modeling) 등을 사용하여 디자인하고 개발하는 과정은 암에 대한 현재의 지식수준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항종양성 물질을 탐색하고 개발하는 것이 여전히 강조되고 있다.
점액세균은 다른 미생물을 용해하여 영양원으로 사용하는 복잡한 생활환을 갖고 있으며, 통상의 세균 분리 방법으로는 분리되지 않는 특이한 그램 음성 세균이다. 점액세균은 상기 특성으로 인하여 지금까지 유효한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탐색하여 산업적으로 응용하려는 연구에 많이 사용되지 못하였다. 최근 들어 이들 점액세균으로부터 새로운 항생물질이 발견되기 시작하면서 이를 다양한 분야에 이용하려는 시도들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S. Yamanaka, Bioscience and Industry, 40, 26, 1988).
점액세균으로부터 생산된 항생물질에 관하여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 결과, 지금까지 약 50 여종의 항생물질이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이들 중 암부루티신 (ambruticin)이 최초로 보고되었고 (S. M. Ringel, R. C. Greenough, S. Roemer, D. Connor, A. L. Gutt, B. Blair, G. Kanter and M. von Strandtmann, J. Antibiot., 30, 371, 1977), 이후 방향족계 화합물, 헤테로환 화합물, 퀴논계 화합물, 매크로사이클릭 화합물 (macrocyclic compound), 폴리엔 화합물 (polyene compound) 및 펩타이드계 화합물 등이 다양하게 분리되었다. 최근에는 새로운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아카졸리드 (archazolid) 와 리조포딘 (rhizopodin) 등이 분리되어 보고된 바가 있다 (H. Reichenbach and G. Hofle, Scientific Annual Report, 1994, pp 5-22). 특이하게도 상기 화합물들은 대부분이 다른 미생물에서는 전혀 보고된 바가 없는 점액세균에서만 발견되는 새로운 화합물이었다.
이와 같이 점액세균은 균학적 특성상 분리하거나 배양하는 방법이 곤란하고 이를 이용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아직 연구되지 않은 점액세균이 많이 남아 있으므로 이들로부터 유용한 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화합물이 분리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점액세균으로부터 새로운 활성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토양에서 새로운 믹소코크스 속 (Myxococcus sp.)의 점액세균을 분리하여 동정한 다음 이를 배양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로부터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확인하여 분리·정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항종양 활성을 가지는 화학식 1 의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화합물을 생산하는 믹소코크스 속 점액세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학식 1 의 화합물의1H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화학식 1 의 화합물의13C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 그리고 이들을 믹스코크스 속의 점액세균으로부터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생산하는 믹스코크스 속의 점액세균 (수탁번호 : KCTC 0337 BP)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항종양제로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새로운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kpo00002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점액세균인 믹소코크스 속 (Myxococcus sp.)의 점액세균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우선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산림 토양으로부터 채집하고, 상기 미생물의 형태, 각종 배지에서의 생육 상태, 생리적 특성 등을 조사하여 믹소코크스 속의 점액세균으로 동정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생산하는 모든 믹소코크스 속 점액세균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생물에는 X-선 조사, 자외선 조사,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 등을 처리하여 얻을 수 있는 인공 변이주 등이 포함된다.
상기 균주 중 하나를 믹소코크스 속 JW025 균주로 명명하고, 이를 1997년 6월 9일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에 기탁하였다 (수탁번호 : KCTC 0337 BP)
본 발명은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상기 믹소코크스 속 점액세균을 배양한 다음 그의 대사산물로부터 분리·정제한다. 상기 화합물은 믹소코크스 속 점액세균을 탄소원 및 질소원이 함유된 영양 배지에 접종하여 호기적 조건하에서 배양하면 상기 미생물 내에서 합성된다.
