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568B1 - 모드 전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모드 전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568B1
KR100224568B1 KR1019970013327A KR19970013327A KR100224568B1 KR 100224568 B1 KR100224568 B1 KR 100224568B1 KR 1019970013327 A KR1019970013327 A KR 1019970013327A KR 19970013327 A KR19970013327 A KR 19970013327A KR 100224568 B1 KR100224568 B1 KR 100224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signal
message
modem
ma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6171A (ko
Inventor
이석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3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568B1/ko
Priority to JP9118993A priority patent/JPH1056506A/ja
Priority to US08/854,350 priority patent/US5953397A/en
Publication of KR970076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6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06Type of the other apparatus
    • H04N1/32708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06Type of the other apparatus
    • H04N1/3271Telephone answering mach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06Type of the other apparatus
    • H04N1/32713Data transmission device, e.g.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17Detecting a calling tone, e.g. C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26Detecting signals other than facsimile protocol signals, e.g. DTMF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39Generating signals
    • H04N1/32745Generating messages, indications or warnings lo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모드 선택 신호로써 기능 하는 DTMF 신호를 식별하고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지원하고, 컴퓨터 연산 기능을 수행하고 자동 응답 서비스, 팩스 서비스, 데이터 모드 서비스, 화상 통신 서비브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 가능한 메인 유니트(300)를 갖춘 모드 전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메인 유니트(300)는 시스템 버스,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시스템 버스와 연결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 저장 장치, 컴퓨터 연산 기능 수행과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지원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의 수행을 위한 시스템 버스에 연결된 중앙처리장치를 갖는다. 더나아가 컴퓨터 시스템은 메인 유니트(300)와 통신 선으로써 기능 하는 전화선(10)사이의 인터페이스 장치인 모뎀(200)으로 구성된다. 모뎀(200)은 전화선을 통해 각 터미널과 전화망 사이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할 때 전화, 자동응답기, 팩스, 모뎀 지원 컴퓨터, 화상 통신기 등과 같은 원격지 터미널들과의 디지털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모드 전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omputer system with mode switch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드 전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선을 통하여 제공되는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및 원격지의 컴퓨터 터미널(terminal)들 사이에서 통신선을 통하여 데이터(data)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각 컴퓨터 터미널은 모뎀(modem)을 구비해야한다. 컴퓨터 터미널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데이터 통신 서비스이외에도 상기 컴퓨터 터미널들은 이 터미널에 부착된 모뎀을 통하여 팩스밀리(facsimile), 음성 , 화상 통신등의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종래의 컴퓨터 시스템 에 있어서는, 컴퓨터 시스템에 부착된 모뎀이 자동 응답모드에 있는 동안 전화선을 통해 제공되는 링 신호와 이 링 신호에 이어서 수신되는 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가 어떠한 통신 모드를 표시하는 가를 식별할 수 없어서 그 통신모드에 응답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DTMF 신호에 응답하여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드 선택 신호로써 기능 하는 DTMF 신호를 식별하고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모드 전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전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모드 전환 프로그램의 프로우 차트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 초기화 프로그램의 프로우 차트;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 자동 응답 프로그램의 프로우 차트;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 서비스 수행 프로그램의 프로우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시지 응답부110 : 메모리
120 : 어드레스 발생기130 : 어드레스 선택기
140 : 데이터 스위치150 : DAC (Digital-to-Analog Converter)
200 : 모뎀210 : 제어기
220 : 데이터 펌프230 : DAA
