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697B1 -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697B1
KR100224697B1 KR1019970011824A KR19970011824A KR100224697B1 KR 100224697 B1 KR100224697 B1 KR 100224697B1 KR 1019970011824 A KR1019970011824 A KR 1019970011824A KR 19970011824 A KR19970011824 A KR 19970011824A KR 100224697 B1 KR100224697 B1 KR 100224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 output
counter
flip
fl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5583A (ko
Inventor
이정인
정기호
추우승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1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697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를 개시한다.
이는 소정의 주기를 갖는 클럭 펄스를 발생하는 클럭발생기(100); 상기 클럭발생기(1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1/128, 1/256, 1/512 분주 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102);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시간 간격동안 지연시키는 지연기(104); 상기 지연기(104)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폴링에지(falling edge)를 검색하는 폴링에지 검색기(106); 펄스폭변조된 신호를 입력하여 T 플립플롭핑시키는 T 플립플롭(108);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어신호로 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카운팅 디코딩하는 제2카운트 디코더(110);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128분주 신호와 상기 T 플립플롭(108)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2카운트 디코더(1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논리곱을 수행하는 제1논리곱게이트(112);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어신호로 하고 상기 제1논리곱게이트(11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제2카운트 디코더(110)로 출력하는 제2카운터(114); 상기 제2카운트 디코더(110)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512 분주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업(up) 신호와 다운(down) 신호를 출력하는 D 플립플롭(116);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 신호와 상기 D 플립플롭(116)으로부터 출력된 업 신호와 제1카운트 디코더(124)로부터 출력되는 ALL '1'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논리곱을 수행하는 제2논리곱 게이트(118);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 신호와 상기 D 플립플롭(116)으로부터 출력된 다운 신호와 제1카운트 디코더(124)로부터 출력되는 ALL '0'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논리곱을 수행하는 제3논리곱 게이트(120); 상기 제2논리곱 게이트(118) 및 제3논리곱 게이트(120)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업/다운 카운팅을 수행하는 제3카운터(122); 상기 제3카운터(1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카운팅 디코딩을 수행하는 제1카운트 디코더(124); 및 상기 제1카운트 디코더(124)로부터 출력되는 세트 신호와 리세트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플립플롭핑 하여 뮤팅신호를 출력하는 SR 플립플롭(126)을 포함한다.
따라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잡음일 때 자동적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
본 발명은 뮤트(mute)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헤드폰을 이용하여 오디오 시스템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누릴 수 있다. 이때, 소리의 발원이 되는 오디오 시스템이 송신측이 되고 무선헤드폰이 수신측이 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송신측을 온시키지 않고 수신측만을 온시켰다든가 또는 수신측을 먼저 온시킨 경우 수신측에 수신되는 신호는 잡음뿐일 것이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매우 불쾌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로부터 송신되어 무선헤드폰에 입력되는 신호가 없을 경우 자동적으로 무선헤드폰의 수신신호를 뮤팅시키고, 무선헤드폰에 입력되는 본체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경우 자동적으로 무선헤드폰의 수신신호를 입력시키도록 하는 무선헤드폰용 뮤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2카운트 디코더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카운트 디코더의 상세도이다.
도 4는 128 분주 신호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도 5는 256 분주 신호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도 6은 512 분주 신호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도 7은 지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8은 폴링에지 검색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9는 제2카운터의 출력신호를 보이는 파형도이다.
도 10은 'GOOD' 신호의 파형도를 보인다.