이 때 탄소원으로는 글루코스 (glucose), 라피노스 (raffinose), 갈락토스 (galactose), 슈크로스 (sucrose) 또는 가용성 전분 (soluble starch)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질소원으로는 효모 엑기스, 카제인 가수분해물 또는 펩톤(pepto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에는 무기염류로 황산마그네슘, 인산칼륨, 염화칼륨 또는 코발트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배양시에는 소포제로 식물성유 및 실리콘유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통기식 교반 배양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크를 이용한 진탕 배양방법이 대형 용기를 사용하여 배양하는 경우는 먼저 소량 배지에 상기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다음 그 배양물을 대형 용기로 옮겨 생산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종배양 및 대량 배양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배양 온도는 20℃ - 35℃ 범위가 바람직하고 25 - 30℃ 범위는 더욱 바람직하다. 배양 시간은 배양 조건과 그 양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은 3 - 14일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배양한 미생물로부터 상기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미생물의 배양액 중의 액체 부분 및 균체내에 존재하는 화합물을 균체 및 기타 고형물을 규조토를 이용한 여과 또는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분별한 다음 그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추출·정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액에 존재하는 화합물은 물과 혼합되지 않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정제한다. 상기 유기용매에는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르포름 및 염화 메틸렌 등이 포함되며, 이들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한다. 이 때 흡착용 수지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흡착시켜 제거하는데, 흡착용 수지로는 암바라이트 XAD-16 (Rohm and Hass 제) 또는 Diaion CHP-20 (삼능화성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상기 화합물을 흡착시킨 다음 물, 메탄올-물 또는 아세톤-물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용출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화합물은 다시 실리카겔 또는 플로리질 등의 담체를 이용한 흡착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세파덱스 LH-20 (파마시아사) 등을 이용한 젤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및 그외 순상, 역상 칼럼을 이용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으로 정제한다.
이상의 분리·정제 과정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반복 사용함으로 상기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분리·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모든 종류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믹소코크스 속 점액세균 및 그의 배양액에서 생산된 화합물의 항종양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인간 종양세포주인 폐선암 (A549), 난소선암 (SK-OV-3), 악성 흑색종양 (SK-MEL-2), 중추신경계 종양 (XF498) 및 결장선암 (HCT15) 세포주 등을 이용하여 그의 항종양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세포주에 대해 탁월한 세포증식 억제작용을 나타내므로 이들 성분이 항종양제로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얻은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의약으로 이용되기 위하여 약제학적인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와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캅셀제, 산제, 액제, 현탁제,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이용될 수 있고, 이들은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안전하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대상 질환, 투여 경로 및 투여 횟수 등에 따라 다르지만, 성인의 경우 1일 10 mg - 2000 mg 을, 증상에 따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40%-하이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40%-hydroxypropyl-β-cyclodextrin)에 현탁하여 ICR 수컷 마우스의 복강내로 투여한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한번 주사(single injection)하여 사망하는 마우스는 투여후 1주일후에 관찰되였으며, 리치필드와 윌콕슨(Litchfield and Wilcoxon)의 방법으로 결정된 50% 치사량(LD50)은 2g/kg 이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분리·정제
(단계 1) 믹소코크스 속 균주의 배양
다음에 기술한 조성을 가지고 pH 를 7.4 로 조정한 배지 50 ml 을 담은 500 ml 용 삼각플라스크 6개를 멸균하여 준비한 다음 상기 믹스코크스 속 JW025 균주 (수탁번호 : KCTC 0337 BP)를 일 백금이량씩 접종하고 이를 30℃ 에서 170 rpm 의 로타리 진탕배양기를 이용하여 3-4 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배지조성
이스트 엑기스 1g
라피노스 1g
슈크로스 1g
갈락토스 1g
가용성 전분 5g
황산마그네슘 0.5g
인산수소칼륨 0.25g
이렇게 얻은 배양액을 종배양액으로 하여 동일한 조성을 가지는 배지 100 ml 를 담은 500 ml 용 삼각플라스크 50개에 5% 의 농도로 상기 종배양액을 접종한 다음 이를 다시 30℃에서 170 rpm 의 로타리 진탕배양기를 이용하여 5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단계 2) 분리 및 정제
상기 과정으로 믹소코크스 속 균주를 배양하여 얻은 배양물 (5 L)을 원심분리하여 균체와 상등액으로 분리하고, 균체는 아세톤 1 L 로 추출하여 이를 여과함으로 균체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과 상등액 5 L 를 합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2 L 로 3회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은 용매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탈수하여 건조한 다음 감압 농축하고 그 결과 액상의 조추출물 1.2 g 을 얻었다. 다음 조추출물은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염화메틸렌 용매계를 이용하여 각각 1회씩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60, 70-230 메시, 머크사 제품, 200 g)를 수행하고 그 결과 액상의 활성분획 87 mg 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액상 물질을 메탄올 5 ml 에 용해시켜 세파덱스 LH-20 (800 ml, 파마시아사) 에 통과시킨 다음 메탄올로 용출시킨 후 활성 용출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이것을 분취용 RP-18 박층판 (RP-18 PF254, 20 × 20 cm : 머크사 제품)에 메탄올-물 (95 : 5)의 전개용매를 사용하여 전개시키고, 본 발명의 화합물에 해당하는 밴드를 취하여 메탄올로 용출한 다음 이를 감압 농축하였다. 이 농축물을 메탄올에 용해시켜 70% 메탄올을 이동상으로 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라피 (본체 : ELDEX Model 9600)를 수행하여 액상으로 화학식 1 의 화합물 30.2 mg 을 정제하였다.
