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3294B1 -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 - Google Patents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294B1
KR100223294B1 KR1019920027482A KR920027482A KR100223294B1 KR 100223294 B1 KR100223294 B1 KR 100223294B1 KR 1019920027482 A KR1019920027482 A KR 1019920027482A KR 920027482 A KR920027482 A KR 920027482A KR 100223294 B1 KR100223294 B1 KR 100223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pacity
voltage
charging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7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043A (ko
Inventor
김풍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20027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294B1/ko
Publication of KR940017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7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 G01R31/388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involving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량이 다른 복수개의 배터리를 채용한 휴대형 무선전화기에서 배터리의 용량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의 용량구별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이 구비되지 않거나 용량구별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가 구비되어 있어도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에 적용하여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충전 전류를 달리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용량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별하여 해당배터리에 적절한 충전전류를 공급하게 되므로 배터리의 충전시에 충전전류의 과부족이 해결될 수 있고, 배터리의 수량이 증가되어도 배터리팩의 단자수가 증가될 필요가 없으므로 배터리팩의 외형설계가 양호하게 실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
제1도는 용량이 다른 배터리가 내장되는 일반적인 배터리팩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제2도는 종래의 배터리 용량 구별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의 용량구별장치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용량 구별방법을 설명한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팩 2 : 마이크로프로세서
5 : 메모리
본 발명은 용량이 다른 복수개의 배터리를 채용한 휴대형 무선전화기에서 배터리의 용량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용량구별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이 구비되지 않거나 용량구별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에 적용하여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충전전류를 달리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과 같은 휴대형 무선기기에는 배터리가 구동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배터리의 사용 시간 연장이 휴대형 무선기기의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에는 용량이 다른 복수의 배터리를 재충전 가능한 상태로 배터리팩에 내장시키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식에 따르면, 통산 배터리팩(1)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배터리(10)로부터 전압방전을 위한 단자(11, 11')와 충전전압이 인가되는 충전단자(12), 온도표시단자(13), 용량구별단자(14)가 설치된다. 또한, 용량구별단자(14)는 통상 내장배터리(10)가 대용량인 경우에는 로우레벨, 소용량인 경우에는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베터리팩(1)에 연결되어 배터리 용량을 구별하도록 된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배터리팩(1)의 충전단자(12), 온도표시단자(13) 또는 용량구별단자(14)에 접속되어 충전동작 전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부(2)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부(2)의 제어하에 내장배터리(10)를 충전시키는 충전부(3)가 갖추어져 구성된다.
이 제2도의 구성에 따르면, 배터리팩(1)이 충전단자(12)를 통해 충전기에 연결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부(2)는 배터리팩(1)의 용량구별단자(14)를 억세스하여 배터리(10)가 대용량인지 소용량인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를 기초로 마이크로 프로세서부(2)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충전부(3)를 제어하여 내장배터리(10)의 용량에 따른 충전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배터리팩(1)의 내부에 별도의 용량구별단자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배터리팩의 단가가 상승되고, 내장배터리의 종류가 증가하면 배터리팩(1)의 단자수도 증가되어야 하므로 배터리팩(1)의 제조가 복잡해지게 된다. 또한, 충전단자를 통한 충전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방전단자를 통해 충전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이 경우에는 배터리용량의 구별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효과적인 충전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의 용량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해당 배터리의 용량에 적합한 충전전류를 공급하도록 하는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배터리택에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용량을 구별하기 위한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에 있어서, 배터리팩이 충전기에 접속되면 배터리의 초기전압을 검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소정시간 경과후 배터리의 전압(V1)을 검출하여 제2단계와; 상기 초기 전압과 소정시간 경과후의 검출된 전압(V1)에 대한 전압차이값(V)을 계산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3단계와; 각 배터리용량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차이전압값(Vn)과 계산된 상기 전압차이값(V)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전압차이값(Vn)값에 해당하는 배터리 용량을 확인하는 제4단계와; 확인된 배터리 용량에 대응하게 충전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의 용량구별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제2도의 구성에 대해 배터리팩(1)과 마이크로 프로세서부(2)의 사이에 충전전압을 디지탈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4)와, 배터리용량정보와 해당 배터리 용량정보를 대응하는 전압차이값Vn(n은 배터리의 수량에 대응하는 구분번호)과, 전압차이값Vn을 검출하기 위한 시간간격을 설정하는 검출시간값(T1)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메모리(5)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에 대해 제4도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배터리팩(1)을 충전기에 접속하게 되면(스텝 S41), 마이크로 프로세서부(2)는 배터리팩(1)의 초기전압(V0)을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를 통해 검출하여 그 값을 메모리(5)에 저장하고, 메모리(4)에 미리 설정된 검출시간(T1)의 경과후 다시 배터리팩(1)의 전압(V1)을 검출하여 메모리(5)에 저장한다(스텝 S42). 그후, 마이크로 프로세서부(2)는 메모리(5)에 저장된 배터리전압(V1)과 배터리 전압(V0)을 독출하여 전압차이값 (V1-V0)=V를 산출하고(스텝 S43), 단계 S44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부(2)는 구분번호(n)을 0으로 설정하고 나서, 메모리(5)에 미리 등록된 다수의 전압차이값(Vn)중에서 해당 0의 구별번호(n)에 대응하는 전압차이값과 상기 스텝 S43에서 산출한 전압차이값V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5). 이 비교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스텝 S46에서 구별신호 n을 1증가시켜 스텝 S45의 동작을 재차 수행하고, 비교결과가 일치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부(2)는 메모리(5)로부터Vn에 대응하는 용량정보를 독출해 냄으로써 배터리팩(1)의 용량을 확인하여 그 배터리에 적절한 충전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충전부(3)로 전송하게 된다(스텝 S47).
따라서, 충전부(3)는 장착된 배터리의 용량에 맞는 전류를 배터리팩(1)에 공급하여 충전하게 된다(스텝 S48).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용량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별하여 해당배터리에 적절한 충전전류를 공급하게 되므로 배터리의 충전시에 충전전류의 과부족이 해결될 수 있고, 배터리의 수량이 증가되어도 배터리팩의 단자수가 증가될 필요가 없으므로 배터리팩의 외형설계가 양호하게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