도 11은 D 플립플롭으로부터 출력된 '업'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12는 D 플립플롭으로부터 출력된 '다운'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13은 제3카운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14는 제1카운트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All '1'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15는 제1카운트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All '0'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16은 제1카운트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세트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17은 제1카운트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리세트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18은 뮤트바 신호의 파형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주기를 갖는 클럭 펄스를 발생하는 클럭발생기(100); 상기 클럭발생기(1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1/128, 1/256, 1/512 분주 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102);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시간 간격동안 지연시키는 지연기(104); 상기 지연기(104)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폴링에지(falling edge)를 검색하는 폴링에지 검색기(106); 펄스폭변조된 신호를 입력하여 T 플립플롭핑시키는 T 플립플롭(108);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어신호로 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카운팅 디코딩하는 제2카운트 디코더(110);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128분주 신호와 상기 T 플립플롭(108)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2카운트 디코더(1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논리곱을 수행하는 제1논리곱게이트(112);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어신호로 하고 상기 제1논리곱게이트(11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제2카운트 디코더(110)로 출력하는 제2카운터(114); 상기 제2카운트 디코더(110)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512 분주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업(up) 신호와 다운(down) 신호를 출력하는 D 플립플롭(116);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 신호와 상기 D 플립플롭(116)으로부터 출력된 업 신호와 제1카운트 디코더(124)로부터 출력되는 ALL '1'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논리곱을 수행하는 제2논리곱 게이트(118);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 신호와 상기 D 플립플롭(116)으로부터 출력된 다운 신호와 제1카운트 디코더(124)로부터 출력되는 ALL '0'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논리곱을 수행하는 제3논리곱 게이트(120); 상기 제2논리곱 게이트(118) 및 제3논리곱 게이트(120)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업/다운 카운팅을 수행하는 제3카운터(122); 상기 제3카운터(1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카운팅 디코딩을 수행하는 제1카운트 디코더(124); 및 상기 제1카운트 디코더(124)로부터 출력되는 세트 신호와 리세트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플립플롭핑 하여 뮤팅신호를 출력하는 SR 플립플롭(126)을 포함한다.
상기 제2카운트 디코더(110)는 상기 제2카운터(11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68개의 제1낸드 게이트군(110-1); 상기 제2카운터(11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228개의 제2낸드 게이트군(110-3); 상기 제2카운터(11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110-4); 상기 제1낸드 게이트군(110-1)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S 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에지신호를 R 단자에 접속하여 플립플롭핑하는 제1SR플립플롭(110-5); 상기 제2낸드 게이트군(110-3)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S 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에지신호를 R 단자에 접속하여 플립플롭핑하는 제2SR플립플롭(110-7); 상기 인버터(110-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R 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에지신호를 S 단자에 접속하여 플립플롭핑하는 제3SR플립플롭(110-9); 및 상기 제1SR플립플롭(110-5)의 출력되는 Q 단자의 신호와 상기 제2SR플립플롭(110-7)의 출력되는 Q 단자의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노아 게이트(110-1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카운트 디코더(124)는 상기 제3카운터(12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제1낸드 게이트(124-1); 상기 제3카운터(12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124-5); 상기 인버터(124-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제2낸드 게이트(124-3); 상기 제1낸드 게이트(124-1)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D 단자로 하고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신호를 클럭펄스단으로 하는 제1D플립플롭(124-7); 및 상기 제2낸드 게이트(124-3)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D 단자로 하고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신호를 클럭펄스단으로 하는 제1D플립플롭(124-9)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의 구성을 보면, 소정의 주기를 갖는 클럭 펄스를 발생하는 클럭발생기(100), 상기 클럭발생기(1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소정의 분주 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102),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시간 간격동안 지연시키는 지연기(104), 상기 지연기(104)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폴링에지(falling edge)를 검색하는 폴링에지 검색기(106), 펄스폭변조된 신호를 입력하여 T 플립플롭핑시키는 T 플립플롭(108),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어신호로 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카운팅 디코딩하는 제2카운트 디코더(110),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128분주 신호와 상기 T 플립플롭(108)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2카운트 디코더(1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논리곱을 수행하는 제1논리곱게이트(112),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어신호로 하고 상기 제1논리곱게이트(11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제2카운트 디코더(11)로 출력하는 제2카운터(114), 상기 제2카운트 디코더(110)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512 분주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업(up) 신호와 다운(down) 신호를 출력하는 D 플립플롭(116),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 신호와 상기 D 플립플롭(116)으로부터 출력된 업 신호와 제1카운트 디코더(124)로부터 출력되는 ALL '1'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논리곱을 수행하는 제2논리곱 게이트(118),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 신호와 상기 D 플립플롭(116)으로부터 출력된 다운 신호와 제1카운트 디코더(124)로부터 출력되는 ALL '0'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논리곱을 수행하는 제3논리곱 게이트(120), 상기 제2논리곱 게이트(118) 및 제3논리곱 게이트(120)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업/다운 카운팅을 수행하는 제3카운터(122), 상기 제3카운터(1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카운팅 디코딩을 수행하는 제1카운트 디코더(124), 및 상기 제1카운트 디코더(124)로부터 출력되는 세트 신호와 리세트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플립플롭핑 하여 뮤팅신호를 출력하는 SR 플립플롭(126)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2는 도 1의 제2카운트 디코더(110)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1카운트 디코더(124)의 상세도이다.