실시예 2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이화학적 특성
실시예 1 에서 분리·정제한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이화학적 성질을 다음과 같이 규명하였다.
(1) 물질의 성상 : 무색 액상
(2) 분자식 : C26H34N2O4S2
(3) 분자량 : 502, HRMS m/z 502.1945
(4) 비선광도 : [α]D: +9.8°(c=0.65, MeOH)
(5)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MeOH 중) UV λMAXnm(ε)
231(59800),311(12100)
(6)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FT-IR νMAXcm-1
3110, 2964, 2873, 1712, 1624, 1456, 1439, 1383, 1264, 1193, 1147, 1095, 990, 926, 825, 804
(7) 용매에 대한 용해성
메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EtOAc), 클로르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CH2Cl2), 아세톤 등에는 용해되고, 물, n-헵탄 (n-Heptane) 등에는 용해되지 않는다.
(8) 정색 반응
바닐린-황산 및 드라겐도르프 (Dragendorf)에 양성반응을 보인다.
(9)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LC)
고정담체로 실리카젤 60F254(머크사)를 사용하고 전개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 : 벤젠 (1:9)를 사용하여 TLC 를 수행한 결과 Rf 값 0.51 을 얻었다. 또한, 고정담체로 RP-18F254(머크사)를 사용하고, 전개용매로 메탄올 : 물 (95:5) 를 사용하여 TLC 를 수행한 결과 Rf 값 0.40 를 얻었다.
(10)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칼럼 센슈-팍 ODS-3301-N (φ8×300 mm, 센슈-과학사)를 사용하고 용매로 70 % 메탄올을 유속 1.5 ml/분으로 흘려 파장 254 nm 에서 보유시간 86 분에서 피크가 확인되었다.
(11) 물질의 산·염기성 구분
중성
(12)1H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500 MHz, CD3OD)
δH: 8.00 (1H, s), 7.35 (1H, s), 6.57 (1H, d, J=15.8 Hz), 6.33 (1H, dd, J=7.3 Hz and 15.8 Hz), 6.18 (1H, dd, J=10.1 Hz and 15.1 Hz), 6.04 (1H, dd, J=10.1 Hz and 15.5 Hz), 5.78 (1H, dd, J=7.7 Hz and 15.1 Hz), 5.69 (1H, dd, J=7.0 Hz and 15.5 Hz), 5.03 (1H, s), 4.17 (1H, dd, J=6.9 Hz and 7.3 Hz), 3.92 (1H, m), 3.78 (1H, t, J=7.3 Hz), 3.60 (3H×2, s), 3.32 (3H, s), 2.33 (1H, m), 1.52 (3H, d, J=7.0 Hz), 1.21 (3H, d, J=6.9 Hz), 1.00 (3H×2, d, J=6.7 Hz)
상기 결과는도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13)13C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125 MHz, CD3OD)
δc : 178.0 (s), 177.9 (s), 169.6 (s), 164.2 (s), 155.4 (s), 149.8 (s), 143.2 (d), 133.7 (d), 133.4 (d), 132.5 (d), 128.1(d), 127.1 (d), 117.3 (d), 117.2 (d), 92.1 (d), 85.9 (d), 57.1 (q), 56.2 (q), 51.3 (q), 42.4 (d), 41.2(d), 32.4 (d), 22.7 (q), 22.7 (q), 21.2 (q), 15.1 (q)
상기의 결과는도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실시예 3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항종양 활성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종양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5종의 인간 종양세포인 폐선암 (A549), 난소선암 (SK-OV-3), 악성 흑색종양 (SK-MEL-2), 중추신경계 종양 (XF498), 결장선암 (HCT15) 세포주를 사용하고 상기 화합물이 세포 증식을 저해하는 활성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상기 종양세포를 배양하는 배지로는 소태아 혈청이 5% 보강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고, 검정 시료는 디메틸 설폭시드(DMSO)에 녹여 2배수로 희석액을 만들며, 상기 활성은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103/웰 (A549), 1×104(SK-MEL-2, XF-498) 및 2×104(SK-OV-3)의 농도로 각각 세포를 배양하여 검정 시료를 첨가한 48시간이 경과한 다음 생존한 세포의 수를 SRB 법으로 정량하였다.