240 : 링 신호검출기300 : 메인 유니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드 전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은 시스템 버스와, 이 시스템 버스에 접속되어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 및, 상기 시스템 버스에 접속되어 컴퓨터 연산 기능을 수행하고 다양한 컴퓨터 서비스들을 지원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들을 수행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를 갖는 메인 유니트를 구비한다. 모뎀은 통신선을 통해 디지탈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원격지 터미널 사이에 연결된다. 자동응답부 (automatic answering device)는, 상기 모뎀을 통하여 제공되는 링신호가 검출될 때, 상기 모뎀을 통하여 앞서 저장된 메시지, 즉 상기 메인 유니트로부터 제 1 어드레스(address)에 따라 저장되고 그리고 그로부터 독출되어 상기 모뎀으로 제공되는 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응답하기위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모뎀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메인 유니트는 상기 링 신호에 이어서 수신되는 모드 선택 신호를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메인 유니트의 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응답부의 초기화 동작이 요구되는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부의 초기화 동작이 요구된 경우, 상기 응답부의 메모리내에 있는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하여 초기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링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시지를 자동 응답하기 위하여 메시지 응답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와, 모드 선택 신호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는 서비스 응답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제어 방법에서 상기 초기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 버스를 통해 제공되는 초기화 신호를 상기 응답 부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유니트로부터 상기 응답부의 메모리로 상기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부의 메모리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사이에서 데이터 흐름 경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도 1을 참고하면, 신규한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터 연산 기능을 수행하고 자동 응답 서비스, 팩스, 데이터 교환 서비스, 화상통신 서비스 등의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메인 유니트(300)를 갖는다. 메인 유니트는 또한 시스템 버스와, 이 시스템 버스에 접속되어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 및, 상기 시스템 버스에 접속되어 컴퓨터 연산 기능을 수행하고 다양한 컴퓨터 서비스들을 지원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들을 수행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CPU)를 갖는다. 컴퓨터 시스템은 메인 유니트(300)와 통신선으로 기능하는 전화선(10) 사이에 연결된 인터페이스(interface) 장치인 모뎀(200)을 포함한다. 모뎀(200)은 각 터미널과 전화망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전화선(10)을 통해 전화, 자동 응답기, 팩스, 모뎀 지원 컴퓨터, 화상통신기 등의 원격지 터미널과의 디지탈 데이터 교환을 가능케 한다.
모뎀(200)은 일반적으로 전화선(10)에 연결된 전화잭(12)에 접속되고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 유니트(300) 근처에 배치된다. 그러나 모뎀(200)은 메인 유니트(300)내에 장착될 수 도 있다. 원격지 터미널까지 디지탈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모뎀(200)은 메인 유니트(300)로 부터 제공되는 디지탈 데이터를 전화선 전송에 필요한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수신측인, 원격지 터미널(예를 들어 원격지 모뎀 지원 터미널)은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자신의 데이터 터미널에 제공될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은 전화선(10)을 통해 링 신호를 검출할 때 미리 저장된 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응답하는 자동응답부(1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모뎀은 3가지 주요부들, 즉, 전화선 인터페이스(interface), 제어기(210), 그리고 데이터펌프(datapump)(220)를 구비한다. 전화선 인터페이스는 전화선(10)을 모뎀(200)에 연결하고 전화나 응답기등의 근거리 통신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전화 인터페이스는 통상적으로 디지탈 정보를 제어기(210)로 보내는 링신호 검출기(240)와 전화선(10)과 모뎀의 데이터 펌프(220)사이의 아날로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엑세스 어레인지먼트 (data access arrangement = DAA)(2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제어기(210)는 모뎀(200)을 메인 유니트(300)에 연결하며 그리고 상기 외부장치용 직렬 인터페이스및 메인 유니트(300) 내측에 장착된 모뎀(200)용 병렬 인터페이스인 데이터 터미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어기(210)는 모뎀(200)의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제어기(210)는 데이터펌프(220)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데이터 터미널 인터페이스로 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압축하고 데이터를 데이터 터미널 인터페이스로 보내기 전에 데이터펌프(220)로 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한다. 또한 메인 유니트(300)에 의해 모뎀(200)의 구성요소들을 엑세스(access)하는 것은 명령어(command)를 제어기(210)로 제공하고 그리고 그 제어기(210)로 부터 응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데이터펌프부는 통상 데이터 프로토콜에 따라 아날로그와 디지탈 신호들 사이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기(210)에 의해 형성된다.