먼저, 도 2에서 보이는 제2카운트 디코더(110)는 상기 제2카운터(11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68개의 제1낸드 게이트군(110-1), 상기 제2카운터(11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228개의 제2낸드 게이트군(110-3), 상기 제2카운터(11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110-4), 상기 제1낸드 게이트군(110-1)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S 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에지신호를 R 단자에 접속하여 플립플롭핑하는 제1SR플립플롭(110-5), 상기 제2낸드 게이트군(110-3)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S 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에지신호를 R 단자에 접속하여 플립플롭핑하는 제2SR플립플롭(110-7), 상기 인버터(110-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R 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에지신호를 S 단자에 접속하여 플립플롭핑하는 제3SR플립플롭(110-9), 및 상기 제1SR플립플롭(110-5)의 출력되는 Q 단자의 신호와 상기 제2SR플립플롭(110-7)의 출력되는 Q 단자의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노아 게이트(110-11)로 구성된다.
또한, 도 3에서 보이는 제1카운트 디코더(124)는 상기 제3카운터(12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제1낸드 게이트(124-1), 상기 제3카운터(12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124-5), 상기 인버터(124-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제2낸드 게이트(124-3), 상기 제1낸드 게이트(124-1)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D 단자로 하고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신호를 클럭펄스단으로 하는 제1D플립플롭(124-7), 및 상기 제2낸드 게이트(124-3)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D 단자로 하고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신호를 클럭펄스단으로 하는 제1D플립플롭(124-9)으로 구성된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3의 구성 요소간의 동작 설명을 실시한다.
클럭발생부(100)에서 공급되는 클럭 신호가 제1카운터를 거치면서 1/128, 1/256 및 1/512 분주 신호가 출력된다. 도 4는 1/128 분주 신호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도 5는 1/256 분주 신호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도 6은 1/512 분주 신호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되는 분주 신호중 1/512 분주 신호가 지연기(104)를 거치면서 소정의 시간 간격동안 지연이 된다. 도 7은 지연기(104)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이다. 폴링에지 검색기(106)는 상기 지연기(1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폴링에지를 검색한다. 도 8은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이다. 제2카운터(114)는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한 주기동안을 주기로 하여 상기 제1논리곱 게이트(11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카운팅을 수행한다. 도 9는 제2카운터(114)의 출력신호를 보이는 파형도이다. 제1논리곱 게이트(112)는 입력되는 세 개의 신호가 모두 논리적으로 하이상태일 때 논리적으로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논리적으로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제2카운트 디코더(110)는 상기 제2카운터(114)의 출력신호와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GOOD'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보인다. 상기 제2카운터(114)에서 출력되는 계수의 값(n)이 a 내지 b 사이에 들어오면 제2카운트 디코더(110)의 출력신호 'GOOD' 신호는 하이상태를 유지하고, 그 외의 값이 들어오면 로우상태를 유지한다. 도 10은 'GOOD' 신호의 파형도를 보인다. 여기서, a, b 값은 무선 헤드폰에 수신되는 신호가 정보를 갖는 신호인가 아니면 정보를 갖지 않는 잡음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의 값으로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a 값은 '68'로 설정하고, b 값은 '228'로 설정한다. 즉, T 플립플롭(108)에 입력되는 펄스폭 변조된 신호가 그 기준을 설정하여 준다. 결론적으로, 현재 무선 헤드폰으로 입력되는 신호의 정보 유무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는 신호가 T 플립플롭(108)에 입력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이고, 이에 따라 제2카운트 디코더(110)에서 출력되는 'GOOD' 신호가 하이상태를 가질 것인지 로우상태를 가질 것인지를 판가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2카운터(114)에서 출력되는 계수값이 '68' 이상이고 '228' 이하이면 제2카운트 디코더(110)의 출력신호 'GOOD'은 하이상태를 유지하고, 그 외의 값을 가지면 로우상태를 유지한다. 