상기 화합물의 종양세포주들에 대한 세포증식 억제 정도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 수식에서 계산된 값들로부터 로터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종양세포의 증식을 50% 억제하는 농도 (IC50)를 구하였다.
Tz T 의 경우 : [(T-Tz)/ (C-Tz)]×100
Tz T 의 경우 : [(T-Tz)/ Tz]×100
C : 검정 시료를 가하지 않고 48시간 배양했을 때의 세포 수
T : 검정 시료를 가하여 48시간 배양했을 때의 세포 수
Tz : 검정 시료를 가한 시점에서의 세포 수
그 결과 얻은 항종양 활성을 표 1 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항종양 활성 (in vitro)
종양세포농도(ng/ml) A 549 SK-OV-3 SK-MEL-2 XF 498 HCT 15
0.1 35.2 40.3 90.6 36.0 41.7
1 18.1 29.4 77.7 25.0 23.2
10 14.4 19.7 45.8 19.8 18.1
100 13.4 19.7 32.8 14.9 17.6
IC50(ng/ml) 0.1 0.1 8.3 0.1 0.1
상기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 1 의 화합물은 단순히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살상 활성 (cytocidal activities)을 나타내는 기존의 많은 항암제와는 다르게 상기에서 시험한 5종의 모든 암세포주에 대하여 강력한 세포생장 억제 활성 (cytostatic activities)을 나타내는 특이한 작용 양상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10 ng/ml 이하의 농도에서 IC50값을 보이므로 항종양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토양에서 분리한 미생물의 동정
우리나라 대전시 유성구 주변의 산림 토양에서 보통의 방법으로 미생물을 채취하여 본 발명의 믹소코크스 속 (Myxococcus sp.) 균주를 분리하였다.
상기에서 분리한 균주는 대장균을 먹이균으로 하여 그 위에 접종하는 경우 4-5일이 경과한 다음 대장균의 용균 현상이 관찰되고, 7-10일이 경과한 다음 자실체가 형성되었다. 상기 자실체를 SP 배지 또는 VY/2 배지에서 배양하면 2-3일이 경과한 다음 스웜 (swarm)이라 불리우는 점액세균 특유의 불규칙적인 경계선을 띤 확산성 콜로니가 형성되며 그 후 다시 5-7일이 경과하면 크게 확장된 스웜상에 자실체가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믹소코크스 속 균주의 균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형태
영양세포는 간상이며 자실체 전체가 점질상 물질로 덮혀 있고, 그 안에 구형의 점액포자가 관찰된다. 점액포자는 직경 1.0-1.5μm 의 구형이며 자실체는 자루 (stalk)가 없으며 오렌지색의 콜로니를 형성한다.
(2) 배지에 따른 30℃에서의 생육 상태
(2-1) SP 한천 배지
SP 한천 배지를 사용하면 오렌지색의 자실체가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며 가용성 색소가 분비되지 않는다.
(2-2) VY/2 한천 배지
VY/2 한천 배지를 사용하면 오렌지색의 자실체가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며 가용성 색소가 분비되지 않는다.
(2-3) CY 한천 배지
CY 한천 배지를 사용하면 오렌지색의 자실체가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며 가용성 색소가 분비되지 않는다.
(3) 생리적 특성
(3-1) 생육 온도 범위
SP 한천 배지상에서 측정하는 경우 생육가능 온도는 20-35℃ 범위이고 최적 생육온도 25-30℃ 범위로 나타난다.
(3-2) 전분의 가수분해
양성으로 나타난다.
(3-3) 옥시데이즈 활성 :
음성으로 나타난다.