데이터펌프(220)는 데이터 터미널 인터페이스로 부터 제공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화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화선(10)으로 전송하거나, 전화선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전화선으로 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터미널 인터페이스로 전송한다. 데이터펌프(220)는 팩스 프로토콜 또는 데이터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모뎀이라는 단어가 변조기, 복조기에서 유래됐음에도 불구하고, 변조가 요구되지 않는 음성 모뎀처럼 사용되어왔다. 그와 같이 데이터펌프(220) 역시 음성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펌프의 팩스, 데이터, 그리고 음성 프로토콜들은 속도와 모드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자동 응답부(100)는 다섯 개의 주요 회로부들, 즉 어드레스 발생기(120), 어드레스 선택기(130), 메모리(110), 데이터 스위치(switch)(140), 그리고 디지탈-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er)(150)를 포함한다. 어드레스 발생기(120)는 신호 검출기(240)에 연결된 카운터를 포함하며 링 검출기(240)로 부터 제공되는 링 신호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어드레스 선택기(130)는 어드레스 발생기(120)로 부터 제공되는 어드레스 신호와 메인 유니트(300)로 부터 제공되는 어드레스 신호, 두가지 어드레스 신호를 받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포함한다. 어드레스 선택기(130)는 메인 유니트(300)로 부터 제공되는 어드레스 선택 신호 AS1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신호들중 하나를 선택한다.
자동 응답부(100)의 메모리(110)는 기입인에이블신호(WE)에 의해 메인 유니트(300)로 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리고 독출 인에이블 신호 (RE)로서 기능하는 링 신호에 의해 이미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해 제공되어있다. 메인 유니트로 부터 제공된 데이터는 자동 응답 메시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데이터 스위치(140)는 두 개의 경로 선택신호 PS1, PS2에 응답하여 제 1, 제 2, 제 3 데이터 전송 경로를 형성한다. 제 1 데이터 전송 경로는 메인 유니트(300)의 시스템 버스와 응답부(100)의 메모리(110) 사이에 형성되고, 제 2 데이터 전송 경로는 메모리(110)와 DAC(150)사이에 형성되며 그리고 제 3 데이터 전송 경로는 메인 유니트(300)의 시스템 버스와 DAC(150)사이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제 1 데이터 전송 경로가 경로 선택 신호인 PS1, PS2에 의해 형성되면, 메인 유니트로부터 제공되는 자동 응답 메시지(즉, 디지털 정보)는 데이터 스위치(140)를 통해 메모리(110)에 저장된다. 제 2 데이터 전송 경로가 형성되면 메모리(110)에 저장된 메시지는 데이터 스위치(140)를 통해 DAC(150)에 제공되어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이 아날로그 신호는 모뎀(200)의 DAA(230)에 제공되고 통신선(10)을 통해 전화, 원격지 모뎀 지원 터미널, 데이터 전송 터미널, 화상 통신기 등의 원격지 장치에 전송된다. 또한 제 3 데이터 흐름 경로가 형성되면 메인 유니트(300)로 부터 제공된 디지털 정보는 데이터 스위치(140)에 의해 DAC(150)에 직접 전송된다. 상기 어드레스 선택신호(AS1)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경로선택신호(PS1)로 사용될 수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선택기(130)는 상기 데이터 스위치(140)와 연계하여서 작동된다.
이미 앞서 설명한 것처럼, DAC(150)에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되어지고 모뎀(200)의 DAA(230)에는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가 전송된다.
다음 도 2에서 도 5를 통해 모드 전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S10 에 도시되어있듯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 작동이 시작되면 컴퓨터 시스템은 메인 유니트(300)의 키 입력에 따라 초기화 동작이 요구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초기화 동작이 요구되었다면 제어는 단계 S20로 진행하고 여기서 자동 응답부(100)의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초기화 동작이 요구되지 않았다면 단계 S30로 진행한다.