제2카운트 디코더(110)의 상세한 회로적 설명은 도 2에 도시되어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생략한다. D 플립플롭(116)은 상기 제2카운트 디코더(110)에서 출력된 신호 'GOOD'와 상기 제1카운터(102)에서 출력된 512 분주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업(UP)' 신호와 '다운(DOWN)' 신호를 출력한다. 이는 일반적인 D 플립플롭의 동작이므로 그 설명도 생략한다. 도 11은 D 플립플롭(116)으로부터 출력된 '업' 신호의 파형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1의 파형도는 도 10의 파형도와 비교할 때 가로축인 시간축이 일치하지 않음을 밝혀둔다. 도 12는 D 플립플롭(116)으로부터 출력된 '다운' 신호의 파형도이다. 제2논리곱 게이트(118)는 상기 D 플립플롭(116)으로부터 출력된 '업' 신호와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신호 및 제1카운트 디코더(124)로부터 출력되는 All '1'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논리곱을 수행하여 업 클럭 신호를 출력한다. 제3논리곱 게이트(120)는 상기 D 플립플롭(116)으로부터 출력된 '다운' 신호와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신호 및 제1카운트 디코더(124)로부터 출력되는 All '0'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논리곱을 수행하여 다운 클럭 신호를 출력한다. 제3카운터(122)는 상기 제2논리곱 게이트(118) 및 제3논리곱 게이트(1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카운트하여 계수값을 출력한다. 도 13은 제3카운터(12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13의 파형도를 좀 더 상세히 분석해 보면, 10은 상기 제3카운터(122)에서 출력되는 계수값이 상승하는 상태이고, 20은 계수값이 All '1'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고, 30은 계수값이 일부 하강하는 상태이고, 40은 계수값이 All '0'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제1카운트 디코더(124)는 상기 제3카운터(122)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세트, 리세트 신호를 출력한다. 제1카운트 디코더(124)의 상세 회로도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의 상세한 회로적 설명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파형도로써 그 설명을 대신한다. 도 13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카운터(122)의 출력 파형도이고, 도 14는 제1카운트 디코더(124)에서 출력되는 All '1' 신호의 파형도이고, 도 15는 제1카운트 디코더(124)에서 출력되는 All '0' 신호의 파형도이고, 도 16은 제1카운트 디코더(124)에서 출력되는 세트 신호의 파형도이며, 도 17은 제1카운트 디코더(124)에서 출력되는 리세트 신호의 파형도이다. SR 플립플롭(126)은 상기 제1카운트 디코더(124)로부터 출력되는 세트 및 리세트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SR 플립플롭핑 되어 최종적으로 뮤트바(MuteB) 신호를 출력한다. 도 18은 뮤트바 신호의 파형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잡음일 때 자동적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주기를 갖는 클럭 펄스를 발생하는 클럭발생기(100);
    상기 클럭발생기(1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1/128, 1/256, 1/512 분주 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102);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시간 간격동안 지연시키는 지연기(104);
    상기 지연기(104)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폴링에지(falling edge)를 검색하는 폴링에지 검색기(106);
    펄스폭변조된 신호를 입력하여 T 플립플롭핑시키는 T 플립플롭(108);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어신호로 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카운팅 디코딩하는 제2카운트 디코더(110);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128분주 신호와 상기 T 플립플롭(108)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2카운트 디코더(1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논리곱을 수행하는 제1논리곱게이트(112);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어신호로 하고 상기 제1논리곱게이트(11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제2카운트 디코더(110)로 출력하는 제2카운터(114);
    상기 제2카운트 디코더(110)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512 분주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업(up) 신호와 다운(down) 신호를 출력하는 D 플립플롭(116);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 신호와 상기 D 플립플롭(116)으로부터 출력된 업 신호와 제1카운트 디코더(124)로부터 출력되는 ALL '1'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논리곱을 수행하는 제2논리곱 게이트(118);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 신호와 상기 D 플립플롭(116)으로부터 출력된 다운 신호와 제1카운트 디코더(124)로부터 출력되는 ALL '0'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논리곱을 수행하는 제3논리곱 게이트(120);
    상기 제2논리곱 게이트(118) 및 제3논리곱 게이트(120)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업/다운 카운팅을 수행하는 제3카운터(122);