  1. 배터리팩에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용량을 구별하기 위한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에 있어서,
    배터리팩이 충전기에 접속되면 배터리의 초기전압을 검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단계와; 소정시간 경과후 배터리의 전압(V1)을 검출하여 제2단계와; 상기 초기 전압과 소정시간 경과후의 검출된 전압(V1)에 대한 전압차이값(V)을 계산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3단계와; 각 배터리용량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차이전압값(Vn)과 계산된 상기 전압차이값(Vn)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전압차이값(Vn)값에 해당하는 배터리 용량을 확인하는 제4단계와; 확인된 배터리 용량에 대응하게 충전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
KR1019920027482A 1992-12-31 1992-12-31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 KR100223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482A KR100223294B1 (ko) 1992-12-31 1992-12-31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482A KR100223294B1 (ko) 1992-12-31 1992-12-31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043A KR940017043A (ko) 1994-07-25
KR100223294B1 true KR100223294B1 (ko) 1999-10-15

Family

ID=19348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7482A KR100223294B1 (ko) 1992-12-31 1992-12-31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2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043A (ko) 199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5158B1 (en) Battery discriminating method, dry cell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KR930003826B1 (ko) 배터리의 잔여용량 감시 장치 및 잔여 전하값 표시방법
CN101740801B (zh) 电池组和控制电池组的方法
US6097175A (en) Method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a smart battery of an electronic equipment
US6291965B1 (en) Battery charger
JPH10201118A (ja) バッテリタイプ自動感知装置
JP3249788B2 (ja) 電池パック電源装置
KR20120103937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3630228B2 (ja) 電源供給装置、電池、電気機器、およびメモリ効果検出方法
JP2009118441A (ja) 携帯端末
KR100223294B1 (ko)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
KR101146433B1 (ko) 배터리 팩의 ovp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모니터링 방법
JPH08304518A (ja) 電池種類判別装置
JP7422898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システム及びプリチャージ方法
JP5246460B2 (ja) 携帯情報端末の制御回路内蔵型2次電池
CN1321479C (zh) 二次电池充电方法和装置
JPH06310179A (ja) 電池の負荷装置、充電装置及び電池パック
JP3081442B2 (ja) 電池ユニット及びこれを具えた電気機器
JPH08233919A (ja) 電池種類判別装置
KR0145442B1 (ko) 충전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CN116667472B (zh) 一种充电方法和装置
JP4097422B2 (ja) 電池の深放電の検出方法と深放電の検出装置
JPH087788Y2 (ja) 充電装置
JPH0837735A (ja) 携帯電話機の電池パック充電装置
US20020047687A1 (en) Battery charger with energy level gau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