다음은 단계 S20 에서 수행되는 초기화 루틴을 도 3에 의거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 루틴은 메인 유니트(300)가, 링 신호가 검출되었을 때, 호출 전화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응답부(100)의 메모리(110)내에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해 실행된다. 단계 S21에서, 메인 유니트(300)는 시스템 버스를 통해 응답 부(100)로 초기화 신호를 제공하고 제어는 S22로 진행한다. 초기화 신호는, 제 1 데이터 흐름 경로가 형성되고 그래서 디지털 메시지가 데이터 스위치(140)를 통해 메모리(110)에 저장되도록 하기 위해 메인 유니트(300)로 부터 제공되는 어드레스와 제어 신호들을 의미한다. 이 디지털 메시지는 메인 유니트(300)에 장착된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람의 목소리를 전기적으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거나 또는 메인 유니트의 메모리 장치에 미리 저장되어있던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단계 S22 에서, 메인 유니트(300)로 부터 제공된 어드레스 신호가 어드레스 선택기(130)를 통해 메모리(110)로 제공될 때, 디지털 메시지는 데이터 스위치(140)를 통해 메모리(130)에 저장되며, 제어는 단계 S23로 진행한다.
단계 S23 에서, 메인 유니트(300)는 디지털 메시지를 메모리(110)에 저장할 것인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저장되지않으면, 제어는 다시 단계 S22 로 점프한다. 그리고 저장되면, 단계 S24로 진행한다. 여기서 경로선택신호인 PS1과 PS2가 응답부(100)로 제공되어서 제 1 데이터 흐름경로가 차단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초기화 루틴이 완료됐거나 디지탈 메시지가 응답부(100)의 메모리(110)에 저장됐으면 제어는 단계 S30 로 진행한다. 여기서 메인 유니트(300)는 전화 검출기(240)를 통해 전화신호를 검출한다. 링 신호가 검출되면 제어는 단계 S40 로 진행한다. 여기서 메시지 응답 동작이 수행되어서, 제 2 데이터 흐름 경로가 형성된다.
다음은 단계 S40 에서 수행된 메시지 응답 루틴을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계 S41에서 어드레스 발생기(120)는 링 신호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고, 제어는 단계 S42 진행한다. 그 다음에 어드레스 신호는 어드레스 선택기(130)를 통해 메모리(110)에 제공된다. 링 신호가 검출될 때, 어드레스 선택기(120)로 부터 메모리로 어드레스 신호를 공급하는 것은 메인 유니트로 부터 발생한 어드레스 선택 신호 AS1 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42 에서, 메모리(110)에 어드레스 신호가 제공되면, 저장된 메시지가 메모리에서 독출되고, 단계 S43 에서는 데이터 스위치(140)를 통해 DAC(150)에 제공되어진다. DAC(150)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 메시지 신호는 DAA(230)를 통해 전화선(10)으로 제공되어진다(단계 S44). 따라서 자동 응답 메시지로서 인간의 목소리 신호는 전화선(10)을 통해 호출된 전화로 전송된다. 메시지는 예를 들어, 홍길동입니다. 전화 주셔서 감사합니다. 음성 메시지를 남기실 거면 1번을 눌러주시고, 팩스를 보내실 분은 2번, 데이터 모드일 경우 3번을, 화상 전화일 경우는 4번을 눌러주세요.로 나타날 것이다.
단계 S45에서, 메시지가 완전히 전송되었다면 메시지 응답 루틴은 종결되며 완전히 전송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단계 S44로 다시 점프한다.
단계 S50 에서, 메인 유니트(300)는 전화건 사람에 의해 특정 버튼(button)이 눌러지는가를 결정한다. 특정 버튼이 선택되면, 제어는 단계 S70 로 가며 여기서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 실행 루틴이 실행된다. 특정 버튼이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는 단계 S60로 가며 메인 유니트(300)는 호출된 전화기의 훅 스위치(hook switch)의 연결상태를 확인한다. 여기서 호출된 전화기의 훅 스위치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일 때는 제어는 단계 S30 로 다시 점프한다. 훅 스위치가 연결되어있을 경우에는, 제어는 단계 S50로 가며, 여기서 메인 유니트(300)는 버튼의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DTMF 톤-코드 신호를 계속 검출한다.