이상의 모든 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본 발명의 미생물은 믹소코크스 속(Myxococcus sp.)의 점액세균임을 동정하고 본 균주를 믹소코크스 속 JW025 (Myxococcus sp.JW 025) 균주로 명명하였다. 상기 균주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에 1997년 6월 9일에 기탁하였다 (수탁번호 : KCTC 0337 BP).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화학식 1 의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는 새로운 항종양 활성이 탁월한 물질로서 앞으로 인간 종양 등을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점액세균인 믹스코크스 속 미생물을 배양하고 분리하면 상기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6)

  1.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kpo00003
  2. 믹스코크스 속 (Myxococcus sp.)의 점액세균을 배양하고, 균체 및 배양액을 유기용매로 추출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얻은 조추출물을 이용하여 흡착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젤 침투 그로마토그래피 및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함으로써 제 1항의 화합물을 얻는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균체를 아세톤 또는 메탄올로 추출한 다음 이를 배양액과 함께 다시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염화 메틸렌 용매로 추출하고, 조추출물은 에틸 아세테이트-핵산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염화메틸렌 용매를 이용한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토양에서 분리한 제 1항의 화합물을 생산하는 믹소코크스 속의 점액세균.
  5. 제 4 항에 있어서, 믹소코크스 속 JW025 균주 (수탁번호 : KCTC 0337 BP)
  6. 제 1항의 화학식 1 의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항종양제로 사용하는 용도.
KR1019970031242A 1997-07-05 1997-07-05 믹소코크스 속의 점액세균, 이로부터 생산되는 신규 항종양활성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25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242A KR100225458B1 (ko) 1997-07-05 1997-07-05 믹소코크스 속의 점액세균, 이로부터 생산되는 신규 항종양활성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242A KR100225458B1 (ko) 1997-07-05 1997-07-05 믹소코크스 속의 점액세균, 이로부터 생산되는 신규 항종양활성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999A KR19990008999A (ko) 1999-02-05
KR100225458B1 true KR100225458B1 (ko) 1999-10-15

Family

ID=1951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242A KR100225458B1 (ko) 1997-07-05 1997-07-05 믹소코크스 속의 점액세균, 이로부터 생산되는 신규 항종양활성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5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392B1 (ko) * 2001-07-10 2004-03-24 한국화학연구원 믹소첼린-에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암용약학 조성물
KR100559252B1 (ko) * 2004-07-19 2006-03-15 정병철 믹소박테리아 HK1 (Myxobacterium sp.HK1) 균주 유래의 신규한 항암물질 CDMH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999A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76300B1 (en) Novel substance dc 113 and production thereof
KR0163202B1 (ko) 항종양성 물질 be-13793c
US10036048B1 (en) Process for obtaining a naphthoquinone derivative from Streptomyces sp
KR100225458B1 (ko) 믹소코크스 속의 점액세균, 이로부터 생산되는 신규 항종양활성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0024747A1 (fr) Substance gm-95, procedes de fabrication et d'utilisation correspondants
EP1001957B1 (en) Macrolides with antitumor activity
EP0164207B1 (en) Antibiotic crisamicin, its preparation and use and a microorganism capable of producing the same
US6277860B1 (en) Furopyridine antibacterials
KR20050109958A (ko) Gm-95 물질을 함유하는 항종양 효과 증강제, 항종양용조합 제제 및 항종양제
US5079376A (en) Novel substance uct-1003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0173195B1 (ko) It-62-b 물질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조성물
EP0289354A2 (en) Antibiotic TAN-950A, its production and use
EP0999212B1 (en) Furopyridine antibacterials
KR0177585B1 (ko) 항종양성 물질 b e-13793c-생성 균주
CA2008628C (en) Substance uct-1003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0367077B2 (ko)
KR100558264B1 (ko) 해양균류 페니실륨속으로부터 분리한 암세포독성작용 및항균작용을 가지는 신규화합물 및 그 용도
JP2000086627A (ja) 抗菌性物質be−54476及びその製造法
JPS623789A (ja) 抗生物質トキマイシンaおよびその製造法
JPH1129561A (ja) 新規化合物am6105及びその製法
JPH0680659A (ja) 新規イソクロマンカルボン酸誘導体
JPS62270587A (ja) 4181−2物質及びそのアシル誘導体
JPH08176116A (ja) 新規抗生物質スパロキソマイシン
JPH06128250A (ja) 新規スピロ化合物
JPH07316091A (ja) 新規化合物a35566−aまたはa35566−b及びそれら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