    상기 제3카운터(1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카운팅 디코딩을 수행하는 제1카운트 디코더(124); 및
    상기 제1카운트 디코더(124)로부터 출력되는 세트 신호와 리세트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플립플롭핑 하여 뮤팅신호를 출력하는 SR 플립플롭(126)을 포함하는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운트 디코더(110)는
    상기 제2카운터(11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68개의 제1낸드 게이트군(110-1);
    상기 제2카운터(11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228개의 제2낸드 게이트군(110-3);
    상기 제2카운터(11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110-4);
    상기 제1낸드 게이트군(110-1)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S 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에지신호를 R 단자에 접속하여 플립플롭핑하는 제1SR플립플롭(110-5);
    상기 제2낸드 게이트군(110-3)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S 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에지신호를 R 단자에 접속하여 플립플롭핑하는 제2SR플립플롭(110-7);
    상기 인버터(110-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R 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폴링에지 검색기(106)로부터 출력된 에지신호를 S 단자에 접속하여 플립플롭핑하는 제3SR플립플롭(110-9); 및
    상기 제1SR플립플롭(110-5)의 출력되는 Q 단자의 신호와 상기 제2SR플립플롭(110-7)의 출력되는 Q 단자의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노아 게이트(110-1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트 디코더(124)는
    상기 제3카운터(12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제1낸드 게이트(124-1);
    상기 제3카운터(12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124-5);
    상기 인버터(124-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제2낸드 게이트(124-3);
    상기 제1낸드 게이트(124-1)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D 단자로 하고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신호를 클럭펄스단으로 하는 제1D플립플롭(124-7); 및
    상기 제2낸드 게이트(124-3)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D 단자로 하고 상기 제1카운터(102)로부터 출력된 1/256 분주신호를 클럭펄스단으로 하는 제1D플립플롭(124-9)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
KR1019970011824A 1997-03-31 1997-03-31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 KR100224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824A KR100224697B1 (ko) 1997-03-31 1997-03-31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824A KR100224697B1 (ko) 1997-03-31 1997-03-31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583A KR19980075583A (ko) 1998-11-16
KR100224697B1 true KR100224697B1 (ko) 1999-10-15

Family

ID=1950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824A KR100224697B1 (ko) 1997-03-31 1997-03-31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6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583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4175A (en) Muting circuit
KR100224697B1 (ko) 무선 헤드폰용 뮤트장치
KR910021177A (ko) 음향부가회로
KR900004179A (ko) 잡음저감회로
KR940001585A (ko) 샘플 데이타 수신기 스켈치 장치 및 그 수켈치 방법
KR900005815A (ko) 컬러 텔레비전 수상기의 휘도신호 및 색신호 분리회로
KR960007137B1 (ko) 카오디오용 디지탈 오디오 시그날 프로세싱 회로
JP2005210382A (ja) Amラジオ受信機
WO2002099443A3 (de) Vorrichtung zur frequenzmessung
KR900006014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무신호시 영상신호 뮤팅회로
KR960001570Y1 (ko) 의사 스테레오 수신시, 팝 노이즈(pop noise) 제어회로
KR940017858A (ko) 오디오 검파회로 및 그를 이용한 음 출력방법
KR890016845A (ko) Tv수상기의 부음성 지연장치
JPH0846540A (ja) 雑音・信号検出回路
KR930002904Y1 (ko) 음성다중신호 복조회로의 모드선택 보상회로
JPS6211088Y2 (ko)
JPH03220842A (ja) パルス受信回路
JPH03131124A (ja) オーディオ再生回路
KR970058180A (ko) 적외선 신호 복조기
JPH0210976A (ja) パイロット信号判別回路
JPS5992619A (ja) 雑音信号除去回路
JPH05300103A (ja) Pcmデコーダーのデータ多数決判定回路
KR970078221A (ko) 에이에스케이(ask) 수신장치
KR950010390A (ko) 수신신호 약화시 스테레오/모노 모드 자동절환장치
JPH0968988A (ja) 音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