이와 같이 검출된 DTMF 톤-코드 신호는 데이터펌프(220)에 의해 인식될 수 있으며 제어기(210)를 통해 메인 유니트(300)에 제공된다. 이후에, 메인 유니트(300)는 DTMF 톤-코드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모드 선택신호를 식별하고 그리고 이 모드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통신 서비스가 지원 가능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자동 응답 기능, 팩스, 데이터 나 화상 통신 기능등의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지원하도록 다양한 서비스 프로그램들이 메인 유니트(300)의 메모리에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한다.
단계 S70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 수행 루틴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단계 S71에서, 메인 유니트는 전화선(10)을 통해 버튼 1번에 대응하는 제1 모드 선택신호로써 DTMF 톤-코드 신호가 검출되었는가를 결정한다. 제 1 모드 선택 신호가 검출되면, 제어는 단계 S72 로 진행하고, 여기서 음성 녹음 프로그램이 메인 유니트에서 실행된다. 음성 녹음 프로그램에 따라, 메인 유니트은 음성 녹음 프로그램이 끝날 때(단계 S73)까지 전화선(10)을 통해 호출된 전화에 음성 녹음을 한다. 호출된 사람의 음성은 모뎀(200)을 통해 저장 장치에 기록된다.
DTMF 톤-코드 신호가 제 1 모드 선택 신호로써 검출되지 않았다면, 제어는 단계 S74 로 진행하고 여기서 메인 유니트는 버튼 2번에 대응하는 제 2 모드 선택 신호로써 DTMF 톤-코드 신호가 검출되었는 가를 결정한다. 제 2 모드 선택 신호가 검출되었다면, 제어는 단계 S75 로 가며 여기서 팩스 프로그램이 메인 유니트에서 수행된다. 팩스 프로그램에 따라, 메인 유니트은 패스 프로그램이 끝날 때(단계 S76 )까지 전화선(10)을 통해 원격지 모뎀지원 터미널등의 원격지 시스템과 통신을 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팩스 프로그램에 따라 모뎀(200)을 통해 원격지 터미널과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74 에서, DTMF 톤-코드 신호가 제 2 모드 선택 신호에 대응하지 않으면, 제어는 단계 S77로 진행하고, 여기서 메인 유니트는 버튼 3번에 응하는 제 3 모드 선택 신호로써 DTMF 톤-코드 신호가 검출되었는가를 결정한다. 제 3 모드 선택 신호가 검출되었다면, 제어는 S78로 진행하고, 여기서 메인 유니트(300)가 데이터 모드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데이터 모드 프로그램에 따라, 메인 유니트는 데이터 모드 프로그램이 끝날 때(단계 S79)까지 전화선(10)을 통해 원격지 모뎀 지원 터미널과 통신을 한다. 메인 유니트(300)는 상기 데이터 모드프로그램에 따라 전화선(10)을 통해 원격지 모뎀 지원 터미널과 통신을 할 수 있다.
게다가, 단계 S77 에서, DTMF 톤-코드 신호가 제 3 모드 선택 신호에 대응하지 않으면, 제어는 단계 S80 로 진행하고, 여기서 메인 유니트는 버튼 4 번에 대응하는 제 4 모드 선택 신호로써 DTMF 톤-코드 신호가 검출되었는가를 결정한다. 제 4 모드 선택 신호가 검출되면, 제어는 단계 S81 로 진행하고, 여기서 메인 유니트(300)는 화상 통신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화상 통신 프로그램에 따라, 메인 유니트는 화상 통신 프로그램이 끝날 때(단계 S82 )까지 전화선(10)을 통해 화상 통신 기능을 갖고 있는 원격지 모뎀 지원 터미널과 통신을 한다. 메인 유니트(300)는 상기 화상통신프로그램에 따라 전화선(10)을 통해 원격지 모뎀 지원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대응하는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에, 제어는 S90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메인 유니트는 모드 전환 기능을 끝낼것인지의 여부를 정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은 전화선과 같은 통신 선을 통해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Claims (10)

  1. 모드 전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 버스와, 이 시스템 버스에 접속되어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 및, 상기 시스템 버스에 접속되어 컴퓨터 연산 기능을 수행하고 다양한 컴퓨터 서비스들을 지원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들을 수행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를 갖는 메인 유니트와;
    통신 선을 통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원격지 터미널 사이에서 연결되어, 그들 사이에서 디지탈 데이타를 교환하는 모뎀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모뎀 사이에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뎀을 통하여 제공되는 링신호가 검출될 때, 상기 모뎀을 통하여 앞서 저장된 메시지, 즉 상기 메인 유니트로부터 제 1 어드레스(adress)에 따라 저장되고 그리고 그로부터 독출되어 상기 모뎀으로 제공되는 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응답하는 응답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유니트는 상기 링 신호에 이어서 수신되는 모드 선택 신호를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부는 상기 링 신호에 응답하여 제 2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어드레스 발생기와;
    적어도 두 개의 경로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제 1, 제 2 및 제 3 데이터 흐름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데이터 전환기와;
    상기 메인 유니트로 부터 제공되는 어드레스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어드레스 신호들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선택기와;
    상기 제 1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유니트로부터 제공된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제 1 데이터 흐름 경로를 따라 저장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제 2 데이터 흐름 경로를 따라 독출하기위한 메모리와;
    상기 독출된 메시지 데이터 또는 상기 메인 유니트로부터 직접 전달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아날로그 메시지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발생기는 상기 링 신호에 동기되어서 작동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선택기는 제 1, 제 2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어드레스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이들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신호는 DTMF 신호인 컴퓨터 시스템.
  6. 시스템 버스와, 이 시스템 버스에 접속되어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 및, 상기 시스템 버스에 접속되어 컴퓨터 연산 기능을 수행하고 다양한 컴퓨터 서비스들을 지원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들을 수행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를 갖는 메인 유니트와;
    통신 선을 통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원격지 터미널 사이에서 연결되어, 그들 사이에서 디지탈 데이타를 교환하는 모뎀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모뎀 사이에서 연결되어, 상기 모뎀을 통하여 제공되는 링신호가 검출될 때 상기 모뎀을 통하여 앞서 저장된 메시지, 즉 상기 메인 유니트로부터 제 1 어드레스(adress)에 따라 저장되고 그리고 그로부터 독출되어 상기 모뎀으로 제공되는 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응답하는 응답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유니트는 상기 링 신호가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니트의 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응답부의 초기화 동작이 요구되는가를 결정하는 단계와;
    요구된 경우, 상기 응답부의 메모리내에 있는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하여 초기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링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시지를 자동 응답하기 위하여 메시지 응답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모드 선택 신호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는 서비스 응답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 버스를 통해 제공되는 초기화 신호를 상기 응답 부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유니트로부터 상기 응답부의 메모리로 상기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부의 메모리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사이에서 데이터 흐름경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 7 항 에 있어서,
    상기 응답부의 상기 메모리에 상기 메시지를 저장한 후에, 상기 메모리에 상기 메시지가 완전히 저장되어 있는 가를 결정하는 단계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응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링 신호에 응답하여 제 2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응답부의 상기 메모리로 부터 상기 메시지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독출된 메시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모뎀으로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신호는 DTMF 신호인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9970013327A 1996-05-10 1997-04-10 모드 전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24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327A KR100224568B1 (ko) 1996-05-10 1997-04-10 모드 전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9118993A JPH1056506A (ja) 1996-05-10 1997-05-09 自動応答時のモード自動切換機能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08/854,350 US5953397A (en) 1996-05-10 1997-05-12 Computer system with mode switch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6-15377 1996-05-10
KR19960015377 1996-05-10
KR101996015377 1996-05-10
KR1019970013327A KR100224568B1 (ko) 1996-05-10 1997-04-10 모드 전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171A KR970076171A (ko) 1997-12-12
KR100224568B1 true KR100224568B1 (ko) 1999-10-15

Family

ID=2663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327A KR100224568B1 (ko) 1996-05-10 1997-04-10 모드 전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53397A (ko)
JP (1) JPH1056506A (ko)
KR (1) KR100224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25421A1 (en) * 2000-09-20 2002-03-28 Park Young Ki User interface for multimode
EP1487167B1 (en) * 2003-06-12 2013-07-31 Alcatel Lucent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a called user terminal via an application server, a related call session control network element, a related primary application server
JP4898860B2 (ja) 2009-03-13 2012-03-21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0263A (ja) * 1986-10-02 1988-04-21 Canon Inc パ−ソナルコンピユ−タ
US5001745A (en) * 1988-11-03 1991-03-19 Pollock Charl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ed audio annotation
US5062133A (en) * 1989-07-07 1991-10-29 Logotronix Incorporated Multi-function telephone call management system
US5056132A (en) * 1989-07-25 1991-10-08 Intertech Engineering Associates, Inc. Switch device adapted to interface between an incoming telephone line and an internal telephone system
US5059141A (en) * 1989-12-08 1991-10-22 Scott Xenophon C Modem/telephone handset cord adaptor
US5119412A (en) * 1990-08-06 1992-06-02 Arnaldo Attallah Method and a system for remotely switching and/or regulating and monitoring and electrically operated device or an environment by the use of signals generated by a telephone or a modem
US5361296A (en) * 1991-11-25 1994-11-01 Zoom Telephonics, Inc. Modem with ring detection/modem processing capability
US5249218A (en) * 1992-04-06 1993-09-28 Spectrum Information Technologies, Inc. Programmable universal interface system
JP3559579B2 (ja) * 1992-11-12 2004-09-02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カンパニー 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5440619A (en) * 1993-08-11 1995-08-08 Zoom Telephonics, Inc. Voice, data and facsimile modem with modified ringback answ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6506A (ja) 1998-02-24
KR970076171A (ko) 1997-12-12
US5953397A (en) 1999-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461B1 (ko) Isdn 신호 캐퍼빌러티를 갖는 통신 시스템
US5067125A (en) Telephone system for isdn and public telephone networks
KR19980076702A (ko) 화상정보 저장 및 자동접속 기능을 갖는 화상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US5253289A (en) Terminal connection device
JPS6242658A (ja) 通信端末装置
KR100224568B1 (ko) 모드 전환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18243A (ko) 인터넷 무료전화와 일반전화 사용을 위한 자동 변환장치및 방법
EP0489917B1 (en) Composite telephone set
US6044133A (en)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for providing telephone services of a data processing device by a voice command sent by a telephone unit
JP2000253186A (ja) ポータブルな送受話器のシステム、ポータブルな送受話器の作動方法、ポータブルな送受話器および電話の操作方法
EP0903917B1 (en)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for remote telephone controlled data processing device
US4996708A (en) Key telephone system adapted to respond to information stored in a portable outpulser
JP344501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4903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sic-on-hold service in key telephone system
US6134266A (en) Modem system with voice message function
KR100281540B1 (ko) 회선사용제어기능을 갖는 화상전화장치 및 회선사용제어방법
JP3111983B2 (ja) 電話装置とコンピュータを使用した電話システム
JP3016723B2 (ja) 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システム、自動着信方法および移動機
KR100247319B1 (ko) 복합기능의 인터넷 셋 탑 박스와 이의 복합기능 수행방법
JP3055605B2 (ja) 加入者無線システム用加入者宅装置
KR19980040333U (ko) 퍼스널 컴퓨터의 모뎀 제어 장치
JP2524624B2 (ja) ファクシミリ制御装置
JP2836708B2 (ja) 電話付きファクシミリ通信装置
JPH049896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9130499A (ja) 端末アダプタ内蔵型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